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159B1 -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159B1
KR100781159B1 KR1020050037481A KR20050037481A KR100781159B1 KR 100781159 B1 KR100781159 B1 KR 100781159B1 KR 1020050037481 A KR1020050037481 A KR 1020050037481A KR 20050037481 A KR20050037481 A KR 20050037481A KR 100781159 B1 KR100781159 B1 KR 10078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cript fi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133A (ko
Inventor
전은석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15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7Upgrading or updating of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camer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파일에 의하여 촬영조건 및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기능들을 설정 및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은,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재설정 가능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가 기록된 스크립트 파일을 선택하는 스크립트 파일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스크립트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인식하는 스크립트 파일 해석단계; 및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들을 설정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설정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파일에 의하여 각각의 촬영모드에 대한 촬영조건 및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기능들을 설정 및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by user defined script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를 포함한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여 수행되는 촬영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에 사용되는 사용자 스크립트 파일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에 사용되는 사용자 스크립트 파일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파일에 의하여 촬영조건 및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기능들을 설정 및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 다양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등 통신망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일상 생활 속에서까지 다양한 용도를 가지며 주목받고 있다.
종래의 영상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 예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에는 프로그램, 자동, 수동, 장면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모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촬영모드들은 각각의 촬영모드별로 주어진 기능들에 대해서만 사용자가 촬영 조건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는 카메라에 미리 설정된 제한된 기능들에 대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하지만, 각각의 촬영모드에는 많은 기능들이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제한되어 있으며, 기능의 세부적인 수치 조절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각의 촬영모드에 있어서 원하는 기능을 충분히 설정할 수 없어, 원하는 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없으며 카메라의 작동에 있어서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파일에 의하여 각각의 촬영모드에 대한 촬영조건 및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기능들을 설정 및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은,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재설정 가능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가 기록된 스크립트 파일을 선택하는 스크립트 파일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스크립트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인식하는 스크립트 파일 해석단계; 및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들을 설정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설정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설정단계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인식번호로부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스크립트 파일의 실행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촬영모드를 인식하는 단계, 촬영모드에 대한 설정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설정정보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파일에 의하여 각각의 촬영모드에 대한 촬영조건 및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기능들을 설정 및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로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여 디지털 캠코더 등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버튼(13), 뷰파인더(17a), 플래시-광량 센서(19), 전원 스위치(31), 렌즈부(20), 및 원격 수신부(4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9)는 플래시(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도 3의 5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3의 507)에 입력시킨다. 원격 수신부(41)는 원격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명령 신호 예를 들어, 촬영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입력시킨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 버튼(37), 재생 모드 버튼(42), 스피커(SP),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칼라 LCD 패널(35),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모드 다이얼(14)은, 각종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컴퓨터 연결 모드, 및 시스템 설정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 메라(1)의 특정 동작 모드들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한편, 방향-이동 버튼들로서 사용된다.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포커싱을 하거나 삭제 조작을 하는 데에 사용된다. 수동-조정/재생 버튼(37)은 특정 조건들의 수동 조정, 및 재생 모드에서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재생 모드 버튼(42)은 재생 또는 촬영 모드로의 전환에 사용된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칼라 LCD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칼라 LCD 패널(35)에 피사체의 화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두 번째로 누르면 칼라 LCD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어느 한 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재생되고 있는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가 칼라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 되고, 두 번째로 누르면 순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된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초점이 잘 맞추어졌을 때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모드 지시 램프(14L)는 모드 다이얼(14)의 선택 모드를 가리킨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를 포함한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물질이 광학계(OPS)에 부착됨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 배리어(13)는 배리어 모터(MB)에 의하여 구동되어 열리거나 닫힌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여기서, 줌 렌즈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맨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화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록(5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33), 모드 지시 램프(14L) 및 플래시 대기 램프(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모니터 버튼(32),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 버튼(37),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 등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515)를 통하여 외부 통신기기 또는 인터넷과 같은 정보 서비스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하며, USB 접속부(21a), RS232C 인터페이스 접속부(21b)와 같은 접속부, 또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515)를 통하여 외부 정보통신기기에 접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의 사용자 스크립트를 원격으로 실행하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원격 애프터 서비스가 가능하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여 수행되는 촬영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셔터 버튼(1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을 조작한 후, 셔터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버튼(13)으로부터의 S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버튼(13)으로부터의 S2 신호가 온(On)된다. 따라서, 촬영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셔터 버튼(13)을 1단으로 누르면 시작된다(단계 101). 여기서, 줌 렌즈의 현재 위치는 이미 설정된 상태이다.
먼저, 촬영 조건의 설정을 위하여 촬영 정보가 판독된다(단계 101a). 다음에, 메모리 카드의 잔량이 검사되어(단계 102), 디지털 영상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인지 확인된다(단계 103). 기록 가능한 용량이 아닌 경우,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부족함이 표시된다(단계 104). 기록 가능한 용량인 경우,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먼저, 촬영 정보 판독 단계(101a)에서 판독된 촬영 정보에 따라 자동 백색 균형(AWB, Automatic White Balance) 모드가 수행되어 관련 파라미터들이 설정된다 (단계 105).
다음에, 촬영 정보 판독 단계(101a)에서 판독된 촬영 정보에 따라 자동 노출(AE, Automatic Exposure) 모드가 수행되어,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이 계산되고, 계산된 노광량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가 구동된다(단계 106).
다음에, 촬영 정보 판독 단계(101a)에서 판독된 촬영 정보에 따라 자동 포커싱(AF, Automatic Focusing) 모드가 수행되어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설정된다(단계 107).
다음에, 셔터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1 신호가 온(On) 상태인지 확인된다(단계 108). S1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의 촬영 의도가 없는 상태이므로 종료한다. S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아래의 단계들이 계속 수행된다.
먼저, S2 신호가 온(On) 상태인지 확인된다(단계 109). S2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버튼(13)의 2단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단계 106으로의 이동 및 진행이 수행된다.
S2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버튼(13)의 2단을 누른 상태이므로, 촬영 동작이 수행된다(단계 110). 즉,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가 타이밍 회로(502)의 동작을 제어함에 의하여 광전 변환부(OEC)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가 동작한다. 다음에, 영상 데이터가 압축되어(단계 111) 압축된 영상 파일이 생성된다(단계 112). 그리고, 생성된 영상 파일이 디지털 신호 처리 기(507)로부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를 통하여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다(단계 11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500)은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재설정 가능한 것으로서, 스크립트 파일 선택단계(단계 501); 스크립트 파일 해석단계(단계 502); 및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설정단계(단계 503 내지 단계 506)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립트 파일 선택단계(단계 501)에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가 기록된 스크립트 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스크립트 파일 해석단계(단계 502)에는 선택된 스크립트 파일을 분석하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설정단계(단계 503 내지 단계 506)에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들을 설정한다.
먼저, 스크립트 파일 선택단계(단계 501)에서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가 기록된 스크립트 파일을 선택하는데,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메뉴 또는 사용자 입력 키들을 조작하여 특정 폴더 내의 스크립트 파일을 지정하면, 해당 스크립트 파일을 선택하여 읽어들일 수 있다. 이때, 스크립트 파일을 선택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 의하여 제어되는 외부 메모리 카드 내의 특정 폴더를 지정하면, 해당 폴더 내의 스크립트 파일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사용자가 원하는 스크립트 파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폴더 또는 스크립트 파일을 선택하지 아니하면, 내부적으로 디폴트값으로 지정된 폴더 내에서 스크립트 파일을 검색하여 스크립트 파일을 선택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스크립트 파일 해석단계(단계 502)에서는 선택된 스크립트 파일을 분석하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판독하는데, 도 3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EEPROM(505)과 같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구문 분석기(script parser)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설정단계(단계 503 내지 단계 506)에서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들을 설정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설정단계(단계 503 내지 단계 506)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인식번호로부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상기 스크립트 파일의 실행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단계 503), 촬영모드를 인식하는 단계(단계 504), 촬영모드에 대한 설정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단계 505), 설정정보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단계 50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크립트 파일은, 스크립트 파일이 적용 가능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인식번호, 재설정하고자 하는 촬영모드, 및 촬영모드에 적용되는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에 대한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립트 파일에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키 버튼 또는 메뉴에 의하여 접근 불가능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크립트 명령어에는 디지털 카메라 외부 키 입력과 메뉴로 설정 및 조작이 가능한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및 설정에 관한 일반 명령어와 디지털 카메라 외부 키 입력과 메뉴로 설정 및 조작이 불가능한 시스템 설정이나 화이트 밸런스, 조리개값, 또는 초점조절 등의 화질 및 성능에 관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 명령어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에서 불가능했던 조작 변수들에 대해서도,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재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도 디지털 카메라의 성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으며, 전문성 및 다양화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 사이에 스크립트 파일을 공유함으로써, 전문가의 촬영 기술을 일반인들도 자신의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적용 가능한 설정정보로는, 매크로, 플래시, 화이트 밸런스, ISO, 조리개 값, 셔터 속도, 해상도, 화질, 측광, 사진 효과, 샤프니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감도(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는 필름 카메라에서와 마찬가지로 빛에 반응하는 감도로서, 사진을 좀더 밝게 찍고자 한다면 좀 더 고감도로 설정하면 광량이 적은 상태에서도 밝은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다만, 감도가 높아지면 사진을 좀 더 밝게 찍을 수 있으나 사진이 거칠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파일에 의하여 각각의 촬영모드에 대한 촬영조건 및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기능들을 설정 및 실행할 수 있는데, 촬영모드 단위로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아니하는 설정값들에 대해서도 설정 가능하다.
이때, 촬영모드로는, 자동 촬영모드, 프로그램 촬영모드, A/S/M 촬영모드, 동영상 촬영모드, 야경 촬영모드, 연속촬영모드 및 장면 촬영모드들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A/S/M 촬영모드는 촬영자의 의도대로 셔터 속도 또는 조리개값 설정이 가능한 모드로서, 조리개 우선 촬영모드(A), 셔터 우선 촬영모드(S), 수동 촬영모드(M)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이다. 또한, 장면(SCENE) 촬영모드는 다양한 유형의 장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촬영정보에 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 스크립트 파일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립트 파일이 적용 가능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인식번호, 재설정하고자 하는 촬영모드, 및 촬영모드에 적용되는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에 대한 설정정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503에서는 스크립트 파일에서 판독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인식번호로부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스크립트 파일의 실행 가능여부를 판단하는데, 도 6 및 도 7에서 dscid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인식번호를 나타내는 변수가 되고,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인식번호가 D2_5M인 경우이다.
이때, 상기 단계 503에서 스크립트 파일이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단계 504 내지 단계 506이 수행되고, 스크립트 파일이 실행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고(단계 507) 종료한다.
상기 단계 504에서는 재설정하고자 하는 촬영모드를 인식하는데, 도 6 및 도 7에서 mode가 촬영모드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촬영모드가 인물 장면모드 인 경우이다.
상기 단계 505에서는 상기 단계 504에서 인식된 촬영모드(도 6의 경우 인물 장면모드)에 대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설정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단계 506에서는 상기 단계 505에서 인식된 설정정보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이 외부 정보통신기기 또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에 접속되어 유,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스크립트를 원격으로 실행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원격 애프터 서비스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크립트가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정보통신기기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며, 상기 정보통신기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에 사용되는 사용자 스크립트 파일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모드로는 자동 촬영모드, 프로그램 촬영모드, A/S/M 촬영모드, 동영상 촬영모드, 야경 촬영모드, 연속촬영모드 및 장면 촬영모드 등의 다양한 촬영모드가 있을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카메라의 실시예에서는 모드 다이얼(14)에 의하여 그 촬영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모드들은 각각의 모드별로 주어진 기능들의 선택에 한해서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메뉴 또는 키 조작에 의하여 촬영정보를 재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메뉴 또는 키 조작에 의하여 재설정 가능한 변수들 외에도, 조기개값, 셔터 스피드, 포커싱 모드, ISO 값, 자동 포커싱 영역 등 다양한 촬영조건에 대해서도 재설정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스크립트 파일에 의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크립트 기능 지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모델을 확인한다(라인 01). 다음, 재설정하기 위한 촬영모드를 인물 장면모드로 설정하고(라인 02), 포커싱 방법을 자동(af) 또는 수동(mf)으로 선택하고(라인 03), 자동 포커싱 영역을 보통(Normal)과 매크로(Macro) 모두 선택한다(라인 04).
또한, 자동 노출(AE, automatic exposure)에 있어서 EV값은 1.0, ISO값은 100, 셔터 스피드는 1/300초, 측광(metering) 방식은 중앙 점(center spot)으로 설정한다(라인 05 내지 라인 09).
또한, 줌은 와이드가 선택되고(라인 09), 플래시는 자동(auto), 끄기(OFF), 적목 방지(redeye) 모드 중에서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라인 11), 이미지 사이즈는 2048*1536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라인 12), 이미지 품질은 수퍼 파인(superfine)으로 설정되고(라인 13), 이미지 선명도는 부드럽게(soft)로 설정되고(라인 14), 화이트 밸런스의 RGB 게인값이 설정되고(라인 15), 장면모드의 설정값이 저장된다(라인 16).
따라서, 다음에 선택되는 인물 장면모드(portrait scene mode)에 대해서는 이상에서 설정한 설정값에 의하여 촬영정보가 설정되고, 그에 따라 촬영이 수행된 다.
도 7에는 프로그램 모드의 매크로 영역에서의 발광량이 100이 되도록 플래시가 설정되고, 야경 장면모드의 매크로 영역에서의 발광량이 140이 되도록 플래시가 설정되는 스크립트 파일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설정된 설정값에 따른 촬영정보에 의하여 도 4에 도시된 메카니즘에 따라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파일에 의하여 각각의 촬영모드에 대한 촬영조건 및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기능들을 설정 및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립트 파일에 의하여 외부에서 사용자가 메뉴 또는 키 버튼에 의하여 접근 불가능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에 대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도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전문성 및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 사이에 스크립트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전문적인 촬영기술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 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각각의 촬영모드에 따라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가 재설정 가능한 것으로,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가 기록된 스크립트 파일을 선택하는 스크립트 파일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스크립트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판독하는 스크립트 파일 해석단계; 및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들을 설정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설정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립트 파일에, 외부에서 사용자가 메뉴 또는 키 버튼에 의하여 접근 불가능한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가 포함되는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파일이,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인식번호, 상기 촬영모드, 및 상기 촬영조건 및 작동기능에 대한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설정단계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인식번호로부터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상기 스크립트 파일의 실행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촬영모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촬영모드에 대한 설정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드가, 자동 촬영모드, 프로그램 촬영모드, 조리개 우선(A)/ 셔터 우선(S)/ 수동(M) 촬영모드, 동영상 촬영모드, 야경 촬영모드, 연속촬영모드 및 장면 촬영모드들 중의 어느 하나인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가, 매크로, 플래시, 화이트 밸런스, 감도(ISO), 조리개 값, 셔터 속도, 해상도, 화질, 측광, 사진 효과, 샤프니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것인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파일이,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정보통신기기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파일이,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정보통신기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20050037481A 2005-05-04 2005-05-04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및 장치 KR100781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481A KR100781159B1 (ko) 2005-05-04 2005-05-04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481A KR100781159B1 (ko) 2005-05-04 2005-05-04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133A KR20060115133A (ko) 2006-11-08
KR100781159B1 true KR100781159B1 (ko) 2007-11-30

Family

ID=3765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481A KR100781159B1 (ko) 2005-05-04 2005-05-04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1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117A (ja) 1999-04-30 2000-11-1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KR20050103675A (ko) * 2004-04-27 2005-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50116197A (ko) * 2004-06-07 2005-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의 촬영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60056468A (ko) * 2004-11-20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튜닝 스크립트를 수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카메라 튜닝 스크립트 변경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117A (ja) 1999-04-30 2000-11-1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KR20050103675A (ko) * 2004-04-27 2005-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50116197A (ko) * 2004-06-07 2005-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의 촬영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60056468A (ko) * 2004-11-20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튜닝 스크립트를 수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카메라 튜닝 스크립트 변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133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027B1 (ko) 셔터 반누름 시에 osd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86409B1 (ko)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62704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CN101310519A (zh) 摄像装置、显示控制方法以及程序
CN100440932C (zh) 控制数字拍摄装置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数字拍摄装置
KR100562404B1 (ko) 추가 스캐닝이 수행되는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100547998B1 (ko) 촬영 상태가 부적절하였음을 알려주는 디지털 카메라의제어방법
KR20100056280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2247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2010287919A (ja) 撮像装置
KR10054800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0929390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적응형 메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781159B1 (ko) 사용자 스크립트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제어방법및 장치
KR100702950B1 (ko)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촬영 장치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323731B1 (ko) 노출 영역 표시 방법
KR10060431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0651814B1 (ko) 회전형 표시장치를 장착한 촬영장치
KR100651812B1 (ko) 키 조합 단축키 설정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54800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0585597B1 (ko) 촬영 장치에서 투명 배리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KR10105801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메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36453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235803B1 (ko) 영역 설정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087304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