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118A -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118A
KR20050107118A KR1020040032318A KR20040032318A KR20050107118A KR 20050107118 A KR20050107118 A KR 20050107118A KR 1020040032318 A KR1020040032318 A KR 1020040032318A KR 20040032318 A KR20040032318 A KR 20040032318A KR 20050107118 A KR20050107118 A KR 20050107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olymer
pattern
manufacturing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은
안세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7118A/ko
Publication of KR20050107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Landscapes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기판상에 제1 폴리머를 형성하고, 미리 구비된 원본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폴리머에 패턴을 형성하여 제1 몰드를 제작하고, 제2기판상에 제2 폴리머를 형성하고, 상기 제작된 제1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폴리머에 패턴을 형성하여 제2 몰드를 제작하는 것으로서, 나도 임프린트 리소그라피 기술과 함께 사용되어 수-수십 nm의 선폭을 갖는 미세한 패턴의 제작 및 식각 공정에 응용될 수 있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old for UV embossing}
본 발명은 임프린트 리소그라피 방법을 이용한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나노 소자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새로운 응용 개발을 위하여 다방면에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나노 소자개발을 위해서는 나노 사이즈의 공정 기술 개발, 새로운 개념의 분석 기술 및 장비의 보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대면적 나노선, 나노점들의 제작 기술은 다양한 응용성을 가지면서 나노 사이즈의 소자 응용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나노선의 경우 높은 대비비의 메탈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 뿐만 아니라 나노 전자소자등에 폭넓은 응용성을 가지고 나노점의 경우 양자점 형성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나노 소자 제작등에 응용될 수 있는 기본 공정 기술이다. 이러한 금속 나노선 또는 나노점 형성 기술의 일반적인 제작 공정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에칭 기술을 예로 들수 있고 또 하나의 방법은 나노 임프린팅을 통한 에칭 공정을 적용한 기술을 둘수 있다.
하지만 반도체 공정을 적용할 경우 100nm이하의 피치 제작을 위해서는 장비 가격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로 인해 제작 원가의 상승과 메탈층의 에칭 공정에서 좋은 패턴의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 나노 임프린트 기술을 통한 저가 공정 확립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노 임프린트 기술은 1990년대 중반 미국 프린스톤 대학교의 스텐츄교수에 의해 도입된 나노 소자 제작 방법으로 낮은 생산성을 갖는 전자빔 리소그라피나 고가의 광학 리소그라피를 대신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나노 임프린트 기술은 컴팩트 디스크와 같이 마이크로 스케일의 패턴을 갖는 고분자 소재 제품의 대량 생산에 사용되는 엠보싱 기술을 리소그라피에 적용한 것이다. 나노 임프린트의 핵심은 전자빔 리소그라피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 스케일의 구조를 갖는 몰드를 제작하고 몰드를 고분자 박막에 각인하여 나노 스케일의 구조를 전사하고 이를 반복 사용함으로써 전자빔 리소그라피의 생산성 문제를 극복하자는 것이다.
임프린트의 방법에는 열을 가해 폴리머를 성형하는 열경화 방식의 임프린트 방식의 임프린트 기법이 있다. 실리콘 또는 Ni와 같은 금속 물질은 모두 열경화 방식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쿼츠 글래스, 투명 고분자 재료는 자외선 경화 방식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열경화 방식에서는 실리콘과 같은 기판에 고분자 박막을 스핀 코팅한다. 제작된 몰드와 기판을 평행하게 놓고 고분자의 유리 전이 온도까지 가열한다. 몰드를 고분자 박막과 물리적 접촉을 시키고 압력을 가한후, 온도를 낮춘다.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이하가 되면 몰드와 고분자를 분리한다.
한편 자외선 경화 방식은 유사한 방법이지만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를 이용해서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하는 방식이다. 열경화 방식은 높은 온도와 압력을 요구하는데 비해 자외선 경화 방법은 높은 온도와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여 몰드상의 나노 패턴은 고분자 박막으로 옮겨지게 된다.
최근에는 관련 장비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작은 면적의 스탬프를 제작하고 웨이퍼의 일부분에 임프린트 특히 자외선 경화 방식과 스텝 반복 방식이 결합된 step and falsh imprint lithography는 기술적으로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나노 임프린트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나노 패턴을 갖는 몰드의 제작이 필수적이다.
고밀도의 나노 패턴을 갖는 몰드를 전자빔 리소그라피로 제작하는 것은 고비용을 요구한다. 따라서 한번 제작한 몰드의 경우 손상없이 장기간의 사용이 요구되고 이와 아울러 저가 대량 복제가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몰드 제작 공정이 요구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몰드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1i는 종래의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기판(100a)위에 SiO2층(110a)을 증착한다. 이때, 상기 기판(100a)은 쿼츠 글래스나 투명 고분자 재료로 자외선 경화 방식에 이용되는 재질이다. 상기 SiO2층(110a)은 상기 기판(100a)위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200-250nm정도의 두께로 증착된다.
상기 기판(100a)에 SiO2층(110a)를 증착한 후, 도 1b와 같이 상기 SiO2가 증착된 층(110a)위에 접착성과 식각 선택비가 뛰어난 크롬(120a)을 증착한다. 이때, 상기 크롬은 10-30nm 정도 두께로 증착한다.
그럼다음 상기 크롬이 증착된 층(120a)위에 도 1c와 같이 일정한 두께의 포토 레지스트(130a)를 스핀 코팅한다. 여기서, 상기 일정한 두께는 60-110nm일 수 있다.
도 1c가 완료되면 기판준비는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기판이 완료되면, 도 1d와 같이 포토 레지스트(130a)가 코팅된 기판을 전자빔 리소그라피 또는 레이저 리소그라피, 반도체 노광 장비등을 통하여 원하는 피치의 격자를 형성하고, 현상액을 이용하여 현상함으로서 PR 패턴(130b)을 형성한다.
그런다음 상기 형성된 PR 패턴(130b)을 마스크로하여 반응이온 식각을 이용하여 도 1e와 같이 상기 크롬층을 식각하고, 도 1f와 같이 상기 식각된 크롬(120b)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SiO2층(110a)을 식각하면서, 상기 크롬층을 적절한 현상액으로 제거하게 되면 도 1g와 같은 SiO2 쿼츠 몰드가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몰드를 직접 자외선 각인 몰드로 이용해도 무관하지만 쿼츠 몰드로 제작하여 이용할수도 있다.
상기 SiO2 쿼츠 몰드를 쿼츠 몰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1h와 같이 상기 SiO2 패턴(110b)을 마스크로 하여 또한번의 반응이온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쿼츠 기판 자체(100a)를 식각함으로써 도 1i와 같은 쿼츠 몰드(100b)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외선 각인 쿼츠 몰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단계의 공정을 통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레이저 빔 리소그라피 방법을 이용할 경우는 역시 사용하는 레이저 파장에 의존하기 때문에 서브 마이크로의 파인 패턴을 직접 얻기는 어려워 고정세 fine 패턴이 새겨진 대면적 몰드 제작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집중되어야 하고, 고난이도의 공정기술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어려운 과정을 거쳐 제작된 몰드의 경우 손상이나 파손, 오염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소중하게 다루어져야 하지만 실제로 임프린트 횟수가 늘어날수록 오염 및 손상이 증가되는 현상은 피할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프린트 리소그리피 방법을 이용하여 저가로 자외선 각인용 몰드 구조물의 대량 제작이 가능하게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계에 따라 원하는 마스터 제작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리솔루션 및 깊이의 격자 또는 도트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나노임프린트 공정을 이용하여 마스터의 패턴 전사를 특징으로 하여 별도의 에칭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가로 제작한 자외선 각인용 몰드의 저가 대량 복제에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기판상에 제1 폴리머를 형성하고, 미리 구비된 원본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폴리머에 패턴을 형성하여 제1 몰드를 제작하고, 제2기판상에 제2 폴리머를 형성하고, 상기 제작된 제1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폴리머에 패턴을 형성하여 제2 몰드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원본 몰드는 실리콘, SiO2, 쿼츠 글래스, 니켈, 플래티늄, 크롬, 고분자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제1 폴리머는 열경화성 물질 또는 자외선 경화 물질이다.
상기 제1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몰드를 제1 폴리머에 눌러 패턴을 전사하고, 상기 제1 폴리머를 경화시키고, 상기 원본 몰드를 상기 제1 폴리머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제1 폴리머에 형성된 패턴은 열 각인 기법 또는 자외선 각인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몰드는 상기 원본 몰드와 반대의 패턴을 가진다.
상기 제2 폴리머는 자외선 경화 물질이다.
상기 제2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몰드를 제2 폴리머에 눌러 패턴을 전사하고, 상기 제2 폴리머를 자외선 조사하여 광경화시키고, 상기 제1 몰드를 상기 제2 폴리머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제2 몰드는 상기 원본 몰드와 동일한 패턴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리 구비된 원본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몰드와 패턴이 반대인 제1 몰드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제1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몰드와 패턴이 동일한 제2 몰드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몰드 제작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몰드 제작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리 구비된 원본 몰드를 이용하여 제1 몰드를 제작한다(S200).
상기 원본 몰드의 재료는 실리콘, SiO2, 쿼츠 글래스, 니켈, 플래티늄, 크롬, 고분자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기로 한다.
제1 몰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a와 같이 글래스나 쿼츠 등의 투명한 기판(300)에 광투과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폴리머(310a)를 스핀 코팅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 기판(300)에 폴리머층(310a)이 형성되면, 도 3b와 같이 미리 준비된 몰드(320)를 이용하여 패턴을 전사한다. 여기서, 상기 몰드(320)는 Si, SiO2, Ni, 쿼츠 등 다양한 재질의 몰드가 이용가능하다.
즉, 상기 미리 제작된 몰드(320)로 상기 폴리머층(310a)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몰드(320)의 패턴이 폴리머층(310a)에 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머층(310a)이 열경화 재료일 경우에는 금속 몰드를 사용하고, 자외선 경화 재료일 경우에는 투명한 고분자 몰드를 사용한다.
즉, 상기 폴리머(310a)가 열경화 재료일 경우 열각인 기법을 사용하여 폴리머를 선경화하고, 상기 폴리머(310a)가 자외선 경화 재료일 경우에는 자외선 각인 기법을 사용하여 코팅된 폴리머를 경화시키지 않고 투명한 몰드를 사용한다.
도 3b와 같이 패턴을 전사한 후에는 상기 몰드(320)를 상기 기판에서 제거하여 도 3c와 같은 패턴(310b)이 각인된 제1 몰드를 형성한다. 이때 잔존하는 레지듀층은 임프린트 압력과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두께로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폴리머층(310a)를 경화한 후에는 상기 몰드(320)를 폴리머층(310a)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상기 몰드(320)가 분리된 폴리머(310b)에는 몰드(320)의 패턴이 전사되어 상기 몰드(320)와 음양이 반대인 패턴이 형성된다.
여기서, 열 각인 기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기판(300)의 온도가 냉각된 후에 폴리머(310b)로부터 몰드(320)를 분리시키다. 그리고 자외선 기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자외선 경화가 끝난 다음 몰드(320)를 폴리머(310b)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 몰드(350)의 폴리머 패턴(310b)은 원본 몰드(320)와는 역전된 패턴을 보여주는데 동일한 L/S패턴의 경우는 관계없지만 L/S비가 다른 패턴이라든지 나노점 형성을 위한 몰드의 경우 상기 형성된 제1 몰드를 이용하여 제2몰드를 제작한다.
즉,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본 몰드(320)와 동일한 몰드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202), 상기 형성된 제1 몰드(350)를 이용하여 제2 몰드를 제작한다(S204).
상기 제2 몰드는 원본 몰드와 동일한 패턴을 가진 몰드로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상기 제2 몰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도 4a와 같이 투명한 재질의 글래스나 쿼츠 기판(400)위에 폴리머층(410a)를 스핀코팅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머(410a)는 자외선 경화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판(400)에 폴리머층(410a)이 형성되면, 도 4b와 같이 상기 형성된 제1 몰드(350)를 이용하여 패턴을 전사한다. 즉, 상기 형성된 기판위에 상기 제1 몰드(350)를 평행하게 위치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누른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광경화를 진행한다.
그런다음 상기 제1 몰드(350)를 상기 기판에서 제거하면, 도 4c와 같은 패턴이 각인된 제2 몰드(450)가 형성된다. 이때 잔존하는 레지듀층은 임프린트 압력과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두께로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형성된 제2 몰드(450)의 폴리머 패턴은 도 4d와 같이 원본 몰드(320)와는 동일한 패턴을 보인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원본 몰드로는 재질과 무관하게 모든 형태의 몰드를 이용할 수 있고, 최종 얻어지는 자외선 경화용 몰드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 역시 열가소성, 열경화성, 광경화성 재료 모두가 이용 가능하다.
특히, 자외선 각인의 경우, 저온 임프리팅 방법이므로 열가소성 재료를 이용하여도 Tg이상 가열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하는 광파장의 흡수가 적고 광투과성이 뛰어난 조건만 만족하면 사용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어 재료의 선택폭이 넓어진다.
따라서, 고비용과 많은 노력을 기울여 제작한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원본 몰드를 쿼츠, 글래스와 같은 투명 기판과 광투과율이 뛰어난 고분자 재료만을 이용하여 저가 대량 복제하여 반영구적으로 이용가능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자외선 각인 기술 발전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도 임프린트 리소그라피 기술과 함께 사용되어 수-수십 nm의 선폭을 갖는 미세한 패턴의 제작 및 식각 공정에 응용될 수 있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광학 소자, 나노 전자 소자의 제조시 특성을 개선시키고 공정상의 자유도를 높임으로써 보다 다양한 소자 제작에 응용될 수 있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몰드를 저가로 대량 복제하여 사용가능하게 함으로써 몰드의 제작에 요구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수 있는 자외선 각인용 모드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1i는 종래의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몰드 제작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몰드 제작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400 : 기판 310, 410 : 폴리머
320 : 원본 몰드 350 : 제1 몰드
450 : 제2 몰드

Claims (12)

  1. 제1 기판상에 제1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미리 구비된 원본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폴리머에 패턴을 형성하여 제1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
    제2기판상에 제2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제1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폴리머에 패턴을 형성하여 제2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몰드는 실리콘, SiO2, 쿼츠 글래스, 니켈, 플래티늄, 크롬, 고분자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는 열경화성 물질 또는 자외선 경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몰드를 제1 폴리머에 눌러 패턴을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머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원본 몰드를 상기 제1 폴리머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에 형성된 패턴은 열 각인 기법 또는 자외선 각인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는 상기 원본 몰드와 반대의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는 자외선 경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몰드를 제2 폴리머에 눌러 패턴을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제2 폴리머를 자외선 조사하여 광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몰드를 상기 제2 폴리머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몰드는 상기 원본 몰드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10. 미리 구비된 원본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몰드와 패턴이 반대인 제1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제1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몰드와 패턴이 동일한 제2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제1 기판상에 제1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본 몰드를 상기 제1 폴리머에 눌러 패턴을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머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원본 몰드를 상기 제1 폴리머로부터 분리시켜 제1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제2 기판상에 제2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몰드를 상기 제2 폴리머에 눌러 패턴을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제2 폴리머를 자외선 조사하여 광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몰드를 상기 제2 폴리머로부터 분리시켜 제2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KR1020040032318A 2004-05-07 2004-05-07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KR20050107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18A KR20050107118A (ko) 2004-05-07 2004-05-07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18A KR20050107118A (ko) 2004-05-07 2004-05-07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18A true KR20050107118A (ko) 2005-11-11

Family

ID=3728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318A KR20050107118A (ko) 2004-05-07 2004-05-07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71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044B1 (ko) * 2006-10-26 2007-09-06 한국기계연구원 임프린트 리소그래피용 스탬프의 제조 방법
KR100831049B1 (ko) * 2006-12-21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용 솔벤트 가용성 스탬프의 제조방법
WO2012070833A2 (ko) * 2010-11-23 2012-05-3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기복제성 복제몰드의 제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044B1 (ko) * 2006-10-26 2007-09-06 한국기계연구원 임프린트 리소그래피용 스탬프의 제조 방법
KR100831049B1 (ko) * 2006-12-21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용 솔벤트 가용성 스탬프의 제조방법
WO2012070833A2 (ko) * 2010-11-23 2012-05-3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기복제성 복제몰드의 제작방법
WO2012070833A3 (ko) * 2010-11-23 2012-09-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기복제성 복제몰드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727B1 (ko) 임프린트된 나노구조물을 이용한 미세접촉 인쇄기법과이의 나노 구조물
KR20050075580A (ko) 나노 임프린트 리쏘그라피를 이용한 대면적 스탬프 제작방법
KR100772639B1 (ko)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을 이용한 미세 임프린트리소그래피용 스탬프 및 그 제조방법
US8168107B2 (en) Method of forming a pattern using nano imprin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 to form such a pattern
US7374864B2 (en) Combined nanoimprinting and photolithography for micro and nano devices fabrication
KR101691157B1 (ko) 나노임프린트용 스탬프 제조방법
KR101541814B1 (ko)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방법
JP2004304097A (ja) 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8078550A (ja) インプリントモール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KR101022506B1 (ko) 쉐도우 증착과 나노전사 프린팅을 이용한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의 패턴전사 방법
CN102311094A (zh) 大面积且尺寸可控的基于su-8光刻胶的纳米流体通道制作方法
KR100582781B1 (ko) 임프린트 리소그라피용 스탬퍼 제조 방법
KR100842931B1 (ko) 임프린트 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롤 스탬프의 제조방법
KR20080082116A (ko) 선격자 편광판 제조방법
KR100884811B1 (ko) 임프린트 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대면적 스탬프의 제조방법
KR20050075581A (ko) 나노 임프린트용 쿼츠 스템프 제작 방법
KR20050107118A (ko) 자외선 각인용 몰드 제조 방법
KR100670835B1 (ko) 나노임프린트 몰드 제작 방법
KR20140110397A (ko) 역 임프린트 방식을 이용한 패터닝 방법
TWI264823B (en) Thin film transistor manufacture method and structure therefor
KR20050099888A (ko) 나노 와이어 제조 방법
KR100876386B1 (ko) 소프트 몰딩을 이용한 잔여층이 없는 레지스트 패턴형성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패턴화된 금속층의 형성방법
KR20070054896A (ko) 나노 임프린트용 스탬프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광 결정제조방법
KR20050090839A (ko) 임프린트 장치 및 임프린트 방법
KR100897931B1 (ko) 나노스탬프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