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136A - 수중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수중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136A
KR20050099136A KR1020040024309A KR20040024309A KR20050099136A KR 20050099136 A KR20050099136 A KR 20050099136A KR 1020040024309 A KR1020040024309 A KR 1020040024309A KR 20040024309 A KR20040024309 A KR 20040024309A KR 20050099136 A KR20050099136 A KR 2005009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eat dissipation
light emitting
r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주원
Original Assignee
방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주원 filed Critical 방주원
Priority to KR102004002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9136A/ko
Publication of KR2005009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13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11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not adjustable
    • E04F2015/0211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not adjustable with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수중조명장치에 있어서, 수중촬영을 위한 고광도를 확보하는 발광소자의 집적적인 배치를 갖으면서도 충분한 방열을 수행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더욱 편리한 사용을 제공하는 수중조명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서로 근접하여 이웃되게 수평배치된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광원 및 이 수평배치된 발광소자들을 하나의 광원으로 집적하여 조사하는 조준렌즈로 이루어진 조사부와: 강체인 상기 조준렌즈 자체를 조명장치의 외곽일부로 개구부만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조준렌즈와 케이스의 개구부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오링과: 상기 발광소자 기판의 방열판에 접촉되며 이중으로 마련되어 방열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이 방열공간으로 투입된 물에 의해 방열을 수행하는 확장방열판과: 상기 방열공간으로 물의 투입을 위해 케이스에 형성된 방열공 및 확장방열판과 케이스내부의 방수차단을 위해 확장방열판에 설치된 방수오링과: 케이스 배면방향에서 장착되는 상기 조준렌즈와 방수오링들과 발광소자와 확장방열판을 수압에 대응하여 고정시킴과 더불어 배터리 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케이스에 체결되는 열차단장착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케이스에 장착되는 마그네틱 스위치의 링형 조작구에는 거치대와 체결되도록 체결소켓이 형성되고, 케이스에는 광도가 조절되게 가변저항스위치가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조명장치{Underwater-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중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수중조명장치에 있어서, 수중촬영을 위한 고광도를 확보하는 발광소자의 집적적인 배치를 갖으면서도 충분한 방열을 수행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더욱 편리한 사용을 제공하는 수중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에서는 그 환경의 특성상 다이빙에 요구되는 각종 각종 수중장치들이 이에 마추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야간 다이빙이나 흐린물 수중 탐색 및 수중촬영을 위해 방수를 기본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예시도면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의 수중조명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것은 먼저 발광소자(1)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할로겐램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즉, 기존 할로겐 램프는 수중에서 충분치 못한 색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전력소비가 커 사용시간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며, 이에 따라 대용량의 배터리를 소모시키고 있는 것이다.
반면, 발광소자(LED)를 이용한 것은, 발광소자(1) 자체가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전환시키는 특성에 의하여 기존 할로겐 램프 대비 광도와 전력소모에 있어서, 유리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수중조명의 특성에 있어서는 고광도의 발광소자(1)를 요구하며, 또한 하나의 발광소자로는 수중조명에 충분치 못하기 때문에, 다수의 발광소자(1)들을 수평적으로 병렬배치시켜 사용하고 있다.
특히, 빛의 직진성을 확보하기 위해 조준렌즈(Collimate Lenz)를 사용하고 있으며, 각 발광소자(1)에 조준렌즈(2)가 개별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3)는 조명장치의 방수를 확보하기 위해 분리된 각부분에는 방수오링(4)이 장착되며, 특히 조사부를 이루는 케이스의 개구부(5)에는 별도의 장착링(6)이 장치되고 2중의 방수오링(4)과 조명창(7)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방수의 특성상 마그네틱 스위치(미도시)가 장착되며, 마그네틱 스위치는 비접촉 스위치로서 자석을 이용해 케이스(3)의 외부에서 케이스 내부의 전원라인의 단락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시된 것은 수중에서 그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링형 조작구(8)가 장착되고, 여기에 마그네틱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케이스(3)는 방열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발광소자 기판에서의 열을 방출시키기 위함이다.
즉, 수중에서의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한 발광소자는 고광도가 확보되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공연실시된 발광소자(1) 램프는 3watt의 발광소자가 3개가 배열되는데, 이러한 조명용 발광소자의 기판배면측으로 열의 발생이 과도하고, 이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기판 배면에는 알루미늄 방열판(9)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알루미늄 방열판(9)은 케이스(3)와 접촉되어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시켜 발광소자(1) 측으로의 냉각을 수행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중조명장치는 촬영용으로 부적합하며, 내부기기의 파손이 우려되며, 배터리(10)의 성능저하가 예상됨과 더불어, 생산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종래 발광소자(1)를 이용한 수중조명장치는 그 발광소자의 수평배열의 특성상 촬영용으로 적합치 못하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수중에서의 조사를 위해 조준렌즈(2)를 사용하고 있고, 이 조준렌즈(2)에 의해 각각의 발광소자(1)는 각각 조사각 20˚ 정도의 직진성을 가지게 된다.
이에 의해 조사된 피사체에는 다수의 광원에 따른 잔영이 남게 되며, 수중촬영시 중첩된 그림자는 촬영의 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광도를 요구할 경우가 발생되어, 6개의 수평으로 배열하게 되는 경우를 예상해 보면, 각각의 조준렌즈(2)에 의해 그 배치면적이 과도하게 증가된다.
즉, 조준렌즈(2)는 광학의 특성상 하협상광의 깔대기형 측면형상을 갖게되는데, 이 상부의 배치면적에 의해 그 간섭을 회피하여 6개 정도의 발광소자를 배치할 경우 그 배치면적이 증가되는 것을 회피할 수 없는 것이어서, 고광도의 것은 그 사용이 불편할 정도의 부피가 요구되며, 이에 따른 케이스의 크기 증가와 무게의 증가가 뒤따르는 것이다.
다음으로, 발열수단이 충분치 못하여 내부기기의 파손과 배터리의 성능저하가 예상된다.
즉, 수중조명장치에 있어서, 조명용 발광소자는 방열을 위하여 기판의 방열판(9)에 확장방열판(11)이 부착되고, 이 알루미늄의 확장방열판(11)은 알루미늄 케이스와 접촉되어 있는데, 이를 통한 방열은 간접방열에 근접한다.
따라서, 확장방열판(11)이 가열되면, 먼저 케이스 내부가 가열되고, 케이스의 온도상승은 특히 배터리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80℃정도에서 그 성능이 급감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케이스 내부가 적절한 방열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충분히 가열될 수 있는 온도이며, 특히 140℃를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는 물론 발광소자의 파손도 우려된다.
이것은 특히 수중촬영의 특성에서 요구되는 고광도, 예를 들어 5watt 발광소자가 6개 배열로 이루어질경우, 케이스내부와 발광소자의 파손이 수행됨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물론, 확장방열판에 근접하여 열차단벽을 별도로 설치하여 배터리 측으로의 가열방지를 예상할 수 있는데, 방열의 저하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방열을 위한 알루미늄 케이스는 그 무게를 증가시킴과 더불어, 생산성을 하락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것은 방열을 위해 케이스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함이 필수인데, 이러한 알루미늄 케이스는 다이캐스팅으로 제작됨이 일반적이고, 또한 고가이다.
특히, 분리 각부분에는 분리부분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선의 개별가공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이 또한 생산성 하락의 주요소인 것이다.
또한, 종래의 수중조명장치는 아암 등의 거치대와 체결하기 위해 별도로 나사홈을 가공하여 케이스의 외관이 저하되는 우려가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별도의 장착링은 부품의 추가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중촬영을 위한 고광도를 확보하는 발광소자의 집적적인 배치를 갖으면서도 충분한 방열을 수행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더욱 편리한 사용을 제공하는 수중조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수평배치된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광원 및 이 발광소자에 개별로 장착된 조준렌즈로 이루어진 조사부와, 이 조사부가 형성되게 장착링과 조명창 및 방수오링이 설치되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발광소자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발광소자의 방열판과 케이스를 접촉시켜 열전달시켜 케이스를 통해 방출하는 방열수단으로 이루어지며, 마그네틱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 링형 조작구가 장착된 수중조명장치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여 이웃되게 수평배치된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광원 및 이 수평배치된 발광소자들을 하나의 광원으로 집적하여 조사하는 조준렌즈로 이루어진 조사부와: 강체인 상기 조준렌즈 자체를 조명장치의 외곽일부로 개구부만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조준렌즈와 케이스의 개구부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오링과: 상기 발광소자 기판의 방열판에 접촉되며 이중으로 마련되어 방열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이 방열공간으로 투입된 물에 의해 방열을 수행하는 확장방열판과: 상기 방열공간으로 물의 순환을 위해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공 및 확장방열판과 케이스내부의 방수차단을 위해 확장방열판에 설치된 방수오링과: 케이스 배면방향에서 장착되는 상기 조준렌즈와 방수오링들과 발광소자와 확장방열판을 수압에 대응하여 고정시킴과 더불어 배터리 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케이스에 체결되는 열차단장착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수중조명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확장방열판은 다른 실시예로서, 그 방열면적이 확장되도록 다수의 접촉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케이스에 장착되는 마그네틱 스위치의 링형 조작구에는 거치대와 체결되도록 체결소켓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로 물을 끌어들여 이를 통해 방열을 수행함으로써 충분한 방열을 수행함과 더불어, 이러한 방열을 통해 수지재의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그 무게와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또한 종래의 장착링 등을 삭제하여 부품수와 공정을 축소시키는 수중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링형 조작구가 아암 등의 거치대와 체결되도록 하여 외관을 유지시킴과 더불어, 가변저항스위치를 이용하여 광도의 조절이 가능한 수중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조명장치를 나타낸 외관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개념도이며, 예시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확장방열판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 개념도이고, 예시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조명장치의 가변저항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서로 접촉될 정도로 근접하게 이웃되게 수평배치된 발광소자(20)들로 이루어진 광원 및 이 발광소자(20)들을 하나의 광원으로 집적하여 조사하는 조준렌즈(22)로 이루어진 조사부와: 강체인 상기 조준렌즈(22) 자체를 조명장치의 외곽일부로 개구부(24)만을 갖는 케이스(26) 및 상기 조준렌즈(22)와 케이스(26)의 개구부(24) 경계에 설치되는 방수오링(28)과: 상기 발광소자(20) 기판의 방열판(30)에 접촉되며 이중으로 마련되어 방열공간(32)을 제공함 더불어 이 방열공간(32)으로 순환되는 물에 의해 방열을 수행하는 확장방열판(34)과: 상기 방열공간(32)으로 물의 순환을 위해 케이스(26)에 형성된 관통공(36) 및 확장방열판(34)과 케이스(26)내부의 방수차단을 위해 확장방열판(34)에 설치된 방수오링(38)과: 케이스(26) 배면방향에서 장착되는 상기 조준렌즈(22)와 방수오링(28)(38)들과 발광소자(20)와 확장방열판(34)을 수압에 대응하여 고정시킴과 더불어 배터리(40) 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케이스(26)에 체결되는 열차단장착판(42)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기존에 마그네틱 스위치(62)와 이를 조작하기 위한 링형조작구 및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분리된 케이스와 방수오링(4) 역시 기존과 마찬가지로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조사부는 하나의 조준렌즈(22)를 통해 컴팩트한 부피를 유지하면서 고광도의 발광소자 배치를 가능케하고 하나의 광원으로 매개시킴과 더불어, 조명장치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를 이용한 수중조명장치는 그 요구에 의해 다수개로 확장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개별로 장착되는 조준렌즈는 그 형상에 의해 수평배치가 과도하게 확장되는 곤란성을 가지게 되고, 다수의 발광소자는 구분된 광원에 의해 피사체에 중첩된 그림자를 남기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통합된 조준렌즈(22)를 통해 발광소자를 거의 접촉될 정도로 컴팩트하게 수평배치시게 되므로, 수평확장시 그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개의 발광소자 및 개별장착 조준렌즈 대비, 6개의 발광소자(22) 및 통합 조준렌즈(22)가 조명장치의 조사부 구경에 있어서, 근접함이 확인되었다.
더욱 중요한 것은, 본 발명의 조준렌즈(22)가 개별된 다수의 광원을 하나로 매개시켜 조사시키는 것이며, 이를 통해 종래 피사체에 중첩되는 그림자의 발생을 방지시켜 정밀한 촬영용 조명장치로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조준렌즈(22)는 그 자체가 케이스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즉, 통합된 조준렌즈(22)를 이루기 위해서는 그 광학특성상 요구되는 형상에 의해 소정의 두께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두께는 케이스 외부로서 충분한 강성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조사부는 개구부(24)만을 갖는 케이스(26)가 제공되는 특징을 갖으며, 종래 장착링과 2개의 중첩된 방수오링 및 조명창이 삭제되어 부품의 수를 저감시키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 방열을 위해 확장방열판 등을 요구하지만, 이러한 방열수단은 상기 개구부를 차치하더라도 종래의 것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케이스의 개구부(24)를 중점으로 판단하였을 때, 케이스(26) 자체에 있어서 그 부품의 수를 급감시켜 생산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된 고광도의 요구에 따라,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고광도 발광소자(20)가 장착되는 경우, 이것의 열발생은 조명장치 부품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물을 방열수단으로 직접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즉, 케이스(26)내에 방열공간(32)을 마련하고, 이 방열공간(32)으로 물을 순환시켜 방열을 수행하는 방식을 채택하며, 이를 위해 물이 투입되어 순환되는 방열공간을 제공하는 확장방열판(34)이 발광소자(20)와 배터리(40)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물이 투입되는 방열공간(32)을 경계로 발광소자 측과 배터리 측으로의 방수경계를 확보하기 위해 확장방열판(34)의 외주와 케이스(26) 내벽사이에는 방수오링(38)이 장착되며, 케이스(26)에는 상기 방열공간으로 물이 순환되게 관통공(36)이 형성된다.
그리고, 확장방열판(34)에는 연결파이프부(44)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전원라인(46)이 배선된다.
이에 의해 다이빙시 관통공(36)을 통해 물이 순환되며, 확장방열판(34)은 발광소자(20)의 방열판(30)과 직접접촉되어 있고, 물과의 접촉면적이 커 그 방열량이 증대된다.
또한, 확장방열판(34)에 다수의 접촉돌기부(48)가 형성되는 경우, 물과의 접촉면적이 더욱 증대되어 방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부품은 케이스(26) 배면방향에서 장착되므로, 수압에 대응하여 이를 지지하기 위해 열차단 장착판이 설치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26)는 개구부(24)에 장착링 등이 삭제되므로, 케이스(26) 정면방향에서의 부품장착이 곤란하고, 이에 의해 케이스(26) 배면방향에서 부품의 장착이 수행된다.
즉, 방수오링(28)이 끼워진 조준렌즈(22)와 발광소자(20)를 케이스(26) 배면방향에서 밀어 넣어 장착한 다음, 방수오링(38)이 끼워진 확장방열판(34)을 장착한다.
이때, 확장방열판(34)은 배터리(40) 장착공간과의 경계부를 이루고 있으며, 수압이 작용되면, 배터리(40) 장착공간이 압축되는 수압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조준렌즈(22)부위가 뒤로 밀리게되면, 발광소자측으로 물이 침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열차단장착판(42)을 통해 확장방열판의 고정위치를 확보하여 방수오링(28)이 충분한 방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열차단장착판(42)은 케이스(26)와 보울트(50)로 체결되며, 또한 확장방열판(34)의 방열이 배터리(40)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열차단재료로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편의 수단으로서, 거치대 체결소켓(52)과 가변저항스위치(54)가 장착된다.
거치대 체결소켓(52)은 수중조명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의 연결부위를 링형 조작구로 부담시켜 수중조명장치의 외관을 유지시킨다.
즉, 수중카메라가 장착되는 아암과 수중조명장치를 연결하기 위하여는 체결소켓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이를 위해 수중카메라에 나사홈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장착링을 구비하므로, 케이스의 외관을 해할 우려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틱 스위치(62)를 제어하기 위한 링형 조작구(56)를 조명장치 장착링과 병용시켜 그 외관을 유지하면서도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킨 것이며, 체결소켓(52)에 별도의 커버(60)를 둠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가변저항스위치(54)는 수중조명장치의 광도를 사용자의 임의로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심에 따라 조명환경이 다르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임의로 광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조명장치의 광도가 제작시 획일적으로 제공되는 것이어서 이를 수행할 수단이 미흡하였다.
물론, 다수의 스위치를 별도로 배치하여 단계별로 광도를 조절하는 것이 공연실시되어 있지만, 이 역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외부로 가변저항스위치(54)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그 관통에 따른 방수오링(58)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링형 조작구(56)를 통해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다음으로 가변저항스위치를 통해 광도를 임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고광도 발광소자가 집적되고 이를 하나의 광원으로 매개시키는 조준렌즈가 장착되어 고광도가 확보되면서 컴팩트한 부피를 갖는 조명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으며, 조준렌즈 자체가 케이스의 외곽을 이루게 되어 부품의 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내부에 방열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물을 순환시켜 방열을 수행함으로써, 충분한 방열이 수행되며 수지재질로 케이스가 마련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마그네틱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링형조작구에 거치대 연결소켓이 형성되어 그 편의성이 증대되며, 별도로 마련된 가변저항스위치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른 광도조절을 가능하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수중조명장치를 나타낸 외관설명도 및 단면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조명장치를 나타낸 외관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개념도,
도 4 는 본 발명의 확장방열판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 개념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발광소자, 22 - 조준렌즈,
24 - 개구부, 26 - 케이스,
28,38,58 - 방수오링, 30 - 방열판,
32 - 방열공간, 34 - 확장방열판,
36 - 관통공, 38 - 방수오링,
40 - 배터리, 42 - 열차단 장착판,
44 - 연결파이프부, 46 - 전원라인,
48 - 접촉돌기부, 50 - 보울트,
52 - 체결소켓, 54 - 가변저항 스위치,
56 - 링형 조작구, 60 - 커버,
62 - 마그네틱 스위치,

Claims (3)

  1. 수평배치된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광원 및 이 발광소자에 개별로 장착된 조준렌즈로 이루어진 조사부와, 이 조사부가 형성되게 장착링과 조명창 및 방수오링이 설치되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발광소자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발광소자의 방열판과 케이스를 접촉시켜 열전달시켜 케이스를 통해 방출하는 방열수단으로 이루어지며, 마그네틱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 링형 조작구가 장착된 수중조명장치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여 이웃되게 수평배치된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광원 및 이 수평배치된 발광소자들을 하나의 광원으로 집적하여 조사하는 조준렌즈로 이루어진 조사부와: 강체인 상기 조준렌즈 자체를 조명장치의 외곽일부로 개구부만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조준렌즈와 케이스의 개구부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오링과: 상기 발광소자 기판의 방열판에 접촉되며 이중으로 마련되어 방열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이 방열공간으로 투입된 물에 의해 방열을 수행하는 확장방열판과: 상기 방열공간으로 물의 순환을 위해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공 및 확장방열판과 케이스내부의 방수차단을 위해 확장방열판에 설치된 방수오링과: 케이스 배면방향에서 장착되는 상기 조준렌즈와 방수오링들과 발광소자와 확장방열판을 수압에 대응하여 고정시킴과 더불어 배터리 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케이스에 체결되는 열차단장착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수중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방열판에는 그 방열면적이 확장되도록 다수의 접촉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에 장착되는 마그네틱 스위치의 링형 조작구에는 거치대와 체결되도록 체결소켓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조명장치.
KR1020040024309A 2004-04-09 2004-04-09 수중조명장치 KR20050099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309A KR20050099136A (ko) 2004-04-09 2004-04-09 수중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309A KR20050099136A (ko) 2004-04-09 2004-04-09 수중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136A true KR20050099136A (ko) 2005-10-13

Family

ID=3727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309A KR20050099136A (ko) 2004-04-09 2004-04-09 수중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913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782B1 (ko) * 2006-08-07 2007-09-05 주식회사 로템 후행 작업 가능한 객차 의자용 배선 정리 부재
KR100777368B1 (ko) * 2006-09-29 2007-11-19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방폭 후레쉬
KR100919705B1 (ko) * 2007-09-20 2009-10-06 주식회사 이엠테크 방우방폭형 작업랜턴
US8186848B2 (en) 2009-06-05 2012-05-29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CN108401100A (zh) * 2018-06-04 2018-08-14 苏州蛟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探测装置
KR102014025B1 (ko) * 2018-03-28 2019-08-23 윤삼걸 발광부 냉각구조를 갖는 수중랜턴
KR20190109983A (ko) * 2018-03-19 2019-09-27 (주)범강이엔지 렌즈의 회전방지구조 및 발광부 냉각구조를 갖는 수중랜턴
KR20200031267A (ko) * 2018-09-14 2020-03-24 주식회사 피앤비코리아 수중 탐조등
KR20200119696A (ko)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에이스프로토 수중촬영장치
KR20220162489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캠스퀘어 휴대용 수중 조명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782B1 (ko) * 2006-08-07 2007-09-05 주식회사 로템 후행 작업 가능한 객차 의자용 배선 정리 부재
KR100777368B1 (ko) * 2006-09-29 2007-11-19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방폭 후레쉬
KR100919705B1 (ko) * 2007-09-20 2009-10-06 주식회사 이엠테크 방우방폭형 작업랜턴
US8911110B2 (en) 2009-06-05 2014-12-16 Dong Nyung Lim Lighting device
US8366299B2 (en) 2009-06-05 2013-02-05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US8622580B2 (en) 2009-06-05 2014-01-07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US8186848B2 (en) 2009-06-05 2012-05-29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KR20190109983A (ko) * 2018-03-19 2019-09-27 (주)범강이엔지 렌즈의 회전방지구조 및 발광부 냉각구조를 갖는 수중랜턴
KR102014025B1 (ko) * 2018-03-28 2019-08-23 윤삼걸 발광부 냉각구조를 갖는 수중랜턴
CN108401100A (zh) * 2018-06-04 2018-08-14 苏州蛟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探测装置
KR20200031267A (ko) * 2018-09-14 2020-03-24 주식회사 피앤비코리아 수중 탐조등
KR20200119696A (ko)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에이스프로토 수중촬영장치
KR20220162489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캠스퀘어 휴대용 수중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16609A1 (en) Led luminaire
JP4569683B2 (ja) 発光素子ランプ及び照明器具
WO2009157285A1 (ja) 発光素子ランプ及び照明器具
US20110037390A1 (en) Multi-chip package LED lighting device
JP2008108721A (ja) 反射型照明装置
US8770798B2 (en) Luminaire
RU2510644C2 (ru) Модуль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прожектор
US20140022780A1 (en) Led-based lighting unit with a high flux density led array
JP2004241318A (ja) スポット型照明器具
KR20050099136A (ko) 수중조명장치
JP2011154832A5 (ko)
JP2007172932A (ja) 車両用前照灯
JP2011134637A (ja) 車両用灯具
JP2014203548A (ja) 照明器具
JP2013093158A (ja) 電球及び照明器具
KR20170072844A (ko) 방열(放熱)기능이 강화된 엘이디 조명램프
KR100899563B1 (ko) 조명기구용 엘이디모듈의 엘이디장착구조
KR101479635B1 (ko) 고출력 led 조명등 장치
JP2011082096A (ja) 懐中電灯
KR100971662B1 (ko) 엘이디 램프
KR101883170B1 (ko) 방열성능을 향상시킨 의료용 간이 조명장치
JP2020140914A (ja) 照明装置
KR101635178B1 (ko) 방열기능이 구비된 엘이디 투광기
JP6624546B2 (ja) 照明器具
CN218037641U (zh) 高散热性的水下束光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