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861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861A
KR20050108861A KR1020040034074A KR20040034074A KR20050108861A KR 20050108861 A KR20050108861 A KR 20050108861A KR 1020040034074 A KR1020040034074 A KR 1020040034074A KR 20040034074 A KR20040034074 A KR 20040034074A KR 20050108861 A KR20050108861 A KR 2005010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ir
air cleaner
display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상
최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8861A/ko
Publication of KR2005010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86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점연결구조를 형성하여 공기청정기의 동작표시램프의 발광다이오드(LED)에 전원을 연결하여 주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주요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60)가 형성되는 전면프레임(300)과,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전방에 구비되어 보조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보조표시부가 형성되는 전방판넬(100)과, 상기 보조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방판넬(100)의 후면과 전면프레임(300)의 전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방판넬( 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전원차단돌기(130)와, 상기 전방판넬(12)의 후면에 구비되어 전방판넬(100)로 전류를 유동시키는 판넬접점 (150)과, 상기 판넬접점과 보조표시부를 연결하는 와이어(160)와, 상기 판넬접점과 접촉하여 전류를 유동시키는 프레임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청정기는 편의성과 서비스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 Air cleaner }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점연결구조를 형성하여 공기청정기의 오염도표시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주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청정한 공기의 상태로 바꾸어 청정한 공기를 순환시키는 장치를 일컫는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팬으로 흡입한 후,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集塵)하여 체취나 담배냄새 등의 악취를 탈취한다. 또한, 실내의 감소된 음(陰)이온을 이온발생기에 의해 회복시키기도 한다.
최근의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가진 공기청정기는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에,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분사하여 숲속과 같은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깨끗하고 맑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최근에는 여러 가지 방식을 혼용해서 사용하거나 각각의 방식중 장점만을 취하여 공기정화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세균이나 바이러스등을 제거할 수 있고 유지비용이 저렴한 공기청정기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공기청정기를 살펴본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를 살펴보면, 공기청정기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0)과, 상기 전면판넬(10)의 후측에 체결되면서 공기청정기의 측면과 후면 및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판넬(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넬(10)과 후면판넬(20)의 상부에는 공기청정기의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4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10)의 후면에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사각 상자 형상의 상기 후면판넬(20)이 체결되고, 상기 전면판넬(10)과 후면판넬(20)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상면판넬(40)이 결합되면서 전체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후면판넬(20)의 저면에는 공기청정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 또는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가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전면판넬(10)의 전면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12)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12)의 상부는 차폐되도록 성형되어 외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12)을 통해서만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12)의 후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필터와, 회전에 의한 흡인력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이 구비되며, 이러한 송풍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 등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판넬(20)은 상면과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형태로 성형되며, 상기 전면판넬(10)의 후측에 체결되어 공기청정기의 측면과 후면 그리고, 저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후면판넬(20)의 측면 상부에는 공기청정기를 이동시킬 때 파지하도록 손잡이(21)가 내부로 함몰되게 성형된다. 또한, 후면판넬(20)의 후면에는 공기청정기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코드(5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판넬(10)과 후면판넬(20)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상면판넬(40)이 체결되며, 상기 상면판넬(40)에는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그릴(42)이 성형된다. 그리고, 상면판넬(40)의 전반부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부(44)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4)에는 공기청정기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46)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4)에는 조작버튼(46) 외에도 공기청정기의 전원을 ON(온)/OFF(오프)하는 전원버튼과 정화된 공기의 토출량을 선택하는 풍량선택버튼 등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가 공기청정기의 작동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공기청정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표시부(48)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청정기는 상기 상면판넬(40)과 공기청정기의 내부가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가 전선으로 연결되면, 상면판넬(40)이 완전히 탈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면판넬(40)이 완전히 탈거되지 않으므로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팬모터, 오리피스 등을 교체하거나 청소할 때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서비스성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면판넬(40)이 완전히 탈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면판넬(40)에 작동상태표시부(48)에 필요한 부품이 모두 상면판넬(40)에 부착되어야 하는 구조적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청정기의 내부 수리를 하거나 내부 청소를 할 때, 공기청정기의 내부와 연결되는 전선이 노출되어 사용자들의 감성 불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연결을 접점연결 구조로 형성하여 전선없이 외부표시부에 전원 연결이 가능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주요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어 보조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보조표시부가 형성되는 전방판넬과, 상기 보조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방판넬의 후면과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방판넬의 후면에 구비되어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전원차단돌기와, 상기 전방판넬의 후면에 구비되어 전방판넬로 전류를 유동시키는 판넬접점과, 상기 판넬접점과 보조표시부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판넬접점과 접촉하여 전류를 유동시키는 프레임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청정기는 구조적 제약이 발생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하고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며, 서비스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최근 공기청정기는 악취제거 기능, 항균 기능, 공기정화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공기청정기의 일실시예를 통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참고하여 공기청정기의 외형을 살펴보면, 공기청정기에는 전면과 좌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판넬(10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판넬(100)은 상방에서 봤을 때, 대략 “ㄴ”형상으로 성형되어 전면과 좌측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판넬(100)의 대략 중앙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전방판넬(100)을 관통되어 전면흡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흡입구(110)는 전방판넬(100)의 전면 뿐만아니라 좌측면까지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판넬(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전면흡입구(110)를 통해 좌측방과 전방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전면흡입구(110)의 우측단부에는 보조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보조표시부의 일실시예인 오염도표시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오염도표시부(120)는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오염 상태를 외부에 나타내어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전방판넬(100)의 후방에는 공기청정기의 전반부 골격을 이루는 전면프레임(300)이 체결된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전면에 전방판넬(100)이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판넬(100)의 우측 상부 다시말해서,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상부 우측에는 공기청정기의 주요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36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60)에는 공기청정기의 주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동작표시부(362)가 형성되며, 상기 동작표시부(362)의 하측에는 공기 청정을 위한 공간의 오염 상태를 나타내는 오염도를 막대그래프와 백분율(%)로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공기 청정을 위한 공간의 오염 상태를 인지하기 용이하도록 표시하는 오염상태부(364)가 구비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60)의 상반부에는 공기청정기의 운전상태, 기능선택 및 습도와 온도 등이 도시되는 동작표시부(362)가 형성되며, 하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공기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오염상태부(364)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60)의 하측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먼지공(376)이 내부와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먼지공(376)에는 먼지공커버(37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먼지공커버(378)에는 흡입공(도시되지 않음)이 미세하게 천공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흡입공을 통해 정화되지 않은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이때, 아래에서 설명할 먼지센서(382)로 정화되지 않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외부의 오염 상태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먼지공커버(378)는 이러한 먼지센서(382)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우측면에는 공기청정기의 후면과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판넬(600)이 체결된다. 상기 후방판넬(600)의 주앙부에는 공기청정기의 후방과 우측방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좌·우로 길게 연통되게 형성되는 후면흡입구(610)가 공기청정기의 내부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후방판넬(600)은 상기 전방판넬(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방판넬(100)과 상호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방판넬(100)과 후방판넬(600)을 상호 교체하게 되면, 상기 후면흡입구(610)가 전면흡입구(110)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판넬(100)의 후면과 전면프레임(300)의 전면에는 보조표시부의 일실시예인 상기 오염도표시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하단부에는 전면지지대(310)가 전면프레임(300)과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전면지지대(3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전면프레임(300)을 지지하도록 성형된다.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대략 중앙부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사각 형상의 통기공(320)이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장치(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통기공(320)에는 필터장치(200)가 안착되는 필터안착부(3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상단부 우측에는 디스플레이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필터안착부(330)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장치(20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장치(200)는 전면프레임(300)의 필터안착부 (330)에 구비되는 필터체결공(332)에 나사 체결되어 장착된다. 상기 필터장치(200)의 전면에는 비교적 큰 이물질을 정화하게 되는 프리필터(210)가 필터장치(20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프리필터(210)는 상태적으로 큰 통공을 가지는 망사 형상으로 성형되어 비교적 큰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망사면에는 항균소재 및 정전성 소재를 사용하여 포집된 먼지속의 일반세균과 곰팡이 등의 번식을 방지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필터(21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리필터프레임(220)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필터프레임(240)과 체결되도록 체결돌기(222)가 양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프리필터(210)의 후측에는 다수개의 필터가 결합된 필터조립체(230)와, 상기 필터조립체(230)가 내삽되어 수용되는 필터프레임(24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필터장치(200)는 상기 필터프레임(240)의 내부에 상기 필터조립체(230)가 수용되고, 필터조립체(230)의 전방에 프리필터(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리필터(21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리필터프레임(220)의 좌·우측면에 돌출되게 성형되는 다수개의 프리필터돌기(222)가 필터프레임(24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홈(242)에 체결되면서 필터장치(200)가 조립되고, 이러한 필터장치(200)는 상기 필터안착부(330)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면프레임(300)과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필터안착부(330)의 하측에는 후면에서 흡입되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전면으로 유동되는 통로인 전면프레임통기구(34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통기구(340)는 완전히 개구된 형태가 아닌 교차되어 개폐되는 스트라이프(stripe)의 형태로 연통된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하단부에는 전면지지대(310)가 전면프레임(3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지지대(310)는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함몰되어 성형되며, 함몰되는 상단부는 상기 전면프레임통기구(340)의 하단부와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전면프레임통기구(340)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전면지지대(310)의 상면은 완전히 개구된 형태가 아닌 교차되어 개폐되는 스트라이프(stripe)의 형태로 성형되어 공기청정기의 전방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지지대(310)의 상면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전면프레임통기구(340)를 거쳐 전방으로 유동되고, 전방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필터장치(200)에 의해 정화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후측에는 오리피스(40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400)는 상기 전면프레임(30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오리피스공(410)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400)의 오리피스공(410)에는 모터마운트(4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마운트(42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고, 상기 팬모터에는 회전력으로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400)의 하반부에는 오리피스통기구(430)가 전·후로 연통되게 성형된다. 상기 오리피스통기구(430)는 후방에서부터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400)의 후면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오리피스가이드(440)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오리피스(400)의 후면에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오리피스가이드(440)는 후방에서 봤을 때, 대략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오리피스가이드(440)는 상기 필터장치(20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고, 후방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방에서부터 유동되는 정화된 공기와 후방에서부터 유동되는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즉, 후방에서부터 유동되는 정화되지 않은 공기는 후방에서 봤을 때 대략“∪”형상의 오리피스가이드(440) 밑면의 하방으로 유동되며, 전방에서부터 유동되는 정화된 공기는 오리피스가이드(440)의 내부로 유동되면서 혼합되지 않게 되며, 오리피스가이드(440)의 내부로 유동되는 정화된 공기는 상방으로 안내되어 공기청정기의 외부 다시말해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상기 오리피스(400)의 전면에는 보호망(4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호망 (450)은 상기 필터장치(200)를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인체의 일부분이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위치하는 오리피스(400)의 후방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한편, 나노실버 또는 나노구리 등이 함유되어 항균 및 탈취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오리피스(400)의 후면에는 콘트롤박스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박스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되어 공기청정기의 작용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400)의 후방에는 후면프레임(500)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프레임(500)은 공기청정기의 후반부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하측에는 상기 전면프레임(500)의 전면지지대(310)와 같은 후면지지대(510)가 일체로 성형되어 후면프레임(500)을 지지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후면지지대(510)에는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성형되는 후면함몰부(530)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함몰부(530)의 상면에는 후방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저면흡입구(520)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저면흡입구(520)는 후방 하측의 외부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저면흡입구(520)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4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오리피스통기구(430)를 통해 필터장치(200)로 유입된다.
상기 후면프레임(500)의 후방에는 상기 후방판넬(600)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판넬(600)은 공기청정기의 후면과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한다. 즉, 상방에서 볼 때 대략 “ㄱ”형상으로 성형되어 공기청정기의 후면과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후방판넬(600)의 중앙부에는 상기 후면흡입구(610)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통되면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300)과 오리피스(400) 및 후면프레임(500)의 상방에는 상면커버(700)가 구비된다. 상기 상면커버(700)는 공기청정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상면커버(700)에는 토출구(710)가 천공되게 형성되어 공기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가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토출구(710)에는 공기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때,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하고 토출구(710)를 개폐하는 토출루버(72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루버(720)는 상면커버(7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스텝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토출구(7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스텝모터에 의하여 상기 토출루버(720)의 회동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700)의 우측단부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730)이 구비된다.
도 4 와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전방판넬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와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전방판넬(100)의 중앙부에는 전면흡입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흡입구(110)의 우측단부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오염 상태를 표시하는 보조표시부의 일실시예인 오염도표시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오염도표시부(120)의 전면에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오염도표시부(120)의 내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를 보호하는 전면커버(12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방판넬(100)의 후면에는 상기 오염도표시부(120)의 후면을 보호하는 후면커버(125)가 전방판넬(100)의 후면에 나사 체결된다. 그리고, 전방판넬(100)의 후면 상부에는 전원차단돌기(13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차단돌기(130)는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상부에 성형되는 전원차단홈(374)에 내삽되어 전원차단레버(374')를 유동시켜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상기 전원차단돌기(130)와 전원차단홈(374)은 전방판넬(100)이 전면프레임(300)에 장착되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전방판넬(100)이 전면프레임(300)으로부터 탈거되면, 외부로부터의 전원도 차단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전원차단돌기(130)의 좌측(도 5에서 보았을 때)에는 판넬접점(150)이 성형되어 판넬접점(150)으로부터 오염도표시부(120)까지 이어지게 형성되는 와이어(160)를 통해 오염도표시부(12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판넬접점(150)은 전기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성형되어 전면프레임(300)의 상부 즉, 디스플레이부(360)의 좌측에 형성되는 프레임접점(390)과 접해짐으로써 오염도표시부(1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표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은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상기 전원차단돌기(130)와, 상기 전방판넬(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보조표시부로 전류를 유동시키는 판넬접점(150)과,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판넬접점(150)과의 접촉으로 전류를 유동시키는 프레임접점(3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판넬(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판넬접점(150)과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전면에 구비되는 프레임접점(390)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되어, 전방판넬(100)이 전면프레임(300)에 체결될 때 상기 판넬접점(150)과 프레임접점(390)은 상호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차단돌기(130)가 전원차단홈(374)에 내삽되면 상기 프레임접점(390)까지 전원이 인가되도록 성형된다. 이는 상기 센서제어판(380)까지 인입되는 전원을 프레임접점(390)까지 인입되도록 형성하여 전원차단돌기(130)의 내삽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프레임접점(390)까지 전원이 인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넬접점(150)의 좌측(도 5 에서 보았을 때)에는 상단부착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부착부(140)는 전면프레임(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단영구자석(370)과 자력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전방판넬(100)이 전면프레임(30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전방판넬(100)의 하부 좌측(도 5 에서 보았을 때)에도 하단부착부(142)가 형성되어 상단부착부(140)와 동일하게 전면프레임(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단영구자석(372)과 자력에 의해 체결된다.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오염도표시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체결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오염도표시부(120)는 전면에 투명재질로 성형되는 전면커버(121)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커버(121)는 오염도표시부(120)의 후면을 보호하는 후면커버(125)와 체결나사(127)로 체결된다. 상기 체결나사(127)는 후방에서부터 후면커버(125)에 천공되게 형성되는 체결공(126)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전면커버(121)와 전방판넬(100)까지 관통되어 체결된다.
상기 전면커버(121)는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대략 “⊂”형상으로 성형되며, 후면커버(125)는 대략 “⊃”형상으로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커버(121)와 후면커버(125)의 상단부는 우측에서 봤을 때 상방으로 대략 “┘”와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단부는 우측에서 봤을 때 하방으로 대략 “┐”와“┌”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125)의 내부에는 오염도표시부(120)의 베이스판이 되는 피시비(PCB)기판(122)이 구비된다. 상기 피시비기판(122)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오염 상태에 따라 다른 색깔로 오염도를 나타내는 발광다이오드(123)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오염도표시부(120)에 구비되는 발광다이오드(123)는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 오염도에 따라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도록 형성된다. 즉,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 오염도가 심한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점등되고,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 오염도가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노란색으로 점등되고, 공기 정활르 위한 공간의 공기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녹색으로 점등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오염도에 따라 다른 색깔로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143)는 투명한 재질로 성형되는 전면커버(121)를 통해 보호되면서 점등되는 색깔을 외부에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시비기판(122)의 일측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23)를 제어하는 마이콤(MICOM,124)이 구비되며, 마이콤(124)은 은 피시비기판(122)을 거쳐 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게 된다.
도 7 과 도 8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전면프레임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와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전면프레임(300)을 보다 상세히 살펴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하단부에는 교차되면서 개폐되는 스트라이프의 형태로 연통되는 상기 전면프레임통기구(34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통기구(340)의 우측에는 보조흡입공(350)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흡입공(350_을 통해 전면 하방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통과하게되는데, 이때 아래에서 설명할 오존발생장치(384)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이 동시에 유입된다. 또한, 상기 보조흡입공(350)의 우측에는 상기 전방판넬(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하단부착부(1421)와 자력으로 체결되는 하단영구단자석(372)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상부에는 상기 전원차단돌기(13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전원차단홈(374)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차단홈(374)의 우측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60)의 좌측에는 상단영구자석(370)이 구비되며, 상기 상단영구자석(370)의 좌측에는 상기 판넬접점(150)과 접하도록 프레임접점(390)이 구비된다.
한편, 도 8 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후면 상부에는 상기 전방판넬(100)의 탈거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레버(37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차단레버(374')의 좌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제어판(380)이 구비된다. 상기 센서제어판(380)의 좌측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60)의 후방 위치에는 디스플레이제어판(366)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 (360)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366)의 하측 즉, 상기 먼지공(376)의 후방에는 먼지센서(382)가 설치된다. 상기 먼지센서(382)는 상기 먼지공(376)으로부터 정화되지 않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중의 먼지량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센서(382)의 상측에는 공기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388)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먼지센서(382)의 하측에는 오존발생장치(384)가 설치된다. 상기 오존발생장치(384)는 오존발생부(384a)와 오존분사부(384b)로 구성되며, 상기 오존발생부(384a)에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오존(O3)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오존분사부(384b)는 상기 보조흡입공(350)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존발생부(384a)로부터 발생되는 오존(O3)을 공기중에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오존분사부(384b)로부터 분사되는 오존(O3)이 상기 보조흡입공(350)을 통과하는 공기중에 함유되어 상기 필터장치(200)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지지대(310)의 후방으로 함몰되는 후면에는 가스센서(386)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센서(386)는 공기청정기의 전방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중의 각종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중에 함유되는 냄새분자 및 탄소화합물로서 대기중에 광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화합물의 양을 측정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청정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공기청정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오리피스(400)에 구비되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의 회전에 의해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력으로 공기 정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이때,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전방판넬(100)이 전면흡입구(110) 및 상기 전방판넬(100)과 전면프레임(3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전방판넬(100)과 전면프레임(30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체결되므로, 이러한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저면지지대(310)의 상면을 통해 전방 하부의 공기가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입되며, 상기 후방판넬(600)과 후면프레임(500) 사이의 틈새와 상기 후면흡입구(610) 및 후면프레임(500)의 저면흡입구(520)를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공기청정기의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4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오리피스통기구(43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면프레임(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면프레임통기구(34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필터장치(200)로 유입되어 정화된다.
상기 필터장치(200)에 의해 공기중의 각종 이물질과 냄새 등이 제거되면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가이드(440)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710)를 거쳐 토출루버(7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하에서는 오염도표시부(12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공기청정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366)에서 디스플레이부(360)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센서에 의해 공기의 오염도 즉, 먼지, 습도, 냄새, 가스 등의 오염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처럼 감지된 오염도는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366) 내부에 구비되는 마이콤(MICOM)으로 전송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60)로 전송하여 오염도를 디스플레이부(360)에 나타낸다.
한편, 상기 마이콤으로 전송되는 오염도는 상기 오염도표시부(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이콤(124)으로도 전송된다. 이와같이 오염도표시부(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이콤으로 전송될 때, 상기 프레임접점(390)과 판넬접점(150)이 접촉되어 있어 전류의 흐름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전방판넬(100)을 전면프레임(300)에 부착하게 되면, 상기 전원차단돌기(130)가 전원차단레버(374')에 내삽되어 전원이 연결된다. 예를들어, 전원차단레버(374')의 내부에 이격됨으로써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전원차단돌기(130)가 내삽되면서 압착하여 전원이 인가된다. 이처럼 전원이 연결되면, 상기 프레임접점(390)으로 전류가 통하게 되고 프레임접점(390)과 접한 판넬접점(150)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판넬접점(150)으로 통하게 되는 전류는 상기 와이어(160)를 따라 상기 오염도표시부(120)까지 전달된다. 따라서, 오염도표시부(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류를 전선의 연결없이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오염도표시부(120)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공기청정기의 외면에 구비되어 전류가 필요한 모든 구성품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청정기의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전방판넬에 구비되는 동작표시부의 전원공급수단이 접점 연결구조로 형성되어, 별도의 전선이 없이 동작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선없이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표시부가 구비되는 전방판넬을 공기청정기로부터 완전히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방판넬을 완전히 탈거할 수 있게됨에 따라 전방판넬과 후방판넬을 동일하게 구성하고, 색상 또는 디자인을 다르게 구성하여 전방판넬과 후방판넬을 교환하여 사용 가능함으로 사용자의 감각과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르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판넬의 완전 탈거가 가능하여 상기 필터조립체의 청소 및 교체, 보수등의 서비스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공기청정기의 외면 구성품과 공기청정기의 내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공기청정기 외면의 구성품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노출로 인한 사용자의 감성불만(공포감)을 해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외면 구성품과 공기청정기의 내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외면 구성품이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부착되어야 하는 구조적 제약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체결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전방판넬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 전방판넬의 후면을 나타낸 개략적인 후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보조표시부의 일실시예인 오염도표시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체결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전면프레임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전면프레임 후면을 나타낸 개략적인 후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방판넬 110 : 전면흡입구
120 : 오염도표시부 121 : 전면커버
122 : 피시비(PCB)기판 123 : 발광다이오드
124 : 마이콤(MICOM) 125 : 후면커버
126 : 체결공 127 : 체결나사
130 : 전원차단돌기 140 : 상단부착부
142 : 하단부착부 150 : 판넬접점
160 : 와이어 200 : 필터장치
210 : 프리필터 220 : 프리필터프레임
222 : 프리필터돌기 230 : 필터조립체
240 : 필터프레임 242 : 돌기홈
300 : 전면프레임 310 : 전면지지대
320 : 통기공 330 : 필터안착부
332 : 필터체결공 340 : 전면프레임통기구
350 : 보조흡입공 360 : 디스플레이부
362 : 동작표시부 364 : 오염상태부
366 : 디스플레이제어판 370 : 상단영구자석
372 : 하단영구자석 374 : 전원차단홈
374': 전원차단레버 376 : 먼지공
378 : 먼지공커버 380 : 센서제어판
382 : 먼지센서 384 : 오존발생장치
384a: 오존발생부 384b: 오존분사부
386 : 가스센서 388 : 습도센서
390 : 프레임접점 400 : 오리피스
410 : 오리피스공 420 : 모터마운트
430 : 오리피스통기구 440 : 오리피스가이드
450 : 보호망 500 : 후면프레임
510 : 후면지지대 520 : 저면흡입구
530 : 후면함몰부 600 : 후방판넬
610 : 후면흡입구 700 : 상면커버
710 : 토출구 720 : 토출루버
730 : 조작버튼

Claims (3)

  1. 주요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어 보조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보조표시부가 형성되는 전방판넬과,
    상기 보조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방판넬의 후면과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방판넬의 후면에 구비되어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전원차단돌기와,
    상기 전방판넬의 후면에 구비되어 전방판넬로 전류를 유동시키는 판넬접점과,
    상기 판넬접점과 보조표시부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판넬접점과 접촉하여 전류를 유동시키는 프레임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040034074A 2004-05-14 2004-05-14 공기청정기 KR20050108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74A KR20050108861A (ko) 2004-05-14 2004-05-14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74A KR20050108861A (ko) 2004-05-14 2004-05-14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861A true KR20050108861A (ko) 2005-11-17

Family

ID=3728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074A KR20050108861A (ko) 2004-05-14 2004-05-1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88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61B1 (ko) * 2008-10-06 2011-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KR101045654B1 (ko) * 2008-10-06 2011-06-3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61B1 (ko) * 2008-10-06 2011-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KR101045654B1 (ko) * 2008-10-06 2011-06-3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2050B2 (ja) 空気調和機
KR20050108861A (ko) 공기청정기
KR100621252B1 (ko) 공기청정기의 오염도표시장치
KR100564497B1 (ko) 공기청정기
KR100621247B1 (ko)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KR10056449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JP4570528B2 (ja) 空気清浄機
KR100621246B1 (ko) 공기청정기
KR101155745B1 (ko) 공기청정기
KR100571213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5B1 (ko) 공기청정기
KR100621245B1 (ko) 공기청정기
KR100518423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1033A (ko) 공기청정기
KR20060100492A (ko) 공기청정기
JP6435171B2 (ja) 空気調節機
KR101157669B1 (ko) 공기청정기
CN100572949C (zh) 空气净化器
KR101158574B1 (ko) 공기청정기
KR20050089934A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구조
KR101076941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2757A (ko) 공기청정기
KR20080085372A (ko) 공기 활성장치
KR101158575B1 (ko) 공기청정기
JP2016099035A (ja) 空気調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