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6919A - 영상 신호의 에지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의 에지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919A
KR20050106919A KR1020040031989A KR20040031989A KR20050106919A KR 20050106919 A KR20050106919 A KR 20050106919A KR 1020040031989 A KR1020040031989 A KR 1020040031989A KR 20040031989 A KR20040031989 A KR 20040031989A KR 20050106919 A KR20050106919 A KR 20050106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kernel
pixel
intensity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143B1 (ko
Inventor
송동섭
안현주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143B1/ko
Priority to US11/096,637 priority patent/US7366347B2/en
Publication of KR2005010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143B1/ko
Priority to US12/770,346 priority patent/USRE44717E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92Edge enhancement; Edge p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2209/04Picture signal generators
    • H04N2209/041Picture signal generators using solid-state devices
    • H04N2209/042Picture signal generators using solid-state devices having a single pick-up sensor
    • H04N2209/045Picture signal generators using solid-state devices having a single pick-up sensor using mosaic colour filter
    • H04N2209/046Colour interpolation to calculate the missing colour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징 장치들로부터 야기된 잡음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점과 색 보간 후에 휘도 신호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하기 때문에 색 보간때 야기된 잡음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에지 검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자이크 배열의 화소 데이터에서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제1커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커널 내에서 상기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제2커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커널에서 G(Green)값을 갖는 화소가 불량 화소 인지를 감지하여 보정하는 단계; 상기 제2커널을 이루는 모든 화소가 G 값을 갖도록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2커널에서 에지 검출을 위한 마스크를 이용하여 기울기 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색 공간 변환을 얻어진 강도값에 상기 기울기 값을 가산하여 에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지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신호의 에지 검출 방법{METHOD FOR EDGE DETECTION OF IMAGE SIGNAL}
본 발명은 영상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신호에서의 에지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의 응용 분야는 핸드폰, PC(Personal Computer)용 카메라, 의학용, 완구용 등 다양하며, 화상 신호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이미지센서로부터 촬영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화질은 대부분 에지의 선명도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영상의 에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정 기술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이미지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센서는 제어 및 외부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와, 화소 배열부(Pixel array, 10)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2, Analog to Digital Converter; 이하 ADC라 함)와, 라인 메모리부(13)와 화상 신호 처리부(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하, 전술한 이미지센서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자세히 살펴본다.
화소 배열부(10)는 빛에 반응하는 성질을 극대화시키도록 화소(Pixel)를 가로 N개, 세로 M개(N,M은 정수)로 배치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인 이미지센서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며, 제어 및 외부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는 FSM(Finite State Machine)을 이용하여 이미지센서의 이미지센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 동작을 담당하는 바, 배치 레지스터(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어 여러가지 내부 동작에 관련된 사항에 대한 프로그램이 가능하며, 이 프로그램된 정보에 따라 전체 칩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아날로그 라인 버퍼부는 선택된 한 로의 화소들의 전압을 감지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아날로그 라인 버퍼부에 저장된 아날로그 데이터는 칼럼 디코더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 칼럼의 데이터 값이 아날로그 버스를 통해 가변증폭부로 전송된다.
가변증폭부 예컨대,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는 아날로그 라인 버퍼부에 저장된 화소 전압이 작은 경우 이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며, 가변증폭부를 거친 아날로그 데이터는 색상 보정 등의 과정을 거친 후, ADC(12)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다.
라인 메모리부(13)는 디지털 변환된 RGB 영상 신호를 라인별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화상 신호 처리부(14)는 오류 보정(Error correction), 색상 보간(Color interpolation),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 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이미지센서는 제조 공정 상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오프셋 전압(Offset voltage)에 의한 고정 패턴 잡음(Fixed pattern noise)이 발생한다. 이러한 고정 패턴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이미지센서는 화소 배열부(11)의 각 화소에서 리셋 신호(Reset voltage signal)를 읽고 데이터 신호(Data voltage signal)를 읽은 후 그 차를 출력하는 상호 연관된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이하 CDS라 함) 방식을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신호 처리부(14)는 색상 보간과 색 공간 변환, 감마 보정, 에지 검출 및 향상(Enhanc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종래의 에지 검출 및 보정 방법은 일단 색 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을 수행해서 RGB 베이어 패턴을 YCbCr컬러 공간으로 바꾼 영상 신호를 이용하며, 이중 휘도 신호 Y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에지 검출 순서를 간단히 살펴 본다.
휘도 신호는 일단 라인 버퍼에 저장 되었다가 1차 미분기에 입력되어 영상 신호를 미분함으로써 강도 및 방향을 구하게 된다. 다시 2차 미분기에 입력되어 1차 미분기와 동일한 조건의 미분을 다시 수행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에지를 추출하게 된다. 이 때, 2차 미분기는 에지의 강도 만을 구한다. 2차 미분기에서 추출된 에지는 폐곡선을 이룬다. 추출된 에지는 다시 승산기로 전송디며, 승산기는 추출된 에지의 선명도가 향상되도록 보정하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이득 값을 입력되는 에지에 승산한다. 이득값이 승산된 에지 정보는 코링(Coring)으로 전송된다.
코링은 낮은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노이즈의 증폭을 막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승산기로부터 전송되는 에지 정보 중 정해진 값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의 에지 정보는 모두 '0'으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변환된 에지 정보는 다시 가산기로 전송된다.
가산기는 코링으로부터 전송된 변형된 에지 정보와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가산하여 클리핑(Clipping) 회로로 전송하며, 클리핑 회로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이 0 ~ 255 범위 내에서 존재하도록 자른다. 클리핑 처리된 영상 신호는 에지의 선명도가 향상된 영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에지 검출 및 보정 방법은 불량 화소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단계까지의 이미징 장치들(화소 배열부(10), ADC(12), 라인 메모리부(13))로부터 야기된 잡음에 대하여 고려를 하지 않기 때문에 원치 않는 에지를 검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색 보간 후에 휘도 신호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하기 때문에 색 보간 때 야기된 잡음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색 보간으로 생긴 허위 색(False color)이 더 선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이미징 장치들로부터 야기된 잡음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점과 색 보간 후에 휘도 신호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하기 때문에 색 보간때 야기된 잡음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으며, 기존의 라인 메모리없이 에지를 검출할 있는 영상 신호의 에지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자이크 배열의 화소 데이터에서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제1커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커널 내에서 상기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제2커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커널에서 G(Green)값을 갖는 화소가 불량 화소 인지를 감지하여 보정하는 단계; 상기 제2커널을 이루는 모든 화소가 G값을 갖도록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2커널에서 에지 검출을 위한 마스크를 이용하여 기울기 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색 공간 변환을 얻어진 강도값에 상기 기울기 값을 가산하여 에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지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휘도(Y)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대신 색 보간 이전의 RGB 베이어 신호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함으로써, 색 보간시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에지를 검출할 때 불량 화소나 이전 단계까지의 이미징 장치들로부터 야기된 잡음에 대하여 보상을 해줌으로서 보다 정확한 에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지 검출 방법을 도식화한 플로우 챠트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지 검출 방식을 살펴 본다.
먼저, 모자이크 배열의 화소 데이터에서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에지 검출을 위한 제1커널(또는 지역화 영역) 예컨대, 5*5의 커널을 설정한다(S201). 이것은 칼라필터 어레이(Color Filter Array; 이하 CFA라 함) 영역에서 각 화소가 어떤 특정 컬러 하나에만 강도값을 가지기 때문에 G값을 보간해주기 위해서이다.
이어서, 제1커널 내에서 상기의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제2커널 예컨대, 3*3의 커널을 설정한다(S202). 제2커널의 모든 화소는 제1커널에 있는 G화소(Green 성분에 강도값을 가지는 화소)를 이용하여 G값을 보간하게 된다(S203). 이렇게 보간된 G값을 기본으로 에지 검출을 하게 되는 바, 일단 G값을 보간하게 된다. 즉, 'S205' 단계에서는 제2커널을 이루는 모든 화소가 G값을 갖도록 한다.
한편, 제2커널을 이루는 모든 화소가 G 값을 갖도록 하기 전에 'S203' 단계에서 제2커널을 이루는 모든 화소가 G 값을 갖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2커널을 이루는 화소 중 G값을 갖는 화소에 대해서는 'S204' 단계에서와 같이 불량 화소 또는 잡음 인지를 파악하여 그 강도값을 보정한 후, 'S206' 단계에서 제2커널을 이루는 화소 중 G값을 갖지 않고 남는 화소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 남은 화소가 있을 경우 'S203' 단계로 리턴한다.
남은 화소가 없을 경우, 제2커널에서 에지 검출을 위한 여러가지 마스크를 이용하여 기울기 값을 구한다(S207). 이 때, 라플라시안 필터를 이용한다.
기울기 값이 구해지면, 색 공간 변환을 통해 구해진 광도(Lumnance)값에 기울기 값을 가산한다(S208).
그 다음으로, 노이즈 증폭을 막기 위한 코링과 영상 신호의 오버 플로우(Over flow)를 막기 위한 클리핑을 수행하게 된다(S209). 이러한 과정이 끝나고 나면 다시 새로운 제2커널을 설정하고(S210), 다시 위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S204'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로서, 이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먼저, 왜곡된 강도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2커널을 설정한다(S301). 제2커널의 설정은 도 2의 'S202' 단계에서의 제2커널 설정과 동일한 단계이다.
이어서, 제2커널에서 G값을 갖는 중심 화소(중심화소의 강도값)가 왜곡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문턱값들(Th1,Th2)을 정하고 모든 카운터를 초기화한다(S302).
이어서, 영역 중심 화소의 강도값과 문턱값(Th2)를 비교하여 중심 화소의 강도값이 클 경우 'S305' 단계를 진행하고, 그 반대일 경우 문턱값(Th1)을 재설정한다(S304). 즉, 현재 화소의 강도값에 따라 문턱값(Th1)을 조정하게 된다. 이는 화소의 강도값이 작을 때와 클 때 똑 같은 임계값을 적용하면 노이즈를 제대로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문턱값(Th1)이 결정되면 중심 화소와 제2커널 안에 있는 화소(같은 컬러 특성을 갖는 주변 화소)와의 강도값 차이(Δ)를 구한다(S305). 이 때, Δ값이 문턱값(Th1) 보다 크면 중심 화소와의 강도값이 임계값 보다 큰 주변 화소의 수를 카운트하는 Count1을 증가시키고(S307), 문턱값(Th1) 보다 작으면 중심 화소와 같은 컬러 특성을 갖는 화소의 수를 나타내는 Count2를 증가시킨다(S308). 이 과정이 중심 화소의 모든 주변 화소에 대하여 끝나면 Count1의 값을 보고(S310), 그 값이 '0'이면 노이즈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Edge(i,j)를 0으로 하고(S311), 다음 커널을 설정하게 된다(S318).
여기서, Count2는 현재 보정하려고 하는 G화소(G값의 강도값을 갖는 화소)의 수직 혹은 수평에 있는 주변 화소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정하려고 하는 화소나 주변 하소 모드 제2커널 안에 있는 화소이다.
만약, Count1의 값이 '0'이 아니면 다음 과정을 수행한다.
즉, 현재 중심 화소의 위치가 i행 j열에 있다고 하자. Count1과 Count2가 같은지 및 중심 화소와 동일한 G값을 갖는 화소와의 강도값 차이들이 서로 동일한 지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S312).
여기서 행은 이미지의 폭(Height)에 해당되고, 열은 넓이(Width)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겠다. Count1 값과 Count2 값이 같고 모든 주변 화소에 대한 Δ값의 부호가 같다면 이전(i-1)행의 화소 강도값이 왜곡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신호(Edge)에 따라 가중치를 곱해주게 된다(S313 ∼ S316).
부연하면, Edge(i-1,j-1), Edge(i-1,j), Edge(i-1,j+1)는 이전 행의 j-1, j, j+1 열의 화소값이 튀었는지를 나타내는데, 만약 이중에 튀는 값이 있고 현재 i행 j열의 화소값이 튀는 값이라면 이것은 에지라고 판단해서 보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전 행에서 튀는 값이 없었는데 현재 행의 화소값이 튄다면 이것은 잡음이라고 판단해서 보정을 하게 된다. 또한, 왜곡된 신호의 가중치를 다르게 해서 보정하는 이유는 화이트 디펙트(White defect)의 경우는 값을 좀 더 올려서 보정해 주어야 하고 다크 디펙트(Dark defect)의 경우는 값을 더욱 낮게 보정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만약 두개의 카운터 값이 같지않고 Δ값들의 부호가 서로 같지 않다면 Edge(i,j)를 1으로 하고 다음 커널을 설정하게 된다(S317).
도 4는 에지 검출을 위해 설정된 5*5의 커널에서 G컬러 성분에 강도값을 갖는 화소(G화소)들을 이용해 R과 B의 컬러 성분에 강도값을 갖는 화소(R화소와 B화소)의 G강도값을 메디안 필터를 사용하여 보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Gb형태의 커널에서 화소 R23의 G 강도값을 보간하는 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Gb형태의 커널에서 화소 R23의 G 강도값(ExG12)을 구하기 위해서는 그 주변의 G화소의 강도값이 필요하다. 즉 메디안 필터를 이용하여 4개 화소(G13,G22,G24,G33)의 강도값의 메디안 출력(강도값 중에서 값이 작은 순으로 2개를 선택하여, 그 값의 평균을 취한 값)인 ExG12를 R23의 G 강도값으로 사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B32,B34,R43의 G 강도값인 ExG21, ExG23, ExG32도 같은 방식으로 구하게 된다.
또한, B형태의 커널에서 G 강도값을 보간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R22, R24, B33, R42, R44의 G 강도값을 구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R과 B의 컬러 성분에 강도값을 갖는 화소(R화소와 B화소)의 G 강도값을 평균값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Gb형태의 커널에서 화소 R23의 G 강도값을 보간하기 위해서 G13화소와 G33화소의 강도값 차이(VDiff1),G13화소와 R23화소의 강도값 차이(VDiff2), G33화소와 R23화소의 강도값 차이(VDiff3), G22화소와 G24화소의 강도값 차이(HDiff1), G22화소와 R23화소의 강도값 차이(HDiff2), G24화소와 R23화소의 강도값 차이(HDiff3)를 구한다. 그 다음으로, 수직 방향의 차이값들의 합(VDiff)과 수평방향의 차이값들의 합(HDiff)을 구한 다음 절대값을 취한다.
즉, AbsVDiff = abs(VDiff1+VDiff2+VDiff3)
AbsHDiff = abs(HDiff1+HDiff2+HDiff3)이다.
일단 AbsVdiff와 AbsHDiff가 구해지면, 이 두개의 값을 비교하여 AbsVDiff가 크면 G22 + G24의 합을, 그렇지 않으면 G13+G33의 합을 R23의 G 강도값으로 사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휘도(Y)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대신 색 보간 이전의 RGB 베이어 신호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함으로써, 색 보간시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에지를 검출할 때 불량 화소나 이전 단계까지의 이미징 장치들로부터 야기된 잡음에 대하여 보상을 해줌으로서 보다 정확한 에지를 검출할 수 있음을 실시예를 통해 알아 보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시된 에지 검출 알고리즘은 색 보간과 동시에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색 보간 이전의 RGB 베이어 신호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함으로써 색 보간때 생기는 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불량 화소가 이전단계까지의 이미징 장치들로 부터 야기된 잡음을 제거해 줌으로서 보다 정확한 에지 검출 및 보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이미지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지 검출 방법을 도식화한 플로우 챠트.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S204'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4는 에지 검출을 위해 설정된 5*5의 커널에서 G컬러 성분에 강도값을 갖는 화소들을 이용해 R과 B의 컬러 성분에 강도값을 갖는 화소의 G강도값을 메디안 필터를 사용하여 보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R과 B의 컬러 성분에 강도값을 갖는 화소의 G 강도값을 수직 혹은 수평 라인 화소 평균값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10)

  1. 모자이크 배열의 화소 데이터에서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제1커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커널 내에서 상기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제2커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커널에서 G(Green)값을 갖는 화소가 불량 화소 인지를 감지하여 보정하는 단계;
    상기 제2커널을 이루는 모든 화소가 G값을 갖도록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2커널에서 에지 검출을 위한 마스크를 이용하여 기울기 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색 공간 변환을 통해 얻어진 강도값에 상기 기울기 값을 가산하여 에지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지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널은 5*5이며, 상기 제2커널은 3*3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검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널을 이루는 모든 화소가 G 값을 갖도록 변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2커널을 이루는 모든 화소가 G 값을 갖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검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커널을 이루는 화소 중 G값을 갖는 화소에 대해서는 불량 화소 또는 잡음 인지를 파악하여 그 강도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검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커널에서 G값을 갖는 중심 화소가 왜곡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중심 화소의 강도값에 따라 제1 및 제2문턱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중심 화소와 동일한 G값을 갖는 화소와의 강도값 차이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강도값의 차이와 상기 제1문턱값의 대소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강도값의 차이가 상기 제1문턱값 보다 작음에 따라 상기 중심 화소와 동일한 컬러 특성을 갖는 화소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의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중심 화소의 주변에 같은 컬러 특성을 갖는 화소가 존재하는 지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같은 컬러 특성을 갖는 화소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중심 화소와의 강도값의 차가 상기 제1문턱값 보다 큰 주변 화소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의 수가 '0'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카운트의 수가 '0'임에 따라 에지를 '0'으로 하고 다음의 3*3 커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검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의 차이가 상기 제1문턱값 보다 큼에 따라, 상기 중심 화소와의 강도값의 차가 상기 제1문턱값 보다 큰 주변 화소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검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화소와의 강도값의 차가 상기 제1문턱값 보다 큰 주변 화소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의 수가 '0'이 아님에 따라,
    상기 제1문턱값 보다 큰 주변 화소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의 수와 상기 중심 화소와 동일한 컬러 특성을 갖는 화소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의 수가 같으며, 상기 각 중심 화소와 동일한 G값을 갖는 화소와의 강도값 차이들이 서로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이전 행의 화소의 강도값이 왜곡되었는지에 따라 상기 중심 화소의 강도값에 가중치를 곱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검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에지를 '1'로 하고 다음의 제2커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검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값을 구하는 단계에서, 라플라시안 필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검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널을 이루는 모든 화소가 G값을 갖도록 변환하는 단계에서,
    메디안 필터를 사용하거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검출 방법.
KR1020040031989A 2004-05-06 2004-05-06 영상 신호의 에지 검출 방법 KR10058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989A KR100587143B1 (ko) 2004-05-06 2004-05-06 영상 신호의 에지 검출 방법
US11/096,637 US7366347B2 (en) 2004-05-06 2005-03-30 Edge detecting method
US12/770,346 USRE44717E1 (en) 2004-05-06 2010-04-29 Edge detec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989A KR100587143B1 (ko) 2004-05-06 2004-05-06 영상 신호의 에지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919A true KR20050106919A (ko) 2005-11-11
KR100587143B1 KR100587143B1 (ko) 2006-06-08

Family

ID=3523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989A KR100587143B1 (ko) 2004-05-06 2004-05-06 영상 신호의 에지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366347B2 (ko)
KR (1) KR1005871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85B1 (ko) * 2005-12-29 2007-11-16 엠텍비젼 주식회사 에지 향상과 노이즈 제거를 위한 컬러 보간 장치
KR100809346B1 (ko) 2006-07-03 200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엣지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869134B1 (ko) * 2006-10-18 2008-11-17 콴타 컴퓨터 인코포레이티드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KR20200084483A (ko) 2019-01-02 2020-07-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지검출회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487B1 (ko) * 2004-04-27 2006-04-24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센서
US7830426B2 (en) * 2005-12-29 2010-11-0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color interpolation in color filter arrays using edge detection and correction terms
GB2438905B (en) * 2006-06-07 2011-08-24 Tandberg Television Asa Temporal noise analysis of a video signal
US20110097010A1 (en) * 2006-12-13 2011-04-28 Jian Wang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noise in images in video coding
US8035704B2 (en) * 2008-01-03 2011-10-11 Aptina Imag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digital image having defective pixels
US8135237B2 (en) * 2008-02-25 2012-03-13 Aptina Imaging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oise reduction
JP2009239394A (ja) * 2008-03-26 2009-10-15 Seiko Epson Corp ぬりえ製造装置およびぬりえ製造方法
KR101934261B1 (ko) * 2012-07-09 2019-0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해상도 변화 방법과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A2906802A1 (en) 2013-03-15 2014-09-18 Olive Medical Corporation Noise aware edge enhancement
US9088740B2 (en) * 2013-06-21 2015-07-21 Himax Imaging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noise
US9183453B2 (en) * 2013-10-31 2015-11-10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Banding noise detector for digital images
WO2016154970A1 (zh) * 2015-04-01 2016-10-06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基于边缘检测的图像插值方法及系统
EP3418933A1 (de) * 2017-06-19 2018-12-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dge-gerät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dge-geräts
WO2019066704A1 (en) * 2017-09-26 2019-04-04 Dozero Tech Ab METHOD IN IMAGE COMPRESSION DEVICE AND IMAGE DECOMPRES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1022A (en) * 1983-08-11 1985-12-24 Eastman Kodak Company Image processing method based on processing of interrelated image gradients
US4642676A (en) * 1984-09-10 1987-02-10 Color Systems Technology, Inc. Priority masking techniques for video special effects
US4685071A (en) * 1985-03-18 1987-08-0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lor of a scene illuminant from a color image
US5093717A (en) * 1987-08-03 1992-03-03 American Fil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coloring images
US5008752A (en) * 1989-06-16 1991-04-16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image interpolator with multiple interpolation algorithms
JP3072776B2 (ja) * 1990-12-19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5475769A (en) * 1992-07-13 1995-12-12 Polaroi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image data through the use of a color test pattern
US5400135A (en) * 1993-06-08 1995-03-21 Nikon Corporation Automatic defect inspection apparatus for color filter
US6263101B1 (en) * 1995-09-01 2001-07-17 Cerulean Colorization Llc Filtering in picture colorization
US5754678A (en) * 1996-01-17 1998-05-19 Photon Dynamics, Inc. Substrate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0132809Y1 (ko) 1996-10-31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룸 램프
US5931960A (en) * 1997-10-31 1999-08-03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error diffusion values
JP3925588B2 (ja) * 1997-11-25 2007-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US6229578B1 (en) 1997-12-08 2001-05-08 Intel Corporation Edge-detection based noise removal algorithm
US6348929B1 (en) * 1998-01-16 2002-02-19 Intel Corporation Scaling algorithm and architecture for integer scaling in video
US6049338A (en) * 1998-04-01 2000-04-11 Hewlett-Packard Company Spatial filter for surface texture navigation
US6115092A (en) * 1999-09-15 2000-09-05 Rainbow Displays, Inc. Compensation for edge effects and cell gap variation in tiled flat-panel, liquid crystal displays
US6633297B2 (en) * 2000-08-18 2003-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ntialiased image using a merge buffer
US6901170B1 (en) * 2000-09-05 2005-05-31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EP1229734A1 (en) * 2001-01-31 2002-08-07 GRETAG IMAGING Trading AG Automatic colour defect correction
US6587592B2 (en) * 2001-11-16 2003-07-01 Adobe Systems Incorporated Generating replacement data values for an image region
US7212689B2 (en) * 2002-11-06 2007-05-01 D. Darian Muresan Fast edge directed polynomial interpol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85B1 (ko) * 2005-12-29 2007-11-16 엠텍비젼 주식회사 에지 향상과 노이즈 제거를 위한 컬러 보간 장치
KR100809346B1 (ko) 2006-07-03 200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엣지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869134B1 (ko) * 2006-10-18 2008-11-17 콴타 컴퓨터 인코포레이티드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KR20200084483A (ko) 2019-01-02 2020-07-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지검출회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44717E1 (en) 2014-01-21
US7366347B2 (en) 2008-04-29
KR100587143B1 (ko) 2006-06-08
US20050249417A1 (en)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717E1 (en) Edge detecting method
KR101292458B1 (ko) 모자이크 도메인에서의 이미지 개선
US81603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noise reduction using noise models
US81753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noise management for spatial processing in digital image/video capture systems
KR100809687B1 (ko) 영상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방법
JP526971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73041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8013914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noise suppression circuit
TWI542224B (zh) 影像訊號處理方法以及影像訊號處理裝置
US2008012395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n these apparatuses, and program allow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JP5474586B2 (ja) 画像処理装置
EP1394742A1 (en) Method for filtering the noise of a digital image sequence
KR100956228B1 (ko) 왜곡 영상 보정 기능을 갖는 영상처리 장치
JP4104495B2 (ja) データ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カメラ
US748982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direction of an edge in the vicinity of a pixel of interest and generating all color signals for each pixel by interpolation using color signals of a pixel of interest and its neighbor pixels,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causing the apparatus to perform the method
JP4679174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の画像処理装置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US818418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ith direction-dependent smoothing based on determined edge directions
JP200531196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889673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amera module
JP4380399B2 (ja) 撮像装置、ノイズリダクション装置およびノイズリダクショ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12809B1 (ko)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절 장치 및 자동 화이트 조절 방법
US8154627B2 (en) Imaging device
JP5535443B2 (ja) 画像処理装置
US11153467B2 (en) Image processing
JP2010093336A (ja) 撮像装置および補間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