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916B1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916B1
KR101288916B1 KR1020060109582A KR20060109582A KR101288916B1 KR 101288916 B1 KR101288916 B1 KR 101288916B1 KR 1020060109582 A KR1020060109582 A KR 1020060109582A KR 20060109582 A KR20060109582 A KR 20060109582A KR 101288916 B1 KR101288916 B1 KR 10128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user
menu
image processing
me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462A (ko
Inventor
박병찬
조산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9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메뉴를 선택하여 저장하고, 한 번의 촬영 동작으로 상기 모든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된 선택 가능한 촬영 메뉴들로부터 소정 개수의 촬영 메뉴가 선택되면 이를 저장하고, 이후 영상 촬영 동작이 수행되면, 저장된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Method for capturing image defined by user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중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촬영 기능 설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정의 촬영 기능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중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촬영 기능 설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정의 촬영 기능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4의 사용자 정의 촬영 기능 설정 후에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메뉴를 선택하여 저장하고, 한 번의 촬영 동작으로 상기 모든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은 원하는 영상을 확인하고 셔터를 누름으로써 그 영상을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다. 셔터를 누름으로써 저장되는 파일의 영상과 매수를 설정하는 모드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셔터를 누른 시점의 영상, 셔터를 누른 후 미리 설정된 일정 간격의 여러 장의 영상, 셔터를 누르고 있는 동안의 일정 간격의 여러 장의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등이 제공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제조사가 미리 정해 놓은 틀에 맞추어 촬영을 하므로, 다양한 촬영을 원하는 사용자는 제조사가 펌웨어(firmware)를 수정해 주기만을 기다려야 한다. 제조사가 펌웨어를 수정하더라도 사용자가 또 다른 다양한 촬영을 행하려고 해도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는 제조 당시에 정해 놓은 촬영 기능 이외에는 다른 촬영 방법이나 기능 설정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메뉴를 선택하여 저장하고, 한 번의 촬영 동작으로 상기 모든 촬영 메뉴 를 실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외부장치에서 작성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촬영 메뉴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한 번의 촬영 동작으로 상기 파일에 포함된 모든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a) 디스플레이된 선택 가능한 촬영 메뉴들로부터 소정 개수의 촬영 메뉴가 선택되면 이를 저장하는 단계; 및 (b) 영상 촬영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저장된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촬영 메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가 호출되면, 선택 가능한 모든 촬영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a-2) 디스플레이된 상기 촬영 메뉴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a-3)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를 선택 순서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한 번의 영상 촬영 동작 수행으로, 상 기 저장된 모든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a)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촬영 메뉴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b) 영상 촬영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파일에 포함된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외부장치에서 생성되고,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한 번의 영상 촬영 동작 수행으로, 상기 파일에 포함된 모든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사용자 입력부(101), 촬상부(103), 영상 처리부(105), 디스플레이부(107) 및 저장부(10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0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릴리즈 버튼(미도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기능 버튼(미도시) 및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미도시) 또는 망원-줌 버튼 (미도시) 등이 있다.
촬상부(103)는 셔터-릴리즈 버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렌즈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
셔터-릴리즈 버튼은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105)는 디지털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CCD 및 CFA 필터에 사용되는 소자는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여 그 변화되는 온도에 따라 암 전류를 발생하며, 이는 영상신호에 원하지 않는 블랙레벨(Black level)이 포함된다. 영상 처리부(105)는 이와 같이 암 전류에 의해 발생된 블랙레벨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05)는 또한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것을 감마 보정이라고 한다. 영상 처리부(105)의 감마 보정은 감마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신호의 입력 휘도 레벨을 8비트 휘도 레벨로 보정하여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0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05)의 CFA 보간은 R 또는 B 채널 값만 존재하는 화소들에서 G 채널을 먼저 복원한 후, B 채널, R 채널 순서로 또는 R 채널, B 채널 순서로 비어있는 값들을 채워 R, G, B 세 개의 채널을 복원한다.
영상 처리부(10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0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Exif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Exif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1)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저장부(109)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105)의 모든 동작은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는 제어 가능한 많은 하드웨어가 있으며, 이 하드웨어는 펌웨어에 의해 제어된다. 촬영되는 밝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조리개나 셔터스피드, 색을 조절하기 위한 AWB 게인, 디스플레이부(107)의 밝기를 제어하거나, 전원을 온/오프 시키거나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 관한 모든 세부적 기능들은 펌웨어에서 제어된다. 그 외에도 영상 처리를 위한 세부적인 기능들에 대해서도 내부적으로 펌웨어로 제어된다. 펌웨어는 펌웨어 개발자에 의해 프로그램 언어로 만들어 지며, 일반적인 촬영모드들은 개발자가 위에서 말한 기능들을 미리 조합하여 몇 가지를 만든 후, 사용자는 이 촬영 모드들을 선택하여 촬영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버튼과, 리모콘,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뉴에서 원하는 촬영모드나 그 외 여러 가지 설정을 행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메모리 카드(미도시) 또는 USB 케이블(미도시) 등을 통해서 사용자가 파일을 읽거나 쓰거나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제어부(111)에서도 사용자가 작성한 파일을 읽거나 쓰거나 수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에서 수 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내의 주변 구성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제어부(111)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중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촬영 기능 설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정의 촬영" 설정을 위한 메뉴를 호출한다(201단계).
"사용자 정의 촬영" 설정을 위한 메뉴를 호출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11)는 디스플레이부(107)에 선택 가능한 모든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들을 디스플레이 한다(203단계). 도 3a는 디스플레이부(107)에 디스플레이 되는 모든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들을 보여준다. 최 좌측에 F no(조리개 개폐 정도), 셔터, 딜레이 플레쉬(flash) 등은 주 메뉴들이고, 이 주 메뉴를 제1로 하여 행 방향으로 각종 서브메뉴들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7)는 제어부(111)의 제어 하에, 사용자가 선택하여 영상 촬영 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주 메뉴와 서브메뉴로 구성된 모든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를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부(107)에 디스플레이된 모든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로부터,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제어부(111)는 사용자 선택신호를 수신한다(205단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7)에 디스플레이된 모든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b에는 디스플레이부(107)에 디스플레이된 모든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로부터, AUTO 모드, 촬영, 딜레이 10초, 강제발광, 촬영, 딜레이 10초, 흑백모드, 촬영을 선택한 예를 보여준다. 디스플레 이부(107)가 터치패널로 구성된 경우,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들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07)가 LCD 패널로 구성된 경우,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들은 기능키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11)는 선택된 순서대로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를 저장부(109)에 저장한다(207단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순서대로 선택된, "AUTO 모드, 촬영, 딜레이 10초, 강제발광, 촬영, 딜레이 10초, 흑백모드, 촬영" 메뉴를 저장부(109)에 저장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중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촬영 기능 설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를 컴퓨터에서 TXT 파일 형식으로 작성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 저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외부장치로써 컴퓨터(200) 상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파일을 생성한다(401단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정의한 후 사용자가 파일에서 정의된 명령어들을 조합해서 파일을 작성한다. 도 5에 컴퓨터(200)에서 작성한 "사용자 정의 촬영" 파일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정의 촬영" 파일은 영어 또는 한국어로 작성될 수 있다.
다음에 명령어 들의 예를 기재한다. FN0는 F 넘버를 정의하며, 뒤에 숫자가 올 수 있다(ex: FNO 2.8). SHUTTER는 셔터 스피드를 정의하며, 뒤에 숫자가 올 수 있다(ex: SHUTTER 1/30). DELAY는 딜레이 시간을 정의하며, 뒤에 숫자가 올 수 있다(ex: DELAY 10). FLASH는 플레쉬를 설정하며, 뒤에는 미리 정의된 플레쉬 모드 가 온다(ex: FLASH AUTO).
도 5와 같이 생성된 "사용자 정의 촬영" 파일은 통신수단(USB, 300)을 통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로 전송된다(403단계).
이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통신수단(USB, 300)을 통하여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의 촬영" 파일을 독취하고(405단계), 이로부터 "사용자 정의 촬영" 파일에 기록된 사용자 정의 촬영 기능(메뉴)들을 저장부(109)에 저장한다(407단계).
도 6은 도 2 및 도 4의 사용자 정의 촬영 기능 설정 후에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사용자 정의 촬영을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정의 촬영" 실행 메뉴를 호출하여 선택한다(601단계).
"사용자 정의 촬영" 실행 메뉴 선택 신호를 제어부(111)는 저장부((109)에 저장된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를 독취한다(603단계).
그리고 나서, 제어부(111)는 영상 촬영을 위해 셔터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605단계).
셔터 입력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11)는 한 번의 셔터 입력으로 저장부(109)로부터 독취한 촬영 메뉴들을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영상을 생성한다(607단계). 종래의 경우, 소정의 촬영 메뉴 선택 후 한 번의 셔터 입력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생성하고, 다른 소정의 촬영 메뉴를 선택한 후 한 번의 셔터 입력으로 다른 영상을 촬영하여 생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한 번의 셔터 입력 으로 저장된 모든 촬영 메뉴들을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한 번의 셔터 입력으로 예를 들어 저장부(109)에는 도 3b의 순서로 "AUTO 모드, 촬영, 딜레이 10초, 강제발광, 촬영, 딜레이 10초, 흑백모드, 촬영" 메뉴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11)는 한 번의 셔터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를 각각 실행하여, 총 3장의 영상을 생성한다.
이후 제어부(111)는 한 번의 셔터 입력으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저장부(109)에 저장한다(609단계). 이후 사용자의 재생 신호에 따라, 제어부(111)는 저장부(109)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7)에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기능들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만이 가지고 잇는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I/O 포트(미도시) 또는 USB(미도시) 등과 같이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는 수단이 있다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 연결된 다른 기기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V(미도시)와 연결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가 TV를 켜거나 끄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면 이 또한 사용자가 메뉴 또는 파일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와 연결된 다른 기기들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위치나 높이 혹은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이러한 기기들을 이용하여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각도나 높이 혹은 위치 이동 등을 사용자 촬영에 삽입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메뉴를 선택하여 저장하고, 한 번의 촬영 동작으로 상기 모든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주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단순한 기능이 아닌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들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a) 디스플레이된 선택 가능한 촬영 메뉴들로부터 소정 개수의 촬영 메뉴가 선택되면 이를 저장하는 단계; 및
    (b) 영상 촬영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저장된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 사용자 정의 촬영 메뉴가 호출되면, 선택 가능한 모든 촬영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a-2) 디스플레이된 상기 촬영 메뉴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a-3)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를 선택 순서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촬영 메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한 번의 영상 촬영 동작 수행으로, 상기 저장된 모든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5.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a) 외부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촬영 메뉴를 포함하는 파일을 통신수단을 통하여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b) 영상 촬영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파일에 포함된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고,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한 번의 영상 촬영 동작 수행으로, 상기 파일에 포함된 모든 촬영 메뉴를 실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KR1020060109582A 2006-11-07 2006-11-07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KR10128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582A KR101288916B1 (ko) 2006-11-07 2006-11-07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582A KR101288916B1 (ko) 2006-11-07 2006-11-07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462A KR20080041462A (ko) 2008-05-13
KR101288916B1 true KR101288916B1 (ko) 2013-07-24

Family

ID=3964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582A KR101288916B1 (ko) 2006-11-07 2006-11-07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9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117A (ja) * 1999-04-30 2000-11-1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KR20050103675A (ko) * 2004-04-27 2005-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50116197A (ko) * 2004-06-07 2005-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의 촬영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117A (ja) * 1999-04-30 2000-11-1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KR20050103675A (ko) * 2004-04-27 2005-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50116197A (ko) * 2004-06-07 2005-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의 촬영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462A (ko)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1277A (ko) 히스토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의 동작 방법
KR101168988B1 (ko) 구도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KR101278240B1 (ko) 동영상 재생 시에 정지영상을 캡쳐하는 방법
KR10128891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촬영 방법
KR101411313B1 (ko) Tv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동작 방법
KR20100025967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동영상 파일 미리보기 장치 및 방법
KR101396355B1 (ko) 연사촬영된 영상들을 슬라이드쇼로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29863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124629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 촬영 방법
KR20090026938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KR10134003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합성 방법
KR10137832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115667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141131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합성 장치 및 방법
US20130162858A1 (en)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and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10128891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20090030098A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853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브라케팅 촬영을 이용한 광 역광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411316B1 (ko) 메모영상을 추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78334B1 (ko) 영상 트리밍 장치 및 방법
KR20090077490A (ko)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동시에 촬영 및 재생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80105647A (ko) 디지털 줌 시 라이브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34530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슬라이드쇼 영상 편집 방법
KR2009011239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03917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복수의 메뉴를 일괄 설정 및수행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