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792A -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 Google Patents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792A
KR20050102792A KR1020040028053A KR20040028053A KR20050102792A KR 20050102792 A KR20050102792 A KR 20050102792A KR 1020040028053 A KR1020040028053 A KR 1020040028053A KR 20040028053 A KR20040028053 A KR 20040028053A KR 20050102792 A KR20050102792 A KR 20050102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utting
needle
plate
blood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8075B1 (ko
Inventor
차은종
박미숙
김경아
Original Assignee
차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은종 filed Critical 차은종
Priority to KR102004002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075B1/ko
Priority to US10/562,700 priority patent/US7690284B2/en
Priority to PCT/KR2004/000958 priority patent/WO2005102167A1/en
Publication of KR2005010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2001/1206Pipes with specific features for influencing flow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3/00Cutting
    • Y10S83/929Particular nature of work or product
    • Y10S83/944Syringe nee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22With receptacle or support for cut produ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채혈에 사용된 란셋의 추가 사용을 방지하여 이차감염 및 교차감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된 침을 안전하게 보관 폐기할 수 있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는 채혈에 사용된 란셋의 침의 첨부가 삽입되는 인입공이 형성된 인입판과, 인입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면 상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가이드홈에는 인입공과 연통하는 안내장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가이드홈을 따라서 중앙부분까지 연장되는 절개공이 형성되는 받침판과, 가이드홈과 절개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인입공 및 안내장공과 연통하면서 인입공 측으로 삽입된 침을 절단하는 절단공이 형성되는 절단판을 갖는 절단부; 받침판의 하부면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안내장공과 연통하는 수용홈이 수직 관통되게 형성된 수용하우징과, 수용홈 내부에 출입가능하게 배치되어 안내장공에서 낙하하는 침의 첨부를 수용하는 수용탱크를 갖는 수용부; 및 수용하우징의 타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는 절개공을 지나 절단판과 연결되어 절단판을 이송시켜 절단공 내로 삽입된 침을 절단시키는 작동레버를 갖는 작동부로 이루어진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Safe lancet disposer}
본 발명은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혈에 사용된 란셋(lancet)의 침 첨부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절단된 침의 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절단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채혈에 사용된 란셋의 추가 사용을 방지하여 이차감염(Secondary infection) 및 교차감염(Cross infection)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된 침을 안전하게 보관 폐기할 수 있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성 당뇨병 환자는 매일 집에서 혈당검사를 스스로 실시하여 혈당치를 측정하고 혈당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질환관리를 해야 한다. 혈당검사를 행하기 위해서는 혈액을 채취해야 하는데, 통상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를 일회용 란셋(lancet)으로 피부관통하여 소량의 모세혈액을 채취한 후 스트립(strip)에 묻히고 스트립이 장착되는 혈당검사계를 사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혈액을 채취하는 기구로는 채혈기구(lancing device)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전술한 채혈기구는 일회용 란셋이 장착되는 란셋홀더(lancet holder), 란셋을 덮고 피부관통을 위해 침의 첨부만이 돌출되는 구멍이 형성된 엔드캡(end cap) 및 피부관통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격발기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채혈기구는 우선 채혈기구로부터 엔드캡을 분리시킨 후 란셋홀더에 란셋을 장착하면서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 하에서 엔드캡을 덮고 손가락 등 모세혈관이 많은 부위에 밀착시킨 후 격발용 스위치를 가압하여 란셋을 격발시켜 피부를 관통한다. 이때, 관통된 피부 주변을 압박하여 충분한 모세혈액을 얻어 혈당계의 스트립에 모세혈액을 묻혀 혈당치를 측정한다. 이때, 란셋은 침의 첨부가 사용자의 피부를 관통하여 신체 내로 들어갔다가 다시 나오게 되기 때문에 침의 첨부에 혈액이 묻게 되고 이러한 란셋을 폐기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차감염(Secondary infection)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부주의로 다른 사람이 사용하게 되면 교차감염(Cross infection)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IDS와 같은 감염성 질환의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로써는 환자가 집에서 스스로 채혈한 후 란셋을 안전하게 폐기하는 방법은 없으며 대부분 일반 쓰레기와 함께 폐기함으로써 감염의 문제가 발생할 문제점이 있으며, 채혈에 사용된 란셋이 섞여 있는 폐기물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란셋침에 찔림으로써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채혈에 사용된 란셋(lancet)의 침 첨부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절단된 침의 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절단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채혈에 사용된 란셋의 추가 사용을 방지하여 이차감염(Secondary infection) 및 교차감염(Cross infection)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된 침을 안전하게 보관 폐기할 수 있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채혈에 사용된 란셋의 침의 첨부가 삽입되는 인입공이 형성된 인입판과, 인입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면 상에는 가이드홈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형성되고 가이드홈에는 인입공과 연통하는 안내장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가이드홈을 따라서 중앙부분까지 연장되는 절개공이 형성되는 받침판과, 가이드홈과 절개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인입공 및 안내장공과 연통하면서 인입공 측으로 삽입된 침을 절단하는 절단공이 형성되는 절단판을 가지며, 절개공 측으로 연장된 절단판의 하부에는 정지턱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장착공이 절단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절단부;
받침판의 하부면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안내장공과 연통하는 수용홈이 수직 관통되게 형성된 수용하우징과, 수용홈 내부에 출입가능하게 배치되어 안내장공에서 낙하하는 침의 첨부를 수용하는 수용탱크를 갖는 수용부; 및
수용하우징의 타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는 절개공을 지나 절단판과 연결되어 절단판을 이송시켜 절단공 내로 삽입된 침을 절단시키는 작동레버를 갖는 작동부로 이루어진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채혈에 사용된 란셋(lancet)의 침 첨부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절단된 침의 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절단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채혈에 사용된 란셋의 추가 사용을 방지하여 이차감염(Secondary infection) 및 교차감염(Cross infection)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된 침 첨부를 안전하게 보관 폐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100)는 채혈에 사용된 란셋(lancet)(L)의 침(N)을 절단하는 절단부(110)와, 절단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절단된 침(N)의 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40) 및 수용부(140)의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절단부(11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170)를 구비한다.
먼저, 절단부(110)는 인입판(112), 받침판(118) 및 절단판(128)을 구비한다. 인입판(112)은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인입판(112)의 일측면 상부에는 채혈에 사용된 란셋(L)의 단부가 밀착되는 인입홈(114)이 침강되게 형성되고, 인입홈(114)에는 란셋(L)의 단부에서 돌출된 침(N)의 첨부가 삽입되는 인입공(116)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받침판(118)은 인입판(112)의 하부면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받침판(112)의 상부면 상에는 받침판(118)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120)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20)에는 인입공(116)과 연통하는 안내장공(122)이 형성된다. 이때, 받침판(118)의 타단에는 가이드홈(120)을 따라서 받침판(118)의 중앙부분까지 연장되어 받침판(118)의 타단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절개공(1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공(124)은 가이드홈(120)의 연장부에 정지면(126)을 형성한다. 한편, 절단판(128)은 가이드홈(120)과 절개공(1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절단판(128)에는 인입공(116) 및 안내장공(122)과 연통하면서 인입공(116) 측으로 삽입된 침(N)의 첨부를 절단하여 안내장공(122) 측으로 안내하는 절단공(130)이 형성되고, 절개공(124) 측으로 연장된 절단판(128)의 하부에는 일측면이 정지면(126)에 밀착되는 정지턱(132)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정지턱(132)에는 장착공(134)이 절단판(128)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입공(116)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방사상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절단공(124)은 가이드홈(12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방사상 벌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단부(110)에는 수용부(140)가 장착된다.
수용부(140)는 수용하우징(142) 및 수용탱크(160)를 구비한다. 수용하우징(142)은 받침판(118)의 하부면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안내장공(122)과 연통하는 수용홈(144)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하우징(142)은 인입판(112)의 상부에서부터 받침판(118)을 거쳐 수용하우징(142)에 결합되는 체결볼트(146)에 의해서 고정되고, 수용홈(144)의 하부는 수용홈(14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148)에 의해서 한정된다. 또한, 수용하우징(142)의 타측면 상부에 인접하게는 제 1 힌지돌기(150)가 돌출 형성되고, 제 1 힌지돌기(150)의 하부에는 제 1 스프링홈(1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스프링홈(152)에는 레버스프링(154)의 일단이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홈(144)의 하부에 인접한 내주면 상에는 암나사(156a)가 형성되며, 마개(148)의 원주면 상에는 암나사(156a)에 대응하는 수나사(156b)가 형성되어 체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용하우징(142)이 타측면 하부에는 상부 측으로 제 1 너얼링(knurling)면(158)이 형성된다. 한편, 수용탱크(160)는 안내장공(122)에서 낙하하는 침(N)의 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수용홈(144)의 내부에 출입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수용탱크(160)의 하부면 상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링 형상의 뚜껑장착링(162)이 일체로 형성되며, 뚜껑장착링(162)에는 다수의 절단된 침(N)에 의해서 수용탱크(160)를 폐기할 때 수용탱크(160)의 상부면을 폐쇄하는 뚜껑(164)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탱크(160)의 하부면 상에는 절단된 침(N)을 고정 부착보관시킬 수 있도록 자석(166)이 내장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용부(140)에는 작동부(170)가 장착된다.
작동부(170)는 수용하우징(142)의 타측면 상에 배치되는 작동레버(172)를 구비한다. 이러한 작동레버(172)는 수용하우징(142)의 타측면 상부에서부터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레버대(174a)와, 제 1 레버대(174a)의 하부에서 수용하우징(142)의 외부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방사상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레버대(174b)와, 제 2 레버대(174b)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3 레버대(174c)를 구비한다. 이때, 제 1 레버대(174a)의 상부면 상에는 정지턱(132)에 형성된 장착공(134)에 삽입 장착되는 작동돌기(176)가 제 1 레버대(174a)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레버대(174a)의 일측면 상에는 제 1 힌지돌기(150)의 양측에 밀착되면서 힌지(178)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힌지돌기(180)가 형성되며, 제 2 힌지돌기(180)의 하부에는 제 1 스프링홈(152)의 외부로 연장된 레버스프링(154)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 2 스프링홈(18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너얼링면(158)과 마주보는 제 3 레버대(174c)의 일측 하부에는 제 1 너얼링면(158)과 마주보도록 제 2 너얼링(knurling)면(184)이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혈당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채혈기구(D)의 엔드캡(E)을 분리하여 란세홀더(도시되지 않음)에 란셋(L)을 장착하고 다시 엔드캡(E)을 장착한 후 채혈기구(D)를 작동시켜 채혈을 하고 스스로 혈당치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혈당치를 측정한 후에는 사용된 란셋(L)의 침(N)을 절단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를 이용하여 란셋의 침 첨부를 절단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채혈기구(D)에서 엔드캡(E)을 분리한 상태에서 한손으로 채혈기구(D)를 잡고 혈액이 묻은 란셋(L)을 인입홈(114)에 밀착시킴과 아울러 란셋(L)에서 돌출된 침(N)의 첨부를 인입공(116) 측으로 삽입시킨다. 이렇게 인입공(116) 측으로 삽입된 침(N)은 절단공(130)을 지나 안내장공(122)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침(N)의 첨부가 인입공(116), 절단공(130) 및 안내장공(122) 사이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다른 한 손으로는 수용부(140)와 작동부(170)를 잡은 상태 하에서 수용부(140)와 작동부(170)에 압력을 가한다. 이때, 작동레버(172)는 힌지(178)에 의해서 결합된 제 1 힌지돌기(150) 및 제 2 힌지돌기(180)를 중심으로 수용하우징(142) 측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렇게 작동레버(172)가 선회하면, 레버스프링(154)은 압축되고 작동레버(172)의 제 1 레버대(174a)에 형성된 작동돌기(176)는 정지턱(132)과 함께 절단판(128)을 가이드홈(120)을 따라 받침판(118)의 타측면 측으로 이송시킨다. 그 결과, 절단공(130) 내에 배치된 란셋(L)의 침(N)은 이송되는 절단공(130)과 정지된 인입공(114) 사이에서 절단된다. 이렇게 절단된 침(N)의 첨부는 안내장공(122)을 거쳐 수용하우징(142)의 수용홈(44)에 마련된 수용탱크(160) 내로 낙하 하게 되고, 낙하된 침(N)은 수용탱크(160)의 하부면 상에 배치된 자석(166)에 의해 유동없이 보관된다.
이와 같이 란셋(L)의 침(N)이 절단된 후, 수용부(140)와 작동부(170)에 가했던 압력을 회수하면 압축되어 있던 레버스프링(154)은 작동레버(172)를 복귀시키게 된다. 이렇게 작동레버(172)가 복귀되면, 작동돌기(176)는 정지턱(132) 및 절단판(128)을 복귀시킨다. 이때, 복귀하는 절단판(128)은 정지턱(32)의 일측면이 정지면(126)에 밀착되면서 복귀를 완료하게 되고, 인입공(116), 절단공(130) 및 안내장공(122)은 다시 연통하게 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를 이용하여 침의 첨부가 절단된 란셋을 분리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침(N)이 절단된 란셋(L)을 채혈기구(D)의 란셋홀더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100)를 뒤집거나, 채혈기구(D)를 수평하게 배치시킨 상태 하에서 채혈기구(D)에서 돌출된 란셋(L)을 제 1 너얼링면(158)과 제 2 너얼링면(184) 사이에 배치시키고 다시 작동레버(172)에 압력을 가하면 작동레버(172)의 제 3 레버대(174c)는 수용하우징(142) 측으로 선회하여 란셋(L)을 파지하게 된다. 이렇게 제 1 너얼링면(158) 및 제 2 너얼링면(184) 사이 란셋(L)이 파지되면 사용자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100) 또는 채혈기구(D)를 잡아당겨 란셋(L)을 채혈기구(D)에서 분리시켜 폐기한다.
한편, 수용탱크(160) 내에 란셋(N)에서 절단된 침(N)들이 늘어나면 수용하우징(142)의 수용홈(144) 하부를 폐쇄하고 있는 마개(148)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수용탱크(160)를 배출시킨다. 이렇게 수용탱크(160)가 배출되면, 뚜껑장착링(162)에서 뚜껑(164)을 분리시켜 수용탱크(160)의 상부면에 뚜껑(164)을 결합하여 폐쇄한 후 폐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100)는 채혈에 사용된 란셋(lancet)(L)의 침(N) 첨부를 절단하는 절단부(110)와, 절단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절단된 침(N)의 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40) 및 수용부(140)의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절단부(11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170)를 구비함으로써, 채혈에 사용된 란셋(L)의 추가 사용을 방지하여 이차감염(Secondary infection) 및 교차감염(Cross infection)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절단된 침(N)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탱크(160)를 구비하고, 수용탱크(160)를 폐쇄하는 뚜껑(164)을 구비함으로써, 혈액이 묻은 침(N)을 안전하게 밀봉하여 폐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를 이용하여 란셋의 침 첨부를 절단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를 이용하여 침의 첨부가 절단된 란셋을 분리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110 : 절단부
112 : 인입판 114 : 인입홈
116 : 인입공 118 : 받침판
120 : 가이드홈 122 : 안내장공
128 : 절단판 130 : 절단공
134 : 장착공 140 : 수용부
142 : 수용하우징 144 : 수용홈
148 : 마개 154 : 레버스프링
160 : 수용탱크 164 : 뚜껑
166 : 자석 170 : 작동부
172 : 작동레버

Claims (8)

  1. 채혈에 사용된 란셋의 침의 첨부가 삽입되는 인입공이 형성된 인입판과, 상기 인입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면 상에는 가이드홈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인입공과 연통하는 안내장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중앙부분까지 연장되는 절개공이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절개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인입공 및 상기 안내장공과 연통하면서 상기 인입공 측으로 삽입된 상기 침을 절단하는 절단공이 형성되는 절단판을 가지며, 상기 절개공 측으로 연장된 상기 절단판의 하부에는 정지턱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장착공이 상기 절단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절단부;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안내장공과 연통하는 수용홈이 수직 관통되게 형성된 수용하우징과, 상기 수용홈 내부에 출입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안내장공에서 낙하하는 상기 침의 첨부를 수용하는 수용탱크를 갖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하우징의 타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는 상기 절개공을 지나 상기 절단판과 연결되어 상기 절단판을 이송시켜 상기 절단공 내로 삽입된 상기 침을 절단시키는 작동레버를 갖는 작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하우징은 상기 인입판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받침판을 거쳐 상기 수용하우징에 결합되는 체결볼트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수용하우징의 하부는 상기 수용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수용하우징의 타측면 상부에 인접하게는 제 1 힌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힌지돌기의 하부에는 제 1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레버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수용하우징의 타측면 하부에는 상부 측으로 제 1 너얼링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수용하우징의 타측면 상부에서부터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레버대와, 상기 제 1 레버대의 하부에서 상기 수용하우징의 외부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방사상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레버대와, 상기 제 2 레버대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3 레버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레버대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정지턱에 형성된 상기 장착공에 삽입 장착되는 작동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레버대의 일측면 상에는 상기 제 1 힌지돌기의 양측에 밀착되면서 힌지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힌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힌지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스프링홈의 외부로 연장된 레버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 2 스프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너얼링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 3 레버대의 일측 하부에는 제 2 너얼링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판의 일측면 상부에는 상기 란셋의 단부가 밀착되는 인입홈이 침강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는 상기 인입공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절개공은 상기 받침판의 타단측으로 양측으로 분할하면서 상기 가이드홈의 연장부에 정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정지턱의 일측면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하부에 인접한 내주면 상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의 원주면 상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탱크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용탱크는 하부면 상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링 형상의 뚜껑장착링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뚜껑장착링에는 다수의 절단된 상기 침에 의해서 상기 수용탱크를 폐기할 때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면을 폐쇄하는 뚜껑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탱크의 하부면 상에는 절단 상기 침을 고정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석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은 상기 인입홈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인입홈의 하부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공은 상기 가이드홈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받침판의 하부측으로 방사상 벌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KR1020040028053A 2004-04-23 2004-04-23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KR100628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053A KR100628075B1 (ko) 2004-04-23 2004-04-23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US10/562,700 US7690284B2 (en) 2004-04-23 2004-04-26 Safe lancet disposer
PCT/KR2004/000958 WO2005102167A1 (en) 2004-04-23 2004-04-26 Safe lancet dispo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053A KR100628075B1 (ko) 2004-04-23 2004-04-23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492U Division KR200356608Y1 (ko) 2004-04-26 2004-04-26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792A true KR20050102792A (ko) 2005-10-27
KR100628075B1 KR100628075B1 (ko) 2006-09-26

Family

ID=3519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053A KR100628075B1 (ko) 2004-04-23 2004-04-23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90284B2 (ko)
KR (1) KR100628075B1 (ko)
WO (1) WO2005102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1005B1 (en) 1998-03-30 2002-05-21 Agil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netration with shaft having a sensor for sensing penetration depth
US8641644B2 (en) 2000-11-21 2014-02-0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lood testing apparatus having a rotatable cartridge with multiple lancing elements and testing means
US9795747B2 (en) 2010-06-02 2017-10-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s and apparatus for lancet actuation
US7316700B2 (en) 2001-06-12 2008-01-08 Pelikan Technologies, Inc. Self optimizing lancing device with adaptation means to temporal variations in cutaneous properties
US8337419B2 (en) 2002-04-19 2012-12-2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7981056B2 (en) 2002-04-19 2011-07-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lancet actuation
WO2002100460A2 (en) 2001-06-12 2002-12-19 Pelikan Technologies, Inc. Electric lancet actuator
US7041068B2 (en) 2001-06-12 2006-05-09 Pelikan Technologies, Inc. Sampling module device and method
AU2002348683A1 (en) 2001-06-12 2002-12-23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ncet launching device integrated onto a blood-sampling cartridge
US7344507B2 (en) 2002-04-19 2008-03-18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ncet actuation
US9226699B2 (en) 2002-04-19 2016-01-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ody fluid sampling module with a continuous compression tissue interface surface
US9427532B2 (en) 2001-06-12 2016-08-3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7976476B2 (en) 2002-04-19 2011-07-12 Pelikan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variable speed lancet
US8784335B2 (en) 2002-04-19 2014-07-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ody fluid sampling device with a capacitive sensor
US7198606B2 (en) 2002-04-19 2007-04-03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use body fluid sampling device with analyte sensing
US7892185B2 (en) 2002-04-19 2011-02-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and analyte sensing
US7491178B2 (en) 2002-04-19 2009-02-17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702624B2 (en) 2006-09-29 2014-04-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nalyte measurement device with a single shot actuator
US7909778B2 (en) 2002-04-19 2011-03-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331931B2 (en) 2002-04-19 2008-02-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901362B2 (en) 2002-04-19 2011-03-08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232451B2 (en) 2002-04-19 2007-06-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547287B2 (en) 2002-04-19 2009-06-16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9314194B2 (en) 2002-04-19 2016-04-1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8579831B2 (en) 2002-04-19 2013-11-1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892183B2 (en) 2002-04-19 2011-02-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and analyte sensing
US8360992B2 (en) 2002-04-19 2013-01-2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674232B2 (en) 2002-04-19 2010-03-0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267870B2 (en) 2002-04-19 2012-09-1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with hybrid actuation
US7297122B2 (en) 2002-04-19 2007-11-20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221334B2 (en) 2002-04-19 2012-07-1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9795334B2 (en) 2002-04-19 2017-10-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9248267B2 (en) 2002-04-19 2016-02-02 Sanofi-Aventis Deust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7229458B2 (en) 2002-04-19 2007-06-1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574895B2 (en) 2002-12-30 2013-11-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using optical techniques to measure analyte levels
DE602004028463D1 (de) 2003-05-30 2010-09-16 Pelikan Technologie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jektion von flüssigkeit
DK1633235T3 (da) 2003-06-06 2014-08-18 Sanofi Aventis Deutschland Apparat til udtagelse af legemsvæskeprøver og detektering af analyt
WO2006001797A1 (en) 2004-06-14 2006-01-05 Pelikan Technologies, Inc. Low pain penetrating
EP1671096A4 (en) 2003-09-29 2009-09-16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PROVED SAMPLE CAPTURING DEVICE
US9351680B2 (en) 2003-10-14 2016-05-3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 variable user interface
EP1706026B1 (en) 2003-12-31 2017-03-0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luidic flow and sample capture
US7822454B1 (en) 2005-01-03 2010-10-26 Pelikan Technologies, Inc. Fluid sampling device with improved analyte detecting member configuration
EP1751546A2 (en) 2004-05-20 2007-02-14 Albatros Technologies GmbH &amp; Co. KG Printable hydrogel for biosensors
US9775553B2 (en) 2004-06-03 2017-10-03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uid sampling device
WO2005120365A1 (en) 2004-06-03 2005-12-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uid sampling device
US8522974B2 (en) 2004-11-15 2013-09-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harps container
US8652831B2 (en) 2004-12-30 2014-02-1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te measurement test time
EP2265324B1 (en) 2008-04-11 2015-01-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Integrated analyte measurement system
US9375169B2 (en) 2009-01-30 2016-06-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m drive for managing disposable penetrating member actions with a single motor and motor and control system
US8965476B2 (en) 2010-04-16 2015-02-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CN103950063B (zh) * 2014-05-06 2016-03-16 华新环境工程有限公司 气缸式废物储存桶开孔器
WO2023009102A1 (en) * 2021-07-26 2023-02-02 Prp Technologies Inc. Syringe clipp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6824A (en) * 1971-07-12 1973-06-05 Becton Dickinson Co Hypodermic needle destruction device
US3914865A (en) * 1974-07-19 1975-10-28 Becton Dickinson Co Hand carried device for destroying hypodermic syringes and needles
US4035911A (en) * 1976-08-23 1977-07-19 Nethercutt Henry W Syringe destroyer with needle disposing cannister
US4275628A (en) * 1979-10-31 1981-06-30 Greenhouse Hyman D Syringe and needle destroyer
US4255996A (en) * 1979-11-19 1981-03-17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Needle destroyer with improved mechanical advantage
US4315448A (en) * 1980-07-28 1982-02-16 Ball Edward W Hypodermic needle destructor
US4417460A (en) * 1981-03-09 1983-11-29 Moriconi Dario J Hypodermic syringe destruction device
US4404881A (en) * 1981-08-19 1983-09-20 Sage Products, Inc. Needle and syringe destructor
US4565311A (en) * 1984-03-12 1986-01-21 Pugliese Lawrence S Syringe disposal device
US4614035A (en) * 1984-07-02 1986-09-30 Andrews William M Hand held apparatus for destroying hypodermic needles
US5187850A (en) * 1987-04-22 1993-02-23 Mccammon John W Needle disposal system
FR2603872B1 (fr) * 1987-06-22 1989-09-01 Bonnevay Gerard Dispositif monocoque pour le demontage et le stockage etanche d'aiguilles medicales usagees
US4969379A (en) * 1990-04-30 1990-11-13 Taylor Charles N Disposable needle and syringe destructor unit
US5467930A (en) * 1993-10-12 1995-11-21 Lefevre Corporation Solid waste processing device
US5340039A (en) * 1993-10-12 1994-08-23 Lefevre Corporation Medical waste disposal apparatus
JP2000334024A (ja) 1999-05-31 2000-12-05 Nobuari Takakura 安全鍼、プラシーボ鍼及びダブルブラインド用鍼セット
US6545242B1 (en) * 2001-10-04 2003-04-08 Q Care International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needle from a syringe
US6757992B1 (en) * 2003-01-14 2004-07-06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Skid steer loader bucket shaker
US7389873B2 (en) * 2006-01-30 2008-06-24 Johnson Aka Mindes Evelyne Pocket-sized needle remover and recepta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075B1 (ko) 2006-09-26
WO2005102167A1 (en) 2005-11-03
US20070102312A1 (en) 2007-05-10
US7690284B2 (en) 201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75B1 (ko)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KR100522157B1 (ko) 진공 자동 채혈기구
US5518006A (en) Blood sampling device
EP0164148B1 (en) Blood sampling unit
CA2146329C (en) Simple blood-collecting device
WO2021023160A1 (en)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system for fast assembly
US7655019B2 (en) Blood sampling device
EP1854408B1 (en) In-situ adapter for an analyte testing device
US20070162065A1 (en) Disposable lancet device
US20040260325A1 (en) Lancing aid comprising a lancet system that is protected against re-use
TW200404513A (en) A lancet removal tool
EP0502115A1 (en) Combination sterile pad support and lancet containing lancet disposal element
WO2003045241A1 (en) Device for sampling blood droplets under vacuum conditions
JPH09182736A (ja) 採血具
US8950578B2 (en) Lancet dispenser
KR200356608Y1 (ko)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KR100681347B1 (ko) 휴대용 랜싱장치
KR20230056679A (ko) 핑거 리셉터클 및 홀딩 장치
KR20210091844A (ko) 사혈기
KR102244869B1 (ko) 채혈기를 구비한 시약반응기
KR102536137B1 (ko) 채혈침의 안전한 교체가 가능한 채혈기
KR20200016070A (ko) 무통 채혈기
CN215534606U (zh) 一种尿检用尿杯
KR102558708B1 (ko) 사혈기
KR100919774B1 (ko) 진공 채혈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