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370A -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370A
KR20050102370A KR1020040027701A KR20040027701A KR20050102370A KR 20050102370 A KR20050102370 A KR 20050102370A KR 1020040027701 A KR1020040027701 A KR 1020040027701A KR 20040027701 A KR20040027701 A KR 20040027701A KR 20050102370 A KR20050102370 A KR 2005010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asynchronous
call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락
신성호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2370A/ko
Priority to BRPI0509426-7A priority patent/BRPI0509426A/pt
Priority to PCT/KR2005/001176 priority patent/WO2005114875A1/en
Priority to US11/587,165 priority patent/US20080146228A1/en
Priority to JP2007509401A priority patent/JP2007534265A/ja
Priority to CNA200580020742XA priority patent/CN1973458A/zh
Publication of KR2005010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3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망에서 전송하는 호 재발신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망과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로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 간의 무선통신 환경이 호 재발신 요청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의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호 재발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호 재발신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핸드오버 요청 시 비동기망에서 생성된 호 재발신 메시지를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기 때문에,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 패킷 핸드오버를 수행한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망과 패킷 호를 재연결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망에서 전송하는 호 재발신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망과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통신망의 진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벌 로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MT-2000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IMT-2000 시스템은 CDMA 2000 기반의 동기방식 시스템과 WCDMA 기반의 비동기 방식 시스템으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벌 로밍을 지원하기 위해 동기방식의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의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Multi Mode Multi Band 이동통신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함에 의해 비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및 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각각에서 각기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요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 중에 있고, 이에 따라 동기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 서비스 영역이 비동기 방식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진화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을 상호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 간 패킷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패킷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간에 패킷 호 연결 중일 때,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이 핸드오버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과 노드 B간의 동기가 상실되며 노드 B는 이동통신 단말과의 동기가 회복 되기를 대기한다(S10). 이때, 노드 B가 대기하는 시간은 약 10초 정도이다.
이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비동기 모뎀부간에 송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세기가 약해져 결국 호가 단절된다(S30).
이어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노드 B와 호가 단절된 비동기 모뎀부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는 유휴상태(Idle Mode)로 천이하고,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파일럿 채널을 수신하여 동기를 회복한다(S50). 동기 모뎀부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 동기를 회복하는데는 일반적으로 약 1.25초 정도가 소요된다.
이후, 동기 모뎀부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패킷 호를 재전송하고(S70), 이동통신 단말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 패킷 호 연결이 설정된다. 이때는 약 6초 정도가 소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구역 내에서 패킷 호 연결 중에 핸드오버 경계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 간의 호 연결이 단절되어 이동통신 단말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패킷 호를 재 접속하여야 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 패킷 호 연결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대기 시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동기망과 호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이 핸드오버 지역으로 이동하여 파일럿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면, 비동기망이 호 재발신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동기망과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패킷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로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이용 중,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호 재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비동기 모뎀부; 상기 비동기 모뎀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에 따라 유휴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에 따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패킷 호 재발신을 시도하는 동기 모뎀부를 포함한다.
다른 본 발명은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 호 재발신 요청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로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 간의 무선통신 환경이 호 재발신 요청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호 재발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이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 중에 동기 모뎀부를 이용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형태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 중에 동기 모뎀부를 이용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나눌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위주로 도시하였다.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10)은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와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 가능한 형태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과 선택적으로 무선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이동통신 단말(1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 B(210), 노드 B(210)의 제어를 위한 무선망 제어기(RNC, 220), 무선망 제어기(22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교환을 수행하는 비동기 교환기(비동기 MSC, 230), 무선망 제어기(22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50)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트랙을 유지하고 액세스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240), SGSN(24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50)을 통해 연결되고, IP망(40)에 접속되어 외부 패킷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260)을 포함한다.
또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이동통신 단말(10)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310), 기지국(310)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관리 등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시 기지국 제어기(BSC)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패킷 제어기(Packet Control Function;PCF)(320),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330), 패킷 제어기(320)와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10)과 PPP 세션을 설정하고 외부 노드와 접속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등록을 위한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 FA) 기능을 수행하여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40),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40)와 IP망(40) 간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코어망(DCN, 도시하지 않음), 이동통신 단말(10)의 인증을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를 외부 에이전트로 전달하기 위한 홈 에이전트(Home Agent, 350), 이동통신 단말의 인증(Authentication), 권한부여(Authorization) 및 과금(Account) 기능을 수행하는 AAA(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교환기(230, 330)는 No.7 공통신호망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핸드오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10)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두 시스템의 신호처리 상황을 전송하고 처리한다.
이에 더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10)과 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이동통신 단말(10)이 핸드오버 지역으로 이동하여 파일럿 신호가 약해지면,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인접 기지국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핸드오버를 시도 할 대상 기지국 정보를 포함하는 호 재발신 메시지(Service Redirection Message)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호 재발신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10)의 동기 모뎀부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패킷 호를 재발신하는데 요구되는 주파수 정보 및 핸드오버 할 기지국의 PN 코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 정보는 주파수 할당 정보(Frequency Allocation; FA)로서 1.25MHz의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며, 이동통신 단말(10)이 초기에 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로서, 핸드오버 시 이동통신 단말(10)이 어느 주파수 대역을 검색해야 할 지 알려주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10)은 안테나(110),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20),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30) 및 공통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110)는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
비동기 모듈(12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듀플렉서(121),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122),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비동기 모뎀부(123) 및 음성 신호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보코더(124)를 포함하고, 동기 모듈(13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듀플렉서(131),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동기 무선 송수신부(132),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동기 모뎀부(133) 및 음성 신호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보코더(134)를 포함한다.
공통 모듈(140)은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뎀부(133)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부, 기타 응용 처리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1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가 서비스, 이동성 관리, 접속/세션 제어,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소프트 웨어가 탑재되어, 사용자가 각종 응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맞게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10)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패킷 호 연결 중에 핸드오버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10)은 인접 기지국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전송하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 전송되는 호 재발신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모뎀부(123)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호 재발신 메시지를 동기 모뎀부(133)로 전달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과 접속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 중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 중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 구분할 수 있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 중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 신호 수신만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에 비해 듀플렉서(121, 131) 등 소자 구성이 다소 복잡해지고, 신호 간섭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패킷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비동기 모뎀부(123) 간의 패킷 호 연결 중일 때,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모뎀부(123)는 이동통신망 내의 무선 환경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로 보고하는데, 이동통신 단말(10)이 핸드오버 지역인 경계 지역으로 이동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송수신하는 파일럿 신호 세기가 기설정된 제 1 설정값보다 낮아지면, 비동기 모뎀부(123)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S101, S103).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모뎀부(123)로부터 파일럿 신호 세기를 수신하면, 수신된 파일럿 신호 세기를 기초로 핸드오버 할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하는 호 재발신 메시지를 비동기 모뎀부(123)로 전송한다(S103). 여기에서, 호 재발신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10)의 동기 모뎀부(133)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패킷 호를 재발신하는데 요구되는 정보인 주파수 정보 및 핸드오버 할 기지국의 PN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이 호 재발신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하는 호 재발신 요청 조건은 상기에서 설명한 핸드오버 지역(망간의 경계 지역)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파일럿 신호 세기가 제 1 설정값 이하가 되는 경우 외에도 크게 두 가지 경우를 더 포함한다.
첫번째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핸드오버 지역에 있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기지국에 존재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더미(Dummy) 파일럿의 세기가 기설정된 제 2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이고, 두번째는 이동통신 단말(10)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핸드오버 지역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파일럿 신호 세기를 측정한 결과 파일럿 신호 세기가 기설정된 제 3 설정값 이상인 경우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모뎀부(123)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 전송된 호 재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공통 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동기 모뎀부(133)로 유휴상태(Idle Mode)로의 천이를 요청한다(S105). 이때, 비동기 모뎀부(123)는 호 재발신 메시지를 동기 모뎀부(133)로 전송하여 이후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과의 접속 시도 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동기 모뎀부(133)는 비동기 모뎀부(123)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유휴상태로 천이하고, 호 재발신 메시지를 이용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패킷 호를 재전송한다(S107).
이후, 이동통신 단말(10)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은 패킷 호 정보를 송수신하며 통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오버 요청 시 비동기망에서 생성된 호 재발신 메시지를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기 때문에,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 패킷 핸드오버를 수행한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망과 패킷 호를 재연결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패킷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패킷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 20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30 :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40 : IP망
50 : CP 서버 110 : 안테나
120 : 비동기 모듈 121, 131 : 듀플렉서
122 :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 123 : 비동기 모뎀부
124, 134 : 보코더 130 : 동기 모듈
132 : 동기 무선 송수신부 133 : 동기 모뎀부
140 : 공통모듈 210 : 노드 B
220 : 무선망 제어기 230 : 비동기 교환기
240 : SGSN 250 : GPRS망
260 : GGSN 310 : 기지국
320 : 기지국 제어기/패킷 제어기 330 : 교환기
340 : PDSN/FA 350 : HA
360 : AAA

Claims (15)

  1.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패킷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로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이용 중,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호 재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비동기 모뎀부; 및
    상기 비동기 모뎀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에 따라 유휴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에 따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패킷 호 재발신을 시도하는 동기 모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는 핸드오버 지역에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파일럿 신호 세기가 제 1 설정값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는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핸드오버 지역에 있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존재하는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더미 파일럿 신호 세기가 제 2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핸드오버 지역에서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파일럿 신호 세기를 측정한 결과 파일럿 신호 세기가 제 3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패킷 핸드오버 수행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패킷 호 재발신을 수행할 때 요구되는 주파수 정보 및 PN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6.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 호 재발신 요청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는 핸드오버 지역에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파일럿 신호 세기가 제 1 설정값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는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핸드오버 지역에 있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존재하는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더미 파일럿 신호 세기가 제 2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핸드오버 지역에서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파일럿 신호 세기를 측정한 결과 파일럿 신호 세기가 제 3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 6 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패킷 핸드오버 수행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호 재발신을 수행할 때 요구되는 주파수 정보 및 PN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11.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로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 간의 무선통신 환경이 호 재발신 요청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파일럿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호 재발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호 재발신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요청 조건은 핸드오버 지역에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파일럿 신호 세기가 제 1 설정값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요청 조건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핸드오버 지역에 있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존재하는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더미 파일럿 신호 세기가 제 2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요청 조건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핸드오버 지역에서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파일럿 신호 세기를 측정한 결과 파일럿 신호 세기가 제 3 설정값 이상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15. 제 11 에 있어서,
    상기 호 재발신 요청 조건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패킷 핸드오버 수행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호 재발신을 수행할 때 요구되는 주파수 정보 및 PN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KR1020040027701A 2004-04-22 2004-04-22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KR20050102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701A KR20050102370A (ko) 2004-04-22 2004-04-22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BRPI0509426-7A BRPI0509426A (pt) 2004-04-22 2005-04-22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e método para pacote de handover entre rede de comunicação assìncrona e rede de comunicação sìncrona e seu terminal de comunicação móvel
PCT/KR2005/001176 WO2005114875A1 (en) 2004-04-22 2005-04-22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11/587,165 US20080146228A1 (en) 2004-04-22 2005-04-22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JP2007509401A JP2007534265A (ja) 2004-04-22 2005-04-22 非同期網と同期網との間のパケットハンドオーバーを可能にする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ハンドオーバー方法と、こ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CNA200580020742XA CN1973458A (zh) 2004-04-22 2005-04-22 用于在异步通信网络和同步通信网络之间进行分组切换的移动通信系统和方法及相应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701A KR20050102370A (ko) 2004-04-22 2004-04-22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370A true KR20050102370A (ko) 2005-10-26

Family

ID=3542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701A KR20050102370A (ko) 2004-04-22 2004-04-22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46228A1 (ko)
JP (1) JP2007534265A (ko)
KR (1) KR20050102370A (ko)
CN (1) CN1973458A (ko)
BR (1) BRPI0509426A (ko)
WO (1) WO20051148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612B1 (ko) * 2006-01-26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 간에 패킷 호 재접속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5814B2 (ja) * 2004-01-08 2011-02-02 エスケーテレコム株式会社 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する移動通信網における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方法
BRPI0506478A (pt) * 2004-01-08 2007-02-06 Sk Telecom Co Ltd sistema para serviço de dados por pacotes na rede mista de comunicação assìncrona e sìncrona e o método de transferência
WO2015043779A1 (en) * 2013-09-25 2015-04-02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643B1 (ko) * 1996-12-28 2000-04-01 정태기 주파수 하드 핸드오버를 위한 의사 주파수 발생 방법 및 장치
US6138007A (en) * 1997-11-26 2000-10-2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late call forwarding when roaming from GSM system to IS41 system
US6771963B1 (en) * 1998-08-17 2004-08-03 Lucent Technologies Inc. Triggering handdowns and handoffs of mobile stations between bordering cells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596378B1 (en) * 1999-09-30 2009-09-29 Qualcomm Incorporated Idle mode handling in a hybrid GSM/CDMA network
WO2001031963A1 (en) * 1999-10-29 2001-05-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e terminal handover from a second generation network to a third generation ip-based network
KR100350481B1 (ko) * 1999-12-30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KR100392643B1 (ko) * 2000-12-07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프 결정지원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612B1 (ko) * 2006-01-26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 간에 패킷 호 재접속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US8345626B2 (en) 2006-01-26 2013-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over method for minimizing packet call reconnection delay time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chemes and multi-mode terminal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6228A1 (en) 2008-06-19
JP2007534265A (ja) 2007-11-22
WO2005114875A1 (en) 2005-12-01
BRPI0509426A (pt) 2007-09-04
CN1973458A (zh)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2835B2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JP5210368B2 (ja) 無線基地局及び方法
KR20080111871A (ko) 이종망간의 패킷 전달 방법 및 장치
KR100718007B1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핸드오버 방법
KR10094358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간 핸드오버 방법
JP4660540B2 (ja) 非同期網と同期網との間のサービス切替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0404293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within a communications system
EP1658738A2 (en) Handover during packet se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and methods
JP2007534265A (ja) 非同期網と同期網との間のパケットハンドオーバーを可能にする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ハンドオーバー方法と、こ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100718008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US7869406B2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746047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749531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100517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100612683B1 (ko)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 핸드오버 한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송신 전력 설정 방법
KR100779403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706893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51717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호 설정을 위한 페이징 방법
KR101038982B1 (ko) Rfid를 이용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rfid 탐지장치
KR100589953B1 (ko)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핸드오버 방법
KR100408046B1 (ko) 이동 통신망에서 하드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데이터 호유지 방법
KR101080558B1 (ko)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KR20050037892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100749532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72862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