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111A -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111A
KR20050101111A KR1020050001674A KR20050001674A KR20050101111A KR 20050101111 A KR20050101111 A KR 20050101111A KR 1020050001674 A KR1020050001674 A KR 1020050001674A KR 20050001674 A KR20050001674 A KR 20050001674A KR 20050101111 A KR20050101111 A KR 20050101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s
antenna
base station
channel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447B1 (ko
Inventor
조성현
히스로버트더블유
왕촨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더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더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447B1/ko
Priority to CN2005100792410A priority patent/CN1812288B/zh
Priority to EP05008205.6A priority patent/EP1587338B1/en
Priority to US11/105,984 priority patent/US7486931B2/en
Publication of KR2005010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447B1/ko
Priority to US12/105,880 priority patent/US7809330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이동장치(Mobile Station)의 이동에 따라,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채널의 성능을 평가하는 자료가 되는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과정과 이렇게 측정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와 이동장치가 연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selecting antennas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본 발명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이동장치(Mobile Station)의 이동에 따라,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 서비스 위주이며, 채널의 열악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주로 채널 코딩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항상 통화 가능한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의 증대로 인해 데이터 서비스 위주로 중심축이 이동하고,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빨리 더 낮은 오류 확률로 전송하기 위한 차세대 무선 전송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데이터 요구량이 많은 순방향 링크에서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환경은 페이딩(Fading), 음영효과, 전파 감쇠, 잡음 및 간섭 등에 의해 신호의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 현상은 서로 다른 경로를 거쳐 수신되는 서로 다른 위상과 크기를 가지는 신호들의 합에 의한 심각한 신호 왜곡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페이딩 효과는 고속 데이터 통신을 이루기 위해 극복해야 할 어려움 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무선 채널 특성을 극복하거나 그 성질을 이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한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이하 'MIMO'라 칭함)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렇게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종래의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과는 달리, 이동장치와 기지국이 모두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대역폭을 증가시키지 않고 보다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이동장치가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존의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이동장치의 이동에 따라 이동장치와 기지국 간에 형성된 채널의 성능(Performance)이 변하게 되고, 그 성능에 따라 다른 안테나와 새로운 채널을 형성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일 셀 내에서도 기지국의 안테나가 복수이기 때문에 변하는 채널 성능에 따라 안테나를 재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의 복수의 안테나들에 의해 나누어진 셀의 섹터 간을 이동장치가 이동할 때에도 동일한 기지국에 대하여 안테나를 재 선택해야 한다.
또한 이동장치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경우 셀과 셀이 중첩한 영역에서는 이동 전 연결되었던 기지국과 이동 후 연결될 기지국의 복수의 안테나들이 모두 이동장치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핸드오프(Handoff) 방식으로는 채널을 재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의 성능에 따라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장치가 복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셀 이동 시 인접 셀들의 기지국들과 동시에 연결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경우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의 경우 복수의 셀들이 중첩된 영역에서 이동장치가 복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인접기지국들과 동시에 연결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장치와, 복수의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와의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홈기지국과, 상기 홈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홈기지국에 구비된 제 1 안테나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기지국에 구비된 제 2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이 필요할 시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 중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에 대한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홈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을 상기 홈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홈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안테나 선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사용이 허락될 시 기존에 데이터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들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과 새로운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장치는 채널 품질에 대한 문턱값을 정해놓고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을 상기 문턱값과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거나,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안테나의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을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에 상기 제 2 안테나들이 포함될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접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채널 품질은 잡음 전력(Noise Power), 신호 전력(Signal Power), 상관(Correlation) 특성,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C/I(Carrier to Interference ratio), SNR(Signal-to-Noise Ratio),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장치와의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홈기지국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기지국이 구비하는 제 1 안테나들과 상기 홈지기국의 인접기지국이 구비하는 제 2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 측정된 채널 품질들을 상기 이동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안테나 재 선택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이 필요할 시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 중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에 상기 제 2 안테나들이 포함될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접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홈기지국은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의 여부를, 채널 품질에 대한 문턱값을 정해놓고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을 상기 문턱값과 비교하여 판단하거나,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안테나의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채널 품질은 잡음 전력, 신호 전력, 상관 특성, RSSI, C/I, SNR, 및 SIN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사용이 허락될 시 기존에 데이터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들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과 새로운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장치와, 복수의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와의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홈기지국과, 상기 홈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에 구비된 제 1 안테나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기지국에 구비된 제 2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이 필요할 시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 중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 정보를 상기 홈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선택을 명령하여,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데이터 채널에 대한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정보 및 상기 인접기지국과 상기 제 2 안테나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채널 품질들을 측정하는 파라미터 측정부,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홈기지국의 안테나 선택 명령에 의해 상기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 및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과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 정보를 상기 홈기지국에 전송하는 피드백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는 상기 채널 품질에 대한 문턱값을 정해놓고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을 상기 문턱값과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거나,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안테나의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을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과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 정보를 수신하는 채널 정보 처리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 정보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선택을 명령하는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상기 이동장치에게 할당하는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에 상기 제 2 안테나들이 포함될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접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품질은 잡음 전력, 신호 전력, 상관 특성, RSSI, C/I, SNR, 및 SIN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사용이 허락될 시 기존에 데이터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들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과 새로운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장치와의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홈기지국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이 구비하는 제 1 안테나들과 상기 홈지기국의 인접기지국이 구비하는 제 2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 채널 품질들을 측정하여 상기 홈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안테나 재 선택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이 필요할 시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 중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을 수신하는 채널 정보 처리부, 상기 홈기지국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정보 및 상기 인접기지국과 상기 제 2 안테나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안테나 재 선택의 여부를 판단하는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 및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이 필요할 시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 중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선택하는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에 상기 제 2 안테나들이 포함될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인접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채널 품질에 대한 문턱값을 정해놓고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을 상기 문턱값과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거나,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안테나의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을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채널 품질은 잡음 전력, 신호 전력, 상관 특성, RSSI, C/I, SNR, 및 SIN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사용이 허락될 시 기존에 데이터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들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과 새로운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요구량이 많은 순방향 링크에 염두를 두어 기지국을 송신측으로 하고 이동장치를 수신측으로 함으로써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의 안테나를 송신 안테나라 칭하고 이동장치의 안테나를 수신 안테나라 칭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순방향 링크에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장치(12)들과 기지국(11)들이 모두 다중 안테나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은 이동장치(12)들의 복수의 수신 안테나들과 기지국(11)들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특히 이동장치(12)들은 복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므로, 동일한 이동장치(12)에 포함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들이 각각 다른 기지국(11)들의 송신 안테나들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장치(12)들은 계속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최적의 채널 성능을 위해서는 이동장치(12)들과 기지국(11)들의 복수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이 수시로 변해야 한다. 특히,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일 셀 내에서도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가 복수이기 때문에 변하는 채널 성능에 따라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에 의해 나누어진 동일 셀 내의 섹터 간을 이동장치가 이동할 때에도 동일한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해야 한다. 또한 이동장치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경우 셀과 셀이 중첩한 영역(이하에서는 '핸드오프 영역' 이라 칭함)에서는, 이동 전의 셀을 담당하는 기지국과 이동 후의 셀을 담당하는 기지국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이 동시에 모두 이동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핸드오프 영역이라 하더라도 채널의 성능에 따라 이동장치의 수신 안테나들 모두가, 이동 전의 셀을 담당하는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들과 연결될 수도 있고, 이동 후의 셀을 담당하는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경우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는 이동장치가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기지국이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이동장치가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제 1 실시 예와 기지국이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제 2 실시 예를 구별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채널의 성능을 평가하는 자료가 되는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과정과 이렇게 측정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렇게 채널 품질 파라미터 측정 과정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 나면 본격적으로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는 이동장치가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장치의 구성을 살펴 보면 도 2와 같다.
이동장치는 저장부(21), 파라미터 측정부(22), 채널 성능 평가부(23),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 및 피드백 신호 발생부(25)를 구비한다.
저장부(21)는 현재 위치에서 이동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이하, '홈기지국'이라 칭함)에 인접해 있는 인접기지국들의 후보 리스트를 저장한다. 인접기지국들의 후보 리스트는 기지국의 ID(Identification), 해당 기지국이 제공하는 송신 안테나의 수, 및 본 발명에 따라 재 선택될 수 있는 송신 안테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 정보는 이동장치의 메모리(도시 생략)로부터 참조되거나, 기지국들의 제어 신호(예를 들면, 비콘(Beacon) 신호)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인접기지국들의 후보 리스트에는 홈기지국에 대한 정보도 포함된다. 왜냐하면 기지국들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므로, 일부 송신 안테나들의 채널 성능이 나쁘다 하더라도 그렇지 않은 나머지 송신 안테나들은 이동장치의 수신 안테나들과 연결되어 좋은 성능의 채널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채널 성능에 따라, 비록 이동장치는 핸드오프 영역에 존재하더라도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과정에서 선택되는 송신 안테나들이 모두 홈기지국의 송신 안테나들이거나 모두 인접기지국의 송신 안테나들일 수도 있다.
파라미터 측정부(22)는 홈기지국 및 인접기지국들과 연결된 채널에 대하여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이러한 채널 품질 파라미터의 측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수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측정되는 채널 품질 파라미터의 예로 잡음 전력(Noise Power), 신호 전력(Signal Power), 상관(Correlation) 특성,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 C/I(Carrier to Interference ratio), SNR(Signal-to-Noise Ratio),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등이 있다.
채널 성능 평가부(23)는 파라미터 측정부(22)에서 측정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채널들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들을 생성한다.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채널 성능 평가부(23)에서 생성된 채널 성능 평가 정보에 대하여,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문턱값을 보유한다. 이를 바탕으로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채널 성능 평가 정보가 해당 문턱값 이상 또는 이하일 경우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해야 한다고 판단이 되면,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홈기지국으로 전송할 채널 품질 파라미터 측정값을 피드백 신호 발생부(25)로 전달한다.
그리고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홈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안테나 재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저장부(21)의 인접기지국들의 후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이동장치의 수신 안테나와 다시 연결될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한다. 그리고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의 정보와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인접기지국들의 정보를 피드백 신호 발생부(25)를 통하여 홈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을 이동장치의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에서 수행하고, 이보다 선행될 과정으로 채널의 성능 평가 정보를 참조하여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또한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에서 수행한다.
피드백 신호 발생부(25)는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로부터 전달되는 채널 품질 파라미터 측정값과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의 정보 및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인접기지국들의 정보를 양자화하여 홈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하, 파라미터 측정부(22)가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방법과,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파라미터 측정부(22)에서 채널 품질 파라미터가 측정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일 예로 MIMO-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셀룰러(Cellular) 시스템에서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채널 품질 파라미터 측정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품질 파라미터 측정 방법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IMO-OFDM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영역(Time-Domain)의 입출력 관계는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h(l,p)}, l=0,…,L 은 OFDM 심볼(Symbol) p에 대한 시상수 n에서 MIMO 다중경로(Multipath) 전달 채널(Propagation Channel)의 샘플들이고, y(n,p)는 OFDM 심볼 p에 대한 n번째 샘플에서 샘플링된 벡터이며, v(n,p)는 샘플 n과 OFDM 심볼 p에 대한 잡음과 간섭에 대한 항이다.
수학식 1을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2와 같다.
여기서, f는 톤, 즉 서브캐리어(Subcarrier)를 가리킨다.
이러한 MIMO-OFDM 통신 시스템에서 잡음 전력의 측정은 다음과 같다.
어떠한 신호도 전송되지 않는다는 가정(모든 n과 주어진 OFDM 심볼 p에 대해 x(n,p)=0)의 시간 영역에서 잡음 전력은 수학식 3과 같다.
여기서 합은 N의 샘플들에서 수행된다.
수학식 3을 주파수 영역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4와 같다. 즉, 주어진 OFDM 심볼 p와 서브채널 F의 서브캐리어 f들의 몇몇 세트들에 대하여 X(f,p)=0 인 즉, 서브채널의 몇몇 서브캐리어들의 값이 널(Null) 값일 때 잡음 전력은 수학식 4와 같다.
여기서 합은 모든 서브캐리어 f에 걸쳐 수행되고, |F|는 서브채널의 크기이다.
그리고, 수학식 3과 수학식 4와 같은 잡음 전력이 주어진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 전력의 평균 측정은 다음과 같다.
신호가 전송되고 있다는 가정(모든 n과 주어진 OFDM 심볼 p에 대해 x(n,p)의 값이 존재하는)의 시간 영역에서 신호 전력의 평균은 수학식 5와 같다.
여기서 합은 N의 샘플들에서 수행된다.
수학식 5를 주파수 영역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6과 같다. 즉, 주어진 OFDM 심볼 p와 서브채널 F의 서브캐리어 f들의 몇몇 세트들에 대하여 X(f,p) 값이 존재하는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 전력의 평균은 수학식 6과 같다.
여기서 합은 모든 서브캐리어 f에 걸쳐 수행되고, |F|는 서브채널의 크기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잡음 전력과 신호 전력으로 신호 대 잡음 펄스 간섭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채널의 몇몇 통계적 특성들은 파일럿 정보를 통해서 측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채널의 변화를 알 수 있다.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 k로부터 이동장치의 수신 안테나 m으로 형성된 채널에 대한 시간 영역에서 채널의 특성은 수학식 7과 같다.
여기서, [h(0,p)]m,k는 h(0,p)의 m번째 열과 k번째 행의 채널 샘플을 의미하고, 그 평균은 P개의 채널 정보들에 대해 계산된다.
수학식 7을 주파수 영역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8과 같다.
여기서, 합은 P개의 OFDM 심볼들과 F개의 톤들 즉, 서브캐리어들에 걸쳐 수행된다.
또한 파라미터 측정부(22)에서 측정될 수 있는 파라미터로 상관 특성이 있다. 특히 전송 상관의 평균은 두개의 송신 안테나 사이의 상관을 가리킨다.
시간 영역에서 송신 안테나 k와 송신 안테나 m 사이의 상관 특성은 수학식 9와 같다.
여기서 상관 특성은 R개의 수신 안테나들과 P개의 상관 정보들에 대한 평균으로 계산되며, 가능한 모든 다중경로의 수만큼 평균을 한다.
수학식 9를 주파수 영역에서 표현하면 수학식 10과 같다.
여기서 합은 P개의 OFDM 심볼들과 F개의 톤들 즉, 서브캐리어들, 및 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걸쳐 수행된다.
이러한 상관 특성은 기지국의 안테나들이 어떻게 배치되느냐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배치는 거의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관 특성은 미리 결정될 수도 있다. 이에 이동장치가 상관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이 제어 신호를 통해 상관 특성 정보를 이동장치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한편,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의 성능에 따라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므로 채널의 성능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채널의 성능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를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핸드오프의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의 기본적인 개념을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장치(30)는 셀 35에서 안테나 38과 39를 이용하여 기지국A의 안테나 31 및 32와 각각 통신을 한다. 이동장치(30)가 셀 36으로 이동을 하여 셀 35와 셀 36이 중첩되는 핸드오프 영역(37)에 진입하게 되면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이 수행된다. 도 3에서는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의 수행 결과 핸드오프 영역(37)에서 이동장치(30)와 연결될 송신 안테나로 기지국A의 31과 기지국B의 안테나 33이 선택되었다. 그러므로 이동장치(30)는 핸드오프 영역(37)에서 기지국A의 안테나 31과 기지국B의 안테나 33과 새롭게 연결되어 핸드오프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핸드오프 영역(37)을 벗어나게 되면 이동장치(30)는 다시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을 수행하여 기지국B의 안테나 33 및 34와 연결되어 통신을 한다.
즉,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장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셀이 중첩되는 핸드오프 영역에서는 이동장치의 복수의 안테나들이 각각 다른 기지국의 안테나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오프 시 통신의 단절 없이 원활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핸드오프의 경우에만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 판단 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한정적인 방법의 제시만으로도 당업자에 의해 채널의 성능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채널 성능 평가부(23)에서 생성된 채널 성능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채널 성능 평가 정보는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Indicator, 이하 'SSI'라 칭함) 값과 채널 상관(Channel Correlation Indicator, 이하 'CCI'라 칭함) 값이다. SSI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신호 전력의 평균값이고, CCI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전송 상관 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채널 상관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임의의 정보 값이다. 예를 들어 CCI는 전송 상관의 최대값으로 정의되어 1보다 작거나 같은 값이 될 수 있다.
이러한 SSI와 CCI는 채널 성능 평가부(23)가 생성하여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에게 전달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채널 성능 평가부(23)는 SSIh, SSIt, CCIh, CCIt 값을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에게 전달한다. SSIh는 이동장치가 홈기지국과 연결된 채널의 신호 세기 값이고, SSIt는 이동장치가 인접기지국과 연결된 채널의 신호 세기 값이며, CCIh는 이동장치가 홈기지국과 연결된 채널의 채널 상관 값이고, CCIt는 이동장치가 인접기지국과 연결된 채널의 채널 상관 값이다.
SSIh, SSIt, CCIh, CCIt 값을 수신한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룩업 테이블에 따라 SSIh과 CCIh에 기반을 둔 문턱값 Hin h과 Hin t를 결정하고, SSIt과 CCIt에 기반을 둔 문턱값 Hout h과 Hout t를 결정한다. 여기서 문턱값 H in h는 이동장치가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핸드오프 영역에 들어가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홈기지국 신호 세기의 문턱값이고, Hin t는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에 들어가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인접기지국 신호 세기의 문턱값이며, Hout h는 이동장치가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핸드오프 영역에서 나오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홈기지국에 신호 세기의 문턱값이고, Hout t는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에서 나오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인접기지국 신호 세기의 문턱값이다.
상기 문턱값들을 계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 홈기지국과 인접기지국에 대하여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에 들어가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문턱값 Hin과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에서 나오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문턱값 Hout는 각각 수학식 11과 같다.
여기서 π1 > 1 이고 π2 > 1이며, π1과 π2는 문턱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실험에 근거를 둔 상수들이다. Hin_fixed는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에 들어가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신호 세기의 고정된 값이고, Hout_fixed는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에서 나오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신호 세기의 고정된 값이다. 이러한 계산은 홈기지국과 인접기지국에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혹은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SIh, SSIt, CCIh, CCIt 값을 수신하고 해당 문턱값들을 모두 결정하고 나면,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핸드오프 영역에서의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It > Hin t 이고 SSIh < Hin h 이면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SSIt > Hout t 이고 SSIh < Hout h 이면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장치가 핸드오프가 아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한편,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방법에는 다음과 같이 이동장치와 기지국 간의 안테나 구성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으로 들어갈 경우에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안테나 재 선택 과정에 필요한 측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현재 이동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홈기지국과, 이동장치와의 최선의 안테나 구성에 대하여 채널 성능 정보 Lcurrent를 계산한다. 또한 핸드오프 영역에서 이동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홈기지국 및 인접기지국들과, 이동장치와 관련된 모든 다른 안테나 구성들에 대한 채널 성능 행렬 Ltarget(k)를 계산한다. 그래서 maxk Ltarget (k) > Lcurrent + δ 이면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상태임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δ는 핸드오프 영역으로의 진입 문턱값이다. 한편, 여기서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수행하는 안테나 재 선택 과정에 필요한 측정은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실질적으로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 판단을 위해 별도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하여 기술된 것뿐이다. 실질적으로 안테나 재 선택 과정에 필요한 측정은 파라미터 측정부(22)에서 수행되며,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의 판단이 필요할 경우에만 이미 파라미터 측정부(22)에서 측정되어 있는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Lcurrent과 Ltarget(k)를 계산하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에서 나올 경우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안테나 재 선택 과정에 필요한 측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현재 핸드오프 영역에서 이동장치와 기지국들 간의 최선의 안테나 구성에 대한 채널 성능 행렬 Lcurrent(k)를 계산한다. 또한 핸드오프 영역의 밖에서 이동장치와 기지국들 간의 최선의 안테나 구성에 대하여 채널 성능 정보 Ltarget를 계산한다. 그래서 Ltarget > maxk Lcurrent(k) + δ이면 이동장치가 핸드오프가 아닌 상태임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δ는 핸드오프 영역으로의 진입 문턱값이다. 한편, 여기서도 이동장치가 핸드오프 영역으로 들어갈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수행하는 안테나 재 선택 과정에 필요한 측정은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실질적으로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 판단을 위해 별도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하여 기술된 것뿐이다. 실질적으로 안테나 재 선택 과정에 필요한 측정은 파라미터 측정부(22)에서 수행되며,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의 판단이 필요할 경우에만 이미 파라미터 측정부(22)에서 측정되어 있는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Lcurrent(k)와 Ltarget를 계산하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이동장치와 기지국 간의 안테나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서, 채널 성능 행렬 Ltarget(k)와 Lcurrent(k)를 계산할 때에는 이동장치와 기지국들간의 모든 안테나 구성들에 대한 수율을 계산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계산에 필요한 복잡도(Complexity)를 줄이기 위해서는 후술되는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과정이 선행되어,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에 대해서만 계산될 수 있도록 구성이 변경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핸드오프 영역에서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과정은 핸드오프인 경우를 포함하여 현재 연결중인 채널의 성능에 변화가 발생되어 채널을 변경해야 할 경우 이동장치의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될, 홈기지국 뿐만 아니라 인접기지국들의 사용 가능한 모든 송신 안테나들의 조합들에 대해 최적의 송신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는 것이다.
재 선택 가능한 송신 안테나들과 이러한 송신 안테나들이 속해 있는 기지국들의 조합을 S라고 하자.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S 내의 송신 안테나 s에 대하여 각각 성능(R(s))을 평가하고 maxs in SR(s)인 송신 안테나를 최적의 송신 안테나로 선택한다.
송신 안테나의 성능을 SNR로 평가한 경우를 예로 들면,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S 내의 송신 안테나 s의 주어진 서브셋에 대하여 k번째 톤, 즉 서브캐리어와 i번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SNR인 SNRi[k]를 결정한다. 그리고 S 내의 각각의 안테나 서브셋의 SNR의 비율로써 최적의 송신 안테나를 선택한다. 여기서 비율은 평균이나, 최소 비율 또는 outage 비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최적의 선택으로 검색되어야만 하는 조합의 수이다. 기본적으로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은 모든 가능한 송신 안테나 서브셋들에서 최적 성능의 송신 안테나 서비스셋을 선택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선택에 대한 서브셋의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선택 과정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면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는 핸드오프 영역에서 선택 가능한 송신 안테나 서브셋들 중에서 임의의 송신 안테나 서브셋들을 선택한다. 또는 핸드오프 영역에서 사용될 송신 안테나 서브셋들을 미리 정해 놓고 해당 서브셋으로만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도록 선택될 송신 안테나 서브셋을 고정시키는 방법도 있다. 또는 인접기지국이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지지한다면 미리 정해진 송신 안테나 또는 임의의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고, 인접기지국이 두개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전송을 하면 상관이 가장 적은 두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디코릴레이팅 서브셋들은 미리 정해질 수 있고 따라서 검색 가능한 서브셋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송신 안테나 서브셋 정보는 저장부(21)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으며, 측정을 통해 이동장치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도 3과 같이 핸드오프 영역에서 기지국A와 기지국B의 안테나들 중에 최적의 송신 안테나를 선택해야 할 경우,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의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을 예로 든다면 다음과 같이 네 가지 경우로 설명할 수 있다. 그 첫 번째 방법은 기지국A와 기지국B가 구비하고 있는 모든 안테나의 조합 중에서 가장 수율이 좋은 조합을 찾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A에 포함되는 안테나들만 선택되는 경우 또는 기지국B에 포함되는 안테나들만 선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의 알고리즘이 가장 복잡하나 성능은 가장 좋다. 두 번째 방법은 무조건 기지국A의 안테나와 기지국B의 안테나가 모두 선택되어야 하며, 이 경우에 가장 수율이 좋은 안테나의 조합을 찾는 것이다. 세 번째 방법은 무조건 기지국A의 안테나와 기지국B의 안테나가 모두 선택되어야 하며, 이때 가능한 안테나의 조합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네 번째 방법은 무조건 기지국A의 안테나와 기지국B의 안테나가 모두 선택되어야 하며, 이때 핸드오프에서 사용할 안테나의 조합을 미리 고정시켜 놓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의 이동장치가 적용된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실시 예의 이동장치의 동작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기지국에 대하여 살펴본다.
기지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52),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53), 및 채널 정보 처리부(54)를 구비한다.
채널 정보 처리부(54)는 이동장치의 피드백 신호 발생부(25)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 측정값에 따라 채널에 대한 SNR의 평균이나 데이터 처리량 등의 채널 품질의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동장치의 피드백 신호 발생부(25)로부터 수신된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의 정보와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인접기지국들의 정보를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53)에게 전달한다. 또한 송신 안테나들이 재 선택되어야 될 경우에는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의 정보를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52)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53)는 채널 정보 처리부(54)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기지국으로 송신 안테나 재 선택을 요청한다. 한편 인접기지국의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53)는 홈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요청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홈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판단의 기준은 시스템의 트래픽, 서비스 품질의 요구, 재 선택된 안테나 등이 된다.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52)는 송신 안테나들이 재 선택되어야 될 경우 채널 정보 처리부(54)로부터 이동장치와 연결될 송신 안테나들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들을 이동장치에게 할당한다.
한편,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53)와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52)의 데이터는 MAC 처리 후 변조와 다중화, IFFT, 및 보호구간삽입 등을 거쳐 전송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상술된 바와 같은 이동장치와 기지국으로 구성된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히, 도 6은 상술된 도 3과 같이 두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한 이동장치(30)에서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이 홈기지국인 기지국A의 송신 안테나와 인접기지국인 기지국B의 송신 안테나일 경우, 이동장치(30)의 두개의 수신 안테나들과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이 연결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동장치는 기지국A로 채널 품질 파라미터 측정값과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의 정보 및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인접기지국들의 정보를 전송한다(S61). 여기서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은 홈기지국인 기지국A의 송신 안테나와 인접기지국인 기지국B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므로, 인접기지국들의 정보는 기지국A와 기지국B의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A는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의 정보 및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인접기지국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B로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을 요청한다(S62).
그러면, 기지국B는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 기지국A로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요청을 받아들이는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63).
기지국B로부터 승인 메시지를 받은 기지국A는 기지국B로 데이터를 포워딩한다(S64). 이때 포워딩되는 데이터는 현재 이동장치가 순방향 링크(Forward Link)를 통해 전송받아야 할 데이터이다. 이러한 데이터가 포워딩되어야 하는 이유는 이동장치와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과의 연결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이동장치와 통신중인 상대방은 데이터를 기지국A로만 전송하기 때문이다. 이에 기지국B가 이동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해주기 위해서는 기지국A가 기지국B로 데이터를 포워딩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기지국A는 이동장치에게 송신 안테나 재 선택 명령을 전송한다(S65).
그러면 이동장치는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을 통해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 정보를 기지국A와 기지국B로 전송한다(S66).
그러면 기지국A와 기지국B는 각각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S67), 송신 안테나 재 선택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이동장치에게 전송한다(S68). 그러면 이동장치는 기존에 채널이 형성되었던 송신 안테나들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와 새로운 채널을 형성한다. 여기서 S67 과정은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고 S68 과정은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병렬로 동시에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장치는 이렇게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도 지속적으로 홈기지국인 기지국A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는 이동장치의 다중 수신 안테나들과 연결될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과정을 기지국에서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홈기지국에서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과정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장치의 구성을 살펴 보면 도 7과 같다.
이동장치는 파라미터 측정부(71)와 피드백 신호 발생부(72)를 구비한다.
파라미터 측정부(71)는 홈기지국 및 인접기지국들과 연결된 채널에 대하여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이러한 채널 품질 파라미터의 측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수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측정되는 채널 품질 파라미터의 예로 잡음 전력, 신호 전력, 상관 특성, RSSI , C/I, SNR, 및 SINR 등이 있다. 파라미터 측정부(71)가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자세한 방법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의 파라미터 측정부(22)가 채널 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이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피드백 신호 발생부(72)는 파라미터 측정부(71)에서 측정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 측정값을 양자화하여 홈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와 같은 이동장치의 이동에 따라 채널의 성능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그에 따라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과정을 수행하는 기지국에 대하여 살펴본다.
기지국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81),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82), 채널 정보 처리부(83), 및 저장부(84)를 구비한다.
저장부(84)는 인접기지국의 후보 리스트를 저장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거의 고정되어 위치하므로 거의 변하지 않는 인접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기에 적당하다. 인접기지국의 후보 리스트는 기지국의 ID, 해당 기지국이 제공하는 송신 안테나의 수, 및 본 발명에 따라 재 선택될 수 있는 송신 안테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제 2 실시 예에서도 인접기지국은 홈기지국을 포함한다. 상술한 도 3을 예를 들면, 이동장치(30)는 핸드오프 영역(37)에서 홈기지국인 기지국A와 인접기지국인 기지국B와 통신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성능에 따라, 비록 이동장치는 핸드오프 영역에 존재하더라도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과정에서 선택되는 송신 안테나가 모두 홈기지국의 안테나이거나 모두 인접기지국의 안테나일 수도 있다.
채널 정보 처리부(83)는 이동장치의 피드백 신호 발생부(72)로부터 수신된 채널의 품질 파라미터 측정값을 이용하여 각 채널들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들을 생성한다.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82)는 채널 정보 처리부(83)에서 생성된 채널 성능 평가 정보에 대하여,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문턱값을 보유한다. 이를 바탕으로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82)는 채널 성능 평가 정보가 해당 문턱값 이상 또는 이하일 경우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82)에서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의 판단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의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수행하는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 판단 과정과 동일하며, 이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82)는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해야 한다고 판단이 되면, 저장부(84)를 참조하여 인접기지국으로 송신 안테나 재 선택을 요청한다. 한편 인접기지국의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82)는 홈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송신 안테나 재 선택 요청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홈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판단의 기준은 시스템의 트래픽, 서비스 품질의 요구, 재 선택된 안테나 등이 된다.
인접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프 요청에 대한 승인을 받으면,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82)는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81)에게 이동장치와 연결될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하도록 명령한다.
이에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81)는 채널 정보 처리부(83)에서 생성된 채널 성능 평가 정보와 저장부(84)의 인접기지국의 후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한다. 그리고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81)는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 정보를 해당하는 인접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이때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81)가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과정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의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24)가 수행하는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과 동일하며, 이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인접기지국의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81)는 홈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 정보에 대해 해당 송신 안테나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 홈기지국으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인접기지국의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81)는 해당 송신 안테나를 이동장치에게 할당하고 통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과정을 기지국의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81)에서 수행하고, 이보다 선행될 과정으로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기지국의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82)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82)와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81)의 데이터는 MAC 처리 후 변조와 다중화, IFFT, 및 보호구간삽입 등을 거쳐 전송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도, 도 9는 상술된 도 3과 같이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이 홈기지국인 기지국A의 송신 안테나와 인접기지국인 기지국B의 송신 안테나일 경우, 두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한 이동장치(30)와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이 연결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동장치는 기지국A에게 측정된 채널 품질 파라미터 측정값을 전송한다(S91).
그러면 기지국A는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82)를 통하여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S92),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기지국B에게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을 요청한다(S93). 이때 도 3에서는 홈기지국인 기지국A도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홈기지국에서 기지국B로 전송되는 모든 명령이나 정보 또는 메시지는 홈기지국에서 자체 처리된다. 이에 도면에는 생략한다. 이는 이하의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면 기지국B는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 기지국A로 송신 안테나의 재 선택 요청을 받아들이는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94).
기지국B로부터 승인 메시지를 받은 기지국A는 기지국B로 데이터를 포워딩한다(S95). 이때 포워딩되는 데이터는 현재 이동장치가 순방향 링크(Forward Link)를 통해 전송받아야 할 데이터이다. 이러한 데이터가 포워딩되어야 하는 이유는 이동장치와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과의 연결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이동장치와 통신중인 상대방은 데이터를 기지국A로만 전송하기 때문이다. 이에 기지국B가 이동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해주기 위해서는 기지국A가 기지국B로 데이터를 포워딩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기지국A는 송신 안테나 재 선택 과정을 수행하고(S96), 이를 통해 재 선택된 안테나 정보를 기지국B로 전송한다(S97).
그러면 기지국B는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S98), 이동장치에게 해당 송신 안테나를 할당한다(S99). 그러면 이동장치는 기존에 채널이 형성되었던 송신 안테나들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와 새로운 채널을 형성한다.
상술한 S96 과정에서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에는 홈기지국인 기지국A의 안테나도 포함된다. 이에 S97 과정에서 기지국A는 이동장치와 연결될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의 정보를 자체적으로 처리하고 S98 과정에서 재 선택된 안테나의 승인 처리도 자체 처리한다.
한편, 이동장치는 이렇게 재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도 지속적으로 홈기지국인 기지국A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의 성능에 따라 이동장치와 연결될 기지국들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재 선택하여 연결함으로써 최적의 채널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가능한 멀리 송신 안테나를 분리함으로써 송신 안테나의 상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안테나 상관이 감소하므로, 공간 상관(Spatial Correlation)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시스템 용량, 링크 처리량, 및 기타 성능을 증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

Claims (29)

  1.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장치와, 복수의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와의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홈기지국과, 상기 홈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데이터 채널에 대한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기지국에 구비된 제 1 안테나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기지국에 구비된 제 2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이 필요할 시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 중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는, 채널 품질에 대한 문턱값을 정해놓고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을 상기 문턱값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는,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안테나의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을 상기 홈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홈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안테나 선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홈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에 상기 제 2 안테나들이 포함될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접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은, 잡음 전력, 신호 전력, 상관 특성, RSSI, C/I, SNR, 및 SIN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사용이 허락될 시 기존에 데이터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들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과 새로운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9.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장치와의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홈기지국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기지국이 구비하는 제 1 안테나들과 상기 홈지기국의 인접기지국이 구비하는 제 2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 측정된 채널 품질들을 상기 이동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안테나 재 선택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이 필요할 시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 중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채널 품질에 대한 문턱값을 정해놓고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을 상기 문턱값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안테나의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에 상기 제 2 안테나들이 포함될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접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은, 잡음 전력, 신호 전력, 상관 특성, RSSI, C/I, SNR, 및 SIN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사용이 허락될 시 기존에 데이터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들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과 새로운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방법.
  15.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장치와, 복수의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와의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홈기지국과, 상기 홈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데이터 채널에 대한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에 구비된 제 1 안테나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기지국에 구비된 제 2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이 필요할 시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 중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 정보를 상기 홈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선택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정보 및 상기 인접기지국과 상기 제 2 안테나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채널 품질들을 측정하는 파라미터 측정부;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홈기지국의 안테나 선택 명령에 의해 상기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 및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과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 정보를 상기 홈기지국에 전송하는 피드백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는, 상기 채널 품질에 대한 문턱값을 정해놓고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을 상기 문턱값과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제어부는,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안테나의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을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과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 정보를 수신하는 채널 정보 처리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 정보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선택을 명령하는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상기 이동장치에게 할당하는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에 상기 제 2 안테나들이 포함될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접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은, 잡음 전력, 신호 전력, 상관 특성, RSSI, C/I, SNR, 및 SIN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사용이 허락될 시 기존에 데이터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들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과 새로운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23.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장치와의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홈기지국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이 구비하는 제 1 안테나들과 상기 홈지기국의 인접기지국이 구비하는 제 2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 채널 품질들을 측정하여 상기 홈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안테나 재 선택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이 필요할 시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 중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홈기지국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을 수신하는 채널 정보 처리부;
    상기 홈기지국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정보 및 상기 인접기지국과 상기 제 2 안테나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안테나 재 선택의 여부를 판단하는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 및
    상기 안테나 재 선택이 필요할 시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들에 의해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 중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선택하는 안테나 재 선택 스케줄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에 상기 제 2 안테나들이 포함될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인접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는, 상기 채널 품질에 대한 문턱값을 정해놓고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을 상기 문턱값과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재 선택 관리부는, 현재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의 채널 품질과, 상기 제 1 안테나들 및 상기 제 2 안테나들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안테나의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을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재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은, 잡음 전력, 신호 전력, 상관 특성, RSSI, C/I, SNR, 및 SIN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홈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의 사용이 허락될 시 기존에 데이터 채널이 형성된 안테나들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과 새로운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KR1020050001674A 2004-04-14 2005-01-07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및 방법 KR100651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674A KR100651447B1 (ko) 2004-04-14 2005-01-07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및 방법
CN2005100792410A CN1812288B (zh) 2005-01-07 2005-04-14 多天线蜂窝式移动通信系统中重选天线的系统和方法
EP05008205.6A EP1587338B1 (en) 2004-04-14 2005-04-14 Reselecting antennas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antennas
US11/105,984 US7486931B2 (en) 2004-04-14 2005-04-14 System and method for reselecting antennas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US12/105,880 US7809330B2 (en) 2004-04-14 2008-04-18 System and method for reselecting antennas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189104P 2004-04-14 2004-04-14
US60/561,891 2004-04-14
KR1020050001674A KR100651447B1 (ko) 2004-04-14 2005-01-07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111A true KR20050101111A (ko) 2005-10-20
KR100651447B1 KR100651447B1 (ko) 2006-11-29

Family

ID=3684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674A KR100651447B1 (ko) 2004-04-14 2005-01-07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486931B2 (ko)
EP (1) EP1587338B1 (ko)
KR (1) KR100651447B1 (ko)
CN (1) CN1812288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76B1 (ko) * 2007-05-11 2009-04-29 주식회사 팬택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랜 환경에서 안테나를 선택하여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101065846B1 (ko) * 2005-11-17 2011-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a에서의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369375B1 (ko) * 2007-02-27 201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랭크 적응 장치 및 방법
WO2015105398A1 (en) * 2014-01-13 2015-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s for dual connectiv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3994B2 (en) 2004-07-30 2009-12-15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input-distributed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US8571086B2 (en) * 2004-04-02 2013-10-29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DO precoding interpolation in multicarrier systems
US8170081B2 (en) 2004-04-02 2012-05-01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DIDO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US10277290B2 (en) 2004-04-02 2019-04-3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exploit areas of coherence in wireless systems
US9826537B2 (en) * 2004-04-02 2017-11-21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cluster handoff of clients which traverse multiple DIDO clusters
US11309943B2 (en) 2004-04-02 2022-04-19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s for planned evolution and obsolescence of multiuser spectrum
US8160121B2 (en) 2007-08-20 2012-04-17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input-distributed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US10187133B2 (en) * 2004-04-02 2019-01-22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and antenna grouping in a distributed-input-distributed-output (DIDO) network
US11451275B2 (en) 2004-04-02 2022-09-20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11394436B2 (en) 2004-04-02 2022-07-19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10985811B2 (en) 2004-04-02 2021-04-20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9819403B2 (en) * 2004-04-02 2017-11-14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andoff of a client between different distributed-input-distributed-output (DIDO) networks based on detected velocity of the client
US8542763B2 (en) 2004-04-02 2013-09-24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coordinate transmissions in distributed wireless systems via user clustering
US10749582B2 (en) 2004-04-02 2020-08-18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coordinate transmissions in distributed wireless systems via user clustering
US10425134B2 (en) 2004-04-02 2019-09-24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s for planned evolution and obsolescence of multiuser spectrum
US10886979B2 (en) * 2004-04-02 2021-01-05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in DIDO multicarrier systems
US9312929B2 (en) 2004-04-02 2016-04-12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s to compensate for Doppler effects in multi-user (MU) multiple antenna systems (MAS)
US10200094B2 (en) 2004-04-02 2019-02-05 Rearden, Llc Interference management, handoff, power control and link adaptation in distributed-input distributed-output (DIDO) communication systems
US8654815B1 (en) 2004-04-02 2014-02-18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9685997B2 (en) 2007-08-20 2017-06-2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enhance spatial diversity in distributed-input distributed-output wireless systems
JP2006093813A (ja) * 2004-09-21 2006-04-06 Sharp Corp 通信装置
US20060111054A1 (en) * 2004-11-22 2006-05-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ransmit antennas to reduce antenna correlation
US9184898B2 (en) * 2005-08-01 2015-11-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time, frequency and spatial channel in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WO2007040564A1 (en) * 2005-09-30 2007-04-1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Method for selecting antennas and beams in mimo wireless lans
WO2007043459A1 (ja) * 2005-10-07 2007-04-19 Nec Corporation 複数の基地局と移動局によるmimo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830368B1 (ko) * 2005-12-02 2008-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JP2007235762A (ja) 2006-03-02 2007-09-13 Fujitsu Ltd 多入力多出力通信用アンテナ装置
JP4744351B2 (ja) * 2006-04-28 2011-08-1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送信局及び無線受信局
JP4788905B2 (ja) * 2006-05-01 2011-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アンテナ近接状況判断方法
JPWO2007138650A1 (ja) * 2006-05-25 2009-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20080064353A1 (en) * 2006-09-07 2008-03-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se station directed selection of a multiple antenna configuration
JP5185277B2 (ja) * 2006-10-05 2013-04-1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ハンドオーバーにおけるmimoモード選択
EP2093918B1 (en) 2006-12-14 2015-12-30 Fujitsu Limited Controller for selecting antenna for multi-input/multi-output communication
JP4563415B2 (ja) * 2007-02-14 2010-10-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US8032091B2 (en) * 2007-03-14 2011-10-0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transmit diversity feedback during soft handoff
US8699968B2 (en) 2007-03-14 2014-04-15 Google Inc. Using multiple and a single feedback for UE uplink beamforming in soft handoff
US8989155B2 (en) 2007-08-20 2015-03-24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backhaul in distributed-input distributed-output wireless systems
WO2009034614A1 (ja) * 2007-09-11 2009-03-19 Fujitsu Limited 無線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90088075A1 (en) * 2007-09-28 2009-04-02 Orlassino Mark P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 Roaming and Connectivity in MIMO-Based Systems
JP5021814B2 (ja) * 2007-10-30 2012-09-1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分散型アンテナシステム
GB0721428D0 (en) 2007-10-31 2007-12-12 Icera Inc Wireless receiver with receive diversity
KR101400794B1 (ko) * 2007-11-06 2014-05-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체에서의 이동통신 중계 방법 및 그 중계기
KR100995045B1 (ko) * 2007-12-31 201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동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된 신호를송신하는 방법
US8861480B2 (en) * 2008-11-06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rat handover in multi-mode mobile station
CN101764635B (zh) * 2008-12-24 2013-04-1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信号联合处理系统及其信号检测、确定发送信号的方法
RU2011136630A (ru) * 2009-02-04 2013-03-1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 выбора несущей привязки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KR101638911B1 (ko) * 2009-03-06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US20100238984A1 (en) * 2009-03-19 2010-09-23 Motorola, Inc. Spatial Information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20625B2 (en) * 2009-05-27 2013-08-27 At&T Intellctual Property I, L.P. Transmit antenna subset selection for retransmission
CN101572941B (zh) * 2009-06-09 201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多天线的信号发送方法及装置
KR20110021633A (ko) * 2009-08-25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다중 안테나 전송 모드 수행 방법
US8224314B2 (en) 2009-10-07 2012-07-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duced-complexity coordinated multipoint reception
US20110085588A1 (en) * 2009-10-09 2011-04-14 Motorola-Mobility, Inc. Method for precoding based on antenna grouping
US8873650B2 (en) * 2009-10-12 2014-10-28 Motorola Mobility Llc Configurable spatial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03489B2 (en) 2010-05-05 2015-12-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precoder information feedback in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2447500B (zh) * 2010-09-30 2015-06-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天线控制装置、便携式电子设备及天线控制方法
JP6167471B2 (ja) * 2012-03-08 2017-07-26 ヤマハ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
CN103312395B (zh) * 2012-03-15 2016-03-30 西门子公司 一种无线通信系统中天线选择方法和无线通信设备
GB2495008B (en) * 2012-10-03 2014-03-05 Broadcom Corp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s state of an apparatus
US11190947B2 (en) 2014-04-16 2021-11-3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current spectrum usage within actively used spectrum
US11189917B2 (en) 2014-04-16 2021-11-3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radioheads
US10194346B2 (en) 2012-11-26 2019-01-29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US11050468B2 (en) 2014-04-16 2021-06-29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within actively used spectrum
US9813262B2 (en) 2012-12-03 2017-11-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data using spatial diversity
US9591508B2 (en) 2012-12-20 2017-03-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different peer-to-peer communication groups
US9979531B2 (en) 2013-01-03 2018-05-2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 band operation
US9973246B2 (en) 2013-03-12 2018-05-15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US9923657B2 (en) 2013-03-12 2018-03-2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US10488535B2 (en) 2013-03-12 2019-11-26 Rearde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still images and video using diffraction coded imaging techniques
US10229697B2 (en) 2013-03-12 2019-03-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to obtain voice and noise signals
US10164698B2 (en) 2013-03-12 2018-12-25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US10547358B2 (en) 2013-03-15 2020-01-28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calibration exploiting channel reciprocity in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4184605A1 (en) * 2013-05-16 2014-11-20 Intel Corporation Managing bandwidth and connection costs for mobile devices
US9386542B2 (en) 2013-09-19 2016-07-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ransmit power of a wireless device
US20150117399A1 (en) * 2013-10-29 2015-04-30 Qualcomm Incorporated Baton handover with receive diversity in td-scdma
US9549290B2 (en) 2013-12-19 2017-01-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irection information for a wireless device
US11290162B2 (en) 2014-04-16 2022-03-29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within actively used spectrum
US9491007B2 (en) 2014-04-28 2016-11-0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ntenna matching
US9478847B2 (en) 2014-06-02 2016-10-2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585514B1 (ko) * 2014-12-01 202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인접 액세스 포인트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N104717303B (zh) * 2015-03-31 2019-08-30 浙江米多网络科技有限公司 高速列车三模块自动切换信号发射中心
KR102288804B1 (ko) * 2015-05-07 2021-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250309B2 (en) 2016-03-24 2019-04-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channel estimation in massive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EP3562198B1 (en) * 2016-12-23 2021-08-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link and wireless connec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10687261B1 (en) * 2017-08-29 2020-06-16 Sprint Spectrum L.P. Handover to help meet bit-rate guarantee upon establishment of guaranteed-bit-rate bearer
EP3515115A1 (en) * 2018-01-19 2019-07-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ell (re-)selection mechanisms with improved cell quality determinations
US10382077B1 (en) * 2018-02-28 2019-08-13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selecting a number of transmitting ports in an antenna at an access node
CN110233645B (zh) * 2019-06-11 2021-08-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切换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90252B2 (en) * 2019-06-28 2021-11-30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element selection system
CN113852924A (zh) * 2020-06-28 2021-1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天线确定方法、装置、终端、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7236A (en) * 1990-10-19 1992-05-26 Motorola, Inc. Antenna pattern selection for optimized communications
US5138327A (en) * 1990-10-19 1992-08-11 Motorola, Inc. Antenna pattern selection for optimized communications and avoidance of people
US5689502A (en) * 1995-06-05 1997-11-18 Omnipoint Corporation Efficient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rleaved format and timing adjustment control
US5940452A (en) * 1995-11-29 1999-08-17 Motorola, Inc. Dual mode radio subscriber unit having a diversity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U729010B2 (en) * 1996-11-26 2001-01-25 Kyocera Corporation Base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FI982763A (fi) * 1998-12-21 2000-06-22 Nokia Networks Oy Tiedonsiirtomenetelmä ja radiojärjestelmä
WO2001078254A1 (en) * 2000-04-07 2001-10-18 Nokia Corporation Multi-antenn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GB0104610D0 (en) * 2001-02-23 2001-04-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859503B2 (en) 2001-04-07 2005-02-22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in a transceiver for controlling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channel
GB0125178D0 (en) * 2001-10-19 2001-12-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47882B1 (ko) * 2002-02-26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선택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순방향 채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30162519A1 (en) * 2002-02-26 2003-08-28 Martin Smith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6842632B2 (en) * 2002-12-30 2005-01-1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antenna weight selection utilizing deterministic perturbation gradient approximation
US7595768B2 (en) * 2003-06-27 2009-09-29 Intel Corporation Switching schemes for multiple antennas
US7120395B2 (en) * 2003-10-20 2006-10-10 Nortel Networks Limited MIMO communications
US7430440B2 (en) * 2004-02-06 2008-09-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ransient impacts of beam switching in a switched beam antenna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846B1 (ko) * 2005-11-17 2011-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a에서의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8369300B2 (en) 2005-11-17 2013-02-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y using transmit diversity at DFT spread OFDMA
KR101369375B1 (ko) * 2007-02-27 201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랭크 적응 장치 및 방법
KR100895576B1 (ko) * 2007-05-11 2009-04-29 주식회사 팬택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랜 환경에서 안테나를 선택하여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US8279744B2 (en) 2007-05-11 2012-10-02 Pantech Co., Ltd. Method of selecting antennas and transmitting data in multi-input multi-output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nvironments
WO2015105398A1 (en) * 2014-01-13 2015-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s for dual connectivity
US9900844B2 (en) 2014-01-13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s for dual conn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86931B2 (en) 2009-02-03
EP1587338A2 (en) 2005-10-19
US20050239510A1 (en) 2005-10-27
US20080214185A1 (en) 2008-09-04
EP1587338B1 (en) 2017-01-18
EP1587338A3 (en) 2008-12-10
CN1812288B (zh) 2011-01-26
CN1812288A (zh) 2006-08-02
US7809330B2 (en) 2010-10-05
KR100651447B1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447B1 (ko) 복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재 선택 시스템 및 방법
US77560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tennas adaptively in OFDMA networks
US10555186B2 (en) Access point having multichannel and multi transmission power, cell formation method
US732481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reselecting cells based on measurements performed using directional beams and an omni-directional beam pattern
JP4914549B2 (ja) アンテナのアレイを使用したcdmaシステム内でのダウンリンク信号処理
US86704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in a communication system
TWI420938B (zh) 利用測距負載因數測距的方法和系統
US861183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lecting an antenna mod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140094644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디바이스 로밍을 개선하기 위한 메커니즘
JP2007195175A (ja) セルラーofdm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これの基地局および移動局において干渉を最小化するための方法
KR100716269B1 (ko) 다중 반송파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WO2000011903A1 (en) Mobile terminal initiated and assisted antenna selection
EP2176960A1 (en) Method of selecting antennas and transmitting data in multi-input multi-output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nvironments
US8140006B2 (en) Signal combining apparatus satisfying maximum transmission capacity in cellular system employing distributed antennas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using the same
EP20141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696401B1 (ko)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부반송파별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100690329B1 (ko) 분산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KR20050089692A (ko) 이동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프 방법
JP4008761B2 (ja) アンテナの決定システム、決定方法及び通信基地局
KR101076754B1 (ko)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핸드오프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105216A (ko)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KR201100673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유효 신호대 잡음비를 이용한 핸드오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