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328B1 -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328B1
KR101378328B1 KR1020060079471A KR20060079471A KR101378328B1 KR 101378328 B1 KR101378328 B1 KR 101378328B1 KR 1020060079471 A KR1020060079471 A KR 1020060079471A KR 20060079471 A KR20060079471 A KR 20060079471A KR 101378328 B1 KR101378328 B1 KR 10137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file
size
mode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805A (ko
Inventor
원정윤
남연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9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3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촬영 시에 파일 용량 및 조정모드(사이즈, 압축률)을 설정하고, 이미지 촬영 후 설정된 용량으로 사이즈와 압축률을 새로 설정하여 다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캡쳐될 영상의 사이즈, 품질 및 웹 사이트에 이미지 업로드를 위해 영상을 처리하는 웹 사이즈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캡쳐된 영상에 대해 설정된 사이즈 및 품질로 제1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며, 생성된 제1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및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웹 사이즈 모드를 수행한 후 제1 및 제2 이미지 파일 또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도 1은 종래의 영상 이미지의 리사이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웹 사이즈 메뉴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촬영 시에 파일 용량 및 조정모드(사이즈, 압축률)을 설정하고, 이미지 촬영 후 설정된 용량으로 사이즈와 압축률을 새로 설정하여 다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기기의 경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JPEG 이미지를 만들어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한다.
종래에는 영상 촬영 시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즈(Size)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Quality)을 선택하여, 그 선택한 기준으로 이미지가 캡쳐되어 만들어 진다. 이 때 이미지의 용량은 이미지의 복잡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미지 용량을 사용자가 줄이기 위해서는 이미지를 잃지 않으면서 해당 이미지 파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리사이즈 기능이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사이즈 기능으로 영상 재생 시에, 원본이미지 대비 이미지 해상도를 축소하거나 확대할 수 있지만, 카메라 유닛 자체적으로는 축소하는 기능만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이는 원본 이미지가 존재해야 하며 원본 이미지 대비 용량을 축소함으로써 이미지 파일의 데이터량을 줄이도록 하여 파일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일의 용량은 이미지의 품질과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경우 최대 이미지 용량에서 고품질을 선택하여 촬영을 했을 때 최고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좋은 품질의 사진을 얻는데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나중에 파일 용량을 줄이는 후 작업을 하더라도, 원본 이미지의 품질 세팅을 가장 좋은 것으로 촬영을 한다. 가장 좋은 품질의 세팅이란 이미지 사이즈를 최대로 하고 고품질 옵션을 선택하여 촬영을 하는 것으로, 이미지 파일 용량이 상당히 크다. 또한 이미지를 웹 사이트에 올리려고 할 때, 웹 사이트의 용량 크기 리미트(Limit)를 만족하는 동시에 사진 품질을 좋게 유지하기를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원한다.
만약, 이미지 파일 용량의 업-로드 제한이 500Kb인 웹 사이트가 있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 곳에 이미지를 올리기 위해서 반드시 파일 용량을 500Kb 이하로 줄여야 한다. 이 제약을 디지털 카메라에서 만족시키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에서 리사이즈 기능을 선택할 수 잇다. 그러나, 어느 정도 작게 만들어야 500Kb 보다 작을 수 있을지 알 수가 없어서 불편하고, 한꺼번에 웹 사이트에 올릴 이미지들은 리사이즈 할 수 없어서 불편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웹 사이트에 이미지 파일을 올리기 위해, 이미지 촬영 시에 파일 용량 및 조정모드를 설정하고, 이미지 촬영 후 설정된 파일 용량으로 이미지의 해상도(사이즈) 및 압축률을 조정하여 새로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a) 캡쳐될 영상의 사이즈(size), 품질(quality) 및 웹 사이트에 이미지 업로드를 위해 영상을 처리하는 웹 사이즈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캡쳐된 영상에 대해 상기 설정된 사이즈 및 품질로 제1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이미지 업로드를 위한 이미지 용량에 상응하도록, 상기 생성된 제1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및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상기 웹 사이즈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이미지 파일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웹 사이즈 모드에서는 상기 (d)단계를 선택하는 메뉴와 함께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 및 조정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용량 및 상기 조정모드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c-2)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의 조정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c-3)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2)단계의 조정모드 설정 시에, 이미지 사이즈 우선모드, 품질 우선모드 및 자동 모드 중 하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사이즈 우선모드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높이는 단계; 및 상기 압축률을 높인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상기 설정된 용량과 같아질 때까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품질 우선모드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낮추는 단계; 및 상기 해상도를 낮춘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상기 설정된 용량과 같아질 때까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 모드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높임과 동시에 해상도를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상기 설정된 용량과 같아질 때까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높임과 동시에 해상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로서, 셔터(200), 플래시(205), 렌즈부(210), 조리개(215), CCD(Charge Coupled Device)(220), ADC(225), 영상 처리부(230), 저장부(235), 디스플레이부(240) 및 제어부(245)를 포함한다.
셔터(200)는 조리개(215)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셔터(200)는 단순한 광량조절의 기능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 표현도구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스포츠사진은 물론 예술작품사진에서도 빠른 셔터와 느린 셔터의 이미지 재현은 색다른 분위기를 창출한다.
플래시(205)는 피사체 촬영 시에 빛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빛을 보정해 주기 위해 사용되며, 제어부(245)의 제어 하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플래시(205) 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부(210)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215)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215)의 개폐 정도는 제어부(245)에 의해 제어된다.
CCD(220)는 렌즈부(210)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210)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220)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220)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 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225)는 CCD(22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230)는 디지털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230)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다음에 설명하도록 한다.
CCD(220) 및 CFA 필터에 사용되는 소자는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여 그 변화되는 온도에 따라 암전류를 발생하며, 이는 영상신호에 원하지 않는 블랙레벨(Black level)이 포함된다. 따라서, 영상 처리부(230)는 이와 같이 암전류에 의해 발생된 블랙레벨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230)는 또한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품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것을 감마 보정이라고 한다. 영상 처리부(230)의 감마 보정은 감마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신호의 입력 휘도 레벨을 8비트 휘도 레벨로 보정하여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230)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230)의 CFA 보간은 R 또는 B 채널값만 존재하는 화소들에서 G 채널을 먼저 복원한 후, B 채널, R 채널 순서로 또는 R 채널, B 채널 순서로 비어있는 값들을 채워 R, G, B 세 개의 채널을 복원한다.
영상 처리부(230)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230)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240)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저장부(235)에 저장된다. 여기서 생성된 JPEG 파일은 제1 이미지 파일로써의 원본 이미지 파일이다. 또한 영상 처리부(230)는 원본 이미지 파일 이외에, 웹 사이트에 올리기 위해 용량 및 압축률을 변경하여 제2 이미지 파일로써의 리사이즈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230)의 모든 동작은 제어부(245)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이미지 파일 용량에 제한이 있는 웹 사이트에 이미지 파일을 올리기 위해, 제어부(24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사이즈 메뉴를 제공한다. 도 3a ∼도 3c의 왼쪽에는 웹 사이즈의 주 메뉴가, 오른쪽에는 주메뉴에 해당하는 서브메뉴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Size"는 제2 이미지 파일로써의 리사이즈될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설정하기 위한 주 메뉴이고, 그 서브 메뉴들에는 None, 500 Kbyte, 700 Kbyte 1 Mbyte가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서브 메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Mode"는 제2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압축률 조정을 설정하기 위한 주 메뉴이고, 그 서브 메뉴들에는, S 모드, Q 모드 및 A 모드가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서브 메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 모드(Image size priority mode, 이미지 사이즈 우선 모드)는 이미지 파일의 리사이즈 실행 시에 이미지의 해상도를 우선으로 리사이즈를 실행한다. 즉, 설정된 제한 용량 이내로 리사이즈 실행 시에 원본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유지하는 다신 JPG 압축율을 조절하여 파일의 용량을 줄이도록 한다. 이 모드의 장점은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크게 유지할 수 있으나, 단점은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 증대로 인한 데이터 손실이 많아서 영상의 디테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Q 모드(Image quality priority mode, 이미지 품질 우선 모드)는 이미지 파일의 리사이즈 실행 시에 이미지 파일의 품질을 우선으로 리사이즈를 실행한다. 즉, 선택된 품질을 우선으로 압축률 손실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대신,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축소하여 이미지 파일의 크기를 줄이도록 한다. 이 모드의 장점은 이미지 파일의 품질은 우수할 수 있으나, 단점은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A 모드(Auto mode, 자동 모드)는 이미지 파일의 리사이즈 실행 시에, 카메라가 스스로 판단하여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 및 압축률을 적절히 조정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모드의 장점은 결과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가 너무 작지 않으면서도, 너무 압축되지 않은 이미지 파일을 얻을 수 있으나, 단점으로는 출력물의 해상도 및 품질을 사용자가 미리 알기가 쉽지 않다.
도 3c에 도시된 "Copy"는 제1 이미지 파일로써의 원본 이미지 파일 및 제2 이미지 파일로써의 리사이즈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부(235)에 저장할 것인지, 아니면 제1 이미지 파일로써의 원본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고, 새로 생성한 제2 이미지 파일로써의 리사이즈된 이미지 파일만을 저장부(235)에 저장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주 메뉴이고, 그 서브 메뉴들에는, "Yes" 및 "No"가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서브 메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메뉴에서 "Yes" 서브 메뉴가 선택되면, 제1 이미지 파일로써의 원본 이미지 파일 및 제2 이미지 파일로써의 리사이즈된 이미지 파일이 저장부(235)에 저장되고, "No" 서브 메뉴가 선택되면, 제1 이미지 파일로써의 원본 이미지 파일이 삭제되고, 새로 생성한 제2 이미지 파일로써의 리사이즈된 이미지 파일만이 저장부(235)에 저장된다.
사용자의 메뉴 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용량 및 품질에 맞게 이미지 캡쳐를 하게 되면, 생성된 원본 이미지 파일의 용량과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파일 용량을 비교하여, 생성된 원본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파일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리사이즈를 실행하게 된다. 리사이즈 실행 시에, S 모드, Q 모드 인지에 따라, S 모드는 해상도는 유지하되 압축률을 조정하여 파일의 용량을 줄이고, Q 모드는 압축률을 유지하되 해상도를 작게 축소하여 파일의 용량을 줄인다. A 모드는 카메라 내에서 적절한 해상도와 압축률을 조정하여 설정된 웹 사이즈 모드 파일 이미지 용량에 해당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 방법을 통하여 웹 사이트에 업 로드 할 수 있는 최적의 이미지 파일을 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 바로 별도의 후 보정이 필요 없이 파일 용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웹 사이트에 이미지 파일을 올리기 위해, 이미지 촬영 시에 파일 용량 및 조정모드를 설정하고, 이미지 촬영 후 설정된 파일 용량으로 사이즈와 압축률을 조정하여 새로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이미지 촬영 전에, 사용자에 의해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 품질 및 웹 사이즈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245)는 이를 수신한다(400단계).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 설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ze"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해상도를 설정하고, 촬영될 이미지의 품질 설정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Quality"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품질 메뉴를 설정한다. 또한 웹 사이트에 이미지 업로드를 위해 영상을 처리하는 웹 사이즈 모드 설정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ze"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용량을 설정하고, "Mode"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압축률을 설정하고, "Copy" 메뉴를 선택하여 원본 이미지 삭제 여부를 설정한다.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 품질 및 웹 사이즈 모드가 설정된 후, 셔터(100)를 입력하여 이미지를 촬영한다(401단계).
셔터(100)의 입력을 수신한 제어부(245)는 렌즈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이 미지를 영상 처리부(220)에서 신호 처리하도록 제어하고, 신호 처리 결과로 생성된 제1 이미지로써의 원본 이미지(이하, 제1 이미지로 표기함)를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 한다(402단계).
제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면, 제어부(245)는 설정된 값에 따라 웹 사이즈 모드를 실행한다(403단계).
웹 사이즈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245)는 먼저 제1 이미지 파일의 용량과 설정된 웹사이즈 용량 즉, 리사이즈될 이미지 파일(이하 제2 이미지 파일이라 표기함)의 용랴을 비교하여(404단계), 제1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보다 작은 경우, 제1 이미지 파일을 저장부(235)에 저장한다(405단계). 그러나, 제1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보다 큰 경우, 선택된 압축률 모드에 따라 제1 이미지 파일을 압축한다.
상기 웹 사이즈 모드 설정에서 S 모드가 선택된 경우(406단계), 제어부(245)는 설정된 웹 사이즈 모드에 해당하는 압축 비율을 계산한다(407단계). S 모드에서는 해상도는 유지하되 압축률을 조정하여 파일의 용량을 줄인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1 Mbyte이고,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500 Kbyte인 경우, 압축 비율을 2배로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245)의 제어 하에 영상 처리부(230)에서는 계산된 압축 비율을 제1 이미지 파일에 적용하여 이미지 리사이즈를 수행하여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408단계).
이후, 417단계로 점프하여, 제어부(245)는 원본 이미지 파일을 삭제할 것인 지를 판단한다(417단계).
이는 상기에서 "Copy"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Yes"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1 이미지 파일 및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부(235)에 저장한다(418단계).
그러나 "No"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1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고, 새로 생성한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부(235)에 저장한다.
상기 웹 사이즈 모드 설정에서 Q 모드가 선택된 경우(409단계), 제어부(245)는 설정된 웹 사이즈 모드에 해당하는 축소 해상도 사이즈 비율을 계산한다(410단계). Q 모드에서는 압축률을 유지하되 해상도를 작게 축소하여 파일의 용량을 줄인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1 Mbyte에 해당하는 해상도가 1024×768이고,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500 Kbyte에 해당하는 해상도가 640×480인 경우, 축소 해상도 비율을 1.6배로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245)의 제어 하에 영상 처리부(230)에서는 계산된 축소 해상도 비율을 제1 이미지 파일에 적용하여 이미지 리사이즈를 수행하여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411단계).
이후, 417단계로 점프하여, 제어부(245)는 원본 이미지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한다(417단계).
이는 상기에서 "Copy"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Yes"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1 이미지 파일 및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부(235)에 저장한다(418단계).
그러나 "No"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1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고, 새로 생성한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부(235)에 저장한다.
상기 웹 사이즈 모드 설정에서 A 모드가 선택된 경우(412단계), 제어부(245)는 제1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한 단계 줄여서 리사이즈 한다(413단계). A 모드는 카메라 내에서 적절한 해상도와 압축률을 조정하여 설정된 웹 사이즈 모드 파일 이미지 용량에 해당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도록 한다. A 모드에서 사용되는 축소 해상도 비율 및 압축 비율은 제어부(245)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임의의 값은 카메라에 따라 촬영된 제1 이미지 파일의 용량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제어부(245)는 해상도가 한 단계 낮아진 이미지 파일의 용량과 설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비교하여(414단계), 해상도가 한 단계 낮아진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설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보다 큰 경우, 제어부(245)는 리사이즈된 이미지 파일의 압축 비율을 한 단계 높여서 다시 리사이즈 한다(415단계).
제어부(245)는 압축비율이 한 단계 높아진 이미지 파일의 용량과 설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비교하여(416단계), 압축비율이 한 단계 높아진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설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보다 큰 경우, 리사이즈된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과 같아질 때까지 해상도를 축소시키고 압축비율을 상승시켜 용량을 줄이는 동작을 반복 부생한다.
압축비율이 한 단계 높아진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설정된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245)는 원본 이미지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한다(417단계).
이는 상기에서 "Copy"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Yes"가 선택된 경우에 는, 제1 이미지 파일 및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부(235)에 저장한다(418단계).
그러나 "No"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1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고, 새로 생성한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부(235)에 저장한다.
이 방법을 통하여 웹 사이트에 업 로드 할 수 있는 최적의 이미지 파일을 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 바로 별도의 후 보정이 필요 없이 파일 용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웹 사이트에 이미지 파일을 올리기 위해, 이미지 촬영 시에 파일 용량 및 압축률을 설정하고, 이미지 촬영 후 설정된 파일 용량 및 압축률로 이미지를 리사이즈 하여 새로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웹 사이트에 업 로드 할 수 있는 최적의 이미지 파일을 쉽게 생성하고, 바로 별도의 후 보정이 필요 없이 파일 용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으로서,
    (a) 캡쳐될 영상의 사이즈(size), 품질(quality) 및 웹 사이트에 이미지 업로드를 위해 영상을 처리하는 웹 사이즈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캡쳐된 영상에 대해 상기 설정된 사이즈 및 품질로 제1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이미지 업로드를 위한 이미지 용량에 상응하도록, 상기 생성된 제1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및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상기 웹 사이즈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이미지 파일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웹 사이즈 모드에서는
    상기 (d)단계를 선택하는 메뉴와 함께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 및 조정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용량 및 상기 조정모드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c-2)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의 조정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c-3) 상기 제1 이미지 파일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2)단계의 조정모드 설정 시에
    이미지 사이즈 우선모드, 품질 우선모드 및 자동 모드 중 하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사이즈 우선모드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높이는 단계; 및
    상기 압축률을 높인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상기 설정된 용량과 같아질 때까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우선모드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낮추는 단계; 및
    상기 해상도를 낮춘 제1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상기 설정된 용량과 같아질 때까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높임과 동시에 해상도를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상기 설정된 용량과 같아질 때까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을 높임과 동시에 해상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20060079471A 2006-08-22 2006-08-22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137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471A KR101378328B1 (ko) 2006-08-22 2006-08-22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471A KR101378328B1 (ko) 2006-08-22 2006-08-22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805A KR20080017805A (ko) 2008-02-27
KR101378328B1 true KR101378328B1 (ko) 2014-03-27

Family

ID=3938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471A KR101378328B1 (ko) 2006-08-22 2006-08-22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391B1 (ko) * 2017-01-10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903A (ko) * 2001-04-06 2001-07-13 김주평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화상자동견적 시스템
JP2002041297A (ja) * 2000-07-28 2002-02-08 Ricoh Co Ltd ソフトウェア環境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297A (ja) * 2000-07-28 2002-02-08 Ricoh Co Ltd ソフトウェア環境管理方法
KR20010067903A (ko) * 2001-04-06 2001-07-13 김주평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화상자동견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805A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0251B2 (en) Image capture with focus adjustment
US8081242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8625021B2 (en) Image capture with region-based adjustment of imaging properties
JP4943721B2 (ja) 画像データのカラーノイズ除去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撮像装置
US20080013787A1 (en)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or, image filing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20120069212A1 (en) Image capture with adjustment of imaging properties at transitions between regions
US7884866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200611547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080285816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histogram and method thereof
US8144216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GB2386785A (en) Digital camera with signal processing prior to compression
JP5256947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822462B1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촬영 장치
JP2008053931A (ja) 撮像装置
KR101168988B1 (ko) 구도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US20080118220A1 (en) Method of capturing still image during reproduction of moving picture
JP2008017198A (ja) 光源色算出装置、光源色算出方法及び撮影装置
KR10137832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JP531033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6238369A (ja) ディジタルカメラ、カスタムホワイトバランス値設定方法、撮像制御方法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KR10129863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124629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 촬영 방법
KR10134003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합성 방법
KR10144560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73022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