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675A -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675A
KR20050103675A KR1020040028950A KR20040028950A KR20050103675A KR 20050103675 A KR20050103675 A KR 20050103675A KR 1020040028950 A KR1020040028950 A KR 1020040028950A KR 20040028950 A KR20040028950 A KR 20040028950A KR 20050103675 A KR20050103675 A KR 20050103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ode
input
shortcut key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996B1 (ko
Inventor
장수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9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2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 C11C5/026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by a continuous process, e.g. by extrusion by conveying a melt together with the wick through a solidification 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기능 사용시, 각 기능에 따라 대응된 단축키를 입력하여 카메라 기능 및 설정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면 퓨리뷰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실행된 퓨리뷰 모드에서 단축키가 입력되면 그 해당 단축키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변경하여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기능 사용시, 각 기능에 따라 대응된 단축키를 입력하여 카메라 기능 및 설정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히 하나의 주기능만을 지원하는것에서 여러가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추세로 발전되고 있다. 그중,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는 카메라 혹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형의 카메라는 항상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언제어디서든지 용이하게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데이터화한다.
이러한,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의 카메라 모드 이용시, 사용자는 키패드의 키를 조작하여 카메라 메뉴로 진입한후 이미지 사이즈, 화질과 명암, 확대 및 축소등의 촬영 이미지를 조절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촬영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키패드에 구비된 메뉴키를 입력하고, 그 메뉴키에 의해 표시되는 각 해당 메뉴들의 하위메뉴를 통해 선택된 상기 이미지 사이즈, 화질로 영상을 촬영한다. 따라서, 종래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촬영시 설정된 상태로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시에 기능 설정방법은 퓨리뷰(preview) 모드에서 메뉴키를 누른후 그 메뉴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중 사용자가 기능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메뉴로 방향키를 통해 커서를 이동시킨후 확인키를 눌러 메뉴를 선택한후, 그 선택된 메뉴의 하위메뉴에서 설정상태를 변경해야 하므로 카메라 기능이용시 사용자에게 있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 기능을 조작한후 피사체를 촬영하기위해서는 다소 시간적으로 지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빠른 시간안에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으로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과 촬영을 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으로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카메라 기능 사용시, 각 기능에 따라 대응된 단축키를 입력하여 카메라 기능 및 설정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설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기능 사용시, 카메라 모드에서 지원되는 기능들 마다 단축키를 통해 빠른 시간안에 해당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설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면 퓨리뷰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실행된 퓨리뷰 모드에서 단축키가 입력되면 그 해당 단축키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변경하여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키패드의 키입력에 대응되어 동작되는 기능들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단축키 모드는 카메라 모드에서 단축키를 통해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로서, 한번의 키입력을 통해서 카메라 모드에서 지원되는 기능의 설정상태를 변경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3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3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2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중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22로 출력한다.
키패드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숫자키, 사이드키(side key: up/down), 기능설정 표시키, 방향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축키 모드의 설정여여부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드시, 단축키 모드에 따라 촬영 모드를 변경할수 있도록 하는 전반적인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축키에 의해 카메라 모드시 상기 키패드27을통해 단축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드에서 입력 단축키의 해당 모드에 따라 카메라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카메라5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카메라5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70은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7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 또는 상기 카메라50을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한다.
표시부8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카메라 촬영 모드시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라 카메라 모드시에 지원가능한 기능설정모드에 따른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0의 제어하에 기능설정 표시키가 입력되면 단축키마다의 기능 설정모드를 표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기능설정 표시키가 입력된후, 소정시간동안 단축키에 대응된 기능 설정모드를 표시한후 사라진다. 또한, 상기 기능설정 표시키가 재입력될때까지 단축키에 대응된 기능 설정모드를 표시할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인물 또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화면으로 표시 또는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카메라50은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외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50은 외장형 또는 내장형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에 촬영되는 영상은 내부의 CCD 센서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처리부6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처리부70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의 단축키 모드시, 변경되는 기능 설정모드를 처리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10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데이터가 카메라 모드인가를 확인한다. 상기 카메라 모드시, 제어부10은 퓨리뷰 모드상에서 카메라50을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표시부8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은 단축키 모드가 설정되어있으면, 상기 제어부10은 키패드27을 통해 입력되는 단축키에 대응하는 기능설정 모드에 따라 표시부80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변화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2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통화 및 키입력을 대기하는 대기모드에서 213단계로 진행하여 사이드 키가 소정시간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시간은 2초이상 연속해서 입력되는 시간으로 가정한다.
상기 판단결과, 사이드 키가 입력되면, 215단계에서 제어부10은 폴더가 열려 있는지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217 단계와 219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17단계는 상기 폴더가 닫힌상태라고 판단되어 셀프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이고, 상기 219단계는 상기 폴더가 열린상태라고 판단되어 퓨리뷰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상기 사이드 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221단계에서 제어부10은 폴더를 열고 키조작하여 퓨리뷰 모드를 실행시킨다. 여기서, 상기 215~ 219단계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 해당하므로, 폴더형이 아닌 바(Bar)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일 경우에는 사이드 키가 2초이상 입력되면 퓨리뷰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퓨리뷰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사이드키가 입력되면 상기 퓨리뷰 모드에서 셀프 촬영으로 전환된다.
이후, 제어부10은 상기 퓨리뷰 모드가 실행되면, 223단계로 진행해서 단축키 모드가 설정되어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단축키 모드의 설정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이후 후술할 본 발명의 기능 설정모드의 동작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본 발명과 관련된 단계라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에, 카메라 모드시 단축키를 통한 기능설정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단축키 모드를 설정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단축키 모드는 키패드27의 키를 조작하여 쉽게 단축키 모드를 설정/해제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은 퓨리뷰 모드에서 단축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단축키가 입력되면 그 단축키에 따른 카메라 모드의 기능 설정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기능 설정모드는 하기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후, 229단계에서 제어부10은 종료키가 입력될때까지 혹은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힐때까지 상기 단축키에 따른 카메라 모드의 기능 모드를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227단계의 단축키에 따른 기능 설정모드의 동작과정을 일예의 도 3a와3b을 통해 후술한다.
도 3a-3b는 도 2에 있어서, 단축키에 따른 카메라 모드의 기능 설정모드의 동작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단축키로는 0~9까지의 숫자키와 사이드키 및 방향키를 일예로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를 감지하여 숫자키 '1'이 감지되면, 313단계로 진행하여 제1 촬영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카메라 퓨리뷰 모드에서 캠코더 퓨리뷰 모드로 전환하거나, 상기 캠코더 퓨리뷰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 퓨리뷰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퓨리뷰 모드는 정지영상 모드를 의미하고, 상기 캠코더 퓨리뷰 모드는 동영상 모드를 의미한다. 즉, 상기 숫자키 '1'의 입력회수에 따라 캠코더 퓨리뷰 모드-> 카메라 퓨리뷰 모드->캠코더 퓨리뷰 모드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숫자키 '2'라고 감지되면, 315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크기 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영상 크기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영상 사이즈는 일예로 VGA의 풀화면과 VGA 실제화면과 QVGA 및 QQVGA로 전환된다. 즉, 상기 숫자키 '2'의 입력회수에 따라 VGA풀화면->VGA실제화면->QVGA->QQVGA->VGA풀화면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숫자키 '3'이라고 감지되면, 317단계로 진행하여 화질 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화질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화질은 화질이 가장 우수한 슈퍼 파인(super fine)부터 단계적으로 우수한 화질의 파인(fine), 노멀(nomal), 이코노믹(economic)으로 전환된다. 즉, 상기 숫자키 '3'의 입력회수에 따라 슈퍼 파인->파인->노멀->이코노믹->슈퍼파인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숫자키 '4'라고 감지되면, 319단계로 진행하여 제2 촬영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촬영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촬영은 일반적인 촬영의 노멀샷(nomal shot)과 멀티 촬영의 멀티샷(multi shot) 및 밤시간대 촬영의 나이트 샷(night shot)으로 전환된다. 즉, 상기 숫자키 '4'의 입력회수에 따라 노멀샷->멀티샷->나이트 샷->노멀샷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멀티샷 기능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6장, 9장, 15장을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숫자키 '5'라고 감지되면, 321단계로 진행하여 효과설정 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영상 효과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영상효과설정 모드는 상기 숫자키 '5'의 입력회수에 따라 영상에 효과를 줄 수 있는 소정개의 영상 효과기능을 순차적으로 전환하면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영상을 녹색톤(tone) 또는 갈색톤으로 영상효과 기능과 영상을 음/양각으로만 표현할 수 있는 기능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효과설정 모드는 촬영전에 설정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에 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으로 제공된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숫자키 '6'이라고 감지되면, 323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의 노이즈를 보정하는 노이즈 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안티밴딩 (anti -banding)노이즈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노이즈 설정모드는 안티밴딩 노이즈 적용과 안티밴드 미적용으로 전환된다. 즉, 상기 숫자키 '6'의 입력회수에 따라 안티 밴딩 노이즈 적용->안티 밴딩 노이즈 미적용->안티 밴딩 노이즈 미적용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숫자키 '7'이라고 감지되면, 325단계에서 프레임 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내장된 소정개의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 설정모드는 상기 숫자키 '7'의 입력회수에 따라 소정개의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전환하면서 제공한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숫자키 '8'이라고 감지되면, 327단계에서 타이머 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셀프 타이머(self timer)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타이머 설정모드는 셀프 타이머 온과 셀프 타이머 오프로 전환된다. 즉, 상기 숫자키 '8'의 입력회수에 따라 셀프 타이머 온->셀프타이머 오프->셀프타이머 온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셀프타이머는 셀프 촬영시 설정된 시간 경과후 자동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숫자키 '9'라고 감지되면, 329단계에서 앨범 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포토앨범과 비디오 앨범을 제공한다. 즉, 상기 숫자키 '9'의 입력회수에 따라 포토앨범->비디오 앨범->포토앨범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앨범 설정모드는 다수의 정지영상의 포토앨범과 다수의 동영상의 비디오 앨범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숫자키 '0'이라고 감지되면, 331단계에서 플래쉬(flash) 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플래쉬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플래쉬 설정모드는 플래쉬 수동과 플래쉬 자동으로 전환된다. 즉, 상기 숫자키 '0'의 입력회수에 따라 플래쉬 수동->플래쉬 자동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사이드 키'라고 감지되면, 333단계에서 영상 방향 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영상 향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영상 방향 설정모드는 영상 상하 반전과 영상 좌우 반전으로 전환된다. 즉, 상기 '사이드 키'의 '상키' 입력에 따라 영상 상하반전을 수행하고, 상기 '사이드 키'의 '하키' 입력에 따라 영상 좌우 반전을 수행한다.
또한,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입력되는 단축키가 '방향키'라고 감지되면, 335단계에서 영상 명암/줌 설정모드를 변경하는 키로 인식하여 영상 명암/줌을 조절한다. 즉, 상기 영상 명암/줌 설정모드는 영상의 명암과 줌을 조절한다. 즉, 상기 '방향키'의 '우키' 입력에 따라 영상의 밝기 정도(밝게)를 소정 단계별로 조절하고, 상기 '방향키'의 '좌키' 입력에 따라 영상의 밝기 정도(어둡게)를 소정 단계별로 조절한다. 또한, 상기 '방향키'의 '상키' 입력에 따라 영상을 줌인(zoom in, 확대)하고, 상기 '방향키'의 '하키' 입력에 따라 영상을 줌아웃(zoom out, 축소)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설정모드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기능설정 표시키'가 입력되면 표시부80에 단축키마다의 기능 설정모드를 표형태로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변환하고자 하는 기능설정 상태의 해당 단축키를 인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드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설정되는 기능 설정모드를 단축키를 통해 쉽게 카메라 촬영에 관한 기능 설정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축키를 통해 카메라의 기능 설정상태를 간단히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원하는 설정상태로 설정하여 단시간에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a-3b는 도 2에 있어서, 단축키에 따른 카메라 모드의 기능 설정모드의 동작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1: RF부
23: 데이터 처리부 25: 오디오 처리부
27: 키패드 29: 메모리
50: 카메라 60: 신호처리부
70: 영상 처리부 80: 표시부
ANT: 안테나 MIC: 마이크
SPK: 스피커

Claims (23)

  1.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면 퓨리뷰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실행된 퓨리뷰 모드에서 단축키가 입력되면 그 해당 단축키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변경하여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기능을 위한 단축키 모드를 기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는 소정개의 숫자키와 사이드(side) 키 및 방향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드 선택은 폴더가 열린상태에서는 사이드 키를 소정시간 입력하여 퓨리뷰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드 선택은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는 사이드 키를 소정시간 입력하여 셀프 촬영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과정은 단축키 모드의 설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는 입력되는 회수에 따라 그 단축키에서 지원가능한 기능이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제1 촬영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상기 입력되는 단축키의 입력회수에 따라 카메라 퓨리뷰 모드에서 캠코더 퓨리뷰 모드 또는 캠코더 퓨리뷰 모드에서 카메라 퓨리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영상크기 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상기 입력되는 단축키의 입력회수에 따라 소정개의 영상 크기로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크기는 VGA풀화면과 VGA실제화면과 QVGA와 QQVG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화질 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상기 입력되는 단축키의 입력회수에 따라 소정개의 화질로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개의 화질은 화질이 가장 우수한 슈퍼 파인(super fine)과 우수한 화질의 파인(fine), 노멀(nomal), 이코노믹(economic) 화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제2 촬영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상기 입력되는 단축키의 입력회수에 따라 소정개의 촬영상태로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개의 촬영상태는 일반적인 촬영의 노멀샷(nomal shot)과 멀티 촬영의 멀티샷(multi shot) 및 밤시간대 촬영의 나이트 샷(night shot)으로 전환된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효과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상기 입력되는 단축키의 입력회수에 따라 영상에 효과를 줄 수 있는 소정개의 영상 효과기능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노이즈 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상기 입력되는 단축키의 입력회수에 따라 안티밴딩 노이즈 적용에서 안티밴딩(anti banding) 노이즈 미적용 또는 안티밴딩 노이즈 미적용에서 안티밴딩 노이즈 적용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프레임 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상기 입력되는 단축키의 입력회수에 따라 소정개의 프레임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타이머 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타이머에 의해 소정시간후 촬영하는 셀프 타이머 온에서 셀프 타이머 오프 또는 셀프 타이머 오프에서 셀프 타이머 온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앨범 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정지영상으로 촬영된 포토앨범에서 동영상으로 촬영된 비디오 앨범모드 또는, 비디오 앨범모드에서 포토앨범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플래쉬 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플래쉬(flash)를 수동에서 플래쉬 자동으로 또는, 플래쉬 자동에서 플래쉬 수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영상 방향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영상을 상하반전시키거나 영상을 좌우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영상 명암/줌 설정모드의 변경을 요구하는 키이면, 상기 입력되는 단축키의 입력회수에 따라 영상의 명암/줌을 단계별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과정은 기능설정 표시키의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능설정표시키가 입력되면 단축키에 대응된 기능설정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28950A 2004-04-27 2004-04-27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060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950A KR100605996B1 (ko) 2004-04-27 2004-04-27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950A KR100605996B1 (ko) 2004-04-27 2004-04-27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675A true KR20050103675A (ko) 2005-11-01
KR100605996B1 KR100605996B1 (ko) 2006-07-26

Family

ID=3728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950A KR100605996B1 (ko) 2004-04-27 2004-04-27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9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159B1 (ko) * 2005-05-04 2007-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및 장치
KR101288916B1 (ko) * 2006-11-07 2013-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034A (ko) * 2000-06-05 2001-12-12 김영귀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KR100425709B1 (ko) * 2001-09-07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방법
KR100850993B1 (ko) * 2002-12-1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제어방법
KR20040079453A (ko) * 2003-03-07 2004-09-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바로가기 단축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159B1 (ko) * 2005-05-04 2007-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및 장치
KR101288916B1 (ko) * 2006-11-07 2013-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996B1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144B1 (ko) 카메라를 가진 로테이션 터치폰에서 폴더의 위치를감지하는 방법
EP162465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e in a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US78562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 rotating key and controlling a display in a mobile terminal
US20060274155A1 (en)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mod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77689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ata in a wireless terminal with normal video communication mode and image mute mode
JP2007312039A (ja) Tv電話機能付き携帯端末
US20060274039A1 (en)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547741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0605996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US200502807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and two display units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US20060294541A1 (en) Method of performing a call in a wireless terminal
KR1007033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75662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에서 촬영모드제어방법
KR100664154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KR10053987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05869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의 자동동작 방법
KR100744344B1 (ko) 영상 데이터 처리방법
KR101255009B1 (ko) 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획득 및 처리 방법
KR100678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557094B1 (ko) 영상표시장치의 역상조정 방법
KR100655583B1 (ko) 슬라이드를 이용한 줌 레벨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06045B1 (ko)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전환방법
KR1005843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촬영영상의 제목 입력방법
KR2005009353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리입력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