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001A -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001A
KR20050105001A KR1020040030717A KR20040030717A KR20050105001A KR 20050105001 A KR20050105001 A KR 20050105001A KR 1020040030717 A KR1020040030717 A KR 1020040030717A KR 20040030717 A KR20040030717 A KR 20040030717A KR 20050105001 A KR20050105001 A KR 20050105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character
information
style
o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917B1 (ko
Inventor
김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917B1/ko
Priority to US11/086,421 priority patent/US20050243211A1/en
Publication of KR2005010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본 문자정보 표시방법은, 제1 문자정보의 문자스타일을 지정하는 단계, 지정된 문자스타일을 저장하는 단계, 제1 문자정보를 저장된 문자스타일에 맞게 생성하는 단계, 제2 문자정보를 저장된 문자스타일과 동일한 스타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제1 및 제2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 중 어느 하나의 스타일을 지정하면 그 지정된 스타일에 따라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를 표시함으로서, 양자를 동일한 스타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간에 일관성이 유지되어 미관상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caption and OSD in same sty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수신장치란 방송국에서 송신되는 방송신호을 선국하고, 이를 복조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방송수신장치의 예로서, TV, 셋탑박스(Set Top Box) 등이 있는데, 이하에서는 TV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V화면에는 수신된 방송프로그램 이외에도 디지털 클로즈드 캡션(Digital Closed Caption, 이하 '디지털 캡션'으로 약칭한다.)과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될 수 있다.
디지털 캡션이란 방송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인물의 대사나 배경음향 등을 TV화면에 자막으로 표시한 문자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디지털 캡션을 통하여 청각장애인들의 TV시청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캡션이 외국어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어학 학습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a에는 디지털 캡션이 표시된 TV화면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캡션(10)에는 TV화면상 등장인물의 대사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대화내용을 알 수 있다.
OSD란 TV자체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자정보를 말한다. 문자정보인 OSD를 통해 사용자는 TV의 동작환경이나 기타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OS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기능하기도 한다.
도 1b에는 TV에서 제공할 수 있는 OSD들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1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채널 OSD(21)와 현재시각 OSD(23)을 통해 채널, 현재시각을 알 수 있으며, 볼륨 OSD(25)를 참조하면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근래에는, 전술한 디지털 캡션을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호와 선호도가 고려되고 있다. 즉, 디지털 캡션에 표시되는 문자(이하, '디지털 캡션문자'로 약칭한다.)의 스타일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미국의 경우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ion) 규정에 의하면, 디지털 TV 제품군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디지털 캡션문자의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변경가능한 디지털 캡션문자의 스타일로서 디지털 캡션문자의 크기(Size), 글꼴(Font), 문자색(Foreground Color), 배경색(Background Color)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디지털 캡션문자의 스타일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변경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 캡션문자의 스타일이 변경되면 OSD에 표시되는 문자(이하, 'OSD문자'로 약칭한다.)의 스타일과 일치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의 스타일이 달라지게 되면, TV화면상에 표시되는 문자들간에 일관성이 없어지게 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다.
이 경우,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의 스타일을 동일하게 하려면, 사용자는 별도로 OSD문자의 스타일을 디지털 캡션문자와 동일하게 지정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만약 TV가 OSD문자 스타일의 변경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조차도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디지털 캡션문자의 스타일을 지정하면 그 지정된 스타일에 따라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를 표시함으로서, 양자를 동일한 스타일로 표시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정보 표시방법은, 제1 문자정보의 문자스타일을 지정하는 단계; 지정된 상기 문자스타일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자정보를 저장된 상기 문자스타일에 맞게 생성하는 단계; 제2 문자정보를 저장된 상기 문자스타일과 동일한 스타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문자정보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1 문자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문자정보는 디지털 캡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문자정보는 자체적으로 저장된 제2 문자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문자정보는 OSD(On Screen Display), 메뉴화면 및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스타일은 문자크기, 글꼴, 문자색 및 배경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문자정보 표시방법은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의 상기 문자스타일의 동일표시 및 별개표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동일표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를 동일한 상기 문자스타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별개표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를 별개의 상기 문자스타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스타일을 복수개 지정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복수의 문자스타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문자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제1 문자정보의 문자스타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제1 문자정보 및 제2 문자정보를 생성하는 문자생성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문자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자스타일에 맞게 생성되도록 상기 문자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문자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문자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문자생성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1 문자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문자정보를 생성하고, 자체적으로 저장된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문자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문자정보는 디지털 캡션이고, 상기 제2 문자정보는 OSD(On Screen Display), 메뉴화면 및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스타일은 문자크기, 글꼴, 문자색 및 배경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의 상기 문자스타일의 동일표시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가 동일한 상기 문자스타일로 생성되도록 상기 문자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의 상기 문자스타일의 별개표시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가 별개의 상기 문자스타일로 생성되도록 상기 문자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는 복수의 상기 문자스타일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문자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상기 문자스타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맞게 생성되도록 상기 문자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문자정보의 일 예인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는 안테나(110), 방송신호 수신부(120), 방송신호 분리부(130), 비디오신호 처리부(140), 캡션신호 처리부(150), 저장부(160), 제어부(170), 문자 생성부(180), 키입력부(190), 문자 조합부(200), 디스플레이 구동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구비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20)는 안테나(110)를 통해 유입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들 중 사용자가 키입력부(190)를 통해 선택한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복조한다. 방송신호 분리부(130)는 복조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 디지털 비디오신호 및 디지털 캡션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디지털 비디오신호와 디지털 캡션신호를 각각 비디오신호 처리부(140)와 캡션신호 처리부(150)로 전달한다.
비디오신호 처리부(140)는 전달받은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화면상에 표시가능도록 신호처리한다. 캡션신호 처리부(150)는 전달받은 디지털 캡션신호를 디지털 캡션문자열로 복호화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저장부(160)는 방송수신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특히, 저장부(160)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170)는 키입력부(19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방송수신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캡션신호 처리부(150)에서 전달받은 디지털 캡션문자열과 저장부(160)에서 독출한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캡션문자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문자 생성부(180)로 인가한다. 따라서, 생성된 디지털 캡션문자신호에는 디지털 캡션문자와 그 스타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제어부(170)는 키입력부(190)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한 결과 OSD 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OSD문자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문자 생성부(180)로 인가한다. OSD문자신호에는 OSD문자와 그 스타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170)는 OSD문자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저장부(160)에 저장된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 정보를 참작한다. 이는 OSD문자가 디지털 캡션문자의 스타일과 동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문자 생성부(180)는 제어부(170)로부터 인가받은 디지털 캡션문자신호와 OSD문자신호에 대응되는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를 생성한다.
키입력부(19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이다. 키입력부(190)는 방송수신장치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밖에도, 키입력부(190)는 리모콘과 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로 구현할 수도 있다.
문자 조합부(200)는 비디오신호 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에 문자 생성부(180)에서 생성된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가 조합되도록 신호처리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210)는 문자 조합부(200)의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2의 방송수신장치가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를 동일한 스타일로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문자정보의 일 예인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을 지정하면(S310), 제어부(160)는 지정된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320).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을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메뉴화면을 도 4에 도시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지털 캡션문자의 크기(Size), 글꼴(Font), 문자색(Foreground Color), 배경색(Background Color)을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크기에는 'Small', 'Standard', 'Large'가 있고, 글꼴에는 'Italic type', 'Gothic type' 등이 있으며, 문자색과 배경색에는 'White', 'Black', 'Red', 'Green', 'Blue' 등이 있다.
이후에, 디지털 캡션신호를 수신하면(S330), S310단계에서 지정된 스타일에 맞게 디지털 캡션문자를 생성한다(S340).
디지털 캡션신호는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되어져 있으므로, 방송신호 수신부(120)에서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시에 수신된다. 그리고, 디지털 캡션신호는 방송신호 분리부(130)에서 디지털 방송신호로부터 분리되고, 디지털 캡션신호 처리부(150)에서 디지털 캡션문자열로 복호화된다. 복호화된 디지털 캡션문자열은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제어부(170)는 전달받은 디지털 캡션문자열과 저장부(160)에서 독출한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캡션문자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디지털 캡션문자신호에는 디지털 캡션문자와 그 스타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생성된 디지털 캡션문자신호는 문자 생성부(180)로 인가된다.
문자 생성부(180)는 인가받은 디지털 캡션문자신호에 대응되는 디지털 캡션문자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문자 생성부(180)는 저장하고 있는 문자들 중 해당 글꼴의 문자를 독출하여, 문자크기, 문자색, 배경색을 조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캡션문자는 문자 조합부(200)로 인가된다.
또한, OSD 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S350), S310단계에서 지정된 디지털 캡션문자와 동일한 스타일의 OSD문자를 생성한다(S360).
OSD 표시가 필요한 경우는, 사용자의 키입력부(190) 조작에 대한 응답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채널변경 조작의 경우는 변경된 채널번호를 OSD로 표시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시각 표시요청 조작의 경우는 현재시각을 OSD로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볼륨조절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나, 경고메세지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OSD 표시가 필요하다.
제어부(170)는 표시하고자 하는 OSD문자와 그 스타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OSD문자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문자 생성부(180)로 인가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OSD문자 스타일을 저장부(160)에 저장된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따라서, OSD문자신호에 기초하여 문자 생성부(180)에서 생성된 OSD문자는 디지털 캡션문자와 동일한 스타일이 된다. 생성된 OSD문자는 문자 조합부(200)로 인가된다.
그리고, S340단계와 S360단계에서 생성된 문자들을 비디오신호에 조합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370).
이를 위해, 문자 조합부(200)는 비디오신호 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에 문자 생성부(180)에서 생성된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가 조합되도록 신호처리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동부(210)는 문자 조합부(200)의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을 지정하면, 디지털 캡션문자 뿐만 아니라 OSD문자도 지정된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에 따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OSD문자를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로 표시할지 여부가 선택가능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OSD문자 스타일을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과 동일하게 하거나,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OSD문자 스타일을 지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메뉴화면을 이용한다. 사용자가 제공되는 메뉴화면을 통해 OSD문자 스타일(크기, 글꼴, 문자색, 배경색)을 지정하면, 제어부(160)는 지정된 OSD문자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그러면, 저장부(160)에는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 정보 외에 OSD문자 스타일 정보도 저장되게 된다. 제어부(170)가 디지털 캡션문자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는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 정보를 참조하게 되고, OSD문자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는 OSD문자 스타일 정보를 참조하게 되므로, 양자의 스타일이 다를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메뉴들 중 'Equal To Caption Style'를 선택하면, OSD문자는 디지털 캡션문자의 스타일과 동일해진다. 이렇게 되면,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OSD문자와 디지털 캡션문자를 동일 또는 다른 스타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을 지정하면, 그에 따라 OSD문자도 동일한 스타일로 자동지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로 OSD문자 스타일을 지정하면, 그에 따라 디지털 캡션문자도 동일한 스타일로 자동지정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하나의 방송수신장치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들의 기호를 존중하는 차원에서, 각 사용자마다 별개로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의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사용자가 지정한 스타일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스타일 정보들 중 자신이 지정한 스타일을 선택하면, 그 스타일에 따라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가 표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디지털 캡션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되는 문자정보로서 OSD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OSD 이외에도 TV 메뉴화면이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과 같은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방송수신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문자정보라면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문자스타일로서 크기, 글꼴, 문자색, 배경색 등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문자의 기울기, 자간, 장평, 간격, 음영 등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문자스타일의 범위에는 제한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 중 어느 하나의 스타일을 지정하면 그 지정된 스타일에 따라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를 표시함으로서, 양자를 동일한 스타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간에 일관성이 유지되어 미관상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캡션문자와 OSD문자의 스타일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별도로 양자의 스타일을 동일하게 지정하여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a는 디지털 캡션이 표시된 TV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OSD가 표시된 TV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디지털 캡션문자 스타일을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메뉴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OSD문자 스타일을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메뉴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0 : 캡션신호 처리부 160 : 저장부
170 : 제어부 180 : 문자 생성부
200 : 문자 조합부

Claims (14)

  1. 제1 문자정보의 문자스타일을 지정하는 단계;
    지정된 상기 문자스타일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자정보를 저장된 상기 문자스타일에 맞게 생성하는 단계;
    제2 문자정보를 저장된 상기 문자스타일과 동일한 스타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 표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정보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1 문자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 표시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정보는 디지털 캡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 표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정보는 자체적으로 저장된 제2 문자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 표시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정보는 OSD(On Screen Display), 메뉴화면 및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 표시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스타일은 문자크기, 글꼴, 문자색 및 배경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 표시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의 상기 문자스타일의 동일표시 및 별개표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동일표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를 동일한 상기 문자스타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별개표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를 별개의 상기 문자스타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 표시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스타일을 복수개 지정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복수의 문자스타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문자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 표시방법.
  9. 제1 문자정보의 문자스타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제1 문자정보 및 제2 문자정보를 생성하는 문자생성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문자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자스타일에 맞게 생성되도록 상기 문자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문자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문자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생성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1 문자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문자정보를 생성하고, 자체적으로 저장된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문자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정보는 디지털 캡션이고, 상기 제2 문자정보는 OSD(On Screen Display), 메뉴화면 및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스타일은 문자크기, 글꼴, 문자색 및 배경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의 상기 문자스타일의 동일표시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가 동일한 상기 문자스타일로 생성되도록 상기 문자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의 상기 문자스타일의 별개표시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문자정보와 상기 제2 문자정보가 별개의 상기 문자스타일로 생성되도록 상기 문자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 표시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복수의 상기 문자스타일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문자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상기 문자스타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맞게 생성되도록 상기 문자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KR1020040030717A 2004-04-30 2004-04-30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 KR10108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717A KR101085917B1 (ko) 2004-04-30 2004-04-30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
US11/086,421 US20050243211A1 (en) 2004-04-30 2005-03-23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o display a digital caption and an OSD in the same text sty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717A KR101085917B1 (ko) 2004-04-30 2004-04-30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001A true KR20050105001A (ko) 2005-11-03
KR101085917B1 KR101085917B1 (ko) 2011-11-23

Family

ID=3518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717A KR101085917B1 (ko) 2004-04-30 2004-04-30 디지털 캡션과 osd를 동일한 스타일의 문자로 표시할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243211A1 (ko)
KR (1) KR101085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7893A1 (en) * 2008-06-24 2009-12-3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redisplaying text
US20090327876A1 (en) * 2008-06-25 2009-12-31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ramework with embedded text formatting
KR101237472B1 (ko) * 2011-12-30 201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157094B2 (ja) * 2012-11-21 2017-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設定装置、通信方法、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61274B2 (en) * 2013-05-31 2018-05-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system,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5163555A1 (ko) * 2014-04-22 2015-10-29 주식회사 뱁션 자막 삽입 시스템 및 방법
KR101564659B1 (ko) 2014-04-22 2015-10-30 주식회사 뱁션 효과음을 이용한 자막 삽입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3453A1 (en) * 2000-12-27 2002-06-27 Menez Benoit Pol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language of on-screen displays and audio programs
US20030169369A1 (en) * 2002-03-05 2003-09-11 Michael Kahn Consumer video cap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917B1 (ko) 2011-11-23
US20050243211A1 (en)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9230B1 (en)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stream according to a customised format
US695658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526345B1 (ko) 클로즈드 캡션의 옵션 운용방법
US86130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message on a screen of a television
US20050243211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o display a digital caption and an OSD in the same text style and method thereof
JP2007511159A (ja) 周囲のビデオコンテンツに基づくクローズキャプション・テキストの適合
US20100225807A1 (en) Closed-Captioning System and Method
JP5156861B2 (ja) 表示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10001725A (ko) 자막 그래픽 신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0311484B1 (ko) 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강조장치와 방법
JP2008032947A (ja) デジタル情報表示装置
JP4412956B2 (ja) 映像表示装置
JPH0946657A (ja) 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装置
JP2007028485A (ja) テレビ受信装置
JP3311834B2 (ja) 字幕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3912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색상 및모양 변환방법
KR20000036279A (ko) 자막 재표시 기능을 갖는 자막 디코더
KR018189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부가정보 전송방법 및 아이콘 표시방법
KR20080105888A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KR2005005644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731357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1006182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KR0126432B1 (ko) 캡션 방송 안내장치
KR100200131B1 (ko) 텔레비전의 osd일체화장치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