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197A -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197A
KR20050111197A KR1020040036410A KR20040036410A KR20050111197A KR 20050111197 A KR20050111197 A KR 20050111197A KR 1020040036410 A KR1020040036410 A KR 1020040036410A KR 20040036410 A KR20040036410 A KR 20040036410A KR 20050111197 A KR20050111197 A KR 20050111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bearer
bearer path
cal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은
윤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3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1197A/ko
Publication of KR2005011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1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경로와 베어러 경로를 별개로 설정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차세대통신망에서 부가서비스 예컨대, 호전환 서비스, 회의통화 서비스의 제공시 발착신 간의 베어러 경로를 변경하여 베어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호전환 서비스 제공시에는 호전환 서비스 가입자와 발신자간의 베어러 경로를 해지하고, 발신자와 호전환지의 최종 착신자간의 베어러 경로만이 설정되도록 하고, 회의통화 부가서비스의 제공시에는 회의통화를 행하는 가입자가 수용된 엑세스 게이트웨이(또는 교환기)간 베어러 경로를 해지하고 각 가입자를 수용하는 엑세스 게이트웨이(또는 교환기)와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만이 설정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through reconnetion bearer path in next generation network}
본 발명은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세대통신망에서 부가서비스 예컨대, 호전환 서비스, 회의통화 서비스의 제공시 발착신간의 베어러 경로를 변경하여 베어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응답시 호전환 서비스, 회의통화 서비스 등의 부가서비스가 활성화(active)되는 시점은 발착신 간의 호를 위한 베어러 경로가 모두 연결 설정된 RINGING 중 혹은 전화통화(Conversation) 중에 이루어진다.
기존의 교환기술에서는 해당 부가서비스의 마스터(master)인 교환기, 혹은 엑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의 스위칭 기술을 통해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호전환 서비스나, 회의통화 서비스 등의 부가서비스가 활성화될 때 기존에 설정되었던 베어러 경로를 유지하고, 서비스 마스터 게이트웨이(또는 교환기)에서의 베어러 연결에 대해서만 해당 소프트스위치(또는 교환기)가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어했다. 이런 경우 서비스 마스터(master)인 게이트웨이(또는 교환기)만 부가서비스에 영향을 받고, 타 게이트웨이(또는 교환기)는 서비스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때, 베어러 자원이 불필요하게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그 구체적 이유는 첨부된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무응답시 호전환 서비스의 베어러 경로 및 신호경로(Signalling path)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는 소프트스위치(이하, SSW)1(10)의 제어를 받는 엑세스 게이트웨이(이하: AG)1(AG1)(11)의 A가입자가 SSW2(20)의 제어를 받는 AG2(21)의 B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하여 B 가입자는 RINGING 중이고, A가입자에게는 링백톤(RingBackTone)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1b는, B가입자가 일정시간 동안 무응답하여 SSW2(200)가 C가입자가 수용된 AG3(31)의 SSW3(30)로 상기 A가입자로부터의 호를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호전환서비스를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SSW1(10)과 AG1(11), 및 최종착신지인 AG3(31)과 SSW3(30)은 베어러 제어에 있어서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AG2(21)가 베어러 자원을 교체(Relay)해 준다. 이와 같이,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베어러 연결 경로가 상당히 복잡해 짐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AG2(21)는 해당 가입자가 사용하지 않는 베어러 자원을 낭비하는 것이며, 또한 베어러 망 자원인 IP 혹은 ATM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복잡한 베어러 경로 연결로 인해 호전환 서비스의 베어러의 품질(Quality)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 회의통화 부가서비스의 베어러 설정 및 신호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는 SSW2(20)의 제어를 받는 AG2(21)의 B가입자가 SSW1(10)의 제어를 받는 AG1(10)의 A가입자와 통화중에 C가입자와의 회의통화를 목적으로, A가입자를 보류시키고, SSW3(30)의 제어를 받는 AG3(31)의 C가입자를 호출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B가입자가 회의통화를 활성화(Activation)시켜서, B가입자의 베어러 경로와 A가입자의 베어러 경로 및 C가입자의 베어러 경로를 미디어서버(Media Server)(40)에 연결시켜 회의통화를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와 마찬가지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를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SSW1(10)과 AG1(11) 및 AG3(31)과 SSW3(30)은 베어러 제어에 있어서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AG2(21)가 베어러 자원을 미디어서버(40)로 교체(Relay)해 준다. 이 경우에도, 부가서비스를 위해 베어러 연결 경로가 상당히 복잡해짐을 알 수 있다.
이뿐 아니라, AG2(21)는 AG1(11)의 베어러연결과 AG3(31)의 베어러연결을 대신 해줌으로서 베어러 자원을 낭비하는 것이며, 또한 베어러 망 자원인 IP 혹은 ATM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복잡한 베어러 경로 연결로 인한 회의통화 음성 및 화상등의 베어러의 품질(Quality)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부가서비스 제공시 베어러 자원의 낭비를 해소하여 베어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베어러 경로 연결로 인한 음성 및 화상 등의 베어러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음성 및 화상 품질을 보장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은, A가입자가 수용된 AG1을 제어하는 SSW1의 요청에 의해, 착신단말인 B가입자가 수용된 AG2를 제어하는 SSW2에서의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B가입자를 호출한 후, 상기 B가입자가 일정 시간내에 응답하지 않으면, 상기 B가입자가 호전환 서비스 가입자인가를 확인하는 제 1 과정; 상기 B가입자가 상기 호전환 서비스 가입자이면, 호전환지에 해당하는 C가입자가 수용된 AG3를 제어하는 SSW3로 호연결을 요청하는 제 2 과정; 상기 C가입자가 응답하면, 상기 AG2와 AG1간의 베어러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SSW1로 상기 AG3의 베어러 정보를 전달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SSW1이 상기 베어러 정보를 근거로 상기 AG1와 상기 AG3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는 제 4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B가입자가 상기 호전환 서비스 등록시, 호가 전환되는 가입자(C가입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은, 미디어서버를 통해 AG1에 수용된 A가입자, AG2에 수용된 B가입자, 및 AG3에 수용된 C가입자간 회의통화를 지원하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AG2과 상기 AG1간에 설정된 제 1 베어러 경로를 통해 상기 A가입자와 상기 B가입자간의 전화통화를 수행하다가 상기 B가입자가 상기 C가입자와의 회의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AG2를 제어하는 SSW2가 상기 AG3를 제어하는 SSW3로 상기 C가입자의 호출을 요청하는 제 1 과정; 상기 AG2와 상기 AG3간의 제 2 베어러 경로가 설정되는 제 2 과정; 상기 C가입자가 호출에 응답하면, 상기 SSW2가 상기 AG2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베어러 경로와 상기 제 2 베어러 경로를 모두 해제하고, 상기 AG2와 상기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는 제 3 과정; 상기 SSW2가 상기 SSW1와 상기 SSW3로 상기 미디어서버의 베어러 정보를 전송하는 제 4 과정; 상기 SSW1가 상기 베어러 정보를 근거로 상기 AG1과 상기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는 제 5 과정; 및 상기 SSW3가 상기 베어러 정보를 근거로 상기 AG3와 상기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는 제 6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세대 통신망은, 특성상 신호 경로(Signalling path)와 베어러 경로(Bear path)를 별도로 가질수 있다. 즉, 베어러 경로를 신호경로와 분리하여 소프트스위치로 베어러 경로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신호 경로만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부가서비스가 활성화될 때, 기존에 설정된 베어러 경로를 해제하고 재설정하는 시나리오를 가짐으로서 베어러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복잡한 베어러 설정과정을 해결하므로써, 베어러 품질 저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전환 서비스 제공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a는, SSW1(100)의 제어를 받는 AG1(110)의 A가입자가 SSW2(200)의 제어를 받는 AG2(210)의 B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하여 B가입자는 RINGING중이고, A가입자는 링백톤(RingBackTone)을 듣고 있는 상태이다.
도 3b는, B가입자가 일정시간 동안 무응답하여 B가입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SSW3(300)의 제어를 받는 AG3(310)의 C가입자에게 A의 호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호전환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하여, SSW2(200)는 착신단말인 B가입자가 호전환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이고, 소정 시간동안 호출에 응답하지 않으면 베어러 경로를 재설정을 위해 MEGACO프로토콜을 통해 AG2(210)로부터 AG1(110)로의 베어러 경로를 해제한다.
이와 동시에, SSW2(200)는 SSW1(100)으로 SIP혹은 BICC프로토콜을 통해 AG3(310)의 베어러 정보를 전달하여 AG(210)에 연결되어 있던 베어러 경로가 AG3(310)으로 재설정되도록 한다. 이때, SSW1(100)으로 전달되는 AG3(310)의 베어러 정보는 AG3(310)의 IP 주소와 포트번호, 미디어 속성 등이 된다.
AG3(310)의 베어러 정보를 전달받은 SSW1(100)는 AG1(110)으로 AG3(310)의 베어러 정보를 전송하여, AG1(110)이 상기 베어러 정보를 근거로 AG3(310)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불필요하게 AG1(110)과 AG2(210), AG2(210)와 AG3(310)간에 베어러 경로가 설정되는 것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의통화 부가서비스의 제공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SSW2(200)의 제어를 받는 AG2(210)의 B가입자가 SSW1(100)의 제어를 받는 AG1(110)의 A가입자와 통화중에 C가입자와의 회의통화를 목적으로, A가입자를 보류시키고, SSW(300)의 제어를 받는 AG(310)의 C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하고 상태의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B가입자가 회의통화를 활성화(Activation)시켜서, B가입자의 베어러 경로와 A가입자의 베어러 경로 및 C가입자의 베어러 경로를 미디어서버(400)에 연결시켜 회의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는 도면이다.
도 4b에서, SSW2(200)는 B가입자로부터 호전환서비스가 요청되고, 제2착신단말 즉, C가입자의 착신번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C가입자를 호출한다.
상기 C가입자가 응답하면, SSW2(200)는 MEGACO프로토콜을 통해 AG2(210)를 제어하여 AG1(110)와의 베어러 경로와 AG3(310)로의 베어러 경로를 해제하고, MEGACO프로토콜을 통해 해당 AG2(210)의 베어러 경로를 미디어서버(400)로 재설정한다.
이와 동시에, SSW2(200)는 SSW1(100)과 SSW3(300)로 SIP 혹은 BICC프로토콜을 통해 미디어서버(400)의 베어러 정보를 전달하여, SSW1(100)의 제어에 의해 AG1(100)와 미디어서버(400)간에 베어러 경로가 설정되도록 하고, SSW(3)의 제어에 의해 AG3(310)와 미디어서버(400)간에 베어러 경로가 설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AG1(110)과 AG2(210), AG2(210)와 AG3(310)간에 불필요하게 베어러 경로가 설정되는 것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세대통신망에서 호전환서비스, 회의통화 서비스 등의 부가서비스 제공시 AG간의 베어러 채널이 효율적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베어러 채널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복잡한 베어러 경로 연결로 인해 음성 및 화상 등의 베어러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차세대통신망에서의 호전환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a와 도 2b는 종래 차세대통신망에서의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호전환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Claims (4)

  1. A가입자가 수용된 AG(Access Gateway)1을 제어하는 SSW(SoftSWitch)1의 요청에 의해, 착신단말인 B가입자가 수용된 AG2를 제어하는 SSW2에서의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B가입자를 호출한 후, 상기 B가입자가 일정 시간내에 응답하지 않으면, 상기 B가입자가 호전환 서비스 가입자인가를 확인하는 제 1 과정;
    상기 B가입자가 상기 호전환 서비스 가입자이면, 호전환지에 해당하는 C가입자가 수용된 AG3를 제어하는 SSW3로 호연결을 요청하는 제 2 과정;
    상기 C가입자가 응답하면, 상기 AG2와 AG1간의 베어러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SSW1로 상기 AG3의 베어러 정보를 전달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SSW1이 상기 베어러 정보를 근거로 상기 AG1와 상기 AG3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는 제 4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가입자가 상기 호전환 서비스 등록시, 호가 전환되는 가입자(C가입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3. 미디어서버를 통해 AG1에 수용된 A가입자, AG2에 수용된 B가입자, 및 AG3에 수용된 C가입자간 회의통화를 지원하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AG2과 상기 AG1간에 설정된 제 1 베어러 경로를 통해 상기 A가입자와 상기 B가입자간의 전화통화를 수행하다가 상기 B가입자가 상기 C가입자와의 회의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AG2를 제어하는 SSW2가 상기 AG3를 제어하는 SSW3로 상기 C가입자의 호출을 요청하는 제 1 과정;
    상기 AG2와 상기 AG3간의 제 2 베어러 경로가 설정되는 제 2 과정;
    상기 C가입자가 호출에 응답하면, 상기 SSW2가 상기 AG2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베어러 경로와 상기 제 2 베어러 경로를 모두 해제하고, 상기 AG2와 상기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는 제 3 과정;
    상기 SSW2가 상기 SSW1와 상기 SSW3로 상기 미디어서버의 베어러 정보를 전송하는 제 4 과정;
    상기 SSW1가 상기 베어러 정보를 근거로 상기 AG1과 상기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는 제 5 과정; 및
    상기 SSW3가 상기 베어러 정보를 근거로 상기 AG3와 상기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는 제 6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정보는
    가입자가 수용된 AG(Access Gateway)의 IP주소와 포트번호 및 미디어 속성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40036410A 2004-05-21 2004-05-21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제공방법 KR20050111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410A KR20050111197A (ko) 2004-05-21 2004-05-21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410A KR20050111197A (ko) 2004-05-21 2004-05-21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197A true KR20050111197A (ko) 2005-11-24

Family

ID=3728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410A KR20050111197A (ko) 2004-05-21 2004-05-21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11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9501A1 (fr) * 2007-11-05 2009-05-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système et dispositif de transfert automatique d'appel
WO2016086730A1 (zh) * 2014-12-03 2016-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呼叫转移的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9501A1 (fr) * 2007-11-05 2009-05-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système et dispositif de transfert automatique d'appel
WO2016086730A1 (zh) * 2014-12-03 2016-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呼叫转移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6508B1 (en) Network resource conservation system
CA2149462C (en) Telecommunications feature server
KR100457185B1 (ko) 이동 차세대 망에서의 톤 제공 방법
JP4901197B2 (ja) ソフトスイッチ呼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使用するソフトスイッチデバイス
US8244229B2 (en) Mobile video call response
RU225248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тонального сигнала вызова
US8446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tone/announcement over wireless network
US20080273671A1 (en) Method, system and application server for preventing crosstalk of color ring back tone
JP2004524755A (ja) VoIPシステム
CN101217600A (zh) 询问转接业务方法和装置
CN101217601A (zh) 盲转业务方法和装置
US20080037516A1 (en) Gateway providing third party call control
US7616752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call waiting and caller ID and for toggling between active and waiting calls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KR100403725B1 (ko)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시스템에서의 그룹 착신 호제어방법
JP5175934B2 (ja) セルラー方式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メディア転送のためのwlanの利用方法
CN102263775B (zh) 一种本区域sip呼叫控制方法及其装置
US74746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lsively receiving multi-calls over internet protocol phones i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system
KR20000055381A (ko) 신호 교환 장치 및 방법
US84832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all model
US7539177B2 (en) Call hold/terminal portability in H.323/ISUP-BICC-SIP networks
CN101668229A (zh) 多媒体铃音业务的呼叫和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050111197A (ko) 차세대통신망에서의 베어러 재설정을 통한 부가서비스제공방법
US7848315B2 (en) End-to-end voice over IP streams for telephone calls established via legacy switching systems
US20040252706A1 (en) Method and systems for non-call associated signaling in a multi-protocol telecommunications environment
JP3928926B2 (ja)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エコー打消し装置の制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