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837A - E­밴드와 기타 대역이 결합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광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E­밴드와 기타 대역이 결합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광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837A
KR20050103837A KR1020040029249A KR20040029249A KR20050103837A KR 20050103837 A KR20050103837 A KR 20050103837A KR 1020040029249 A KR1020040029249 A KR 1020040029249A KR 20040029249 A KR20040029249 A KR 20040029249A KR 20050103837 A KR20050103837 A KR 2005010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hannel
optical
thin film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2825B1 (ko
Inventor
장기완
김기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825B1/ko
Priority to US11/587,830 priority patent/US7903974B2/en
Priority to PCT/KR2005/001188 priority patent/WO2005114877A1/en
Publication of KR2005010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 H04J14/0246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using one wavelength per ON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6Fixed carrier allocation, e.g. according to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9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upstream transmission, e.g. ONU-to-OLT or ONU-to-ONU
    • H04J14/02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upstream transmission, e.g. ONU-to-OLT or ONU-to-ONU using one wavelength per ONU, e.g. for transmissions from-ONU-to-OLT or from-ONU-to-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2WDM tree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3WDM arrangements
    • H04J14/0307Multiplexers; Demultiplex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61Interference filters, e.g. multilayer coatings, thin film filters, dichroic splitters or mirrors based on multilayers, WDM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E-밴드와 그 외 대역의 신호를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광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E-밴드와 기타 대역의 광신호를 그 양면에 각각 입력받되, 일측면에 입력된 파장대역은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타측면에 입력된 파장대역은 반사시켜 양측 광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다중화하는 제1박막필터; 상기 제1박막필터에 의해 다중화된 광신호를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에서 E-밴드와 기타 대역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역다중화하는 제2박막필터;를 포함하는 광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E­밴드와 기타 대역이 결합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전송 시스템{OPTICAL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 OF E-BAND WITH OTHER BANDS}
본 발명은 광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E-밴드와 그 외 대역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전송대역의 확장효과를 제공하는 한편, 기존 전송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우수하고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광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광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파장분할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방식을 사용하는 광전송 기술은 복수의 파장채널의 광신호를 다중화하여 단일의 광섬유를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회선확장이 용이하고 고속 대용량의 통신망에 적합하여 향후 주요 광통신 기술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을 지원하는 광전송 시스템은 소정의 파장분할소자를 구비하여 광신호에 대한 다중화 및 역다중화의 신호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한정된 광파장채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점차 고속, 고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채널간격이 보다 조밀한 CWDM(Coarse Wave Division Multiplexing)이나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과 같은 다중화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
초기의 WDM 시스템은 1310nm와 1550nm의 두 파장대역만을 광전송에 이용하였으며, 전송매개체로는 표준 단일 모드 광섬유(Standard Single Mode Fiber; SSMF)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시스템은 데이터의 업스트림(Upstream) 및 다운스트림(Downstream)을 단지 1310nm와 1550nm 파장영역에만 할당하는 한계로 인해 오늘날과 같은 10Gb/s 수준의 고속, 고용량의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하였고, 수동광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 PON) 등에 제한적으로 이용되었다.
이후 정의된 CWDM의 경우에는, ITU-T G.694.2 에 명시된 바와 같이 20nm의 채널간격을 이용하고, 시내망 전개시 O-밴드(1260~1360㎚ 파장대역)와 C-밴드(1530~1565㎚ 파장대역)를 사용하도록 시스템이 구성된다. 그밖에 CWDM의 사용 파장대역은 필요에 따라 S-밴드(1460~1530㎚ 파장대역)나 L-밴드(1565~1625㎚ 파장대역)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E-밴드(1360~1460㎚ 파장대역)는 1383nm 부근에 존재하는 최대 2dB/km 정도의 높은 수산기(OH) 흡수손실로 인해 기존의 SSMF로는 사실상 전송이 불가능하였다.
DWDM은 CWDM에 비해 채널간격이 좁은 것이 큰 차이점인데, ITU-T G.694.1에 의하면 그 채널간격이 0.4nm, 0.8nm, 1.6nm, 3.2nm 등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이러한 DWDM에는 일반적으로 C-밴드와 L-밴드의 파장대역이 널리 사용되나, CWDM과 마찬가지로 E-밴드의 광파장은 수산기(OH)에 의한 높은 광손실 피크로 인해 기존의 SSMF로는 전송이 불가능하였다.
한편, 논문 "Fabrication of Completely OH-Free VAD Fiber" (Electronic Letters, 16(19), 1980)에는 WDM 시스템에 있어 G.652.C를 따르는 SMF의 중요성이 언급되어 있으나, E-밴드의 광파장 전송을 위한 광섬유의 분산특성이 제시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광섬유에 대한 손실 스펙트럼 내에서의 채널 할당정보도 제공된 바가 없다.
미국특허 제568,0490호에는 WDM을 2단계로 이용하여 다파장대에서 광신호를 전달하도록 채널을 분기하는 시스템(Splitting system)이 제시되어 있다. 일 예로서, CWDM에서 4개의 광신호를 광섬유를 이용, 전달하면 DWDM에서 수신하여 4개의 채널을 다수개의 채널로 분기시키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205,268호에는 E-band에서 동작하는 고용량 광섬유 네트워크에 관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WDM이나 아날로그 신호들 사이의 여기라만산란(Stimulated Raman Scattering; SRS) 간섭과 WDM 신호들 사이의 4광자혼합(4 Phonon Mixing; 4PM) 등 비선형 현상들을 억제하면서 1.4㎛ 파장대역(1335~1435nm)의 WDM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광전송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E-밴드의 채널파장 신호를 다중화 기술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E-밴드에서의 광손실특성이나 분산특성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송매체가 마련되어야 하며, WDM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채널간격을 사용하는 CWDM이나 DWDM에서도 안정적인 다중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정밀하고도 저렴한 비용의 전송 시스템이 요구되는 바, 종래에는 그러한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은 관계로 E-밴드와 그 외 대역의 파장채널을 다중화하여 함께 사용하기가 곤란하고 그로 인해 데이터 전송용량을 높이거나 호환성 있는 광네트워크의 구축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취약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E-밴드와 기타 대역의 광신호들을 간단한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모든 광파장대역을 다중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광네트워크와의 호환성이 우수한 광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RS 간섭이나 4PM과 같은 비선형 현상들을 억제하면서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해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광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전송 시스템은, E-밴드와 기타 대역의 광신호를 그 양면에 각각 입력받되, 일측면에 입력된 파장대역은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타측면에 입력된 파장대역은 반사시켜 양측 광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다중화하는 제1박막필터; 상기 제1박막필터에 의해 다중화된 광신호를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에서 E-밴드와 기타 대역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역다중화하는 제2박막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박막필터 및 제2박막필터는 O-밴드, S-밴드, C-밴드, E-밴드, L-밴드 중 하나의 밴드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섬유로는, 1310㎚ 부근에서 영분산값을 갖는 한편, E-밴드의 최대손실이 1310㎚의 손실보다 작고, E-밴드에서 1.5~8.0㎰/㎚-㎞의 색분산값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타 대역으로는 O-밴드, S-밴드, C-밴드, L-밴드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E-밴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신호는 전송감시용으로 사용되고, 기타 대역의 채널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신호는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E-밴드에서 단일 채널신호가 사용되며, 그 전송속도가 50Mb/s 이상 1.25Gb/s 이하 이고, 기타 대역의 채널신호로는 어느 하나의 파장대역에서 선택된 하나의 채널 또는 2개 이상의 파장대역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채널이 사용되며, 그 전송속도가 1.25Gb/s 이상 40Gb/s 이하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E-밴드의 채널신호는 전송감시용으로 사용하고, 기타 파장대역의 채널신호들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하는 한편, 각 파장대역의 채널들이 CWDM 또는 DWDM 방식으로 다중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E-밴드에서는 2개 이상의 채널신호가, 기타 대역에서는 어느 하나의 파장대역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채널신호가 사용되고, 각 채널신호의 전송속도는 1.25Gb/s 이상 40Gb/s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E-밴드에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용 채널이 할당되고, 기타 파장대역에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송용 채널이 할당되며, 각 파장대역의 채널들은 CWDM 또는 DW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E-밴드에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송용 채널이 할당되고, 기타 파장대역에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용 채널이 할당되며, 각 파장대역의 채널들은 CWDM 또는 DW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전송 시스템의 실시예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파장대역 간의 다중화를 위해 송신단에 구비되는 제1박막필터(100)와, 수신단에 구비되어 역다중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2박막필터(200)와, 상기 제1박막필터(100) 및 제2박막필터(200) 사이의 전송선로인 광섬유(150)를 포함한다.
제1박막필터(100)는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로서, E-밴드와 기타 대역의 광신호를 그 양면에 각각 입력받아 결합함으로써 다중화(Multiplexing)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타 대역으로는 O-밴드, S-밴드, C-밴드 그리고 L-밴드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박막필터(100)는 그 일측면에 기타 파장대역의 광신호를 입력받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타측면에는 E-밴드의 광신호를 입력받아 반사시킴으로써 양측 파장대역의 광신호를 상호 결합하여 다중화한다. 이러한 제1박막필터(100)로는, E-밴드와 다중화될 대역이 C-밴드인 경우 통상의 C-밴드 패스 필터가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예로 S 또는 L-밴드가 상기 E-밴드와 다중화되는 경우에는 S-밴드 패스 필터 또는 L-밴드 패스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2박막필터(200)는 상기 제1박막필터(100)와 마찬가지로 특정 파장대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로서, 전송선로를 통해 상기 제1박막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E-밴드와 기타 대역의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역다중화(Demultiplexing)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제1박막필터(100) 및 제2박막필터(200)의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대역의 채널신호에 대하여 E-밴드의 광신호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 함으로써 디지털 및 아날로그 데이터의 전송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는 E-밴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을 전송감시용 채널신호인 λS로 사용하고, 기타 파장대역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신호 λ1은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박막필터(200)는, 전송감시용으로 사용되는 E-밴드의 신호인 λS는 반사하여 분기시키고, 기타 대역의 채널신호인 λ1은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송 시스템에 있어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되는 채널신호는 단일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채널로 다중화되어 있는 채널신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λ122에 해당하는 22개의 채널이 DWDM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채널의 다중화 방식은 필요한 채널의 수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DWDM이나 CWDM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DWDM의 채널간격은 예컨대, 0.4~3.2nm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박막필터(200)는, 전송감시용으로 사용되는 E-밴드의 채널신호인 λS는 반사하여 분기시키고, 기타 대역의 채널신호인 λ122는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CWDM 및/또는 DWDM의 전송규격을 고려할 때, 상기 E-밴드 신호의 전송속도는 50Mb/s 이상 1.25Gb/s 이하로 설정되며, 기타 대역의 신호는 1.25Gb/s 이상 40Gb/s 이하로 전송속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밴드의 채널신호는 전송감시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λ526에 해당하는 기타 대역 채널을 DWDM으로 다중화하여 제1박막필터(100)의 일측면에 입력하는 한편, 제1박막필터(100)의 타측면에는 제2박막필터(200)에서 λ526과 분리 가능한 전송감시용 채널신호 λS와, E-밴드에서 선택되어 CWDM으로 다중화된 데이터 전송용 4채널 λ14를 입력하여 다중화 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DWDM의 채널간격은 예컨대, 0.4~3.2nm로 설정되고, CWDM의 채널간격은 20nm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박막필터(200)는, 예컨대 1310nm 부근의 파장에 해당하는 전송감시용 채널 λS와 E-밴드의 데이터 전송채널 λ14는 반사하여 분기시키고, 기타 대역의 채널신호인 λ526은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감시용 채널 λS의 광신호는 여타의 채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파워(Power)를 가지도록 설정되므로 별도의 분리필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간편히 E-밴드의 데이터 전송채널 λ14와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E-밴드에서 2개 이상의 채널신호가 사용되고, 기타 대역의 채널에서는 어느 하나의 파장대역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채널신호가 사용되는 경우 각 채널신호의 전송속도는, 일반적인 CWDM 및/또는 DWDM의 전송규격을 고려할 때, 1.25Gb/s 이상 40Gb/s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E-밴드의 채널신호를 기타 대역의 채널신호와 다중화 및 역다중화 하는 구성예가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다중화기(107)과 역다중화기(207)는 각각 상기 제1박막필터(100)와 제2박막필터(200)에 대응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해당 송신부(T)로부터 방출되는 E-밴드의 채널신호 λ14는 CWDM MUX(102)에 의해 다중화된 후 광손실의 보상을 위해 바람직하게 80km마다 설치되는 라만증폭기(105)를 거쳐 제1박막필터(100)로 구성된 다중화기(107)에 입력되고, E-밴드 이외의 기타 대역, 예컨대 C-밴드에 해당하는 채널신호 λ526는 DWDM MUX(103)에 의해 다중화된 후 광손실의 보상을 위한 어븀 첨가 광증폭기(Erbium Doped Fiber Amplifer; EDFA)(106)를 거쳐 상기 다중화기(107)에 입력되어 다중화 처리를 거친다. 상기 다중화기(107)에는 예컨대, 1310nm에 해당하는 전송감시용 채널신호 λS가 바람직하게 라만증폭기(104)를 거쳐 입력되어 상기 λ14 및 λ526의 채널신호와 함께 다중화된다.
상기 다중화기(107)에서 다중화된 광신호는 광섬유(150)를 경유하여 수신단에 전송된 후 제2박막필터(200)로 구성된 역다중화기(207)에 의해 각 파장대역별로 분리되어 역다중화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중화 광신호는 역다중화기(207)에 의해 λS, λ14 및 λ526의 채널군으로 분리되고, 다시 상기 λ14 및 λ526의 채널군은 각각 CWDM DEMUX(202)와 DWDM DEMUX(203)에 의해 분리되어 해당 수신부(R)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역다중화기(207)의 후단에는 전송중 감쇠된 각 채널군을 증폭하기 위한 라만증폭기(204,205)와 어븀 첨가 광증폭기(206)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박막필터(100)와 제2박막필터(200) 사이에 구비되어 전송선로가 되는 광섬유(150)는 수산기(OH)에 의한 흡수손실의 영향없이 E-밴드의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점선의 피크부분은 일반적인 광섬유에 존재하는 수산기(OH) 흡수손실 피크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전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섬유는 1310㎚ 부근에서 분산값이 0이며, E-밴드의 최대손실(P부분 참조)이 1310㎚의 손실보다 작고, E-밴드에서 1.5~8.0㎰/㎚-㎞의 색분산값을 갖는 SMF가 사용됨으로써 E-밴드의 채널신호를 손실없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는 공지되어 있는 MCVD, VAD, OVD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광섬유(150)를 매개로 하여 송신단과 수신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박막필터(100) 및 제2박막필터(200)를 이용해 다중화와 역다중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E-밴드와 기타 파장대역의 광신호를 모두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박막필터(100,200)를 기점으로 하여 다중화 및 역다중화 되는 서로 다른 파장대역에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할당할 수 있으므로 SRS 간섭이나 4PM과 같은 비선형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박막필터(100)에서는 해당 송신부(T)로부터 그 일측면에 E-밴드 이외의 기타 대역에 속하는 단일 혹은 복수의 채널신호를 입력받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한편, 그 타측면에는 E-밴드의 채널신호를 입력받은 후 반사시켜 상기 기타 대역의 채널과 결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다중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E-밴드의 채널신호는 데이터 전송용은 물론 전송감시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박막필터(100)에 의해 다중화되는 각 채널신호는 0.4~3.2nm의 채널간격을 갖는 DWDM 방식으로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으며, 20nm의 채널간격을 갖는 CWDM 방식으로 다중화된 신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박막필터(100) 및 제2박막필터(200)가 C-밴드 패스 필터로 구성될 경우, 상기 E-밴드의 채널신호로는 λ14의 4채널이 CWDM으로 다중화된 신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기타 대역의 채널신호로는 C-밴드에 해당하는 λ526의 채널군이 DWDM으로 다중화된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λ526의 다중화 채널신호는 EDFA와 같은 광증폭기를 거치면서 손실보상이 된 후 제1박막필터(100)를 선택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λ14의 다중화 채널신호는 전송감시용 채널인 λS와 함께 라만증폭기에 의해 손실이 보상된 후 상기 제1박막필터(100)에서 입력되어 반사된 후 상기 λ526의 채널과 결합된다.
상기 제1박막필터(100)에서 다중화된 신호는 E-밴드에 대한 흡수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SMF에 해당하는 하나의 광섬유(150)를 거쳐 수신단에 전송된 후 제2박막필터(200)에 의해 역다중화된다.
제2박막필터(200)에서는 상기 제1박막필터(100)와 마찬가지로 C-밴드에 해당하는 λ526의 채널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킴과 아울러, 전송감시용 채널인 λ S와 4채널 데이터인 λ14의 채널신호는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파장대역을 분리하여 역다중화 동작을 수행하고, 이렇게 분리된 파장대역들은 다시 후단에 바람직하게 부가되는 CWDM DEMUX(202)나 DWDM DEMUX(203)에 의해 채널별로 역다중화되어 수신부(201)에 입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박막필터를 사용하여 E-band의 채널신호와 기타 대역의 채널신호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 할 수 있는 광전송 시스템이 제공되므로 사용 가능한 채널자원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한 경제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E-밴드를 활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고, 기타 대역은 TV신호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의 전송용으로 사용하도록 할당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토크(Crosstalk)나 SRS, 4PM 등과 같은 비선형 현상 없이 하나의 광섬유로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고속전송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SSMF로 구축되어 있는 기존의 WDM 시스템과도 완벽히 호환이 가능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광네트워크를 추가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 구성예를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섬유의 광손실 및 분산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제1박막필터 150...광섬유
200...제2박막필터

Claims (10)

  1. E-밴드와 기타 대역의 광신호를 그 양면에 각각 입력받되, 일측면에 입력된 파장대역은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타측면에 입력된 파장대역은 반사시켜 양측 광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다중화하는 제1박막필터;
    상기 제1박막필터에 의해 다중화된 광신호를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에서 E-밴드와 기타 대역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역다중화하는 제2박막필터;를 포함하는 광전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박막필터 및 제2박막필터가 O-밴드, S-밴드, C-밴드, E-밴드, L-밴드 중 하나의 밴드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가,
    1310㎚ 부근에서 영분산값을 갖는 한편, E-밴드의 최대손실이 1310㎚의 손실보다 작고, E-밴드에서 1.5~8.0㎰/㎚-㎞의 색분산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대역으로는 O-밴드, S-밴드, C-밴드, L-밴드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이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E-밴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이 전송감시용으로 사용되고, 기타 파장대역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은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E-밴드에서 단일 채널신호가 사용되며, 그 전송속도가 50Mb/s 이상 1.25Gb/s 이하 이고,
    기타 대역의 채널신호로는, 어느 하나의 파장대역에서 선택된 하나의 채널 또는 2개 이상의 파장대역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채널이 사용되며, 그 전송속도가 1.25Gb/s 이상 40Gb/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E-밴드의 채널신호를 전송감시용으로 사용하고, 기타 파장대역의 채널신호들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하는 한편,
    각 파장대역의 채널들이 CWDM 또는 DWDM 방식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E-밴드에서는 2개 이상의 채널신호가, 기타 대역에서는 어느 하나의 파장대역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채널신호가 사용되고,
    각 채널신호의 전송속도가 1.25Gb/s 이상 40Gb/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E-밴드에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용 채널을 할당하고, 기타 파장대역에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송용 채널을 할당하며, 각 파장대역의 채널들이 CWDM 또는 DWDM 방식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E-밴드에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송용 채널을 할당하고, 기타 파장대역에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용 채널을 할당하며, 각 파장대역의 채널들이 CWDM 또는 DWDM 방식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
KR1020040029249A 2004-04-27 2004-04-27 E­밴드와 기타 대역이 결합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광전송 시스템 KR10080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249A KR100802825B1 (ko) 2004-04-27 2004-04-27 E­밴드와 기타 대역이 결합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광전송 시스템
US11/587,830 US7903974B2 (en) 2004-04-27 2005-04-25 Optical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 of E-band with other bands
PCT/KR2005/001188 WO2005114877A1 (en) 2004-04-27 2005-04-25 Optical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 of e-band with other ba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249A KR100802825B1 (ko) 2004-04-27 2004-04-27 E­밴드와 기타 대역이 결합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광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837A true KR20050103837A (ko) 2005-11-01
KR100802825B1 KR100802825B1 (ko) 2008-02-12

Family

ID=3542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249A KR100802825B1 (ko) 2004-04-27 2004-04-27 E­밴드와 기타 대역이 결합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광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03974B2 (ko)
KR (1) KR100802825B1 (ko)
WO (1) WO2005114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7137B2 (en) * 2006-05-08 2009-09-0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integration of CWDM and DWDM technologies on a fiber optics infrastructure
US8503881B1 (en) * 2007-04-06 2013-08-06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Systems for extending WDM transmission into the O-band
US8049894B2 (en) * 2007-10-05 2011-11-01 Lightwaves 2020, Inc. Multiple wavelength optical analyzer device
GB0823688D0 (en) * 2008-12-31 2009-02-04 Tyco Electronics Raychem Nv Unidirectional absolute optical attenuation measurement with OTDR
US20160164625A1 (en) * 2013-07-16 2016-06-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Distributed wave division multiplexing systems
KR101518388B1 (ko) * 2014-08-29 2015-06-10 (주) 에이알텍 광 트랜시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400기가급 광통신 시스템
US10158419B2 (en) * 2016-04-27 2018-12-18 Facebook, Inc. Wireless communication utilizing post-amplification carrier aggregation
KR20240020077A (ko) 2022-08-05 2024-02-14 커넥서스원(주) E-밴드 무선 백홀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듀플렉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6211A (en) * 1980-01-26 1981-08-24 Ritsuo Hasumi Thick-film lens with optical filter
US6205268B1 (en) * 1993-05-28 2001-03-20 Lucent Technologies Inc. Arrangement of optical fiber segments for minimizing effect of nonlinearities
CN1285048A (zh) * 1998-01-05 2001-02-21 康宁股份有限公司 添加/去除光学多路复用器
JP3670156B2 (ja) 1999-03-18 2005-07-13 富士通株式会社 監視光信号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6417965B1 (en) * 2001-02-16 2002-07-09 Onetta, Inc. Optical amplifier control system
JP2002243960A (ja) * 2001-02-19 2002-08-28 Ntt Advanced Technology Corp フィルタ型多チャンネル高分子波長合分波器
US20030039008A1 (en) * 2001-08-27 2003-02-27 Michael Davies Optical grating for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CWDM) applications
US6856744B2 (en) * 2002-02-13 2005-02-1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lin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such optical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03974B2 (en) 2011-03-08
US20070166040A1 (en) 2007-07-19
KR100802825B1 (ko) 2008-02-12
WO2005114877A1 (en)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4394C (en) Optical network
US7903974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 of E-band with other bands
KR101410158B1 (ko) 신호 전송 시스템, 방법 및 관련 장치
CA2168811C (en) Multichannel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WO2005096534A1 (ja) 低密度波長多重光伝送システムおよび低密度波長多重光伝送方法
KR100334432B1 (ko) 하나의도파관열격자다중화기를이용한양방향애드/드롭광증폭기모듈
JPH09105833A (ja) 光信号の櫛形分割システム
EP10884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opping optical channels in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9621297B2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element
JP2001268056A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波長合分波光伝送装置
JP2003283438A (ja) 光伝送装置および光伝送方法
US7149429B2 (en)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CA2379871A1 (en) Dispersion compensation system
KR20200034628A (ko) 조밀 파장분할다중화를 위한 광합파 및 광분파 장치(DeMUX)
JP4376014B2 (ja) 光伝送装置
US20050259988A1 (en) Bi-directional optical access network
WO1999043118A1 (en) Dense wdm in the 1310nm band
Gnauck et al. Transmission of 8 20-Gb/s channels over 232 km of conventional fiber
CA2396338C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xing and/or demultiplexing optical signals having substantially equal dispersion
US6980355B2 (en) Wavelength-tunable amplified optical splitter
WO2003069820A1 (en) Wdm transmission link design
de Betou et al. 140 km Long-reach WDM-PON experiment for ring-based access network architectures
KR20200097534A (ko) 이종 신호의 동일 회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H10276129A (ja) 光分岐挿入回路及び光伝送方法
JP2005020449A (ja) チャネル多重装置、チャネル分離装置、伝送システム及びチャネル数変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