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137A -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137A
KR20050104137A KR1020040029445A KR20040029445A KR20050104137A KR 20050104137 A KR20050104137 A KR 20050104137A KR 1020040029445 A KR1020040029445 A KR 1020040029445A KR 20040029445 A KR20040029445 A KR 20040029445A KR 20050104137 A KR20050104137 A KR 20050104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situation mushroom
extract
germinated
reproductive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4002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4137A/ko
Publication of KR20050104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1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3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coated with a l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식용 건강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코팅하여 발아한 현미를 생식원료 등과 분쇄 및 혼합하여 면역력 증강, 항암 효과 및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을 활성화시키는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 건강식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생식용 건강식품은 흡수시간이 길어지기도 하고 흡수율이 낮은데다 영양성분의 함유량이 적어 한 끼 식사대용으로 사용하기에 에너지가 다소 부족하고 건강의 유지, 증진이라는 개념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영양 성분을 첨가하더라도 균일한 혼합의 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면역력 증강, 항암 효과 및 신진대사 효소 활성 효과가 있는 상황버섯 추출액을 칼슘, 비타민이 풍부하여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유용한 발아현미에 코팅한 생식을 제조함으로써 식사대용으로 섭취하기에 부족함이 없고, 분말화된 상태로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 차원에서 현대인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며, 상황버섯추출액을 우선 현미에 코팅한 후에 첨가함으로써 하나의 생식제품당 상황버섯추출액의 함유량이 일정하게 생식용 건강식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Saengsik containing of germinant brown rice coated with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engsik}
본 발명은 생식용 건강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코팅하여 발아한 현미를 각종 생식원료와 분쇄 및 혼합하여 면역력 증강, 항암 효과 및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을 활성화시키는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 건강식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황버섯은 소나무 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며 주로 뽕나무(Moraceae)와 활엽수의 줄기에 기생한다. 전체가 목질화되어 있는 편구형 또는 말굽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갈색, 암회갈색 또는 흑색을 띤다. 간혹, 우리나라에서 야생되는 것을 드물게 볼 수 있는데, 강원도 홍천, 강릉, 정선등지에서 드물게 채취할 수 있다. 야생되는 버섯은 3~4년 동안 영년으로 생장되며 갓의 두께가 두꺼운 것일수록 좋다.
상황버섯의 효능은 인체의 면역기능을 강화하며 혈압과 혈당치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생체 항상성(恒常性)을 조절하는 동시에 생체리듬을 조절, 빠른 질병회복 기능, 기타 성인병을 방지하는 것이며 그 외에도 버섯에는 탈콜레스테롤, 고지방혈장개선, 혈관 속에서 일어나는 혈액응고의 방지, 혈당 강하, 각종 피부병 치료, 노인성 치매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 수술 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킨다.
특히 담자균 중 월등히 항암력을 지닌 것이 상황인데 일본 국립암연구센터의 1998년 발표에 의하면 종양 저지율이 96.7%로서 가장 강력한 항암력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상황버섯은 일반적인 화학 항암 치료제와는 달리 정상세포에는 독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인체의 면역 기능을 활성, 강화시켜 인체의 면역 능력을 향상 시킨다. 이 때문에 상황버섯을 이용한 식이요법을 병원치료와 병행하면 치료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최근에는 예방의학 차원에서 상황버섯을 복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평상시 복용함으로써 인체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상황버섯의 효능이 주목받게 된 것은 그 속에 함유된 다당류 베타글루칸(β-glucan)때문이다. 베타글루칸은 효모, 젖산균, 곰팡이 등의 세포벽 성분이며, 버섯과 식물 등의 구성성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베타글루칸은 인간의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활성 베타글루칸은 암세포가 있는 체내로 들어가 사이토카인(Cytokine)을 생산시킴으로써 면역 세포인 T세포와 B세포의 활동을 지원하여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 시켜준다. 또한 베타글루칸 섭취가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간의 지질침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치료에 응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생식과 함께 복용 시 배변 작용이 매우 좋아진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버섯을 이용한 예로서 한국특허공보 2003-0086174호의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현대인의 성인병은 생활습관병이라고 불릴 정도로 일상생활에서 연유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도 잘못된 식생활은 성인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올바른 식생활을 해나가는 것은 성인병 예방과 치료의 제1단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다각도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로서 건강식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예로서 다양한 생식용 건강식품이 판매되고 있다. 생식은 곡류, 야채류, 과일류, 해조류, 버섯류 등의 식물성 원료를 열처리하지 않고 냉동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생식용 건강식품은 원천이 되는 씨눈이 그대로 붙어 있으며, 식물체에 존재하는 효소도 활성을 유지하고 있어서 영양소의 대사 작용을 도와 흡수율을 높여 준다. 또한 엽록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피를 맑게 하고 노폐물을 배출시켜 주며 세포의 재생을 돕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열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열에 의해 쉬운 비타민과 무기질, 기타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게 존재한다.
생식의 성분 중 특히 발아현미는 발아작용에 의해 외피의 섬유질이 연화된 상태의 현미를 말하는데 약간만 씹어도 백미처럼 부드럽고 단맛이 나며 품질도 더욱 좋다. 발아현미는 또한 칼슘과 비타민B군의 함유량이 현미보다 높고 자정작용이 커 일반적인 건강효과 뿐만 아니라 체질개선에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아현미는 소화를 용이하게 해주고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하며 농약이나 중금속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을 해독화시키고, 혈압조절과 자율신경 정상화에 도움이 되는 감미오리자놀은 3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건강식품들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황버섯을 코팅한 쌀(한국특허공보 2003-0086174호)의 경우 성분 분해가 불완전하고 소화 흡수가 잘 되지 않으며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83.2kg으로 2002년 87.0kg에 비해 3.8(-4.4%) 감소한 점으로 미루어 바쁜 현대인의 생활에서 쌀의 소비가 감소하는 만큼 대체 건강식품의 필요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생식의 경우는 소화 흡수되는 시간이 길어지기도 하고 흡수율이 낮은데다 영양성분의 함유량이 적어 한 끼 식사대용으로 사용하기에 에너지가 다소 부족하고 건강의 유지뿐만이 아니라 질병의 치료라는 개념에서 활용하기 어려우며, 영양 성분을 첨가하더라도 균일한 혼합의 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버섯의 베타글루칸을 고농도로 추출하여 현미에 코팅하여 발아한 것을 분쇄한 후, 생식에 혼합함으로써 유효성분인 베타글루칸을 최대한 보호하고, 생식에 포함된 베타글루칸을 일상생활에서 섭취함으로써 면역력 증강, 항암 효과 및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에너지의 생성을 증가시켜 활력을 줌으로써 식사대용으로 섭취하기에 부족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분말화된 상태로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어 질병 치료의 개념이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 차원에서 현대인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으며, 상황버섯추출액을 우선 현미에 코팅한 후에 첨가함으로써 하나의 생식제품당 상황버섯추출액의 함유량이 일정하게 생식용 건강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 건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식용 건강식품은, 효소 처리한 상황버섯 균사체 및 자실체를 가압고농축기에서 물로 추출하여 탈염 및 농축한 농축액을 현미에 코팅하여 발아시킨 것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생식의 원료인 곡물류, 채소류, 버섯, 해조류 등과 혼합한 생식용 건강식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황버섯의 세포 조직을 연화시키기 위하여 40~50℃에서 cellulase효소로 처리하는 S1과;
상기 S1에서 효소 처리한 상황버섯을 1.2~2atm의 압력하에서 200~300분간 추출기에서 추출하는 S2와;
상기 S2에서 상황버섯의 추출액을 1차로 탈염 및 농축하고 다시 2차로 농축하는 S3와;
상기 S3에서 상황버섯의 농축액을 현미에 코팅하는 S4와;
상기 S4에서 코팅한 현미를 10~40℃의 온수에서 발아시키는 S5와;
상기 S5에서 발아한 현미를 산성수 및 알칼리수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S6과;
상기 S6에서 살균한 현미를 건조 및 소분하는 S7과;
상기 S7에서 건조 및 소분한 발아현미를 곡류,과일류,야채류,버섯류,해조류를 포함하는 생식의 원료와 혼합시키는 S8과;
상기 S8에서 혼합물을 충전 및 포장하는 S9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의 효소처리 방법은 상황버섯의 균사체의 배양과 자실체의 채취 및 cellulase 효소 처리 과정으로 구성된다.(S1)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황버섯의 균사체의 배양은 액체배양법과 고체 배양법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액체배양법은 양분의 접촉이 균일하고 부족하기 쉬운 산소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용액상에서 한천배지와 버섯균의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해주어야 하며, 고체배양법은 배양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특수배지를 사용하여 균을 자연 상태의 최적 조건에서 배양한다. 또한 자실체는 자연 상태의 것을 채취하거나 원목배지 또는 톱밥배지에서 배양한 것 중 선택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배양된 상황버섯 균사체 및 자실체는 40~50℃에서 균체내에 존재하는 cellulose를 분해하는 효소인 cellulase 효소로 3~6시간 처리하여 상황버섯 균사체및 자실체의 세포 조직을 연화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S1에서 효소 처리한 상황버섯을 추출하는 과정은 가압농축에 의한 추출 과정과 필터플레이트를 통과시키는 여과 과정으로 구성된다.(S2)
상기 S1에서 효소 처리한 버섯의 균사체 및 자실체를 시료로 하여 분쇄기를 이용, 미세한 분말로 조제하고 멸균증류수와 1:9~1:11(%)가 되도록 혼합한 후에 1.2~2atm의 압력 하에서 200~300분간 가압 농축시켜 추출액을 얻는다. 추출이 완료된 엑기스 중에 들어있는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온에서 서서히 식히면서 상등액 부분만을 취하여 옮기고, 필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한 엑기스를 얻어낸다.
상기의 추출액을 필터플레이트를 통과시켜 여과시킴으로써 불순물 등을 제거하고 순수한 여액만을 취한다.
본 발명의 상기 S2에서 상황버섯의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은 탈염을 겸하는 1차 농축 과정과 2차 농축 과정으로 구성된다.(S3)
본 발명의 1차 농축 과정은 상기의 추출액의 염류를 제거하는 탈염과정을 포함하는데 탈염은 용액 내에 불용성 고체의 어떤 이온이 같은 부호를 가진 주위의 다른 이온과 가역적으로 교환하는 이온교환법과 전해질을 함유한 콜로이드용액을 투석할 때 격막(膈膜)을 통하여 직류전기를 흘리는 방법인 전기투석법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염류를 제거한 추출액을 농축기를 통과시켜 1차 농축을 행한다.
상기의 1차 농축을 끝낸 농축액은 다시 2차로 농축기에 넣고 농축농도 40~50%가 될 때까지 농축을 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 S3에서 상황버섯의 농축액을 현미에 코팅하는 과정은 현미를 세정 및 건조하는 과정과 현미를 코팅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S4)
본 발명에 사용되는 현미는 발아율이 높은 것으로 선택해야 하는데, 될 수 있으면 왕겨만을 살짝 벗겨낸 것으로 표면이 까칠하고 윤기가 없으며 색깔이 짙은 것으로 선택한다.
상기의 선택된 현미는 세정기를 통과하여 세정하고 건조실에서 40~50℃의 버너를 이용한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법으로 건조시킨다.
상기의 S3에서 농축한 상황버섯의 추출액을 spray노즐이 장착된 코팅기에 넣고서 방울 상태로 분무시키고 시료 도입부에는 상기에서 세정 및 건조한 현미를 도입하여 추출액을 현미 위에 코팅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S4에서 상황버섯의 추출액으로 코팅한 현미를 발아시키는 과정은 상황버섯의 추출액으로 코팅한 현미를 넙적한 그릇에 담고 10-40℃의 온수를 현미가 넉넉하게 잠길 정도로 붓고 실내온도를 25~35℃로 유지하여 발아시킨다. 이 때 주의할 것은 자연수를 사용하는 것인데 수돗물을 사용할 경우는 염소나 유기금속이 용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또한 명시된 온도(25~35℃)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미의 발아가 시작되면서 쉰 듯한 냄새를 방지하기 위해 보통 5~6시간마다 물을 갈아줄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해서 24시간 내지 28시간이 지나면 약 80%의 현미가 1~2㎜의 싹이 나고 나머지도 발아직전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2-4일 정도 지나면 5mm까지 자라게 되는데 이 상태의 발아현미가 가장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S5)
본 발명의 상기 S5에서 발아한 현미를 살균하는 과정은 발아한 현미를 코팅된 추출액이 벗겨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깨끗한 정제수로 세척하고, 전해수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생성된 산성수(pH 2.7)를 이용하여 살균을 행한다. 상기의 전해산성수는 물과 염소 성분을 중성부근에서 전기분해하여 살균 효과가 큰 차아염소산(HOCl, Hypochlorous acid)과 발생기의 활성화 산소를 함유한 살균수로써 활성화 산소가 미생물 세포내에서 산화작용을 하여 효소반응을 저해하고 차아염소산이 미생물 세포막과 세포내에서 질소-염소(N-Cl)결합을 만들어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핵산을 불활성화시켜 살균작용을 한다.
전해산성수를 이용한 살균 과정이 끝나면 이를 pH 11.5의 알칼리수로 세척하여 중성(pH 7)부근으로 pH를 조절한다. (S6)
본 발명의 상기 S6에서 살균한 현미를 건조 및 소분하는 과정은 상황버섯의 추출액으로 코팅한 발아한 현미의 상태가 변질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하는데 진공동결건조법이나 감압건조법, 냉동 건조법에서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진공동결건조법은 진공상태에서 4~48시간동안 -40℃이하에서 냉동 진공 건조시켜 영양, 맛, 색깔, 향의 변화가 거의 없이 고형화된 결정체를 얻는다. 이 때 베타글루칸 등의 유효성분의 효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건조 온도가 65℃ 이상을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감압 건조법은 저온에서 감압하여 건조, 질소. 탄산가스 등 함께 사용하는 방법인데 현미의 성분 변화를 막아준다. 냉동건조법은 냉동시켜 저온에서 건조하는 것으로 신선도를 보존하고, 베타글루칸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건조시킨 현미를 작은 조각으로 분쇄시킨다. 이는 예비적 단계의 분쇄이므로 지나치게 가루 상태로 분쇄하지 말고 입도가 비교적 균등한 분쇄산물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S7)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7에서 건조 및 소분한 발아한 현미를 혼합하는 과정은 각종 생식 원료와의 1차 혼합, 분쇄 및 최종혼합 과정으로 구성된다. (S8)
본 발명에서 상황버섯의 추출액으로 코팅된 발아한 현미와 혼합하는 생식 원료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곡류는 현미, 차조, 수수, 율무, 콩, 흑임자, 미강, 감자, 들깨 또는 참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과일류는 사과, 유자, 모과, 감, 복숭아, 바나나, 딸기 또는 레몬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채소류는 솔잎, 신선초, 양배추, 더덕, 케일, 우엉, 호박, 당근, 무, 무청, 유자, 연근 또는 파셀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버섯류는 표고버섯, 영지버섯, 운지버섯, 양송이버섯, 팽이버섯, 석이버섯 또는 느타리버섯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조류는 스피루리나, 김, 다시마 또는 파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타 재료는 유산균, 올리고당 또는 효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선택된 각각의 원료를 깨끗이 세척하여 S7에서 소분형태의 상황버섯의 추출액으로 코팅한 발아한 현미를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 때 다른 생식원료에 비해 현미 소분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성분 배합 비율에 따라 정밀 혼합하는 배산법을 이용하여 균등하게 혼합한다.
상기 S7에서 발아한 현미의 소분과 생식원료의 혼합물을 볼밀(ball mill, 원통 속에 강으로 만든 볼(강구)을 여러 개 재료와 함께 넣어 회전시켜 강구운동에 의한 충격으로 재료를 분쇄하는 장치)이나 롤러밀(roller mill, 볼밀과 같은 원리의 분쇄기) 및 해머밀(hammer mill, 충격력 이용) 을 선택해서 이용하여 80mesh 이하로 분쇄한다. 소분할 때와는 달리 물에 태워서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입도가 작은 분말 형태로 분쇄한다.
상기의 분쇄한 각각의 원료를 공기분사 방식으로 균일하게 최종 혼합한다.
본 발명의 상기 S8에서 혼합한 최종품인 생식용 건강식품은 알루미늄 팩에 충전하여 포장하는데 방습, 방충이 잘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재질의 포장용기를 사용한다.(S9)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상황버섯의 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황버섯을 일상생활에서 섭취하여 에너지의 생성을 증가시켜 활력을 주고 식사대용으로 섭취하기에 부족함이 없으며, 분말화된 상태로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어 질병 치료의 개념이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 차원에서 현대인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황버섯 추출 분말을 그대로 생식에 혼합할 경우는 혼합이 균일하지 않아 하나의 제품당 상황버섯추출액의 함유량이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상황버섯추출액을 우선 현미에 코팅한 후에 첨가할 경우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더욱이 현미를 발아시켜 일반 현미를 첨가할 때보다 영양 면에서 상승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황버섯에 함유된 베타글루칸 성분은 인체의 면역기능을 강화하며 혈압과 혈당치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생체 항상성(恒常性)을 조절하는 동시에 기타 성인병을 방지하며 그 외에도 탈콜레스테롤, 고지방혈장개선, 혈관 속에서 일어나는 혈액응고의 방지, 혈당 강하, 각종 피부병 치료, 노인성 치매 개선 등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중 발아현미는 칼슘과 비타민B군이 풍부하여 일반적인 건강효과 뿐만 아니라 체질개선에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를 용이하게 해주고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 건강식품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2)

  1. 생식용 건강식품에 있어서,
    상황버섯을 40~50℃에서 cellulase 효소로 처리하는 단계(S1); 상기 S1에서 효소 처리한 상황버섯을 1.2~2atm의 압력하에서 200~300분간 추출기에서 추출하는 단계(S2); 상기 S2에서 상황버섯의 추출액을 탈염한 후에 농축하는 단계(S3); 상기 S3에서 상황버섯의 농축액을 현미에 코팅하는 단계(S4); 상기 S4에서 코팅한 현미를 10~40℃의 온수에서 발아하는 단계(S5); 상기 S5에서 발아한 현미를 산성수 및 알칼리수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단계(S6); 상기 S6에서 살균한 발아현미를 건조 및 소분하는 단계(S7); 상기 S7에서 건조 및 소분한 발아현미를 곡류, 과일류, 채소류, 버섯류, 해조류를 포함하는 생식의 원료와 혼합하는 단계(S8)를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기재된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식용 건강식품.
KR1020040029445A 2004-04-28 2004-04-28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4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445A KR20050104137A (ko) 2004-04-28 2004-04-28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445A KR20050104137A (ko) 2004-04-28 2004-04-28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137A true KR20050104137A (ko) 2005-11-02

Family

ID=3728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445A KR20050104137A (ko) 2004-04-28 2004-04-28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41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378B1 (ko) * 2011-04-01 2013-08-29 윤창용 혈당강하 기능성 쌀 백일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378B1 (ko) * 2011-04-01 2013-08-29 윤창용 혈당강하 기능성 쌀 백일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9303B2 (ja) 新種の微生物およびその利用法
CN107212195B (zh) 一种富含sod果蔬汁及其加工方法
TW20094413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ealth food containing enzyme, and health food
KR101158448B1 (ko) 효모 엑기스를 이용한 고농도의 천연 gaba를 함유하는 기능성 발효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73252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4770731A (zh) 锁阳酵素及其制备工艺
KR101439321B1 (ko) 배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배 발효액 및 이의 사용 방법
CN104886254A (zh) 一种含有肉苁蓉酵素的食品及其制备工艺
KR101261823B1 (ko) 미생물발효에 의한 활성 효소식품의 제조방법
CN104770499A (zh) 一种肉苁蓉或锁阳酵素茶及其制作方法
KR101025286B1 (ko) 다시마의 발효에 의한 다량의 gaba를 함유한 발효산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 발효조미료와 다시마 발효분말의 제조 방법
KR101426501B1 (ko) 쇠비름 및 미강을 함유하는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18140A (ko)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
JP4183371B2 (ja) 発酵ウコンの製造法
US20210321643A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nitrite ion-containing allium tuberosum fermentate and composition thereof
KR102061721B1 (ko) 황국균으로 발효한 현미-해조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50104137A (ko) 상황버섯추출액을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8261A (ko) 루틴추출액으로 코팅한 발아현미를 이용한 생식용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925124B1 (ko) 무가당 상태로 미생물 효소가 함유되어 제공되는 마늘 또는 레몬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67034A (ko) 복합 버섯균을 이용한 유기셀레늄 함유 농작물의 재배 방법
KR101289970B1 (ko)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막걸리
CN104856067A (zh) 一种肉苁蓉或锁阳酵素牛肉干及其制作方法
KR100893975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유기셀레늄 함유 쌀의 제조 방법
KR101547576B1 (ko) 기능성 곡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95146B1 (ko) 농작물 성장촉진 비료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