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498A -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498A
KR20050100498A KR1020040025757A KR20040025757A KR20050100498A KR 20050100498 A KR20050100498 A KR 20050100498A KR 1020040025757 A KR1020040025757 A KR 1020040025757A KR 20040025757 A KR20040025757 A KR 20040025757A KR 20050100498 A KR20050100498 A KR 2005010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olyurethane
polyurethane foam
dressing materi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038B1 (ko
Inventor
최원재
안편노
이동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03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1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08G18/4845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containing oxypropylene or higher oxyalkylene en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7/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intended use
    • C08J2207/10Medical applications, e.g. biocompatible scaffol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만을 사용하고, 쇄연장제와 발포제로서 자극물질의 사용을 배제하고 물만을 사용함으로써, 황변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외관상 사용자의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자극물질 사용량의 최소화로 피부에 단량체의 전이 가능성을 최소화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운드드레싱재용으로 적용할 경우 액체의 흡수속도가 빨라서 혈액 등이 드레싱재 외부로 퍼질 염려를 줄일 수 있고, 상기 혈액 등이 흡수된 부분이 팽창하여 상처부위를 압박하는 효과를 가지며 상처와의 접촉능력이 향상되어 우수한 지혈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of Polyurethane foam for wound dressing}
본 발명은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만을 사용하고, 쇄연장제와 발포제로서 자극물질의 사용을 배제하고 물만을 사용함으로써, 황변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외관상 사용자의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자극물질 사용량의 최소화로 피부에 단량체의 전이 가능성을 최소화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운드드레싱재용으로 적용할 경우 액체의 흡수속도가 빨라서 혈액 등이 드레싱재 외부로 퍼질 염려를 줄일 수 있고, 상기 혈액 등이 흡수된 부분이 팽창하여 상처부위를 압박하는 효과를 가지며 상처와의 접촉능력이 향상되어 우수한 지혈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쇄연장제와 발포제로 구성되어지며 필요에 따라 촉매, 기포조정제 등이 첨가 사용된다.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자동차, 가구, 신발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우레탄이 가지는 인체적합재료로서의 성질을 응용하여 여러 의료용 용도로도 개발되고 있다.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대표적인 사용처는 운드드레싱재이다.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창상이나 화상치료에 있어서 폐쇄 또는 반폐쇄용으로서 각광받는 재료이다.
창상이란 외부의 힘에 의해 인체 조직의 정상적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를 말하는데, 이때 외부의 힘은 수술까지도 포함되며 조직이 손상되는 형태에 따라서 여러가지고 구분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구분은 개방창과 폐쇄창이다.
상기한 창상 중에서 신체표면의 보호막이라 할 수 있는 피부, 점막 등이 파괴되어 미생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인체에 들어올 수 있는 상태를 개방창이라 하고, 피부는 유지된 상태로 내부의 조직만 손상됨으로써 손상된 조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미생물 등에 의한 감염이 어려운 경우를 폐쇄창이라 한다.
피부는 구조가 다른 표피와 진피의 두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땀샘, 혈관, 신경, 털, 기름샘, 림프관등이 포함된다.
먼저, 표피는 내부측부터 기저층, 가시층, 과립층, 투명층, 각질층의 5개층으로 구성되며, 피부의 가장 바깥쪽 층으로 케라틴이라는 피부막을 형성하는 불투과성 물질을 함유한 각질세포의 많은 층으로 이루어지며 수분유지, 외부 미생물이나 물리, 화학적인 위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체액 유지 등의 역할을 한다. 피부에 상처가 생기면 약 40시간후에 표피에서 세포분열이 왕성하게 일어나게된다. 이것은 피부 손상이 주는 자극에 의해 세포분열억제제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호르몬에 의해 세포분열이 촉진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표피 밑의 진피는 아교섬유와 탄력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접촉, 압력, 온도, 통증, 가려움 등을 여러 촉각을 느끼게 해주는 감각신경이 있으며 표피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모세혈관이 위치한다. 모세혈관이 있어 표피세포에 영양물질을 공급한다. 진피의 대부분은 압력에 대해 저항을 가지는 콜라겐 섬유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유래한 섬유성 물질로 만들어진 기저막이 표피와 진피 사이에 위치한다.
피부가 손상되는 개방창의 경우에 미생물, 먼지, 섬유, 기타 이물질이 조직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감염되어 여러가지 합병증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칼, 종이, 바늘 등과 같이 날카로운 절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부근의 조직에 끼치는 영향이 적다. 그러나, 갈려서 생기는 상처와 같이 손상면이 규칙적이지 않고 부근 조직에 물리적인 충격을 두었을 경우에는 광범위한 손상을 줄 수 있다. 강압 압력을 받아 생기는 창상도 또한 넓은 범위에 손상을 가져온다.
손상된 피부가 외부에 노출되면 손상되지 않았을 때에 비해서 쉽게 건조되고 열을 빼앗기게 되므로 손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또 창상부위에 발생하는 오염은 창상이 완전히 치유되기 전까지는 계속 발생할 수 있다. 바이러스 등 미생물에 의한 감염 외에도 여러 비생물성 오염이 창상에 영향을 준다. 그중에서도 유기물질은 더 자극적인 경향이 있다.
상기한 창상 외에도 화상은 열, 전기, 화학물질, 방사선등에 의해서 인체 조직이 손상된 것을 말한다. 화상의 면적이나 손상의 정도에 따라서 3 가지로 구분이 되는데, 1 도 화상은 손상이 피부의 바깥층에 한정된 것으로 통증을 느끼고 피부 표면이 붉게 된다. 2 도 화상은 좀더 깊게 열상을 받은 것으로 물집이 생긴다. 3 도 화상은 피부조직과 더 깊은 신체조직이 손상된 정도이다. 심한 화상은 즉각적인 쇼크를 줄수 있으며 화상 발생 후 수시간 후에 생기는 2차 쇼크가 더 위험할 수 있다. 이때는 혈압이 떨어지고 체온감소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2차 쇼크는 체액의 손실에 의해 일어나는데 피부가 없어진 손상부위를 통해 체액이 손실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손상부위는 감염 또한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체액 손실과 감염을 막기 위해서 고분자 피막, 멸균된 동물 피부 또는 환자 자신의 다른 부위의 피부 등으로 화상부위를 덮을 수 있다. 손상부위는 가장자리부터 안쪽을 향해 피부가 재생되어야 회복이 가능하며 이때 흉터가 생길 수 있다. 요즘에는 손상조직을 제거하고 부위를 적절한 드레싱재로 덮음으로써 흉터발생을 억제한다.
피부상처치유는 표피와 진피, 모세혈관에서 장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복잡한 현상들의 협력에 의한다. 따라서 상처 보호와 치유 촉진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이때 치료현상을 돕고 외부의 오염원이나 자극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운드드레싱재이다.
피부에 노출된 채 사용되어지는 운드드레싱재의 특성상 제품의 모양이나 색깔 등은 중요한 상품가치 판단요인이다. 사용자 입장에서 황변 등이 일어난 드레싱재는 심리적으로 거부감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운드드레싱재들은 대부분 제조과정에서 반응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만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에 일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있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황색 또는 적색으로의 컬러링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대부분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는 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국제암연구기구)에 의해서 발암유발의심물질로 의심되고 분류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용도에는 적합치 않다 할 수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쇄연장제로는 1,4??디부탄디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이 있으며, 발포제로서는 CFC, 펜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쇄연장제나 발포제는 폴리우레탄의 제조 후에도 어느 정도는 잔존하게 된다. 이를 운드드레싱용에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단량체인 쇄연장제나 발포제들이 발포체에 남아 있다가 피부로 전이될 수 있으며, 피부 특히 상처면에 닿았을 경우 이러한 유기물질들이 강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물을 발포제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많이 있으나 쇄연장제 겸 발포제로서 두가지 작용에 모두 사용되는 경우는 없다.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만들 때는 대부분 용도에 맞는 밀도 범위를 가지게 된다. 적정 밀도의 발포체를 만드는 대표적인 방법은 일정 부피의 몰드에 주입하는 발포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인데, 이때 발포체와 몰드가 닿는 면에는 스킨층이 생기게 된다. 상기한 스킨층은 발포체 내부와 비교해서 기공의 크기가 매우 작거나, 기공이 없다. 따라서, 상기한 스킨층은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물이나 혈액, 혈장, 진물 등의 흡수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또 몰드를 이용하여 1 개씩 생산하는 경우에는 주입-발포-반응-탈형-몰드 세정의 단계를 계속 반복해야 하므로 생산속도도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드레싱재의 흡수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상처면에서 나온 혈액이나 진물 등이 바로 흡수되지 못하고 드레싱재 표면을 따라 상처 옆으로 퍼지게 된다. 이럴 경우 혈액이나 진물이 드레싱재 바깥까지 퍼져나가 외부오염이 전달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선택 사용하여 황변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외관상 사용자의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쇄연장제 또는 발포제로서 자극물질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쇄연장제 및 발포제로서 물을 사용함으로써, 자극물질 단량체의 상처부위로의 전이가 최소화되며, 흡수력이 향상된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변현상이 없고, 혈액 등의 흡수력이 우수하며, 상기 혈액 등을 흡수한 부분이 팽창하여 상처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개선된 운드드레싱재용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레에틸렌글리콜 100 ∼ 900 중량부를 가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중량부에 물 20 ∼ 100 중량부, 기공조절제 0.1 ∼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몰드에서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만을 사용하고, 쇄연장제와 발포제로서 자극물질의 사용을 배제하고 물만을 사용함으로써, 황변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자극물질 사용량의 최소화로 피부에 단량체의 전이 가능성을 최소화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운드드레싱재용으로 적용할 경우 액체의 흡수속도가 빨라서 혈액 등이 드레싱재 외부로 퍼질 염려를 줄일 수 있고, 상기 혈액 등이 흡수된 부분이 팽창하여 상처부위를 압박하는 효과를 가지며 상처와의 접촉능력이 향상되는 압박하여 지혈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선택 사용하고, 다른 쇄연장제나 발포제로서 자극물질의 사용 없이 물만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서 피부에 단량체들이 전이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킴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몰드를 사용하여 발포체의 밀도를 조정하는 점은 일반적인 방법과 같으나, 1개씩 생산하지 않고 한번에 원하는 제품크기의 수십∼수백배 크기의 발포체를 만든 후에 이를 잘라서 사용함으로써 생산속도를 향상시키고 스킨층이 없는 발포체를 사용함으로서 물, 혈액, 혈장, 진물 등의 흡수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폴리에틸렌글리콜 100 ∼ 900 중량부를 가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로부터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 500 ∼ 6000 범위인 것을 사용할 경우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분자량이 500 미만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할 경우 만들어진 폴리우레탄 발포체에서 플리에틸렌글리콜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흡수율이 떨어진다. 반대로 분자량이 6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할 경우 반응성이 떨어져서 프리폴리머 제조가 어렵고 점도가 높아서 발포체 제조가 어려워진다. 또 만들어진 발포체가 상온에서 높은 경도를 가지게 되어 상처를 감싸는 용도로는 접합하지 않다.
상기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용량이 10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만들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의 흡수율이 떨어져서 운드드레싱재용으로 적합하지 않게 되고, 반대로 9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NCO %가 낮아져서 프로폴리머의 점도가 상승하고 보관안정성이 떨어진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경우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50 ∼ 160 ℃에서 0.5 ∼ 10 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제조하는데, 이때 반응온도가 50 ℃ 미만이면 반응이 완결되지 않고, 160 ℃를 초과하면 프리폴리머가 황색으로 변색되며 고분자쇄가 분해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상기 온도범위를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물 20 ∼ 100 중량부, 기공조절제 0.1 ∼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몰드에서 성형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성형시 몰드의 온도를 30 ∼ 80 ℃로 조절하고, 10 ∼ 60 분 후에 탈형하여 발포체를 제조한다. 이때 물이 20 중량부 미만 사용되면 교반되는 두 물질의 양 차이가 커서 교반효율이 떨어지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응속도가 감소하여 탈형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다.
상기 기공조절제로는 실리콘계 분자쇄에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가 공중합된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계 분자쇄에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가 공중합된 폴리머로는 구체적으로 시판되는 것으로서 DC193, DC197, DC198, DC1598, DC5098, DC5103, DC5357, DC5604 (이상은 에어프로덕트사 제품임)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로서 F68, F77, F88, F127, L44, L64, P65(이상은 바스프사 제품임)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밀도는 0.01 ∼ 0.5 g/cc, 더 좋게는 0.1 ∼ 0.3 g/cc로 한다. 탈형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0.2 ∼ 20 mm의 원하는 두께로 절단한 후 여기에 폴리우레탄 필름 등의 투습방수필름을 붙여서 운드드레싱재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투습방수필름은 발포체 보다 가로, 세로 각각 1 ∼ 3 cm 정도씩 크게 하고 점착제를 발라서 피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운드드레싱재는 황변현상이 방지되고, 자극물질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으며, 발포체를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서 상처 삼출액의 흡수속도를 빠르게 하여 삼출액이 드레싱재 바깥으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2 리터의 플라스크에 250 g의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와 750 g의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1400)을 투입한 후 질소하 90 ??에서 3 시간 교반시키고, 반응 완료 시점은 적외선 다이아그램(IR Diagram)에서 NCO 피크가 더 이상 변하지 않을 때로 설정하였다.
합성예 2
2 리터의 플라스크에 130 g의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와 870 g의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3,000)을 투입한 후 질소하 90 ℃에서 3 시간 교반시키고, 반응 완료 시점은 적외선 다이아그램에서 NCO 피크가 더 이상 변하지 않을 때로 설정하였다.
합성예 3
2리터의 플라스크에 130 g의 4,4'-메틸렌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와 870 g의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3,000)을 투입한 후 질소하 90 ??에서 3 시간 교반시키고, 반응 완료 시점은 적외선 다이아그램에서 NCO 피크가 더 이상 변하지 않을 때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1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200 g에 물 100 g을 F127(BASF) 1 g을 넣은 후 교반하고 10 cm ㅧ 10 cm ㅧ 12 cm 크기의 50 ℃의 몰드에 넣고 밀폐한 후 45 분 후 탈형시켰다. 탈형된 발포체를 10 cm ×10 cm ×0.5 cm의 크기로 커팅한 후 점착제가 도포된 14 cm ×14 cm 크기의 폴리우레탄 방수필름을 붙여서 운드드레싱재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스킨이 있는 발포체는 사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2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200 g에 물 100 g DC193(Air products) 0.5 g을 을 넣은 후 교반하고 10 cm ×10 cm × 12 cm 크기의 50 ℃의 몰드에 넣고 밀폐한 후 45 분 후 탈형시켰다. 탈형된 발포체를 10 cm × 10 cm × 0.5 cm의 크기로 커팅한 후 점착제가 도포된 14 cm × 14 cm 크기의 폴리우레탄 방수필름을 붙여서 운드드레싱재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스킨이 있는 발포체는 사용하지 않았다
비교예 1
상기 합성예 3에서 제조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200 g에 물 80 g, 글리세린 20 g F127(BASF) 1 g을 넣은 후 교반하고 10 cm × 10 cm × 12 cm 크기의 50 ℃의 몰드에 넣고 밀폐한후 45 분 후 탈형시켰다. 탈형된 발포체를 10 cm × 10 cm × 0.5 cm의 크기로 커팅한 후 점착제가 도포된 14 cm × 14 cm 크기의 폴리우레탄 방수필름을 붙여서 운드드레싱재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스킨이 있는 발포체는 사용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상기 합성예 3에서 제조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200 g에 물 80 g, 글리세린 20 g, F127(BASF) 1 g을 을 넣은 후 교반하고 10 cm × 10 cm × 12 cm 크기의 50 ℃의 몰드에 넣고 밀폐한 후 45 분 후 탈형시켰다. 탈형된 발포체를 10 cm × 10 cm × 0.5 cm의 크기로 커팅한 후 점착제가 도포된 14 cm × 14 cm 크기의 폴리우레탄 방수필름을 붙여서 운드드레싱재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스킨이 있는 면을 방수필름의 반대편으로 하여 붙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과 2에서 제조한 발포체의 흡수도, 혈액흡수도 및 혈액흡수속도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1) 흡수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과 2에서 사용한 발포체의 흡수도를 측정하였다. 흡수도는 필름 없이 발포체 만으로 측정하였으며 발포체 자체 무게 대비 증류수를 흡수하는 정도로서, 다음 수학식 1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2) 혈액 흡수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과 2에서 사용한 발포체의 흡수도를 측정하였다. 흡수도는 필름 없이 발포체만으로 측정하였으며 발포체 자체 무게 대비 실험쥐(Rat)의 혈액을 흡수하는 정도로서, 다음 수학식 2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3) 혈액흡수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과 2에서 사용한 발포체의 표면에 실험쥐(Rat)의 혈액을 놓았을 때 처음 혈액이 표면에 놓였을 때의 면적과 흡수후의 면적의 비로서 표현하였으며, 다음 수학식 3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비율이 작을수록 처음 혈액이 놓인 상태 그대로 혈액이 흡수됨을 의미하며 값이 클수록 혈액이 흡수되는 속도보다 옆으로 흐르는 속도가 빠름을 의미한다.
구분 흡수도(%) 혈액흡수도(%) 흡수속도
실시예 1 1325 - 1.3
실시예 2 1534 512 1.3
비교예 1 1252 - 1.6
비교예 2 1234 325 2.2
실시예 2의 운드드레싱재와 비교예 2의 운드드레싱재의 발포체 표면에 실험쥐(Rat)의 혈액을 채취 즉시 1 ㎖ 씩 스포이드로 뿌려주었다. 본 발명에 속하는 실시예 2의 경우(도 1)에는 즉시 혈액이 흡수되어 뿌려진 면에 흡수되었으며, 반면 비교예 2의 경우(도 2)에는 흡수속도가 느려 혈액이 운드드레싱재 가장자리로 퍼져 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경우(도1)에는 흡수면 부위가 팽창함으로서 상처를 압박하는 효과를 줄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체 운드드레싱재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여 컬러링이 방지되며 발포제 및 쇄연장제로서 물만을 사용하여 자극물질의 사용을 제한하고, 발포체를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서 상처 삼출액의 흡수속도를 빠르게 하여 삼출액이 드레싱재 바깥으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수분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성질이 있어, 상처를 압박하는 효과를 주고 상처와의 접촉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준다.
도 1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운드드레싱재에 혈액을 떨어뜨린 직후의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운드드레싱재에 혈액을 떨어뜨린 직후의 사진이다.

Claims (6)

  1.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레에틸렌글리콜 100 ∼ 900 중량부를 가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중량부에 물 20 ∼ 100 중량부, 기공조절제 0.1 ∼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몰드에서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은 500 ∼ 6,000 범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50 ∼ 160 ℃에서 0.5 ∼ 10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조절제로는 실리콘계 분자쇄에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가 공중합된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6. 상기 청구항 1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0.5 ∼ 20 mm 두께로 절단하여 점착제가 도포된 폴리우레탄 필름에 붙인 후 필름에 붙이지 않는 발포체면을 상처면에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드드레싱재.
KR1020040025757A 2004-04-14 2004-04-14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1086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757A KR101086038B1 (ko) 2004-04-14 2004-04-14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757A KR101086038B1 (ko) 2004-04-14 2004-04-14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498A true KR20050100498A (ko) 2005-10-19
KR101086038B1 KR101086038B1 (ko) 2011-11-22

Family

ID=3727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757A KR101086038B1 (ko) 2004-04-14 2004-04-14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0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58B1 (ko) * 2005-11-11 2007-05-09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745050B1 (ko) * 2006-03-24 2007-08-02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494660B1 (ko) * 2013-06-18 2015-02-17 주식회사 티앤엘 개선된 점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453B1 (ko) 2012-06-07 2012-11-09 주식회사 제네웰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06988D0 (en) 1986-03-20 1986-04-23 Smith & Nephew Ass Foa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58B1 (ko) * 2005-11-11 2007-05-09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745050B1 (ko) * 2006-03-24 2007-08-02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494660B1 (ko) * 2013-06-18 2015-02-17 주식회사 티앤엘 개선된 점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038B1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0639B2 (ja) 薬用ポリウレタン発泡体
CA2082365C (en) Wound dressing comprising polyurethane foam
US5571529A (en) Method of making polyurethane foam
Szycher et al. Modern wound dressings: a systematic approach to wound healing
US10953127B2 (en) Absorbent foam wound dressing materials
US20040153040A1 (en) Multi-layer synthetic dressing with cooling characteristics
US6326410B1 (en) Wound dressing comprising polyurethane foam
US20050148920A1 (en) Polyurethane foam cavity wound dressings
WO2003068283A2 (en) A wound care device
GB2428581A (en) Coated hydrophilic wound dressing
KR101879643B1 (ko) 스프레이형 연질 폴리우레탄 폼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AU756214B2 (en) Polyurethane foams for use in wound dressings
KR101086038B1 (ko) 운드드레싱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WO2000047241A1 (en) Polyurethane foams for use in wound dressings
EP0424164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polymer-based foam
RU2424825C2 (ru) Гелеобразное покрытие из эластичного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а для закрытия ран различной этиологии
KR101775072B1 (ko) 피부보습 및 영양 공급을 위한 실리콘 마스크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실리콘 마스크 팩
KR101933486B1 (ko)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646702A (zh) 一种适用性强且轻便高效的敷料
CN207047481U (zh) 一种医用耗材制备装置
CA1247345A (en) Wound dress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