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247B1 -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247B1
KR100621247B1 KR1020040036773A KR20040036773A KR100621247B1 KR 100621247 B1 KR100621247 B1 KR 100621247B1 KR 1020040036773 A KR1020040036773 A KR 1020040036773A KR 20040036773 A KR20040036773 A KR 20040036773A KR 100621247 B1 KR100621247 B1 KR 10062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ution
air
display
air clean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859A (ko
Inventor
정순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24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중의 오염상태를 측정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중의 오염도을 측정하는 오염측정수단과, 상기 오염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오염상태를 시각화하여 공기청정기의 전방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오염도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오염표시수단은 공기중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센서(174)와, 공기중의 냄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센서(18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오염표시수단은 공기의 오염도를 도식화 및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126)과, 공기의 오염정도에 따라 각각 상이한 빛깔을 발광하는 오염표시발광체(172)로 구성되며, 이러한 오염표시발광체(172)는 색상변경이 가능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7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에 의하면, 공기의 오염상태 측정 및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공기청정기, 오염표시, 센서, 발광다이오드

Description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 A pollution displaying apparatus for air cleaner }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 오염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요부구성인 디스플레이창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 전면프레임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 오염표시장치의 구성요소인 오염표시발광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 오염표시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공기청정기 110. 전방판넬
112. 주흡입구 120. 전면프레임
122. 전면지지대 123. 통기공
124. 필터안착부 126. 디스플레이창
126'. 동작표시부 126". 오염표시부
130. 필터장치 132. 필터조립체
134. 필터프레임 136. 프리필터
140. 하방흡입구 142. 공기안내공
144. 보조안내공 150. 발광투시부
154. 전원차단홈 160. 전원차단레버
162. 센서제어판 170. 디스플레이제어판
172. 오염표시발광체 174. 먼지센서
180. 오존발생장치 186. 가스센서
200. 오리피스 210. 오리피스공
220. 모터마운트 230. 오리피스통기구
310. 후면프레임 312. 후면지지대
314. 저면흡입구 320. 후방판넬
322. 후면흡입구 410. 상면커버
420. 토출구 430. 토출루버
440. 조작버튼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중의 오염상태를 측정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空氣淸淨器, air cleaner)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0), 측면과 후면 및 저면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20), 그리고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4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의 하반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1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20)의 측면 상부에는 공기청정기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21)가 내부로 함몰되게 성형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케이싱(20)의 저면에는 공기청정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비되기도 하며, 외부케이싱(20)의 후면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전원이 인가되는 파워코드(50)가 구비된다.
상기 상면판넬(40)은 상기 전면판넬(10)과 외부케이싱(20)의 상단에 체결되며, 이러한 상면판넬(40)에는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그릴(42)이 성형된다. 그리고, 상면판넬(40)의 전반부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부(44)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4)에는 공기청정기 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46)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면판넬(10)의 후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필터와,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 그리고 이러한 송풍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 등의 다수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청정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조작버튼(46)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파워코드(50)를 통해 외부전원이 인가되어 공기청정기가 동작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외부케이싱(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팬모터의 회전으로 상기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그릴(12)을 통해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된 다음,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거치면서 공기중의 이물이 필터링된다.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상면판넬(40)의 토출그릴(42)을 통해 상방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공기의 오염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실내공기의 오염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센서에 의해 공기의 오염상태를 측정하는 오염도표시수단이 구비되는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의 오염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 가능한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는, 공기중의 오염도을 측정하는 오염측정수단과; 상기 오염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오염값을 디스플레이하는 오염도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오염표시수단은, 공기의 오염상태를 시각화하여 공기청정기의 전방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염표시수단은, 공기중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센서와, 공기중의 냄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염표시수단은, 공기의 오염도를 도식화 및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과, 공기의 오염정도에 따라 각각 상이한 빛깔을 발광하는 오염표시발광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염표시발광체는 색상변경이 가능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에 의하면, 공기의 오염상태 측정 및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공기청정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오염표시장치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0)의 전면과 좌측면 외관은 전방판넬(110)이 형성한다. 즉 상기 전방판넬(110)은 상방에서 볼때 대략 'ㄴ'자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전방과 좌측방을 커버(cover)한다.
상기 전방판넬(110)에는 주흡입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주흡입구(112)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주흡입구(112)는 전방판넬(110)의 좌측면에도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 뿐만 아니라 좌측방의 공기도 상기 주흡입구(112)를 통해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전방판넬(110)의 후방에는 전면프레임(12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은 공기청정기(100)의 전반부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전면프레임(120)의 전방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전방판넬(110)이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전방판넬(110)은 전면프레임(12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판넬(11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을 통해 공기청정기(100)의 전방 상측과 전방 하측 및 우측방의 외부공기가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흡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공기청정기(100)의 후면과 우측면 외관은 후방판넬(3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후방판넬(320)은 상기 전방판넬(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따라 서 상기 후방판넬(320) 중앙부에도 상기 주흡입구(112)와 동일한 후면흡입구(32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방판넬(110)과 후방판넬(320)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서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판넬(320)을 상기 전방판넬(110)과 교체하게 되면, 상기 후면흡입구(322)가 상기 주흡입구(112)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전면지지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지지대(122)는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의 높이로 성형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20)을 지지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사각형상의 통기공(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123)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장치(130)가 안착되는 필터안착부(124)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상단부 우측에는 공기청정기(100)의 동작상태와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창(126)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필터안착부(124)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장치(13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장치(130)는 다수의 필터가 결합된 필터조립체(132)와, 상기 필터조립체(13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필터프레임(134) 그리고 상기 필터조립체(132)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리필터(136)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측에는 오리피스(20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200)는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오리피스 공(210)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200)의 오리피스공(210)에는 모터마운트(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터마운트(220)에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고, 팬모터에는 공기정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200)의 하단부에는 오리피스통기구(230)가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통기구(230)는 아래에서 설명할 후면프레임(310)의 저면흡입구(314)를 통해 흡입되는 후방의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에는 보호망(24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보호망(240)은 상기 필터장치(130)를 분리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인체의 일부분이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위치하는 오리피스(200)의 후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한편, 나노실버 또는 나노구리가 함유되어 항균/탈취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오리피스(200)의 후면에는 콘트롤박스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박스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되어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200)의 후방에는 후면프레임(310)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프레임(310)은 공기청정기(100)의 후반부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하측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지지대(122)와 같은 후면지지대(3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프레임(120)을 지지한다.
상기 후면지지대(312)에는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후면함몰부(312')가 형성되고, 이러한 후면함몰부(312')의 상면에는 공기가 유동가능한 저면흡입구(31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저면흡입구(314)는 후방 하측의 외부(실내공간)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저면흡입구(314)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0)의 오리피스통기구(230)와 아래에서 설명할 공기안내공(142)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유입된다.
상기 후면프레임(310)의 후측에는 상기 후방판넬(320)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판넬(320)은 공기청정기(100)의 후면과 우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후방판넬(320)은 상방에서 볼 때, 대략 'ㄱ'형상으로 성형되어 공기청정기의 후면 및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방판넬(320)의 후면과 우측면 중앙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후면흡입구(322)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후면프레임(310)의 상측에는 상면커버(410)가 구비된다. 상기 상면커버(410)는 공기청정기(100)의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토출구(420)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공기청정기(100)의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가 공기정화를 위한 공간(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토출구(420)에는 토출루버(430)와 설치된다. 상기 토출루버(430)는 상기 토출구(4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상면커버(410) 저면에 설치되는 스텝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410)의 우측단부에는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440)이 형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100)의 전면프레임(120)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전면지지대(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면지지대(122)에는 후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전면함몰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함몰부(122')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방흡입구(140)가 형성된다. 상기 하방흡입구(140)는 공기청정기(100) 외부의 전방 하측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전면지지대(122) 상측에는 상기 하방흡입구(140)과 상기 후면프레임(310)의 저면흡입구(314)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안내하는 공기안내공(14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방흡입구(14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안내공(142)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유입되어 필터링된다.
상기 공기안내공(142)의 우측에는 보조안내공(144)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안내공(144)은 상기 하방흡입구(14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통과하는 곳으로, 이때 아래에서 설명할 오존발생장치(180)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이 함께 유입된다.
상기 보조안내공(144)의 우측에는 상기 전방판넬(110)이 부착되는 하단부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부착부(146)에는 한 쌍의 영구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형성되는 통기공(123)의 테두리에는 상기 필터장치(130)가 고정되는 필터고정부(123')가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필터고정부(123')에는 상기 필터장치(130)의 필터프레임(134)이 스크류(screw)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우측단부 중앙에는 먼지홀(148)이 형성된다. 상기 먼지홀(148)은 원형의 관통홀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먼지홀(148)에는 원형의 홀커버(148')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먼지홀(148)은 아래에서 설명할 먼지센서(174)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이러한 먼지홀(148)을 통해 사용자는 먼지센서(174)에 부착되는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먼지홀(148)의 상측에는 발광투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투시부(15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20)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오염표시발광체(172)가 전방에서 투시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우측 상단부, 즉 상기 발광투시부(150)의 상측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창(126)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창(126)은 공기청정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126')와 공기의 오염상태를 도시하는 오염표시수단인 오염표시부(126")로 구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의 상반부에는 공기청정기(100)의 운전상태, 기능선택 및 습도와 온도 등이 도시되는 동작표시부(126')가 형성되고, 하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공기의 오염정도(냄새, 먼지 및 휘발성유기화합물)를 나타내는 오염표시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오염표시부(126")에는 공기의 오염정도가 막대그래프로 도식화되고 백분률(%) 로 수치화되어 나타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의 좌측에는 상단부착부(152)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부착부(152)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단부착부(146)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영구자석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상단부착부(152)의 좌측에는 전원차단홈(154)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차단홈(154)에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전원차단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장착되면, 상기 전방판넬(110)의 전원차단돌기가 상기 전원차단홈(154)에 삽입되면서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차단레버(160)를 유동시켜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전원차단홈(154)과 전원차단돌기는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장착되면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인가되고, 반대로 상기 전방판넬(110)이 전면프레임(120)으로부터 탈거되면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는 도 4에 도시된 전면프레임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이 후면 상단부에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탈거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레버(1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차단레버(160)의 좌측(도 6에서 볼때, 이하에서는 도 6을 기준으로 설명한다.)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제어 판(162)이 구비되며, 이러한 센서제어판(162)의 좌측 즉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디스플레이제어판(170)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창(126)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170)의 하부에는 오염표시수단의 하나인 오염표시발광체(172)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72',LED;Light Emitting Diode)가 구비되며, 이러한 오염표시발광체(172)는 상기 발광투시부(15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72')는 공기의 오염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띤다. 예를 들어, 공기정화를 위한 공간(실내공간)의 공기 오염도가 심한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점등되고, 오염도가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노란색으로 점등되며,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녹색으로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72')는 소정 크기의 장착프레임(173)에 나란히 고정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면에 고정되며, 이러한 장착프레임(173)의 테두리에는 스크류(screw)가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홀(173')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의 하부에는 먼지센서(174)가 설치된다. 상기 먼지센서(174)는 상기 먼지홀(148)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공기중의 먼지량을 측정한다.
한편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의 우측에는 공기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176)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먼지센서(174)의 하측에는 오존발생장치(180)가 설치된다. 상기 오존발생장치(180)는 오존발생부(182)와 오존분사부(184)로 구성되며, 상기 오존발생부(182)에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오존(O3)을 발생시켜 공기중에 분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오존분사부(184)는 상기 오존발생부(182)로부터 발생되는 오존(O3)을 공기중에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안내공(144)의 후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오존분사부(184)로부터 분사되는 오존(O3)이 상기 보조안내공(144)을 통과하는 공기중에 함유되어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지지대(122)의 전면함몰부(122') 후면에는 가스센서(186)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센서(186)는 상기 하방흡입구(14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냄새와 휘발성유기화합물(이하 'VOC'라 한다.)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실내공간의 공기중에 함유된 냄새분자 및 일탄화탄소, 이산화탄소, 탄산, 금속성 탄산염 및 탄산암모늄을 제외한 탄소화합물로서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화합물인 VOC의 양을 측정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 오염표시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공기청정기(10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오리피스(200)에 구비 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송풍팬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주흡입구(112) 및 상기 전방판넬(110)과 전면프레임(120)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된다. 즉 상기 전방판넬(11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방흡입구(140)를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후방판넬(320)과 후면프레임(310) 사이의 틈새와 상기 후면흡입구(322) 및 후면프레임(310)의 저면흡입구(314)를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공기청정기(100)의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오리피스통기구(230)를 거쳐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면프레임(120)의 공기안내공(142)을 통과한 다음, 상기 필터장치(130)로 유입되어 정화된다.
상기 필터장치(130)에는 다수의 필터 결합체인 필터조립체(13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필터조립체(132)에 의해 공기중의 각종 이물과 악취가 제거된다. 그리고 필터조립체(13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0)에 장착되어 있는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을 거쳐 상방으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정화된 공기는 상기 상면커버(410)에 형성된 토출구(420)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토출구(420)에 설치된 토출루버(430)에 의해 토출방향이 제어된다.
다음으로 오염표시장치의 작용을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공기청정기(100)가 온(ON)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170)에 구비되어 있는 시간제어부(170')에서 기준시간(T0)에 현재의 시간(T)을 입력한다. 그리고 오염측정수단에 의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즉 상기 먼지센서(174)에서는 공기중의 먼지량을 측정하고, 가스센서(186)에서는 공기중의 냄새와 VOC량을 측정한다.
상기의 먼지센서(174)와 가스센서(186)에서 측정된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170) 내부의 마이콤(MICOM)에 저장되고, 이러한 오염값이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의 오염표시부(126")로 송신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에서는 전달되어지는 오염수치를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가스센서(186)에 의해 측정된 냄새와 VOC량이 막대그래프로 및 백분률(%)로 변환되어 나타나며, 상기 먼지센서(174)에 의해 측정된 먼지량도 막대그래프 및 백분률(%)로 도식화된다. 이때 공기의 오염도가 심할수록, 상기 막대그래프의 높이나 백분률(%)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한편 상기 먼지센서(174)와 가스센서(186)에서 측정된 값은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로도 전달되는데, 먼저 발광제어부(170")에서는 측정된 값을 종합하여 오염의 고저(高低)를 판별한다. 즉 먼저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오염도가 높은 수준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의 엘 이디(LED)색상이 빨간색으로 발광되도록 한다.
그리고 오염도가 높은 수준이 아닌 경우에은 낮은 수준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따라서 오염도가 낮은 수준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의 엘이디(LED)색상이 녹색으로 발광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엘이디(LED)색상이 노란빛깔로 발광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의 오염표시부(126")와 오염표시발광체(172)에 오염도가 디스플레이된 다음에는 상기 시간제어부(170')에서 현재의 시간(T)이 기준시간(T0)으로부터 2초(Sec)가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이 경우는 2초마다 오염도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시간(T)이 기준시간(T0)으로부터 2초(Sec)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의 오염표시부(126")와 오염표시발광체(172)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현재의 시간(T)이 기준시간(T0)으로부터 2초(Sec)가 경과된 경우에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상기 시간제어부(170')에 설정된 기준시간(T0)을 현재의 시간(T)으로 대체하고 오염측정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170)에서는 상기의 먼지센서(174)와 가스센서(186)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을 통해 표시하는 한편, 상기 오리피스(200)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도시되지 않음)로도 전달하여 공기의 오염상태에 따라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에서는, 공기중의 오염도을 측정하는 오염측정수단과, 공기의 오염상태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오염도표시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공기의 오염상태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오염표시수단은 공기의 오염도를 도식화하고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전면프레임의 디스플레이창과,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공기의 오염정도에 따라 각각 상이한 빛깔을 발광하는 오염표시발광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청정기의 외부에서 공기의 오염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공기 중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공기의 오염상태를 시각화하여 공기청정기의 전방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오염측정수단과;
    상기 오염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오염값을 디스플레이하는 오염도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오염표시수단은,
    공기중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센서와,
    공기중의 냄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센서와,
    공기의 오염도를 도식화 및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과,
    공기의 오염정도에 따라 각각 상이한 빛깔을 발광하는 오염표시발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표시발광체는 색상변경이 가능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KR1020040036773A 2004-05-24 2004-05-24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KR100621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73A KR100621247B1 (ko) 2004-05-24 2004-05-24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73A KR100621247B1 (ko) 2004-05-24 2004-05-24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859A KR20050111859A (ko) 2005-11-29
KR100621247B1 true KR100621247B1 (ko) 2006-09-14

Family

ID=3728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773A KR100621247B1 (ko) 2004-05-24 2004-05-24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2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3376A1 (en) * 2014-03-28 2015-10-0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724632B2 (en) 2014-03-28 2017-08-0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371947B2 (en) 2020-11-24 2022-06-28 Kyndryl, Inc. Generating a holographic image to visualize contamina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9182A (zh) * 2014-02-14 2015-08-19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用于空气净化器的数字显示结构及空气净化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3376A1 (en) * 2014-03-28 2015-10-0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630133B2 (en) 2014-03-28 2017-04-25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724632B2 (en) 2014-03-28 2017-08-0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371947B2 (en) 2020-11-24 2022-06-28 Kyndryl, Inc. Generating a holographic image to visualize contamin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859A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473B1 (ko) 공기 조절 장치
JP6350344B2 (ja) 空気清浄機
KR100621247B1 (ko)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KR101158594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7B1 (ko) 공기청정기
KR100621246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5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100621245B1 (ko) 공기청정기
KR100571213B1 (ko) 공기청정기
KR101158574B1 (ko) 공기청정기
JP4570528B2 (ja) 空気清浄機
KR100621252B1 (ko) 공기청정기의 오염도표시장치
KR101158575B1 (ko) 공기청정기
KR101155745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00496A (ko) 공기청정기
KR100518423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1033A (ko) 공기청정기
JP7109109B2 (ja) 空気清浄装置
KR20060100492A (ko) 공기청정기
KR20050108861A (ko) 공기청정기
KR20060100497A (ko) 공기청정기
KR101158595B1 (ko) 공기청정기
KR101270416B1 (ko) 공기청정기
KR100500727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