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697A -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697A
KR20050104697A KR1020040030073A KR20040030073A KR20050104697A KR 20050104697 A KR20050104697 A KR 20050104697A KR 1020040030073 A KR1020040030073 A KR 1020040030073A KR 20040030073 A KR20040030073 A KR 20040030073A KR 20050104697 A KR20050104697 A KR 20050104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acklight unit
mechanisms
lamp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319B1 (ko
Inventor
정인석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319B1/ko
Priority to TW094112700A priority patent/TWI294545B/zh
Priority to DE102005019279A priority patent/DE102005019279B4/de
Priority to US11/114,134 priority patent/US7246934B2/en
Priority to CNB2005100665129A priority patent/CN100378528C/zh
Priority to JP2005130755A priority patent/JP4219910B2/ja
Publication of KR20050104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극의 길이를 증가시켜서 고효율을 얻을 수 있고,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램프 기구물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일렬로 배열되고, 관 외부 양단에 전극이 구비된 복수개의 발광램프들; 상기 발광램프의 길이에 맞게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다수의 발광 램프들 양단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며,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중 경사 구조를 갖는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및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은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주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보조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전극의 길이를 증가시켜서 고효율을 얻을 수 있고,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시장치들 중의 하나인 CRT(Cathode Ray Tube)는 TV를 비롯해서 계측기기, 정보 단말기기 등의 모니터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CRT의 자체 무게와 크기로 인해 전자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각종 전자제품의 소형, 경량화되는 추세에서 CRT는 무게나 크기등에 있어서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으로 전계 광학적인 효과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가스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표시소자(PDP :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 발광 효과를 이용한 EL 표시소자(ELD :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액정표시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CRT를 대체하기 위해서 소형,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 등의 장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어 왔고, 최근에는 평판 표시장치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발되어 랩탑형 컴퓨터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형 컴퓨터의 모니터 및 대형 정보 표시장치등에 사용되고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대부분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수광성 장치이기 때문에 LCD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 즉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이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백 라이트는 원통형의 발광 램프를 배치하는 방식으로서, 에지방식과 직하 방식으로 구분된다.
먼저, 에지방식은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의 측면에 램프 유닛이 설치되는 것으로써, 램프 유닛은 빛을 발산하는 램프, 램프의 양단에 삽입되어 램프를 보호하는 램프 홀더 및 램프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측면이 도광판의 측면에 끼워져 램프에서 발산된 빛을 도광판 쪽으로 반사시켜 주는 램프 반사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도광판의 측면에 램프 유닛이 설치되는 에지방식은 주로 랩탑형 컴퓨터 및 데스크탑형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빛의 균일성이 좋고, 내구 수명이 길며,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한편, 직하방식은 액정표시장치의 크기가 20인치 이상으로 대형화되기 시작하면서 중점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으로, 확산판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램프를 일렬로 배열시켜 LCD 패널의 전면으로 빛을 직접 조광하는 것이다.
이러한, 직하방식은 에지방식에 비해 광의 이용 효율이 높기 때문에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화면 액정표시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직하방식이 채택된 액정표시장치의 경우는 대형 모니터나 텔레비전등으로 사용되어 랩탑형 컴퓨터에 비해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램프의 개수도 많기 때문에 에지방식의 액정표시장치보다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 램프의 고장 및 수명이 다하여 점등이 되지 않는 램프가 나타날 가능성이 더 많아졌다.
또한, 도광판의 폭방향 양측면에 램프 유닛이 설치되는 에지방식의 경우 램프의 수명 및 고장으로 인해 예를 들어, 한 개의 램프가 점등되지 않을 경우 화면상의 휘도만 저하될 뿐 별무리는 없다. 그러나 직하방식에서는 화면 밑면에 램프들이 복수개 설치되기 때문에 램프의 수명 및 고장으로 인해 예를 들어, 한 개의 램프가 점등되지 않을 경우 램프가 점등되지 않은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현저하게 어두워지므로 램프가 점등되지 않는 부분이 화면상에 곧바로 나타나게 된다.
이로 인해,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램프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므로,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램프 유닛을 분해하고 조립하는데 용이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상,하부 기구물의 구조를 변경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예들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외부의 양단에 외부 전극(32a, 32b)을 갖고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발광 램프(31)들; 상기 발광 램프(31)의 길이에 맞게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일면에 상기 다수의 발광 램프들(31)의 양단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홈(45)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하부 기구물(41a, 41b); 상기 제 1 및 제 2 하부 기구물(41a, 41b)과 함께 상기 발광 램프(31)를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부 기구물(41a, 41b)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동일한 홈(45)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상부 기구물(43a, 43b); 제 1, 제 2 하부 기구물(41a, 41b) 및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43a, 43b)의 홈(45)이 형성된 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발광 램프(31)에 전원을 인가하는 도전층(47a, 47b, 47c, 47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45)은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41a,41b)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43a,43b)의 결합시 기구물의 바깥쪽에서 볼 때 발광램프의 말단이 보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발광램프(31)의 외관 형상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고,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41a,41b)이 발괄 램프(31) 직경의 절반을 수용하고, 제 1, 제 2 상부 기구물(43a,43b)이 나머지 절반을 수용한다.
상기 도전층(47a, 47b, 47c, 및 47d)은 상기 각 기구물의 길이 방향으로 홈(45)이 형성된 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41a, 41b)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43a, 43b)은 하면에서 상면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43a,43b)의 상측에는 액정 패널의 표시면에 균일한 광원 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발광 램프(31)에서 발광된 광을 산란시키는 확산 플레이트(Diffusion plate)(100a) 및 확산 시트(Diffusion sheet)(100b, 100c)와 같은 광 산란수단이 더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제 2 하부 기구물(41a, 41b)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43a, 43b)을 하면에서 상면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종래의 다른 기술예들 및 그에 따른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야각 내에서의 측면 어두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외부 전극(32a, 32b)의 길이("a")를 발광 램프(31)를 지지하는 상기 제 1, 제 2 상,하부 기구물(43a, 43b)의 폭에 해당하는 베젤(bezel)의 폭과 거의 일치하게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전극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램프의 관전압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관전압을 900Vrms 이하로 제어할 경우에는 램프의 밝기가 줄어들어서 광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외부 전극(32a, 32b)의 길이가 짧음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발광 램프(31)의 외부 전극(32a, 32b)의 길이를 발광면 내부로 연장하여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발광 램프(31)의 양단을 지지하는 베젤(bezel)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유효 발광영역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측면 시야각 내에서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의 일측 상부 모서리 부분에서 빛이 반사되지 않는 무반사면이 보이게 되므로 측면에 어두운 부분이 나타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의 일측 상부 모서리 부분에서 빛이 반사되지 않는 무반사면이 보이는 문제 및 외부전극의 길이를 길게하여 관전압이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반사면의 각도(θ1)를 30 ~ 50°로 크게 하여 외부전극의 길이를 연장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반사면의 각도(θ1)를 22°이상으로 형성하면 발광 램프(31)에서의 빛이 반사면에 반사되지 않아 측면이 전체적으로 어두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외부 전극의 길이를 증가시켜서 고효율을 얻을 수 있고,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램프 기구물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일렬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램프들; 상기 발광램프들 양단을 수용하는 홈이 구비되어 있고,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중 경사 구조로 형성된 기구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구물은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상, 하부 기구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구물은 주경사면과 보조 경사면의 이중 경사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경사면과 보조 경사면은 상기 발광램프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주반사면과 보조 반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경사면은 경사각이 법선을 기준으로 2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경사면은 상기 기구물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 램프는 관 양단 외부에 전극이 구비된 외부전극 발광 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일렬로 배열되고, 관 외부 양단에 전극이 구비된 복수개의 발광램프들; 상기 발광램프의 길이에 맞게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다수의 발광 램프들 양단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며,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중 경사 구조를 갖는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및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은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주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보조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경사면은 법선을 기준으로 22°이하의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및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의 홈이 형성된 면에 각각 도전층들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의 하면에는 반사판이 더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의 상측에 광산란수단을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의 단위 발광 모듈은 유효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으로 나뉘어지는데, 비발광영역은 휘도가 램프 중심부 휘도의 1/2이하로 떨어지는 영역으로, 이러한 비발광영역은 유효발광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휘도를 떨어뜨리게 되므로, 비발광영역의 단축은 램프 효율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 비발광 영역은 발광 램프를 지지하는 기구물의 폭에 해당하는 베젤(bezel)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베젤(bezel) 폭을 좁게할 수록 비발광영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최근 LCD TV용 백라이트 유닛은 비용 절감을 위해 외부전극 발광램프(EEFL)를 사용하는 추세인데, 이와 같이 EEFL을 사용할 경우 고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외부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베젤(bezel)을 슬림화하는 추세이므로 필요한 만큼의 외부 전극의 길이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외부전극의 길이를 증가시켜서 램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램프 지지 기구물을 이중 경사 구조로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8은 주반사면 및 보조 반사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반사 경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외부의 양단에 외부 전극(132a, 132b)을 갖고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발광 램프(131)들; 상기 발광 램프(131)의 길이에 맞게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일면에 상기 다수의 발광 램프들(131)의 양단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홈(145)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 상기 제 1 및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과 함께 상기 발광 램프(131)를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과 동일한 간격으로 홈(145)이 배치된 제 1 및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 및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의 홈(145)이 형성된 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발광 램프(131)에 전원을 인가하는 도전층(147a, 147b, 147c, 147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은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주경사면(1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는 보조 경사면(171)이 형성되어 있는 이중 경사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의 주경사면(170)은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을 상부로 반사시키는 주반사면을 이루고,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의 상부 모서리 부분의 보조 경사면(171)은 보조 반사면을 이룬다.
상기에서 램프의 관전압을 낮추기 위해서 발광 램프(131)의 외부 전극(132a, 132b) 길이를 발광면 내로 연장시켜서 구성하였고, 이에 의해서 제 1,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의 주경사면(170)이 백라이트 유닛 내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주경사면(170)은 반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법선을 기준으로 경사각(θ2)을 22°이하로 제한시켜서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서 시야각 한도내에서 화면 어두움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보조 반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측면에서는 일정량의 빛이 확산 플레이트(200a)면에 반사되고 그 빛이 보조 반사면에 반사되면서 빛이 보조 반사면과 확산 플레이트(200a) 사이의 홈으로 침투하게 되어 무반사면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서 전체 화면에서 어두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상기 구성중 홈(145)은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의 결합시 기구물의 바깥쪽에서 볼 때 발광램프(131)의 말단이 보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고, 발광램프(131)의 외관 형상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며,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이 발광 램프(131) 직경의 절반을 수용하고,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143b)이 나머지 절반을 수용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은 결합시 기구물의 바깥쪽에서 볼 때 발광램프(131)의 말단이 보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전층(147a, 147b, 147c, 및 147d)은 상기 각 기구물의 홈(145)이 형성된 면에 형성되는데, 기구물의 길이 방향으로 홈을 파서 그 홈에 도전성 물질이 매립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매립하지 않고 상기 홈이 형성된 면에 도전성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발광 램프(131)는 양단에 전극이 형성된 외부전극 발광 램프이므로, 상기 도전층(147a, 147b, 147c, 및 147d)은 전원 연결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143a, 143b)의 상측에는 액정 패널의 표시면에 균일한 광원 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발광 램프(131)에서 발광된 광을 산란시키는 확산 플레이트(Diffusion plate)(200a) 및 확산 시트(Diffusion sheet)(200b, 200c)와 같은 광 산란수단이 더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제 2 하부 기구물(141a, 141b)의 하면에는 발광 램프(131)에서 발생된 광이 액정패널의 표시부로 집중 조사되어 광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반사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로부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를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미 또는 전방에서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자체로서의 발광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광 램프의 외부 전극의 길이를 증가시켜서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으므로 램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램프를 지지하는 기구물 상부 가장자리에 보조 반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시야각 내에서의 측면 어두움을 개선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대면적의 광원으로서의 제작이 용이하여 대면적의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로서 적극 대응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상,하부 기구물의 구조를 변경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예들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주반사면 및 보조 반사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반사 경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1 : 발광램프 132a,132b : 외부전극
141a, 141b :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143a, 143b : 제 1, 제 2 상부 기구물
145 : 홈 147a, 147b,147c, 47d : 도전층
170 : 주경사면 171 : 보조 반사면
200a : 확산 플레이트
200b, 200c : 확산 시트

Claims (13)

  1. 일렬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램프들;
    상기 발광램프들 양단을 수용하는 홈이 구비되어 있고,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중 경사 구조로 형성된 기구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물은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상, 하부 기구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물은 주경사면과 보조 경사면의 이중 경사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경사면은 경사각이 법선을 기준으로 2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경사면은 상기 기구물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램프는 관 양단 외부에 전극이 구비된 외부전극 발광 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경사면과 보조 경사면은 상기 발광램프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주반사면과 보조 반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관 외부 양단에 전극이 구비된 복수개의 발광램프들;
    상기 발광램프의 길이에 맞게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다수의 발광 램프들 양단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며,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중 경사 구조를 갖는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및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과,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은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주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보조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경사면은 법선을 기준으로 22°이하의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 및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의 홈이 형성된 면에 각각 도전층들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하부 기구물의 하면에는 반사판이 더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상부 기구물의 상측에 광산란수단을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040030073A 2004-04-29 2004-04-29 백라이트 유닛 KR101002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073A KR101002319B1 (ko) 2004-04-29 2004-04-29 백라이트 유닛
TW094112700A TWI294545B (en) 2004-04-29 2005-04-21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E102005019279A DE102005019279B4 (de) 2004-04-29 2005-04-26 Hintergrundbeleuchtungseinheit und LCD mit einer solchen
US11/114,134 US7246934B2 (en) 2004-04-29 2005-04-26 Backlight unit
CNB2005100665129A CN100378528C (zh) 2004-04-29 2005-04-27 背光单元
JP2005130755A JP4219910B2 (ja) 2004-04-29 2005-04-28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073A KR101002319B1 (ko) 2004-04-29 2004-04-29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697A true KR20050104697A (ko) 2005-11-03
KR101002319B1 KR101002319B1 (ko) 2010-12-17

Family

ID=3518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073A KR101002319B1 (ko) 2004-04-29 2004-04-29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46934B2 (ko)
JP (1) JP4219910B2 (ko)
KR (1) KR101002319B1 (ko)
CN (1) CN100378528C (ko)
DE (1) DE102005019279B4 (ko)
TW (1) TWI2945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0299B2 (ja) * 2005-02-01 2010-06-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装置
WO2007060566A1 (en) * 2005-11-22 2007-05-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llumination system for illuminating display devices, and display device
CN100445840C (zh) * 2005-11-26 2008-1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灯箱及背光模组
US7592750B2 (en) 2006-01-27 2009-09-22 Au Optronics Corporation Fluorescent lamp with external electrodes
DE102006037917A1 (de) * 2006-08-11 2008-02-21 Richardson Electronics Gmbh Flachbildschirme
DE102006048934A1 (de) * 2006-10-17 2008-05-08 Schott Ag Beleuchtungssystem
JP5090752B2 (ja) * 2007-02-22 2012-12-05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009246B2 (en) * 2007-06-01 2011-08-30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reflecting portions for reflecting light beams and focusing them on circumferences of electrode portions of linear light sources
TWI361308B (en) * 2007-06-21 2012-04-01 Chimei Innolux Corp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836036A (zh) * 2007-08-09 2010-09-15 Nec照明株式会社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009A (ja) * 1999-11-26 2001-06-05 Kansai Paint Co Ltd 車両用蛍光照明装置
JP2002311418A (ja) * 2001-04-17 2002-10-23 Nec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2372933A (ja) * 2001-06-15 2002-12-26 Koichi Matsui 直下型照明装置
KR100778841B1 (ko) * 2001-11-05 2007-11-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직하형 백 라이트
KR100413494B1 (ko) * 2001-11-05 2004-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직하형 백 라이트
JP2003249101A (ja) * 2002-02-25 2003-09-05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直下型バックライト及び拡散板
KR100442297B1 (ko) * 2002-06-14 2004-07-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KR100883091B1 (ko) * 2002-06-28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몰드 프레임과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장치
CN1256616C (zh) * 2002-07-05 2006-05-17 Nec液晶技术株式会社 液晶显示器件
KR100918280B1 (ko) * 2003-02-17 2009-09-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19279B4 (de) 2012-02-02
US7246934B2 (en) 2007-07-24
US20050243554A1 (en) 2005-11-03
CN100378528C (zh) 2008-04-02
TWI294545B (en) 2008-03-11
JP2005317547A (ja) 2005-11-10
CN1693964A (zh) 2005-11-09
JP4219910B2 (ja) 2009-02-04
TW200540530A (en) 2005-12-16
DE102005019279A1 (de) 2005-11-24
KR101002319B1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297B1 (ko) 백라이트
KR100434331B1 (ko) 백 라이트
US6939020B2 (en) Back 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4219910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62384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201309B1 (ko) 백라이트 유닛
KR20030038970A (ko) 직하형 백 라이트
KR20050112904A (ko) 백라이트 유닛
KR101068385B1 (ko)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전극판 구조
US7771072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658525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CD having the same
KR101264677B1 (ko) 발광 램프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20060001423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100880219B1 (ko) 백 라이트
KR101212147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0909050B1 (ko) 외부전극 형광램프
KR101107716B1 (ko) 백라이트 유닛
KR20060010545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70044663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8004927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95349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50097134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50067935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30076878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KR20050055401A (ko)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