KR20050111856A - 완강기 설치대 - Google Patents

완강기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856A
KR20050111856A KR1020040036770A KR20040036770A KR20050111856A KR 20050111856 A KR20050111856 A KR 20050111856A KR 1020040036770 A KR1020040036770 A KR 1020040036770A KR 20040036770 A KR20040036770 A KR 20040036770A KR 20050111856 A KR20050111856 A KR 2005011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upport
fixing
suppor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666B1 (ko
Inventor
이종찬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이종찬
이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찬, 이종화 filed Critical 이종찬
Priority to KR102004003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66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강기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천장과 바닥 사이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 상단을 천장에 고정하는 상단 고정부; 상기 지지봉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는 하단 고정부; 상기 지지봉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완강기를 지지하는 완강기 고정부; 상기 지지봉 하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릴을 지지하는 릴 고정부를 포함하여 건물로부터 화재발생이나 긴급대피용으로 사용되는 완강기를 복수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완강기 설치대{Installation Stand for Descending Life Apparatus}
본 발명은 완강기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로부터 화재발생이나 긴급대피용으로 사용되는 완강기를 하나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완강기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완강기는 화재발생이나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긴급대피용으로 설치대에 걸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하강할 수 있는 기구로서 사용자가 교대로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완강기와, 사용자가 1회만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완강기가 있다.
이와 같은 완강기를 고정하고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설치대는 벽면에 부착되는 벽걸이형과 바닥에 고정되는 스탠드형이 있다.
상기 벽걸이형 설치대는 도 1a에서, 기둥이나 벽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평상시에 접어 두었다가 사용시에 펴서 사용할 수 있으며, 180°의 회전반경을 갖는 것이므로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시켜 둘 수 있다.
또한, 스탠드형 설치대는 도 1b에서, 옥상이나 베란다 등과 같이 기둥이 없는 장소에 설치되고, 평상시에 접어 두었다가 사용시에 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360°의 회전반경을 갖는 것이므로 내려갈 방향 선정이 용이하다.
상기 벽걸이형 설치대의 경우에는 설치대를 벽이나 기둥에 설치함으로서 벽이나 기둥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설치대의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스탠드형 설치대는 설치대의 지지점이 바닥이므로 설치대가 길어짐에 따라 설치대의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벽걸이형 및 스탠드형 설치대는 1인승 피난시설이므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 없고, 로프나 로프가 감긴 릴을 옥외로 던져 사용함으로 완강기가 하강할 때에 로프나 릴이 물체에 감기거나 걸려 완강기가 하강을 할 수 없는 문제도 노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의 천장과 바닥에 큰 손상을 주지 않고 천장과 바닥 사이에 간편하게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는 스탠드형으로서, 복수의 완강기를 적용할 수 있는 고정력 및 지지력이 강한 다인승 완강기 설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천장과 바닥 사이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 상단을 천장에 고정하는 상단 고정부; 상기 지지봉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는 하단 고정부; 상기 지지봉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완강기를 지지하는 완강기 고정부; 상기 지지봉 하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릴을 지지하는 릴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완강기 설치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 설치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완강기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천장과 바닥 사이에 완강기 설치대가 설치되고, 설치대에 복수의 완강기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재발생이나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지지봉(10)은 천장과 바닥 사이에 수직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봉(10)은 금속재질의 원형의 봉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10)의 상단에는 착탈공(1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체결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봉(10)의 길이는 천장과 바닥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작하되, 필요에 따라 지지봉(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상단 고정부(20)는 상기 지지봉(10) 상단을 천장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단 고정부(20)로서 플레이트(21)는 천장 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데, 플레이트(21)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23)을 통하여 고정구(22)로 천장에 고정된다. 플레이트(21)는 금속재질을 적용하되, 원형의 판이나 다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단 고정부(20)로서 착탈수단(29)은 플레이트(21)의 중앙, 즉 천장 면과 밀착되지 않는 반대편 중앙에 지지봉(10)의 상단에 형성된 착탈공(11)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고정구(25)가 구비되고, 고정구(25)의 외측으로는 지지봉(10)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봉(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홀더(24)가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봉(10) 상단의 착탈공(11)으로 고정구(25)가 삽입 또는 분리되고, 지지봉(10)은 홀더(2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단 고정부(20)로서 연결고리(26)는 완강기 고정부(40)를 상단 고정부(20)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고리(26)는 홀더(24)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원형이되, 홀더(2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일측이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는 돌출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고리(26) 하단에는 고정링(27)이 체결되고, 고정링(27)은 연결고리(26)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결고리(26)가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링(27)은 홀더(24)의 외주연에 용접 등으로 고정시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고리(26) 및 고정링(27)을 홀더(24)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지지봉(10)에 고정시켜도 좋다.
완강기 고정부(40)는 상기 지지봉(10) 상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완강기(72)를 지지하는 것으로, 완강기 고정부(40)로서 회동링(41)이 상기 지지봉(10) 외주연에 삽입된다. 회동링(41)은 지지봉(1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동링(41)의 일측에는 복수의 완강기 지지고리(45)를 지지하는 지지대(44)가 구비된다. 지지대(44)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회동링(41)의 회동에 따라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링(41) 하단에는 회동링(41)을 지지하는 고정링(42)이 고정되는 데, 고정링(42)에는 하나 이상의 조임쇠(43)가 구비되어 고정링(42)이 지지봉(1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링(42)은 회동링(41)이 지지봉(10)의 하단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봉(10)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여야 한다.
상기 완강기 지지고리(45)의 일측은 후크(70)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돌출부(45a)가 형성되고, 후크(70)에는 릴(65)로부터 로프(74)가 연결된 벨트(76)를 지지하는 완강기(72)가 연결된다. 그리고 복수로 구비된 완강기 지지고리(45)들 사이의 간격 유지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44)에 소정 간격으로 요홈이나 굴곡부를 형성하거나 완강기 지지고리(45) 사이에 고정수단(46)을 구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상단 고정부(20)의 연결고리(26)로부터 완강기 고정부(40)의 지지대(44) 일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50)가 연결되고, 지지부재(50)는 소정 중량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장력을 갖는 와이어를 적용하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단 고정부(20)의 연결고리(26)와 완강기 고정부(40)의 지지대(44)에 지지부재(50)를 연결 및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 연결링(51, 52)이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지지봉(10)의 하부에는 복수의 릴(65)을 지지할 수 있는 릴 고정부(60)가 설치되고, 릴 고정부(60)는 상기 지지봉(10) 외주연에 삽입되는 회동링(61)이 구비된다. 회동링(61)은 지지봉(1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동링(61)의 일측에는 복수의 릴(65)을 지지하는 지지대(64)가 구비된다. 지지대(64)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회동링(61)의 회동에 따라 회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욱이 릴 고정부(60)의 지지대(64)는 완강기 고정부(40)의 지지대(44)의 회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링(61) 하단에는 회동링(61)을 지지하는 고정링(62)이 고정되는 데, 고정링(62)에는 하나 이상의 조임쇠(63)가 구비되어 고정링(62)이 지지봉(1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링(62)은 회동링(61)이 지지봉(10)의 하단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봉(10)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여야 한다.
상기 릴 고정부(60)의 지지대(64)에 고정되는 복수의 릴(65)들 사이의 간격 유지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64)에 소정 간격으로 요홈이나 굴곡부를 형성하거나 릴(65) 사이에 고정수단(66)을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하단 고정부(30)는 상기 지지봉(10)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 고정부(30)의 구성요소로서 플레이트(31)는 바닥 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데, 플레이트(31)는 금속재질을 적용하되, 원형의 판이나 다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하단 고정부(30)로서 체결수단(39)은 플레이트(31)의 중앙에 지지봉(10) 하단 체결공(12)에 체결구(34)가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지지봉(10)의 하단에는 체결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공(12)에 대응하도록 플레이트(31)에는 체결구(3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봉(10)의 체결공(12)에 체결구(34)를 일치시킨 다음에 지지봉(10)을 하단 고정부(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체결구(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봉(10)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35)가 체결된다. 즉 플레이트(31)의 중앙에 구비된 체결구(34)에 너트(35)가 구비되어 있어 지지봉(10)의 체결공(12)에 체결구(34)가 체결된 후에 너트(35)를 회전시키면 지지봉(10)이 상단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상단 고정부(20)의 플레이트(21)와 하단 고정부(30)의 플레이트(31)를 각각 천장 면과 바닥 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완강기 설치대를 설치하는 과정과 완강기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완강기 설치대는 건물 내부, 바람직하게는 천장과 바닥이 형성되어 있는 창문 근처나 외부로 긴급 피난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한다.
설치할 위치가 정해지면, 천장에 상단 고정부(20)의 플레이트(21)를 위치시킨 다음에 플레이트(21)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23)에 고정구(22)로 고정시킨다. 이때, 플레이트(21)의 중앙에는 홀더(24)와 고정구(25)가 포함된 착탈수단(29)이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홀더(24)의 외주연에는 연결고리(26)와 연결고리(26)를 고정하는 고정링(27)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단 고정부(20)를 천장에 고정할 위치를 확보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면, 상단 고정부(20)에 대향하는 하단 고정부(30)를 바닥에 고정시킨다. 즉 하단 고정부(30)는 체결구(34) 및 너트(35)가 구비된 플레이트(31)를 바닥 면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지지봉(10)을 상단 고정부(20)와 하단 고정부(30) 사이에 설치하기 전에 지지봉(10)에는 완강기 고정부(40)의 고정링(42)과 릴 고정부(60)의 고정링(62)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데, 고정링(42)과 고정링(62)의 상단에는 완강기 고정부(40)의 회동링(41)과 릴 고정부(60)의 회동링(61)을 각각 지지봉(10)에 삽입하여 결합시켜야 한다. 이때, 고정링(42)과 고정링(62)은 각각 고정할 위치에서 고정링(42)과 고정링(6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공(43a)을 통하여 조임쇠(43)를 조여 지지봉(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완강기 고정부(40)와 릴 고정부(60)가 지지봉(10)에 설치되면, 이 지지봉(10)의 상단을 상단 고정부(20)의 착탈수단(29)에 삽입시킨다. 즉 지지봉(10)의 상단에 형성된 착탈공(11)에 착탈수단(29)의 고정구(25)를 삽입한 후에 홀더(24) 내로 지지봉(10)을 삽입시켜 지지봉(10)의 상단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지지봉(10)의 하단은 체결수단(39), 즉 하단 고정부(30)의 플레이트(31)에 구비된 체결구(34)에 지지봉(10)의 하단에 구성된 체결공(12)을 체결시킨다. 이때, 체결구(34)와 너트(35)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너트(35)를 상단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이면 지지봉(10)의 체결구(34)가 너트(35)에 의하여 밀려 올라가고, 이는 상단 고정부(20)의 플레이트(21)에 전달됨과 동시에 하단 고정부(30)의 플레이트(31)를 밀어내므로, 지지봉(10)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지지봉(10)의 하단 고정부(30)에 구비된 너트(35)를 조이면 체결구(34)를 따라 지지봉(10)은 상단으로 밀려나가는 힘이 발생되고, 이와 동시에 너트(35)는 체결구(34)를 하단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지지봉(10)은 상단 고정부(20)의 플레이트(21)와 하단 고정부(30)의 플레이트(31)를 각각 천장 면과 바닥 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고정된 지지봉(10)을 해제할 때에는 잠금상태의 너트(35)를 풀면 너트(35)가 체결구(34)의 하단으로 내려가므로 지지봉(10)을 상단 고정부(20) 및 하단 고정부(30)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지지봉(10)의 상단과 하단을 상단 고정부(20)의 착탈수단(29)과 하단 고정부(30)의 체결수단(39)에 착탈 및 체결할 때에 하단의 체결수단(39)이 체결구(34) 및 너트(35)의 나사산으로 체결되는 공간보다 착탈수단(29)의 홀더(24) 및 고정구(25)가 충분히 길게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지지봉(10)이 상단 고정부(20)와 하단 고정부(30)에 고정되면, 완강기 고정부(40)의 지지대(44) 일단에 구비된 연결링(52)과 상단 고정부(20)로서 구비된 연결고리(26)의 돌출부(26a)에 구성된 연결링(51) 사이에 와이어 등의 지지부재(50)를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지지부재(50)는 완강기 고정부(40)에 연결되는 복수의 완강기(72)가 작동할 때에 발생하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장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완강기 고정부(40)의 지지대(44)에는 완강기(72)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완강기 지지고리(45)가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완강기 지지고리(45)에는 후크(70)가 체결되고, 또, 후크(70)에는 완강기(72)가 연결되며, 완강기(72)를 통하여 벨트(76)가 구비된 로프(74)가 연결된다.
또한, 지지봉(10)에 결합된 릴 고정부(60)에는 복수의 릴(65)이 지지대(64)를 통하여 장착된다. 릴(65)에 감긴 로프(74)는 완강기(72)로 연결된다. 장착된 릴(65)의 수는 완강기 고정부(40)에 고정된 완강기(72)의 수와 동일하다. 릴 고정부(60)의 지지대(64)에 장착된 릴(65)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64)의 종단에는 스토퍼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릴(65) 사이에는 릴(65)들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 또는 이격수단이 포함되어도 좋다.
이렇게 하여 완강기 및 완강기 설치대의 설치가 완료되고, 완강기 설치대(100)는 상단 고정부(20)의 연결고리(26), 완강기 고정부(40)의 회동링(41) 및 릴(65)의 회동링(61)이 모두 360°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미관이나 공간확보를 위하여 벽 쪽이나 기둥 쪽으로 회전시켜 두면 되고, 사용할 때에는 긴급피난을 위한 위치로 회전시켜 완강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완강기 설치대로부터 완강기를 사용할 때에는 옥외로 피난할 위치를 확보한 후에 피난 위치로 완강기 설치대(100)를 회전시키고, 피난자는 완강기(72)에 연결된 벨트(76)를 몸에 착용한 후에 피난할 공간으로 몸을 내리면 완강기(72)의 완강 작용으로 릴(65)로부터 로프(74)가 천천히 풀어져 안전한 위치로 피난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재발생이나 위급한 상황에서 완강기 설치대(100)에 설치된 완강기(72)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피난자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완강기(72)를 사용하여 옥외로 피난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완강기 설치대의 조립이나 설치순서는 설치장소나 설치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완강기 설치대는 옥내의 천장과 바닥에 큰 손상을 주지 않고 천장과 바닥에 간편하게 완강기 설치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대에 복수의 완강기를 구비한 것으로, 화재발생이나 긴급상황에서 옥외로 피난을 하기 위하여 복수의 피난자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화재발생 등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강기 설치대에 구비된 릴 고정부에 릴이 고정되어 있어 피난자가 피난도중에 릴로부터 로프의 공급이 용이하므로 완강기의 작동이 원활하여 보다 안전한 피난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완강기 설치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완강기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봉 20: 상단 고정부
30: 하단 고정부 40: 완강기 고정부
50: 지지부재 60: 릴 고정부
70: 후크 72: 완강기
74: 로프 76: 벨트
100: 설치대

Claims (6)

  1. 천장과 바닥 사이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 상단을 천장에 고정하는 상단 고정부;
    상기 지지봉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는 하단 고정부;
    상기 지지봉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완강기를 지지하는 완강기 고정부;
    상기 지지봉 하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릴을 지지하는 릴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설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정부는
    천장 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에 지지봉 상단 착탈공에 고정구가 삽입 또는 분리되고, 지지봉을 지지하는 홀더가 구성된 착탈수단과,
    상기 완강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 하단에 체결되어 연결고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설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봉 외주연에 삽입되는 회동링과,
    상기 회동링의 일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완강기 지지고리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회동링 하단에 고정되어 회동링을 지지하는 고정링과,
    상기 완강기 지지고리에 고정되어 완강기를 지지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설치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정부의 연결고리와 완강기 고정부의 지지대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설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고정부는
    상기 지지봉 외주연에 삽입되는 회동링과,
    상기 회동링의 일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설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부는
    바닥 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에 지지봉 하단 체결공에 체결구가 체결 및 분리되고, 너트로 지지봉을 천장 및 바닥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설치대.
KR1020040036770A 2004-05-24 2004-05-24 완강기 설치대 KR10055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70A KR100553666B1 (ko) 2004-05-24 2004-05-24 완강기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70A KR100553666B1 (ko) 2004-05-24 2004-05-24 완강기 설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856A true KR20050111856A (ko) 2005-11-29
KR100553666B1 KR100553666B1 (ko) 2006-02-24

Family

ID=3728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770A KR100553666B1 (ko) 2004-05-24 2004-05-24 완강기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017B1 (ko) * 2007-03-14 2008-08-04 김홍림 회전이 가능한 구난겸 베란다 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310B1 (ko) 2016-04-06 2018-01-04 주식회사 코닥트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017B1 (ko) * 2007-03-14 2008-08-04 김홍림 회전이 가능한 구난겸 베란다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666B1 (ko) 200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3831A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use in multi-story buildings and method of escape
KR100553666B1 (ko) 완강기 설치대
JP3971444B1 (ja) 移動式足場装置
US10457528B2 (en) Davit arm
JP4162247B2 (ja) 空調装置の室外機昇降装置
JP5947472B1 (ja) 天井板を保持できる縁枠を付けた大口径の筒状の縦壁を下面に固定する身体移動機。
KR101970146B1 (ko)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WO2020065770A1 (ja) 重量物据付装置
JP2004183305A (ja) 屋根作業用安全装置及び屋根の解体方法
KR100434919B1 (ko) 원터치형 완강기 설치대
CN114010996B (zh) 一种灭火器用的悬挂装置
JP4781090B2 (ja) フック保持装置
CN214298506U (zh) 一种导开架制动装置
CN218403309U (zh) 一种防止滑落的建筑工程用起吊设备
CN218909518U (zh) 一种楼层卸料装置
KR20210093614A (ko) 고정수단 장치를 구비한 핸드 크레인
JP3226427U (ja) 球形タンク内の足場装置
US11834140B2 (en) Man overboard rescue system
JP3231866U (ja) 吊り下げシールド体
JP2001322799A (ja) エアコン吊り上げ装置
JPH0710500A (ja) 吊上げ装置
KR101652066B1 (ko) 중량 구조물의 승강 제어장치
JP2007138509A (ja) 親綱中間支持具
JP2008223366A (ja) 親綱ガイド装置及び親綱ガイド方法
JPH07279408A (ja) タンク内作業用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