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569A -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569A
KR20050098569A KR1020040023836A KR20040023836A KR20050098569A KR 20050098569 A KR20050098569 A KR 20050098569A KR 1020040023836 A KR1020040023836 A KR 1020040023836A KR 20040023836 A KR20040023836 A KR 20040023836A KR 20050098569 A KR20050098569 A KR 20050098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play device
sliding
portab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6023B1 (ko
Inventor
문지현
한범구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023B1/ko
Priority to US10/974,290 priority patent/US7480524B2/en
Priority to CNB2004100941961A priority patent/CN100553267C/zh
Publication of KR2005009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개인용 디지털 앨범으로 적합한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 통신 단말기는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평탄면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선형 이동과, 상기 슬라이딩 선형 이동 후의 대면한 상태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 이동으로 개폐되는 표시 장치; 상기 커버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노출시키는 다수 개의 개구들; 및 상기 커브의 측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및 회전 이동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INFORMATION DISPLAY}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디지털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앨범과 같은 정보 표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별도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보호하거나, 보기 편리하게 하는 거치 수단이 제공되어 지지 않았으며, 특히,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편하게 볼 수 없는 단점, 즉 필요에 따라서 통신 장치를 원하는 데로 거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보관, 접철, 거치가 편리한 정보 표시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앨범으로 사용하게 편리한 정보 표시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정보 표시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경사지게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정보 표시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평탄면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선형 이동과, 상기 슬라이딩 선형 이동 후의 대면한 상태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 이동으로 개폐되는 표시 장치;
상기 커버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노출시키는 다수 개의 개구들; 및
상기 커브의 측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및 회전 이동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들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표시 휴대 통신 단말기는 개인용 정보 표시 디지털 앨범으로 사용하는 적합한 단말기이며, 가로 방향으로 길게 놓이게 경사지게 거치하거나, 세로 방향으로 길게 놓이게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단말기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장치는 표시 장치가 완전한 슬라이딩 이동과 180도 회전이동으로 사용 시에서는 편리하게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보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커버에 의해 표시 장치가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는 평탄면(102:도 7에 도시됨)을 구비한 커버(100)와, 상기 커버(10)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일방향으로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선형 이동과, 상기 슬라이딩 선형 이동 후의 대면한 상태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 이동으로 개폐되는 표시 장치(200)와, 상기 커버(100)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장치(200)의 슬라이딩 및 회전 이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노출시키는 다수 개의 개구들(332,334,336:도 8에 도시됨)과, 상기 커브버 측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200)의 슬라이딩 및 회전 이동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들(310,320)로 구성된다. 상기 언급된 슬라이딩 선형 이동은 상기 표시 장치(200)의 일단이 상기 커버(100)의 타탄까지 완전히 이동되는 경우를 지칭한다.
상기 지지 아암들은 상기 커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표시 장치(200)의 측면에는 선형 슬라이딩을 위하여 선형 슬라이딩 홈(230:도 4b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 아암들은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참조번호 220a,220b는 상기 표시 장치(200) 일단(220)에 제공된 마찰 패드를 지징한다. 상기 마찰 패드(220a,220b)는 대칭으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본 발명의 휴대 통신 장치를 상기 커버(100)를 이용하여 거치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마찰 패드(220a,220b)를 이용한 거치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었다.
상기 표시 장치(200)의 양단은 각각 반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 아암의 양단은 각각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표시 장치의 회전 이동이 원할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개폐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도 1과 같은 상태이고, 도 4b는 도 3과 같은 상태로서, 도 4a에서 상기 표시 장치(200)를 강제적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완전한 선형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면, 도 4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표시 장치(200)가 상기 커버(100)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선형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200)가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이 종료되고 나서,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상기 표시 장치(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200)가 약 180도 정도 완전히 회전하면, 상기 표시 장치(200)는 상기 커버(200)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표시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사용하는 정면에서 주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서 하면(200b)에 디스플레이된 정보가 위치하고, 그의 상면(200a)은 평탄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표시 장치의 하면(200b)이 커버에 의해 보호되고, 도 4d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표시 장치의 하면(200b)이 완전히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200)를 보기 편한 상태, 즉,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표시 장치(200)를 경사진 상태로 놓기 위하여 상기 커버(100)를 이용할 수 있거나, 상기 커버(100) 후면(101)에 제공된 거치 수단(110)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0)를 이용한 거치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었고, 상기 거치 수단(110)을 이용한 거치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었다. 도 6에는 상기 거치 수단의 상기 거치용 로드(112)가 두 개의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는 것이 도시되었다.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들(332,334,336)은 상기 커버(100)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장치(20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들은 상기 커버(100)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장치(20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 후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개방시키는 제1개구(332)와, 상기 커버(100)의 일단에 형성된 제2개구(334)와, 상기 커버(100)의 타단에 형성된 제3개구(336)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개구(332)는 그의 양측으로 각각 제2,3개구(334,336)가 위치하고, 상기 제1,2,,3개구들(332,334,336)은 서로 연속된다.
도 2, 도 9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는 선택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길게 놓이게 경사지게 거치하거나 세로 방향으로 길게 놓이게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 수단(110)이 제공되는 바, 상기 거치 수단(110)은 상기 커버의 저면(101)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커버 저면(101)에 가로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된 수용 홈(103)과, 상기 수용 홈(103)에 그의 일단부(116)가 삽입되어서 상기 수용 홈(103)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일단부(116)가 상기 수용 홈(103)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용 로드(112)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용 로드(112)는 그의 일단부(116)가 구형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형부(116)와 이웃하게 외주 홈(11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용 로드(112)의 타단부는 탄성체(114)가 제공되며, 상기 탄성체(114)는 러버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114)는 상기 커버(100)에서 상기 거치용 로드(112)가 경사지게 위치된 경우, 지면과이 마찰로 미끄럼을 방지하여 상기 표시 장치(200)를 경사지게 거치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거치용 로드(112)의 상기 구형부(116)는 상기 수용 홈(103)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구형부(1160는 상기 수용 홈(103)에 타이트하게 삽입되어져서 사용자의 강제적인 힘으로서 이동가능하다. 물론, 상기 구형부는 사용자의 강제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이동되지 않을 정도로 유지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형부(116)는 상기 수용 홈(103)을 따라서 강제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하좌우로 회전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길에 놓여지게 선택적으로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가 가로 방향으로 길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가 세로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여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따라서,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는 경사진 정도로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형부(116)가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 홈(103)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휴대 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거치 수단(500)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커버(100)와 표시 장치(2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함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개폐 과정은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거치 수단(400)은 상기 커버의 저면(101)에 장착된다. 상기 거치 수단(400)은 상기 커버의 저면(101) 소정 위치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수용 홈(430)과, 상기 수용 홈(430)과 대면한 상태에서 그의 타단(412)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경사지게 위치하는 지지 플레이트(410)와, 상기 수용 홈(430)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의 일단(421)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면서 멀어져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를 보조하는 보조 플레이트(4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는 그의 일단(411)이 회전 중심 역할과 동시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일단(411)은 상기 수용 홈(430)에 수용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412)은 상기 수용 홈(430)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를 이동시키면, 상기 수용 홈(430)에서 이탈하여 최후에 지면과 접촉된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420)는 그의 일단(422)이 상기 수용 홈(430)의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의 타단(421)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의 슬라이딩/회전 이동에 따라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일단(422)과 타단(421)은 회전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거치 수단(400)은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를 가로 방향으로 길게 놓이게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고, 세로 방향으로 길게 놓이게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거치 수단(400)은 휴대 통신 단말기를 세로 방향으로 길게 놓이게 경사지게 거치하게 역할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적으로 디지털 앨범 등과 같은 정보 표시 단말기로 사용하게 되어서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켰고, 접철 또는 거치 과정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경사지게 거치하거나, 세로 방향으로 길게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편리하게 볼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의 하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회전 표시 장치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정보 표시용 휴대 단말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정보 표시용 휴대 단말기의 거치 상태들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거치용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라인 X-X의 일부 절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거치용 로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a,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거치용 로드의 단에 제공된 슬라이딩 구형 부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표시 정보용 휴대 통신 단말기의 경사진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표시 정보용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표시 정보용 휴대 통신 장치의 거치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표시 정보용 휴대 통신 장치의 경사진 거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11)

  1.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평탄면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선형 이동과, 상기 슬라이딩 선형 이동 후의 대면한 상태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으로 개폐되는 표시 장치;
    상기 커버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노출시키는 다수 개의 개구들; 및
    상기 커브의 측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및 회전 이동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정보 표시 휴대 통신 단말기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거치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수단은
    상기 커버 저면에 형성된 수용 홈; 및
    상기 수용 홈에 그의 일단부가 삽입되어서 상기 수용 홈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일단부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거치용 로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용 로드의 일단부는 구형부 및 상기 구형부와 이웃하는 외주 홈으로 구성되고, 그의 타단부는 탄성체가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은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들은
    상기 커버에 제공되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 후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개방시키는 제1개구;
    상기 커버의 일단에 형성된 제2개구; 및
    상기 커버의 타단에 형성된 제3개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 아암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양단은 각각 반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 아암의 양단은 각각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표시 장치의 회전 동작이 원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지지 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완전한 슬라이딩 이동 후에 180도 회전이동하고, 상기 커버에서 상기 지지 아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완전한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커버에 안전하게 수용되어지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수단은
    상기 커버의 저면에 형성된 수용 홈;
    그의 일단이 상기 수용 홈에 위치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슬라이딩 이동을 진행하고, 그의 타단이 상기 수용 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과 동시적으로 멀어지게 회전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수용 홈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보조 플레이트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11. 정보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커버;
    상기 커버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선형 이동과, 상기 슬라이딩 선형 이동 후, 소정의 회전각도 이내에서는 대면한 상태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각도 이외에서는 다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면한 상태를 유지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커버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장치의 슬라이동 및 회전 이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장지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다수 개의 개구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KR1020040023836A 2004-04-07 2004-04-07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576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36A KR100576023B1 (ko) 2004-04-07 2004-04-07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US10/974,290 US7480524B2 (en) 2004-04-07 2004-10-27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lant positio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CNB2004100941961A CN100553267C (zh) 2004-04-07 2005-03-30 用于显示信息的便携式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36A KR100576023B1 (ko) 2004-04-07 2004-04-07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569A true KR20050098569A (ko) 2005-10-12
KR100576023B1 KR100576023B1 (ko) 2006-05-02

Family

ID=3506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836A KR100576023B1 (ko) 2004-04-07 2004-04-07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80524B2 (ko)
KR (1) KR100576023B1 (ko)
CN (1) CN10055326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84B1 (ko) * 2006-01-05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개인휴대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52403S1 (en) 2011-03-03 2012-01-17 Nokia Corporation Handset
US7899504B2 (en) * 2004-12-29 2011-03-01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display area widening mechanism
TWI260149B (en) * 2005-02-16 2006-08-11 Asustek Comp Inc Display rotation and sliding module
US7447528B2 (en) * 2005-04-12 2008-11-04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TWI260193B (en) * 2005-04-15 2006-08-11 Benq Corp Mobile device
CN100397318C (zh) * 2005-12-02 2008-06-2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可携式装置及其触控笔
KR100735247B1 (ko) * 2006-01-20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타입 휴대 통신 장치
TWI296883B (en) * 2006-03-17 2008-05-1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70829B1 (ko) * 2006-05-08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그의 슬라이딩 가이드 모듈 및 슬라이딩 가이드 모듈의 장착 장치
USD580387S1 (en) * 2007-01-05 2008-11-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TWI336827B (en) * 2007-07-04 2011-02-01 Asustek Comp Inc Overturning cover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1426039A (zh) * 2007-10-31 2009-05-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保护壳
TWI335969B (en) 2007-11-21 2011-01-11 Compal Electronics Inc Adjustable suppor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1472436B (zh) * 2007-12-28 2012-08-29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可调整支撑机构
US9104311B2 (en) * 2008-10-09 2015-08-11 Lenovo (Singapore) Pte. Ltd. Slate computer with tactile home keys
US20110013351A1 (en) * 2009-07-20 2011-01-20 Mobile Monitor Technologies, Llc Portable monitor
US8606340B2 (en) * 2010-11-22 2013-12-10 Blackberry Limited Multi-display mobile device
USD672327S1 (en) 2010-12-28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USD649134S1 (en) 2010-12-28 2011-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USD647870S1 (en) 2010-12-28 2011-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US20140031095A1 (en) * 2012-03-02 2014-01-30 Juan Herrera Fold out cellular phone case
CN103379758A (zh) * 2012-04-25 2013-10-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及其保护装置
USD681056S1 (en) 2012-09-09 2013-04-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737794S1 (en) * 2013-06-14 2015-09-0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37238S1 (en) * 2013-06-14 2015-08-25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79447S1 (en) * 2013-10-10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64426S1 (en) * 2013-10-10 2016-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58334S1 (en) * 2014-04-23 2016-06-07 Microsoft Mobile Oy Handset
TWD166692S (zh) * 2014-09-09 2015-03-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路由器
USD768594S1 (en) * 2014-10-01 2016-10-11 Nanoport Technology Inc. Electronic device
USD790497S1 (en) * 2014-12-01 2017-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95825S1 (en) * 2014-12-01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20160138748A (ko) * 2015-05-26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장치
USD815099S1 (en) 2016-06-27 2018-04-10 Intel Corporation Card PC
USD867369S1 (en) 2016-06-27 2019-11-19 Intel Corporation Card PC
USD808972S1 (en) 2016-06-27 2018-01-30 Intel Corporation Card PC
USD837790S1 (en) * 2016-08-03 2019-01-08 Transcend Information, Inc. Mobile storage device
JP1646028S (ko) * 2019-04-10 2021-11-08
JP1646024S (ko) * 2019-04-10 2021-11-08
CN111866224A (zh) * 2019-04-26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JP1663660S (ja) * 2019-10-24 2020-07-13 携帯電話機
KR102290231B1 (ko) 2020-09-28 2021-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74481B1 (ko) * 2020-10-12 2021-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121B2 (ja) * 1993-09-30 2000-08-0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機器の外装構造
DE69737707T2 (de) 1996-02-26 2007-10-25 Nokia Corp. Funktelefon
JPH11299533A (ja) 1998-04-21 1999-11-02 Shiseido Co Ltd ディスプレー用コンパクト容器
KR100284300B1 (ko) * 1998-10-16 2001-03-02 윤종용 휴대형 컴퓨터
US6980840B2 (en) * 2000-01-24 2005-12-27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mobile phone
US6751487B1 (en) * 2000-02-08 2004-06-15 Ericsson, Inc. Turn around cellular telephone
US6925313B2 (en) 2001-02-07 2005-08-02 Hyundai Curitel Inc.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ouble-sided LCD
JP2002368850A (ja) * 2001-06-05 2002-12-20 Sony Corp 携帯無線端末装置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6903927B2 (en) * 2002-12-17 2005-06-07 Nokia Corporation Convertible mobile computing device
US7454177B2 (en) * 2003-12-08 2008-11-18 Kyocera Wireless Corp.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feature 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84B1 (ko) * 2006-01-05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개인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27737A1 (en) 2005-10-13
CN100553267C (zh) 2009-10-21
KR100576023B1 (ko) 2006-05-02
US7480524B2 (en) 2009-01-20
CN1681274A (zh)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023B1 (ko)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678162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KR100678189B1 (ko) 삼각 거치가 가능한 와이드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663573B1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KR10068946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532334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78041B1 (ko) 슬라이딩/회전성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장치
KR100713433B1 (ko) 자기 거치 타입 휴대 단말기
KR20050038980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63550B1 (ko) 폴딩형 휴대 장치
KR100566282B1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703496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KR100630067B1 (ko) 피디에이 겸용 이축 힌지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53993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89472B1 (ko) 휴대 통신 장치
KR100678042B1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703509B1 (ko)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20050091631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0790089B1 (ko) 스토퍼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557079B1 (ko) 슬라이딩/회전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40506B1 (ko)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KR101042815B1 (ko) 대용량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통신 장치
KR10053227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1110448B1 (ko) 폴더 타입 및 바 타입 겸용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60119455A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폴딩형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