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423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423B1
KR100518423B1 KR1020040026940A KR20040026940A KR100518423B1 KR 100518423 B1 KR100518423 B1 KR 100518423B1 KR 1020040026940 A KR1020040026940 A KR 1020040026940A KR 20040026940 A KR20040026940 A KR 20040026940A KR 100518423 B1 KR100518423 B1 KR 100518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air
box
air cleaner
contro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06Heat shrinkable sleeves
    • H02G15/1813Wraparound or slotted slee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02G1/145Moulds

Abstract

본 발명은 콘트롤박스가 다수의 부분으로 세분되어 오리피스의 일면에 설치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200)와,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콘트롤박스(27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콘트롤박스(270)는 교류전원을 제어하는 교류제어박스(280)와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직류제어박스(290)로 분리되어 상기 오리피스(200)의 일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270)는 상기 오리피스(200)에 설치되는 박스본체(282,292)와, 상기 박스본체(282,292)에 체결되는 박스커버(286,296)에 의해 외관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박스본체(282,292)의 일단부와 오리피스(200)에는 삽입돌기(283,293)와 돌기수용부(283',293')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박스본체(282,292)와 박스커버(286,296)에는 본체걸이부(285,295)와 커버걸이부(287,297)가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소음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 Air cleaner }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트롤박스가 다수의 부분으로 세분되어 오리피스의 일면에 설치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空氣淸淨器, air cleaner)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청정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0), 측면과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20), 그리고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30), 그리고 소정의 두께로 성형되어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판(4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판넬(10)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1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케이싱(20)의 측면 상부에는 공기청정기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가 형성되기도 하며, 내측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20)의 후면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전원이 인가되는 파워코드(50)가 구비된다.
상기 상면판넬(40)은 상기 전면판넬(10)과 외부케이싱(20)의 상단에 체결되며, 이러한 상면판넬(40)의 후반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그릴(42)이 성형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면판넬(40)의 전반부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공기청정기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의 후측에는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60)가 설치되며, 이러한 오리피스(60)의 전면에는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정화하는 필터(7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오리피스(60)의 전면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필터안착부(72)가 형성되고, 이러한 필터안착부(72)에 상기 필터(70)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60)에는 상기 필터(70)에서 정화된 공기를 후방(도 1에서는 우측방)으로 안내하는 흡입공(62)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60)의 후면에는 모터마운트(80)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마운트(80)은 상기 오리피스(60)에 스크류(screw)로 체결되며, 이러한 모터마운트(80)에 팬모터(82)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82)의 우측(도 1에서)에는 모터커버(84)가 설치되어 팬모터(82)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82)의 우측에는 송풍팬(86)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86)은 상기 흡입그릴(12)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86)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그릴(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청정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조작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파워코드(50)를 통해 외부전원이 인가되어 공기청정기가 동작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외부케이싱(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모터(8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팬모터(82)의 회전으로 상기 송풍팬(86)이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86)의 회전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그릴(12)을 통해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된 다음, 필터(70)를 거치면서 공기중의 이물이 필터링된다.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상면판넬(40)의 토출그릴(42)을 통해 상방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공기청정기에서는 외부케이싱(20)의 내측, 즉 상기 전면판넬(10)의 상단 후측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이러한 공간에 콘트롤박스(2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콘트롤박스(22)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전체적으로 공기청정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트롤박스가 오리피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트롤박스가 교류제어박스와 직류제어박스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청정기 콘트롤박스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콘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콘트롤박스는 다수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상기 오리피스의 일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트롤박스는 교류전원을 제어하는 교류제어박스와,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직류제어박스로 분리되어 장착된다.
상기 콘트롤박스는, 상기 오리피스에 설치되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에 체결되는 박스커버에 의해 외관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본체의 일단부와 오리피스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체결되는 삽입돌기와 돌기수용부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박스본체와 박스커버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체결되는 본체걸이부와 커버걸이부가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공기청정기의 내부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며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0)의 전면과 좌측면 외관은 전방판넬(110)이 형성한다. 즉 상기 전방판넬(110)은 상방에서 볼때 대략 'ㄴ'자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전방과 좌측방을 커버(cover)한다.
상기 전방판넬(110)에는 주흡입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주흡입구(112)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주흡입구(112)는 전방판넬(110)의 좌측면에도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 뿐만 아니라 좌측방의 공기도 상기 주흡입구(112)를 통해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전방판넬(110)의 후방에는 전면프레임(12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은 공기청정기(100)의 전반부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전면프레임(120)의 전방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전방판넬(110)이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전방판넬(110)은 전면프레임(12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판넬(11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을 통해 공기청정기(100)의 전방 상측과 전방 하측 및 우측방의 외부공기가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흡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공기청정기(100)의 후면과 우측면 외관은 후방판넬(3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후방판넬(320)은 상기 전방판넬(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따라서 상기 후방판넬(320) 중앙부에도 상기 주흡입구(112)와 동일한 후면흡입구(32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방판넬(110)과 후방판넬(320)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서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판넬(320)을 상기 전방판넬(110)과 교체하게 되면, 상기 후면흡입구(322)가 상기 주흡입구(112)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전면지지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지지대(122)는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의 높이로 성형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20)을 지지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사각형상의 통기공(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123)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장치(130)가 안착되는 필터안착부(124)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상단부 우측에는 공기청정기(100)의 동작상태와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창(126)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필터안착부(124)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장치(13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장치(130)는 다수의 필터가 결합된 필터조립체(132)와, 상기 필터조립체(13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필터프레임(134) 그리고 상기 필터조립체(132)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리필터(136)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측에는 오리피스(20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200)는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오리피스공(210)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200)의 오리피스공(210)에는 모터마운트(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마운트(220)는 상기 오리피스공(21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상기 오리피스(200)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모터마운트(220)와 오리피스(200)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200)의 하단부에는 오리피스통기구(230)가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통기구(230)는 아래에서 설명할 후면프레임(310)의 저면흡입구(314)를 통해 흡입되는 후방의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에는 보호망(24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보호망(240)은 상기 필터장치(130)를 분리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인체의 일부분이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이 위치하는 오리피스(200)의 후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한편, 나노실버 또는 나노구리가 함유되어 항균/탈취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콘트롤박스(27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콘트롤박스(270)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되어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200)의 후방에는 후면프레임(310)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프레임(310)은 공기청정기(100)의 후반부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하측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지지대(122)와 같은 후면지지대(3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프레임(120)을 지지한다.
상기 후면지지대(312)에는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후면함몰부(312')가 형성되고, 이러한 후면함몰부(312')의 상면에는 공기가 유동가능한 저면흡입구(31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저면흡입구(314)는 후방 하측의 외부(실내공간)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저면흡입구(314)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0)의 오리피스통기구(230)와 아래에서 설명할 공기안내공(142)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유입된다.
상기 후면프레임(310)의 후측에는 상기 후방판넬(320)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판넬(320)은 공기청정기(100)의 후면과 우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후방판넬(320)은 상방에서 볼 때, 대략 'ㄱ'형상으로 성형되어 공기청정기의 후면 및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방판넬(320)의 후면과 우측면 중앙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후면흡입구(322)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후면프레임(310)의 상측에는 상면커버(410)가 구비된다. 상기 상면커버(410)는 공기청정기(100)의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토출구(420)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공기청정기(100)의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가 공기정화를 위한 공간(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토출구(420)에는 토출루버(430)와 설치된다. 상기 토출루버(430)는 상기 토출구(4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상면커버(410) 저면에 설치되는 스텝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410)의 우측단부에는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440)이 형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100)의 전면프레임(120)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전면지지대(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면지지대(122)에는 후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전면함몰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함몰부(122')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방흡입구(140)가 형성된다. 상기 하방흡입구(140)는 공기청정기(100) 외부의 전방 하측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전면지지대(122) 상측에는 상기 하방흡입구(140)와 상기 후면프레임(310)의 저면흡입구(314)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안내하는 공기안내공(14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방흡입구(14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안내공(142)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유입되어 필터링된다.
상기 공기안내공(142)의 우측에는 보조안내공(144)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안내공(144)은 상기 하방흡입구(14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통과하는 곳으로, 이때 아래에서 설명할 오존발생장치(180)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이 함께 유입된다.
상기 보조안내공(144)의 우측에는 상기 전방판넬(110)이 부착되는 하단부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부착부(146)에는 한 쌍의 영구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형성되는 통기공(123)의 테두리에는 상기 필터장치(130)가 고정되는 필터고정부(123')가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필터고정부(123')에는 상기 필터장치(130)의 필터프레임(134)이 스크류(screw)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우측단부 중앙에는 먼지홀(148)이 형성된다. 상기 먼지홀(148)은 원형의 관통홀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먼지홀(148)에는 원형의 홀커버(148')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먼지홀(148)은 아래에서 설명할 먼지센서(174)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이러한 먼지홀(148)을 통해 사용자는 먼지센서(174)에 부착되는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먼지홀(148)의 상측에는 발광투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투시부(15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20)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오염표시발광체(172)가 전방에서 투시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우측 상단부, 즉 상기 발광투시부(150)의 상측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창(126)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창(126)은 공기청정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126')와 공기의 오염상태를 도시하는 오염표시부(126")로 구성된다.
즉 디스플레이창(126)의 상반부에는 공기청정기(100)의 운전상태를 도시하는 동작표시부(126')가 형성되고, 하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도는 공기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오염표시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오염표시부(126")에는 공기의 오염정도가 막대그래프 및 백분율(%)로 도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의 좌측에는 상단부착부(152)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부착부(152)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단부착부(146)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영구자석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상단부착부(152)의 좌측에는 전원차단홈(154)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차단홈(154)에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전원차단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된다. 즉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장착되면, 상기 전방판넬(110)의 전원차단돌기가 상기 전원차단홈(154)에 삽입되면서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차단레버(160)를 유동시켜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전원차단홈(154)과 전원차단돌기는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장착되면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인가되고, 반대로 상기 전방판넬(110)이 전면프레임(120)으로부터 탈거되면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전면프레임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이 후면 상단부에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탈거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레버(1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차단레버(160)의 좌측(도 6에서 볼때, 이하에서는 도 6을 기준으로 설명한다.)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제어판(162)이 구비되며, 이러한 센서제어판(162)의 좌측 즉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디스플레이제어판(170)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창(126)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170)의 하부에는 오염표시발광체(172)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이러한 발광다이오드가 공기의 오염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오염표시발광체(172)는 상기 발광투시부(15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의 하부에는 먼지센서(174)가 설치된다. 상기 먼지센서(174)는 상기 먼지홀(148)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공기중의 먼지량을 측정한다.
한편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의 우측에는 공기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76)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먼지센서(174)의 하측에는 오존발생장치(180)가 설치된다. 상기 오존발생장치(180)는 오존발생부(182)와 오존분사부(184)로 구성되며, 상기 오존발생부(182)에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오존(O3)을 발생시켜 공기중에 분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오존분사부(184)는 상기 오존발생부(182)로부터 발생되는 오존(O3)을 공기중에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안내공(144)의 후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오존분사부(184)로부터 분사되는 오존(O3)이 상기 보조안내공(144)을 통과하는 공기중에 함유되어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지지대(122)의 전면함몰부(122') 후면에는 가스센서(186)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센서(186)는 상기 하방흡입구(14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각종 가스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오리피스(2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리피스(200)의 후면에는 팬모터(250)와 송풍팬(260)이 설치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모터마운트(220)의 후면은 전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터마운트(220)의 후면에 상기 팬모터(250)가 안착된다.
상기 팬모터(250)는 외관이 원통형상을 가지는 직류모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250)의 후방에는 모터커버(252)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커버(252)는 상기 팬모터(25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양단이 상기 오리피스(200)에 체결되어 상기 팬모터(250)를 고정하게 된다. 즉 중앙부는 상기 팬모터(250)의 외관과 대응되도록 후방으로 함몰되어 고정부(252')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252')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하로 절곡되어 연장된 체결부(25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252")가 상기 오리피스(200)에 스크류(screw)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팬모터(250) 중앙에는 회전축(254)이 전후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전축(254)의 후단에는 송풍팬(26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60)은 상기 팬모터(25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서, 상기 오리피스공(210)을 통해 중앙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한다.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콘트롤박스(270)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270)는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 상단부에 설치되는 교류제어박스(280)과 오리피스(200)의 전면 우측단부에 설치되는 직류제어박스(290)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고압트랜스(275)가 상기 교류제어박스(280)의 좌측에 별도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콘트롤박스(270)의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교류제어박스(280)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오리피스(200)에 장착되는 교류박스본체(282)와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를 감싸는 교류박스커버(286)에 의해 외관이 구성된다.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의 좌측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삽입돌기(283)가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200)에는 상기 좌측삽입돌기(283)가 삽입되는 좌측돌기수용부(28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좌측돌기수용부(283')에 형성되는 삽입공(283'a)은 우측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의 우측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체결부(284)가 우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200)에는 상기 우측체결부(284)와 대응되는 우측고정부(28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우측고정부(284')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체결공(28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의 선단부 상단 좌우측과 하단 좌우측에는 교류본체걸이부(28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교류본체걸이부(28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우측방으로 수직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교류박스커버(286)의 교류커버걸이부(287)와 결합된다.
상기 교류박스커버(286)는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와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되어 교류박스본체(282)의 전면을 커버(cover)하는 것으로, 이러한 교류박스커버(286)의 상단 좌우측과 하단 좌우측에는 교류커버걸이부(287)가 상기 교류본체걸이부(28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성형된다.
상기 직류제어박스(290)에도 상기의 교류제어박스(280)와 같이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어 상기 교류제어박스(280)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다수의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직류제어박스(290)는 상기 오리피스(200)에 장착되는 직류박스본체(292)와 상기 직류박스본체(292)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를 감싸는 직류박스커버(296)에 의해 외관이 구성된다.
상기 직류박스본체(292)의 하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삽입돌기(293)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200)에는 상기 하단삽입돌기(293)가 삽입되는 하단돌기수용부(29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단돌기수용부(293')에 형성되는 삽입공(293'a)은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직류박스본체(292)의 상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체결부(294)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200)에는 상기 상단체결부(294)와 대응되는 상단고정부(294')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고정부(294')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체결공(29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직류박스본체(292)의 선단부 좌우 측단의 상하에는 직류본체걸이부(29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직류본체걸이부(29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상방으로 수직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직류박스커버(296)의 직류커버걸이부(297)와 결합된다.
상기 직류박스커버(296)는 상기 직류박스본체(292)와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되어 직류박스본체(292)의 전면을 커버(cover)하는 것으로, 이러한 직류박스커버(296)의 좌우 측단의 상하에는 직류커버걸이부(297)가 상기 직류본체걸이부(29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성형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상기와 같은 공기청정기(100)에서 공기가 흡출입되고, 정화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공기청정기(10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오리피스(200)에 구비되는 팬모터(25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2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송풍팬(260)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송풍팬(260)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주흡입구(112) 및 상기 전방판넬(110)과 전면프레임(120)사이의 틈새를 통해서도 유입된다. 즉 상기 전방판넬(11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방흡입구(140)를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후방판넬(320)과 후면프레임(310) 사이의 틈새와 상기 후면흡입구(322) 및 후면프레임(310)의 저면흡입구(314)를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공기청정기(100)의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오리피스통기구(230)를 거쳐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면프레임(120)의 공기안내공(142)을 통과한 다음, 상기 필터장치(130)로 유입되어 정화된다.
상기 필터장치(130)에는 다수의 필터 결합체인 필터조립체(13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필터조립체(132)에 의해 공기중의 각종 이물과 악취가 제거된다. 그리고 필터조립체(13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0)에 장착되어 있는 송풍팬(260)으로 유입된다.
상기 송풍팬(260)의 중앙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송풍팬(260)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며, 이처럼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0)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는 정화된 공기는 상기 상면커버(410)에 형성된 토출구(420)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토출구(420)에 설치된 토출루버(430)에 의해 토출방향이 제어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콘트롤박스(270)의 착탈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상기 교류제어박스(280)의 장착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의 좌측단에는 좌측삽입돌기(283)가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200)에는 삽입공(283'a)이 우측방으로 개구된 좌측돌기수용부(28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측삽입돌기(283)가 상기 좌측돌기수용부(283')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교류박스본체(282)를 좌측방으로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좌측삽입돌기(283)가 상기 좌측돌기수용부(283')의 삽입공(283'a)에 삽입되어 교류박스본체(282)의 좌측단이 고정된다.
그런 다음,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의 우측단을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에 밀착시키고 스크류(S)를 이용하여 상기 우측체결부(284)를 상기 오리피스(200)의 우측고정부(284')에 체결한다. 이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와 내부의 전장부품이 오리피스(2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교류박스커버(286)를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교류본체걸이부(285)의 선단이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교류박스커버(286)를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교류박스커버(286)의 후단이 상기 교류박스본체(282)의 선단에 접한 상태에서 좌측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교류본체걸이부(285)와 교류커버걸이부(287)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교류박스커버(286)가 교류박스본체(282)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직류제어박스(290)의 장착을 위해서는 상기 직류박스본체(292)의 하단이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 우측부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린다. 즉 상기 하단삽입돌기(293)가 상기 하단돌기수용부(293')의 삽입공(293'a) 입구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내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단삽입돌기(293)가 상기 하단돌기수용부(293')의 삽입공(293'a)에 삽입되어 직류박스본체(292)의 하단부 고정이 완료된다.
그리고는 상기 직류박스본체(292)의 상단부를 상기 오리피스(200) 전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크류(S)를 사용하여 상기 상단체결부(294)를 상기 상단고정부(294')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S)는 상기 상단체결부(294)를 관통하여 상기 상단고정부(294')의 체결공(294'a)에 체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직류박스본체(292)의 직류본체걸이부(295) 선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직류박스커버(296)를 상기 직류박스본체(29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하방으로 내려 직류박스커버(296)를 체결한다. 이렇게 되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기 직류본체걸이부(295)와 직류커버걸이부(297)가 체결되므로 상기 직류박스커버(296)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체결된 교류제어박스(280)와 직류제어박스(290)의 탈거는 장착과는 반대 과정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에서는, 콘트롤박스가 교류제어박스와 직류제어박스로 구분되어 오리피스의 전면의 각각 다른 부위에 장착된다. 즉 콘트롤박스가 별도의 공간없이 상기 오리피스와 전면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이용해 장착된다. 따라서 공기청정기의 내부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 전체적으로 공기청정기의 부피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와 오리피스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기와 돌기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박스본체와 박스커버에는 서로 대응되는 걸이부가 각각 형성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의 전방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요부구성인 오리피스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요부구성인 콘트롤박스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공기청정기 110. 전방판넬
112. 주흡입구 120. 전면프레임
122. 전면지지대 123. 통기공
124. 필터안착부 126. 디스플레이창
126'. 동작표시부 126". 오염표시부
130. 필터장치 132. 필터조립체
134. 필터프레임 136. 프리필터
140. 하방흡입구 142. 공기안내공
144. 보조안내공 150. 발광투시부
154. 전원차단홈 160. 전원차단레버
162. 센서제어판 170. 디스플레이제어판
172. 오염표시발광체 174. 먼지센서
180. 오존발생장치 186. 가스센서
200. 오리피스 210. 오리피스공
220. 모터마운트 230. 오리피스통기구
240. 보호망 250. 팬모터
252. 모터커버 260. 송풍팬
270. 콘트롤박스 272. 고압트랜스
280. 교류제어박스 282. 교류박스본체
286. 교류박스커버 290. 직류제어박스
292. 직류박스본체 296. 직류박스커버
310. 후면프레임 312. 후면지지대
314. 저면흡입구 320. 후방판넬
322. 후면흡입구 410. 상면커버
420. 토출구 430. 토출루버
440. 조작버튼 S. 스크류

Claims (5)

  1.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콘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콘트롤박스는 다수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상기 오리피스의 일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는, 교류전원을 제어하는 교류제어박스와,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직류제어박스로 분리되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는,
    상기 오리피스에 설치되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에 체결되는 박스커버에 의해 외관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의 일단부와 오리피스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체결되는 삽입돌기와 돌기수용부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와 박스커버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체결되는 본체걸이부와 커버걸이부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040026940A 2004-04-20 2004-04-20 공기청정기 KR100518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40A KR100518423B1 (ko) 2004-04-20 2004-04-20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40A KR100518423B1 (ko) 2004-04-20 2004-04-20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8423B1 true KR100518423B1 (ko) 2005-09-29

Family

ID=3730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940A KR100518423B1 (ko) 2004-04-20 2004-04-20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42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594B1 (ko) 공기청정기
KR101220659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7B1 (ko) 공기청정기
KR100518423B1 (ko) 공기청정기
KR100571213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101158595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5B1 (ko) 공기청정기
KR100621247B1 (ko) 공기청정기의 오염표시장치
KR100621246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2419A (ko) 공기청정기
KR100621245B1 (ko) 공기청정기
KR101158575B1 (ko) 공기청정기
KR101158574B1 (ko) 공기청정기
KR101157669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00496A (ko) 공기청정기
KR20060100492A (ko) 공기청정기
KR20060111033A (ko) 공기청정기
KR101155745B1 (ko) 공기청정기
KR101076941B1 (ko) 공기청정기
KR100621252B1 (ko) 공기청정기의 오염도표시장치
KR20060111031A (ko) 공기청정기
KR20060100497A (ko) 공기청정기
KR20060112753A (ko) 공기청정기의 교류박스
KR20050108861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