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914A -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914A
KR20050100914A KR1020040026134A KR20040026134A KR20050100914A KR 20050100914 A KR20050100914 A KR 20050100914A KR 1020040026134 A KR1020040026134 A KR 1020040026134A KR 20040026134 A KR20040026134 A KR 20040026134A KR 20050100914 A KR20050100914 A KR 20050100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lider
base
height adjustmen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350B1 (ko
Inventor
정길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35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화면표시부를 고정하는 피벗부와 연결된 슬라이더컬럼과, 이 슬라이더컬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단이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컬럼과, 이 베이스컬럼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컬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컬럼은 베이스컬럼의 내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고 그 베이스컬럼의 상하방 적어도 두 곳에는 일측에 지지단 그리고 타측에는 휠이 구비된 롤러가 마련되며, 이 각 롤러의 지지단은 베이스컬럼의 측벽에 고정되고 해당 휠은 슬라이더컬럼이 베이스컬럼의 축선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 가능하도록 그 슬라이더컬럼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사이에 롤러를 개입시켜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간에 마찰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하여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HEIGHT ADJUSTMENT STAND STRUCTURE FOR VIDEO DISPLAY APPLIANC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LCD 모니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의 받침대를 이루는 베이스컬럼과 슬라이더컬럼 사이에 롤러를 개입시켜 슬라이더컬럼이 베이스컬럼 내에서 상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모니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화면표시부(도시되지 않음)와; 이 화면표시부의 배면에 연결되어 그 화면표시부를 전후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피벗부(1)와; 이 피벗부에 연결되어 그 화면표시부를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받침대(2)와; 이 받침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부(1)의 하부를 고정하는 슬라이더컬럼(4)과, 이 슬라이더컬럼을 수납되게 안내하는 베이스컬럼(5)과, 이 베이스컬럼의 내측에 마련되는 판코일스프링(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판코일스프링은 일정크기의 보조플레이트(7)를 통해 상기 베이스컬럼(5)의 내측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양측에는 각각 플라스틱커버(4a,4b)가 구비되어 있다.
그에 따라, LCD 모니터의 화면표시부를 상방향으로 올리거나 하방향으로 내릴 때, 그 화면표시부의 하중이 슬라이더컬럼(4)의 하단과 접촉되는 베이스컬럼(5)의 내측 판코일스프링(6)에 의해 지지되게 되며,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더컬럼(4)을 통해 화면표시부의 높이를 설정하게 되면 화면표시부는 그 설정된 높이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외측 하부에는 화면표시부의 최대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측 플라스틱커버(4b)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부스톱퍼(8)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상부스톱퍼(8)는 화면표시부와 함께 상승되다가 상기 베이스컬럼(5)의 외측에 마련된 잠금부(9)의 하부 모서리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컬럼(5)의 내측 하부에는 화면표시부의 최소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부스톱퍼(10)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하단부는 화면표시부의 하강시 상기 베이스컬럼(5)의 하부스톱퍼(10)에 걸리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베이스컬럼(5)의 외측에는 두 개의 플라스틱커버(5a,5b)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두 플라스틱커버중 한쪽에는 LCD 모니터용 신호케이블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케이블보호커버(5c)가 더 끼워져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슬라이더컬럼의 플라스틱커버 외면과 베이스컬럼의 내면이 면접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플라스틱커버가 주위환경에 의해 약간이라도 변형되게 되면 플라스틱커버와 베이스컬럼 간에 마찰이 심하게 일어나 소음을 발생시키게 됨은 물론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플라스틱커버가 베이스컬럼의 내벽 한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치는 경우 슬라이더컬럼이 베이스컬럼의 축선을 따라 불규칙하게 이동할 수밖에 없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우려가 매우 높았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사이에 롤러를 개입시켜 그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간에 마찰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하여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면표시부를 고정하는 피벗부와 연결된 슬라이더컬럼과, 이 슬라이더컬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단이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컬럼과, 이 베이스컬럼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컬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컬럼은 베이스컬럼의 내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고 그 베이스컬럼의 상하방 적어도 두 곳에는 일측에 지지단 그리고 타측에는 휠이 구비된 롤러가 마련되며, 이 각 롤러의 지지단은 베이스컬럼의 측벽에 고정되고 해당 휠은 슬라이더컬럼이 베이스컬럼의 축선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 가능하도록 그 슬라이더컬럼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취된 받침대의 개략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표시부를 고정하는 피벗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슬라이더컬럼(4)과, 이 슬라이더컬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단이 베이스부(3)에 고정되는 베이스컬럼(5)과, 이 베이스컬럼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컬럼(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코일스프링(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된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컬럼(4)은 베이스컬럼(5)의 내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고 그 베이스컬럼의 상하방 적어도 두 곳에는 일측에 지지단(11a) 그리고 타측에는 휠(11b)이 구비된 롤러(11)가 마련되며, 이 각 롤러의 지지단(11a)은 베이스컬럼(5)의 측벽에 고정되고 해당 휠(11b)은 슬라이더컬럼(4)이 베이스컬럼(5)의 축선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 가능하도록 그 슬라이더컬럼(4)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러 휠(11b)의 반경방향 외주부는 각이진 형태를 이루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대응부분은 그 각이진 외주부와 마주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롤러 휠(11b)의 적어도 반경방향 외주부는 상기 슬라이더컬럼(4)이 베이스컬럼(5)측 롤러 휠(11b)과 접촉된 상태로 그 베이스컬럼의 축선을 따라 상하방으로 움직일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무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롤러(11)는 베이스컬럼(5)의 측벽 상하방 두 곳 뿐만 아니라 측벽의 상하방 두 곳씩 4개소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 롤러(11)의 배치형태 및 개수는 상기 슬라이더컬럼(4)이 베이스컬럼(5)의 측벽 내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상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이면 어느 경우라도 무방하다.
다른 한편, 도 6에 표시된 도면부호 12는 상기 베이스컬럼(5)의 하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절곡단부로서 이는 베이스부(3)의 메탈베이스(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부분이며, 도면부호 13은 상기 두 절곡단부(12)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가 적용된 영상표시기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컬럼(5)의 내벽에 판코일스프링(6)을 고정시키고, 이와 아울러 롤러(11)의 지지단(11a)을 상기 베이스컬럼(5)의 측벽 상하방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시킨 후, 그 베이스컬럼을 베이스부(3)에 고정시킨다(도 2, 도 5 및 도 6 참조).
이때, 상기 롤러(11)의 지지단(11a)은 베이스컬럼(5)에 나사결합방식, 리벳고정방식, 그밖에 다양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베이스컬럼(5)의 상부에 슬라이더컬럼(4)을 정렬시켜 그 슬라이더컬럼의 하단이 판코일스프링(6)에 접촉되도록 그 슬라이더컬럼(4)을 하방으로 눌러 끼운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컬럼(5)의 측벽에 고정된 롤러(11)의 휠(11b)과 접촉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슬라이더컬럼(4)은 마찰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롤러(11)를 통해 상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슬라이더컬럼(4)을 최저높이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상부스톱퍼(8)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컬럼(5)의 일측 상부부분에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상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잠금부(9)를 고정시킨 후, 나머지 피벗부(1), 화면표시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차례로 조립해 사용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사이에 롤러를 개입시켜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간에 마찰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하여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기기의 받침대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받침대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받침대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취된 받침대의 개략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취된 받침대의 개략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피벗부 2: 받침대
3: 베이스부 4: 슬라이더컬럼
5: 베이스컬럼 6: 판코일스프링
8: 상부스톱퍼 9: 잠금부
10: 하부스톱퍼 11: 롤러
11a: 지지단 11b: 휠

Claims (3)

  1. 화면표시부를 고정하는 피벗부와 연결된 슬라이더컬럼과, 이 슬라이더컬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단이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컬럼과, 이 베이스컬럼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컬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컬럼은 베이스컬럼의 내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고 그 베이스컬럼의 상하방 적어도 두 곳에는 일측에 지지단 그리고 타측에는 휠이 구비된 롤러가 마련되며, 이 각 롤러의 지지단은 베이스컬럼의 측벽에 고정되고 해당 휠은 슬라이더컬럼이 베이스컬럼의 축선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 가능하도록 그 슬라이더컬럼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휠의 반경방향 외주부는 각이진 형태를 이루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슬라이더컬럼의 대응부분은 그 각이진 외주부와 마주하도록 절곡된 것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휠의 적어도 반경방향 외주부는 고무로 피복된 것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KR1020040026134A 2004-04-16 2004-04-16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KR10058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134A KR100587350B1 (ko) 2004-04-16 2004-04-16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134A KR100587350B1 (ko) 2004-04-16 2004-04-16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914A true KR20050100914A (ko) 2005-10-20
KR100587350B1 KR100587350B1 (ko) 2006-06-08

Family

ID=3727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134A KR100587350B1 (ko) 2004-04-16 2004-04-16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0697A (zh) * 2021-10-25 2022-01-21 国家电网有限公司 用于变电站现场的气象监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0697A (zh) * 2021-10-25 2022-01-21 国家电网有限公司 用于变电站现场的气象监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350B1 (ko)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782B2 (en) Height adjustable stand and flat panel display utilizing the same
US7667957B2 (en) Thin-type display
US8243432B2 (en) Support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70229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leaning
EP1762771B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swiveling structure
US8899537B2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20070029458A1 (en)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JP4783847B2 (ja) 携帯端末
EP1744319A2 (en) Portable DVD player with pop-up screen
KR101624056B1 (ko) 단말기의 지지대
US20110216484A1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587350B1 (ko)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US8090096B2 (en) Til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JP4505525B2 (ja) 携帯端末
US20080067297A1 (en) Slid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918340B1 (ko) 경사각 조절 및 벽 장착이 가능한 단말기
US20090180041A1 (en) Movable front interface device for a television
KR1015978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87485B1 (ko)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KR101480548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20050122879A (ko) 모니터의 이동을 위한 스탠드 구조
KR20050080250A (ko) Lcd 모니터의 높이조절장치
KR200374463Y1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의 스토핑장치
CN117879983A (zh) 一种厨房电器操控装置
KR101327710B1 (ko)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