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24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248A
KR20050110248A KR1020040035196A KR20040035196A KR20050110248A KR 20050110248 A KR20050110248 A KR 20050110248A KR 1020040035196 A KR1020040035196 A KR 1020040035196A KR 20040035196 A KR20040035196 A KR 20040035196A KR 20050110248 A KR20050110248 A KR 20050110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charge port
air conditioner
air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593B1 (ko
Inventor
김종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59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Abstract

주위의 상황에 따라 냉방능력의 조절과 토출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하우징의 상부와 중간부에는 제 1 및 제 2 토출구가 배치되고, 하우징의 하부에는 흡입그릴이 배치된다. 제 2 토출구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는 열교환기의 후면의 하부에 위치한 하류유로의 공기가 상부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댐퍼가 설치되고, 열교환의 전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류유로 측에는 열교환기의 하단부를 통과한 공기가 선택적으로 제 1 토출구 또는 제 2 토출구로 유동하게 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개폐장치는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된 래크와, 래크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과, 피니언과 함께 이동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여 피니언이 래크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차단부재가 열교환된 공기를 제 1 토출구 또는 제 2 토출구로 유동하게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열교환된 공기를 높이가 다른 복수의 토출구에서 동시에 토출되도록 하거나 어느 하나의 토출구에서만 토출되도록 구성하여 주위의 상황에 따라 냉방능력의 조절과 토출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증발기와 응축기, 그리고 압축기가 하나의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되어서 실내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되고 실외기에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된다.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넓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킬 수 있도록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와, 작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키기 위해 실내의 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비교적 큰 높이를 가져서 실내의 바닥에서 천정에 가까운 위치에 이르도록 배치되게 되며, 실내공기를 하우징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구는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고, 하우징의 내부에서 증발기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는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다.
따라서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가 하우징의 하부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후 토출구를 통해 하우징의 상부에서 토출되어 실내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토출구가 하우징의 상부에만 마련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주위의 상황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높이를 변경할 수 없으며, 또한 냉방능력의 조절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없어서 공기조화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된 공기를 높이가 다른 복수의 토출구에서 동시에 토출되도록 하거나 어느 하나의 토출구에서만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위의 상황에 따라 냉방능력의 조절과 토출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토출구와,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구와 다른 높이에 마련된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 교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구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중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은 상기 제 2 토출구와 상기 흡입그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상단은 상기 제 1 토출구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측에는 열교환되지 않은 공기가 유동하는 하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측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하는 상류유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토출구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는 상기 하류유로의 공기가 상부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댐퍼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된 제 1 모터에 축 결합되며,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에는 상기 댐퍼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제 1 모터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위치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류유로 측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를 통과한 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토출구 또는 상기 제 2 토출구로 유동하게 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된 래크와, 상기 래크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함께 이동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래크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구 또는 상기 제 2 토출구로 유동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피니언과 축결합되는 제 2 모터와, 상기 피니언과 상기 차단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일정길이를 가진 제 1 안내홈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각 제 1 안내홈에 끼워지는 제 1 안내돌기가 마련되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안내홈은 상기 차단부재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상류유로의 연통을 차단하는 위치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토출구를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기 위해 곡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는 제 2 안내홈이 마련되며, 상기 피니언에는 상기 제 2 안내홈에 끼워지는 제 2 안내돌기가 마련되어서, 상기 피니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안내홈은 상기 피니언이 수평으로 직선이동하기 위해 직선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보인 것이고, 도 2 내지 도 4는 공기조화기의 대략적인 내부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2는 제 1 토출구와 제 2 토출구에서 냉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것이고, 도 3은 제 2 토출구에서만 냉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것이며, 도 4는 제 1 토출구에서만 냉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대략 박스형상을 가진 하우징(1)에 의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하우징(1)의 하부의 양 측면에는 다수의 흡입홀을 가진 흡입그릴(2)이 배치되고, 하우징(1)의 상부와 중간부에는 각각 흡입그릴(2)을 통해 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 1 토출구(3)와 제 2 토출구(5)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토출구(3)에는 이 제 1 토출구(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 1 토출 블레이드(4)들이 배치되어 있고, 제 2 토출구(5)에는 이 제 2 토출구(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 2 토출 블레이드(6)들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1)의 하부에 흡입그릴(2)이 배치되고, 하우징(1)의 상부와 중간부에 각각 제 1 토출구(3)와 제 2 토출구(5)가 배치되어서 하우징(1)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하우징(1)의 상부와 중간부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하에서는 하우징(1)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구(3) 그리고/또는 제 2 토출구(5)로 토출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부에는 흡입그릴(2)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송풍팬(7)과, 제 1 및 제 2 토출구(3)(5)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10)는 그 하단이 하우징(1)의 전면측에서 제 2 토출구(5)의 하단과 흡입그릴(2)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고, 그 상단이 하우징(1)의 후면측에서 하우징(1)의 전면에 마련된 제 1 토출구(3)의 상단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여서 하우징(1)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열교환기(10)의 후면의 후방측에는 송풍팬(7)을 통과하여 열교환되지 않은 공기가 열교환기(10)로 보내지기 위한 하류유로(11)가 형성되고, 열교환기(10)의 전면의 전방측에는 열교환기(10)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및 제 2 토출구(3)(5)로 보내지기 위한 상류유로(1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10)를 상단부(8)와 하단부(9)로 나누어지도록 하기 위해 제 2 토출구(5)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는 하류유로(11)의 공기가 열교환기(10)의 상단부(8)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댐퍼(20)와, 상류유로(12)의 하부측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제 1 토출구(3)와 제 2 토출구(5)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댐퍼(20)는 하류유로(11)의 공기가 열교환기(10)의 상단부(8)로 유동하게 하거나 차단하게 하며, 개폐장치(30)는 상류유로(12)의 하단부의 공기가 제 1 토출구(3) 또는 제 2 토출구(5)로 유동하게 하는 구성을 가져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0)가 수직하게 위치하고 개폐장치(30)가 제 2 토출구(5)를 개방하도록 위치하게 되면 열교환기(10)의 하단부(9)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서로 다른 높이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토출구(3)(5) 모두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0)가 수평하게 위치하고 개폐장치(30)가 제 2 토출구(5)를 개방하도록 위치하게 되면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구(5)로만 토출되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0)가 수직하게 위치하고 개폐장치(30)가 제 2 토출구(5)를 폐쇄하도록 위치하게 되면 열교환기(1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구(3)로만 토출되게 된다.
상기 댐퍼(20)를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댐퍼(20)와 축결합된 제 1 모터(21)가 하우징(1)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토출구(5)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열교환기(10)의 후면에는 댐퍼(20)가 더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모터(21)가 정역 회전하게 되면 댐퍼(20)가 하우징(1)의 후면판에 접촉하는 개방위치(도 2)와 스토퍼(22)에 접촉하는 폐쇄위치(도 3) 사이에서 회동하게 되어서 하류유로(11)의 공기가 열교환기(10)의 상단부(8)로 유동하게 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구성과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개폐장치가 제 2 토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개폐장치가 제 2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중인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7은 개폐장치가 제 2 토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30)는 하우징(1)의 일측면에 대략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 래크(31)와, 상기 래크(31)의 상면에 치합되어 래크(31)의 양단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는 피니언(32)과, 상기 피니언(32)의 왕복이동에 의해 제 2 토출구(5)를 개방하는 수평위치와 제 2 토출구(5)를 폐쇄하는 수직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는 차단부재(3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30)는 피니언(31)을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피니언(31)과 축결합되는 제 2 모터(33)와, 차단부재(35)와 일체로 형성되어 피니언(31)과 차단부재(35)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6)를 더 구비하여서, 상기 제 2 모터(33)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31)이 회전하게 되면 피니언(32)이 래크(31)를 따라 직선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36)와 차단부재(35)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피니언(32)과 차단부재(35)의 이동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1)의 양 측면에는 차단부재(35)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안내홈(39)이 형성되어 있으며, 래크(31)가 설치된 하우징(1)의 일측면에는 피니언(32)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안내홈(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36)의 상부에는 상기 각 제 1 안내홈(39)에 끼워져서 제 1 안내홈(39)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제 1 안내돌기(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32)에는 제 2 안내홈(38)에 끼워져서 제 2 안내홈(38)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제 2 안내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안내홈(39)은 차단부재(35)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 2 토출구(5)는 개방시키고 제 1 토출구(3)와 열교환기(10)의 하단부(9)의 상류유로(12)와의 연통은 차단시키는 위치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토출구(5)는 폐쇄시키고 제 1 토출구(3)와 열교환기(10)의 하단부(9)의 상류유로(12)와는 연통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기 위해 제 2 안내홈(38)의 상부에서 대략 래크(31)보다 약간 더 긴 길이로 곡선을 이루어 형성된다.
한편, 제 2 안내홈(38)은 피니언(32)이 래크(31)에 치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직선이동하기 위해 래크(31)의 상부에서 대략 래크(31)와 동일한 길이로 직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열교환기(10)의 상단부(8)와 하단부(9) 사이에서 열교환기(10)의 후면에 배치된 스토퍼(22)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열교환기(10)의 전면에는 차단부재(35)와 연결부재(36)가 받쳐져서 수평위치로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대(4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30)의 차단부재(35)가 수평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 피니언(32)과 제 2 모터(33)는 래크(31)의 후단에 위치하게 되고, 제 1 및 제 2 안내돌기(37)(34)는 각각 제 1 및 제 2 안내홈(39)(38)의 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위치에서 제 2 토출구(5)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서 댐퍼(20)의 배치위치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및 제 2 토출구(3)(5) 모두에서 토출될 수 있게 되거나(도 2), 제 2 토출구(5)에서만 토출될 수 있게 된다(도 3).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토출구(5)를 폐쇄하기 위해 제 2 모터(33)를 작동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32)이 회전하면서 래크(31)를 따라 전방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안내돌기(37)가 곡선으로 형성된 제 1 안내홈(39)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차단부재(35)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계속되어 피니언(32)이 래크(31)의 선단까지 이동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35)가 수직위치로 전환되어 제 2 토출구(5)를 폐쇄하게 되어 차단부재(35)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차단부재(35)가 제 2 토출구(5)를 폐쇄시키게 됨과 동시에 댐퍼(2)가 개방된 위치로 전환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0)의 전체면을 통과하여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구(3)만을 통해서 실내공간으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위치에서 다시 제 2 모터(3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피니언(32)이 래크(31)의 후단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다시 도 5에서와 같이 제 2 토출구(5)는 개방시키는 한편, 제 1 토출구(3)와 열교환기(10)의 하단부(9)의 상류유로(12)와의 소통은 차단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복수의 토출구 모두를 통해 또는 어느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주위의 상황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를 다른 높이에서 토출시킬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운전사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냉방능력의 조절에 맞추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기조화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로서 도 2는 제 1 토출구와 제 2 토출구에서 냉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것이고, 도 3은 제 2 토출구에서만 냉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것이며, 도 4는 제 1 토출구에서만 냉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제 2 토출구와 상류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부분 종단면도로서 도 5는 개폐장치가 제 2 토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개폐장치가 제 2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중인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7은 개폐장치가 제 2 토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 제 1 토출구 5: 제 2 토출구
10: 열교환기 11: 하류유로
12: 상류유로 20: 댐퍼
30: 개폐장치 31: 래크
32: 피니언 35: 차단부재
36: 연결부재 38,39: 안내홈

Claims (12)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토출구와,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구와 다른 높이에 마련된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 교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구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중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은 상기 제 2 토출구와 상기 흡입그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상단은 상기 제 1 토출구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측에는 열교환되지 않은 공기가 유동하는 하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측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하는 상류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구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는 상기 하류유로의 공기가 상부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된 제 1 모터에 축 결합되며,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에는 상기 댐퍼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제 1 모터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위치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상류유로 측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를 통과한 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토출구 또는 상기 제 2 토출구로 유동하게 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된 래크와, 상기 래크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함께 이동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래크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구 또는 상기 제 2 토출구로 유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피니언과 축결합되는 제 2 모터와, 상기 피니언과 상기 차단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일정길이를 가진 제 1 안내홈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각 제 1 안내홈에 끼워지는 제 1 안내돌기가 마련되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홈은 상기 차단부재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상류유로의 연통을 차단하는 위치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토출구를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기 위해 곡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는 제 2 안내홈이 마련되며, 상기 피니언에는 상기 제 2 안내홈에 끼워지는 제 2 안내돌기가 마련되어서, 상기 피니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홈은 상기 피니언이 수평으로 직선이동하기 위해 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035196A 2004-05-18 2004-05-18 공기조화기 KR100572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196A KR100572593B1 (ko) 2004-05-18 2004-05-18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196A KR100572593B1 (ko) 2004-05-18 2004-05-1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248A true KR20050110248A (ko) 2005-11-23
KR100572593B1 KR100572593B1 (ko) 2006-04-24

Family

ID=3728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196A KR100572593B1 (ko) 2004-05-18 2004-05-18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5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5892A (zh) * 2015-12-30 2016-04-06 中国扬子集团滁州扬子空调器有限公司 一种强化辐射及对流换热和舒适性的空调室内机
CN110319493A (zh) * 2019-06-25 2019-10-1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多出风口柜式空调室内机及其运行方法
CN110360654A (zh) * 2019-06-25 2019-10-2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出风柜式空调器
CN111141016A (zh) * 2020-01-06 2020-05-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挡风机构及具有其的送风系统、空调及控制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5892A (zh) * 2015-12-30 2016-04-06 中国扬子集团滁州扬子空调器有限公司 一种强化辐射及对流换热和舒适性的空调室内机
CN105465892B (zh) * 2015-12-30 2018-04-10 中国扬子集团滁州扬子空调器有限公司 一种强化辐射及对流换热和舒适性的空调室内机
CN110319493A (zh) * 2019-06-25 2019-10-1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多出风口柜式空调室内机及其运行方法
CN110360654A (zh) * 2019-06-25 2019-10-2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出风柜式空调器
CN111141016A (zh) * 2020-01-06 2020-05-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挡风机构及具有其的送风系统、空调及控制方法
CN111141016B (zh) * 2020-01-06 2023-1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挡风机构及具有其的送风系统、空调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2593B1 (ko) 200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9959B1 (en) Air conditioner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KR102531649B1 (ko) 공기조화기
CN216131991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CN110662923B (zh) 吊顶式空气调节设备用空气引导件及具备其的吊顶式空气调节设备
JP4017483B2 (ja) 空気調和機
KR1004740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287527B1 (ko) 공기조화기
CN113074417B (zh) 空气调节器
KR100572593B1 (ko) 공기조화기
KR100870626B1 (ko) 공기조화기
KR19990071209A (ko) 창문형 에어콘 그릴 힌지장치
KR100473818B1 (ko) 공기조화기
CN101581465A (zh) 空气调节器
JP2009085449A (ja) 床置き式空気調和機
KR100895074B1 (ko) 공기조화기
CN210463249U (zh) 空调室内机
JP2003314855A (ja) 空気調和機
KR20060087159A (ko) 공기조화기용 수직블레이드 회전각도 제어구조
WO2023005285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CN219433376U (zh) 空调室内机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CN219389897U (zh) 空调室内机
KR100490207B1 (ko) 주방용 공기조화기
CN212227232U (zh) 竖式壁挂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