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374A -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 - Google Patents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374A
KR20050107374A KR1020050101843A KR20050101843A KR20050107374A KR 20050107374 A KR20050107374 A KR 20050107374A KR 1020050101843 A KR1020050101843 A KR 1020050101843A KR 20050101843 A KR20050101843 A KR 20050101843A KR 20050107374 A KR20050107374 A KR 20050107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upling
insulator
arcing horn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869B1 (ko
Inventor
전경우
전태우
정세영
박찬
김현수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우진이엔피
전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이엔피, 전태우 filed Critical (주)우진이엔피
Priority to KR1020050101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869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42Means for obtaining improved distribution of voltage; Protection against arc dischar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42Means for obtaining improved distribution of voltage; Protection against arc discharges
    • H01B17/46Means for providing an external arc-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7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fibre-reinforced plastics, e.g. glass-reinforced pla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1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 H01T4/14Arcing ho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킹혼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폴리머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코아부와 상기 코아부 외표면 둘레로 폴리머외피가 에워싸고 상기 폴리머외피에 일체로 형성된 폴리머갓으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양측에 형성된 결합금구로 이루어진 폴리머 애자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애자 양측에 형성된 결합금구 각각의 일측에 상기 결합금구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결합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 상측말단부에는 고정나사가 형성된 유동결합부와; 일단부가 상기 유동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지면서 타단부가 대향되어 소정의 방전간극을 이루도록 형성된 아킹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폴리머 애자의 결합금구에 착탈식 아킹혼이 결합되어 이상전압 발생시 애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아킹혼의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Arcing-Horn Coupling Polymeric Insulator}
본 발명은 가공선로용 절연물로 사용되는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리머 애자의 결합금구에 착탈식 아킹혼이 결합되어 이상전압 발생시 애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아킹혼의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자는 고압전선 상호 간, 고압전선과 철탑, 송, 배전설비 등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고압전선 등의 간격을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써, 전기적으로 절연특성을 높이기 위해 외표면에 주름을 다수개 만들어 표면누설거리를 길게 하여 형성된다.
근래에는 종래의 자기재 애자 보다는 뛰어난 전기적절연특성 및 기계적특성을 가지면서 가볍고, 가공 및 운반, 설치가 편리한 폴리머 애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폴리머 애자는 본체가 폴리머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소정 너비를 가지고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폴리머갓이 형성되고, 상기 애자 본체 양단부에는 클레비스타입(Clevis type) 또는 아이타입(Eye type)의 결합금구가 형성된다.
상기 폴리머 애자는 과대한 전기적, 기계적 스트레스, 과대한 대전력 아크에 의한 편열로 한순간에 파괴되거나, 풍설, 심한 기온변화, 공해물질인 매연, 분진과 염해지역에서의 염분 등에 의한 오손, 내뢰, 외뢰에 의한 이상전압등에 의해 열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애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애자 주변에 아킹혼을 설치하여 내뢰 또는 외뢰 등의 이상전압 발생시 아킹혼과 아킹혼 사이가 먼저 섬락이 발생되도록 하여 애자의 손상은 물론 지지점 근접의 전선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아킹혼은 애자에 직접 결합된 구조가 아니므로 별도의 연결금구로 부착시켜야 하는 것으로, 설치작업 및 보수, 관리 작업의 어려움이 있다.
즉 아킹혼의 보수작업시 설치된 모든 연결금구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애자가 설치된 설치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연결금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폴리머 애자의 결합금구에 착탈식 아킹혼이 결합되어 이상전압 발생시 애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아킹혼의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코아부와 상기 코아부 외표면 둘레로 폴리머외피가 에워싸고 상기 폴리머외피에 일체로 형성된 폴리머갓으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양측에 형성된 결합금구로 이루어진 폴리머 애자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애자 양측에 형성된 결합금구 각각의 일측에 상기 결합금구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결합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 상측말단부에는 고정나사가 형성된 유동결합부와; 일단부가 상기 유동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지면서 타단부가 대향되어 소정의 방전간극을 이루도록 형성된 아킹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폴리머 애자의 결합금구에 착탈식 아킹혼이 결합되어 이상전압 발생시 애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아킹혼의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에 대한 분해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는, 기존의 폴리머 애자 양단에 형성된 결합금구(20)에 아킹혼(300)을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폴리머 애자는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로 형성된 코아부와 상기 코아부 외표면 둘레로 폴리머외피가 에워싸고 상기 폴리머외피에 일체로 형성된 폴리머갓으로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코아부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금구(20)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결합금구(20)는 상기 애자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되며,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는 부분인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21)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나사부(22)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나사부(22)는 클레비스타입(Clevis type)과 아이타입(Eye type)이 있으며, 애자 주변의 설치구조에 따라 상기 결합나사부(22)의 수직, 수평 구조 조합에 의해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는 결합금구(20)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결합부(100), 유동결합부(200), 그리고 상기 유동결합부(200)와 일체로 형성된 아킹혼(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결합부(100)는 상기 폴리머 애자 양측에 형성된 결합금구(20)의 결합부(21)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과는 후술할 유동결합부(200)의 나사산과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결합부(2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결합부(100)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유동결합부(200)의 나사산 상측말단부에는 고정나사(21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나사(210)는 상기 유동결합부(200)와 상기 고정결합부(100)의 나사결합 후 후술할 아킹혼(300)이 상기 고정결합부(100)에서 무단히 분리 이탈 또는 회전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킹혼(300)은 일단부가 상기 유동결합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310)를 가지면서 타단부가 대향되어 소정의 방전간극(320)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폴리머 애자 일측에 형성된 결합금구(20)에 형성된 고정결합부(100)와 이에 결합된 유동결합부(200), 아킹혼(300)과, 상기 폴리머 애자 타측에 형성된 결합금구(20)에 형성된 고정결합부(100)와 이에 결합된 유동결합부(200), 아킹혼(300)에 있어서, 상기 아킹혼(300)의 굴곡부(310)가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아킹혼(300)의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방전간극(320)이 형성되어 공기중으로 방전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아킹혼(300)이 결합된 폴리머 애자는 내뢰, 외뢰에 의한 이상전압 발생 시, 애자를 통하지 않고 아킹혼(300)과 아킹혼(300) 사이가 먼저 섬락이 발생되도록 하여 애자의 손상은 물론 지지점 근접의 전선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폴리머 애자에 아킹혼(300)을 직접 결합하여 일체로 제공하여 설치하거나 폴리머 애자 장착후 상기 고정결합부(100)와, 유동결합부(200)가 형성된 아킹혼(30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전기적 부식 등에 의해 아킹혼(300)의 교체 작업을 할 경우에는 상기 아킹혼(300)에 형성된 유동결합부(200)를 상기 고정결합부(100)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에 의해 간단하게 교체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폴리머 애자의 결합금구에 착탈식 아킹혼이 결합되어 이상전압 발생시 애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아킹혼의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에 대한 측면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에 대한 분해측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본체 20 : 결합금구
21 : 결합부 22 : 결합나사부
100 : 고정결합부 200 : 유동결합부
210 : 고정나사 300 : 아킹혼
310 : 굴곡부 320 : 방전간극

Claims (1)

  1. 코아부와 상기 코아부 외표면 둘레로 폴리머외피가 에워싸고 상기 폴리머외피에 일체로 형성된 폴리머갓으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양측에 형성된 결합금구로 이루어진 폴리머 애자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애자 양측에 형성된 결합금구 각각의 일측에 상기 결합금구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결합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 상측말단부에는 고정나사가 형성된 유동결합부와;
    일단부가 상기 유동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지면서 타단부가 대향되어 소정의 방전간극을 이루도록 형성된 아킹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
KR1020050101843A 2005-10-27 2005-10-27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 KR10069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843A KR100693869B1 (ko) 2005-10-27 2005-10-27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843A KR100693869B1 (ko) 2005-10-27 2005-10-27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374A true KR20050107374A (ko) 2005-11-11
KR100693869B1 KR100693869B1 (ko) 2007-03-12

Family

ID=3728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843A KR100693869B1 (ko) 2005-10-27 2005-10-27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8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88B1 (ko) * 2008-04-15 2008-07-11 (주)천도건축사사무소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 겸용 아킹혼장치
KR20130011782A (ko) * 2011-07-22 2013-01-30 한국전력공사 애자와 연결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1639A (zh) * 2015-10-26 2017-05-03 辽宁华隆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不同伞径的防雷线路柱式复合绝缘子
CN106611641A (zh) * 2015-10-26 2017-05-03 辽宁华隆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模调距防雷线路柱式复合绝缘子
CN106611640A (zh) * 2015-10-26 2017-05-03 辽宁华隆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伞径大小间隔设置的防雷线路柱式复合绝缘子
CN106611642A (zh) * 2015-10-26 2017-05-03 辽宁华隆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放电距离的防雷线路柱式复合绝缘子
KR102400886B1 (ko) 2021-08-23 2022-05-24 주식회사 대덕 가공송전라인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KR102400887B1 (ko) 2021-08-27 2022-05-24 주식회사 대덕 가공송전선간의 충돌 방지가 가능한 가공송전선 지지장치
KR102520237B1 (ko) 2022-05-18 2023-04-11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안정적 송전을 위한 가공송전라인 지지고정장치
KR102520320B1 (ko) 2022-05-19 2023-04-11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공송전을 위한 지지송전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88B1 (ko) * 2008-04-15 2008-07-11 (주)천도건축사사무소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 겸용 아킹혼장치
KR20130011782A (ko) * 2011-07-22 2013-01-30 한국전력공사 애자와 연결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869B1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869B1 (ko) 아킹혼 결합 폴리머 애자
FI79418C (fi) El-isolator.
AU2009229562B2 (en) High-voltage insulator and a high-voltage electric power line using said insulator
JP4823416B2 (ja) 電力線用放電保護被覆体
US1030458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ergy efficient electrical conductor
PL183829B1 (pl) Elastomerowa osłona do urządzenia elektrycznego
CA2106825A1 (en) Electrical cutout for high voltage power lines
KR100823955B1 (ko) 내뢰혼 삽입내장형 폴리머 라인포스트 애자
JP6088568B2 (ja) 予備成形シェッドを有するヒューズ絶縁支持ブラケット
KR200325264Y1 (ko) 배전 선로의 케이블 지지용 라인 포스트 애자
CN102129105A (zh) Opgw光缆分段绝缘单点接地的运行方法
JP4400955B2 (ja) ポリマー碍子とその製造方法
US20110253421A1 (en) Yoke and insulating assembly
KR200406068Y1 (ko) 전차선로용 180밀리미터 대체용 폴리머 현수애자
CN218976204U (zh) 一种铁路信号箱保护管及铁路信号箱
KR200487803Y1 (ko) 배전선로 단선방지 및 lp애자 파손방지를 위한 내뢰혼
IT201900005642A1 (it) Cavo di linea elettrica aerea realizzato per prevenire formazione di manicotti di neve su di esso
RU2175803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соединителей радиочастотных и заделок кабелей в соединитель от воздействия внешних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х факторов
RU2338282C1 (ru) Изолятор (варианты)
CN208873555U (zh) 一种抗拉伸效果好的绝缘套管
JP6916396B2 (ja) 電力ケーブル用終端接続部及び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方法
KR20040057382A (ko) 조류둥지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용 전주내 점프선 연결방법및 구조
CN212724860U (zh) 一种抗拉性强长棒形瓷绝缘子
RU2282293C1 (ru) Вставка в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зажим для подвески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связи на опорах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KR20120003166U (ko) 폴리머 현수애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