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853A -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전자교탁 - Google Patents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전자교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853A
KR20050097853A KR1020040023121A KR20040023121A KR20050097853A KR 20050097853 A KR20050097853 A KR 20050097853A KR 1020040023121 A KR1020040023121 A KR 1020040023121A KR 20040023121 A KR20040023121 A KR 20040023121A KR 20050097853 A KR20050097853 A KR 20050097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ircuit board
relay port
portable computer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성
Original Assignee
(주)씽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씽크스 filed Critical (주)씽크스
Priority to KR102004002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7853A/ko
Publication of KR20050097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02Harddisk connected to a computer 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54Control is performed at the peripheral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교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교탁에 설치된 데스크탑용 컴퓨터와 노트북을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 PC 본체에 구비된 각종 입력포트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중계포트군 및 타측에 상기 중계포트군에 구비된 각종 포트 중 주변기기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PC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을 포함하는 메인회로기판과,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휴대용컴퓨터에 구비된 각종 입력포트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휴대용컴퓨터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을 포함하는 서브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회로기판에는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상기 서브회로기판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선택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Control system of electronic lecture and electronic teaching desk including Control system of electronic lecture}
본 발명은 전자교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교탁에 설치된 데스크탑용 컴퓨터와 노트북을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미나 또는 학습 등을 위한 강의 시 칠판에 판서를 하면서 진행하는 방식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컴퓨터, 텔레비젼, 비디오 레코더 및 빔프로젝터들이 조합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제공매체를 이용한 강의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제공매체의 조합에 의해 강의가 진행되는 것 중의 하나로 설정등록된 20-0310123호(등록번호)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자교탁은 마이크(11) 및 모니터(12)가 장착된 상판(10),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측에 키보드(21) 및 마우스(22)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재치된 재치대(20), 상기 재치대(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31)(이하 PC 본체라 기재함)가 수납되는 제 1수납함(30), 상기 제 1수납함(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주변기기(41)가 수납되는 제 2수납함(40), 상기 제 2수납함(4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배면에 도어가 구비된 하부 수납함과 전면에 스피커(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자교탁에 설치되는 마이크(11), 모니터(12), 키보드(21), 마우스(22), 스피커 및 주변기기와 컴퓨터 PC 본체(31) 간을 연결시켜주는 케이블(전원케이블 포함)들이 지나가도록 전자교탁의 내부의 일측에는 도선통로(60)가 형성되고, 케이블이 통과하는 상판 및 수납함마다 중공(13,32,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되는 강의내용 관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청강생들도 청강할 수 있도록 컴퓨터의 본체(31)와 각종 케이블(RGB 케이블, 마우스 케이블 및 오디오 케이블 및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빔프로젝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교탁을 이용하여 강의를 진행하고자 할 경우 먼저 PC 본체(31)에 탑재된 O/S를 구동한 후 강의자가 강의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강의를 진행한다. 여기서, 전자교탁에 설치된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되는 강의내용(멀티미디어 데이터)은 컴퓨터의 본체(31)와 연결된 빔프로젝터를 통해 대형 스크린에 투영되어 청강자도 함께 보면서 강의가 진행된다.
상기 강의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란, 예를 들어, 문서일 경우 MS워드 또는 한글(hwp파일)와 같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이 될 수 있고, 그래픽 가공에 사용되는 것 일 경우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마야 및 맥스 등의 이미지 가공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뜻한다.
또한, PC 본체(31)에는 인터넷 접속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어 강의자가 강의하고자 할 강의내용이 웹상에 존재할 경우에도 강의진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자교탁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강의자는 자신이 강의할 강의내용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상적으로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서 작성을 하게 된다. 그래서 작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강연장소의 전자교탁에 저장하고자 할 경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방안으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웹상에 업로드(ex; 웹하드)한 후 해당 강연장에 설치된 전자교탁에서 다운로드를 함으로써 강의를 진행할 수 있지만, 강의내용(멀티미디어 데이터)을 전송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을 거쳐야하는 절차상의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더욱이, 전송하고자 하는 강의내용(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용량이 큰 파일인 경우에는 웹상에 데이터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내포한다.
또한, 해당 강의가 진행되는 곳의 전자교탁에 강의자가 작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행시키는 응용프로그램이 없을 경우에는 한번의 강의 또는 한시적으로 강의를 진행하기 위해 고가의 정품 응용프로그램을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까지도 야기시킨다. 이 때문에, 불법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어 정부의 불법프로그램 사용 방지정책에도 역행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강의자들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휴대용 컴퓨터(이하 노트북이라 기재함)를 구비하여 해당 노트북을 통해 자신이 강의하고자 하는 강의내용을 작성한 후 해당 강의가 진행되는 곳의 전자교탁과 빔프로젝트 간의 연결을 해제한 후 자신의 노트북과 빔프로젝트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전자교탁의 마이크, 전원, 인터넷 및 주변기기 및 빔프로젝터와 PC 본체를 연결시키는 각종 케이블을 연결 해제 후 노트북에 재차 연결해야 하는데, 각종 케이블을 연결 해제하기 위해서는 각 수납함에 수납된 본체 및 주변기기를 꺼내야만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 만 아니라 연결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더욱이, 연결 해제된 각종 케이블 중 몇 몇 케이블은 데스크탑용 컴퓨터에 연결되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노트북과 연결이 불가능하다. 일예로 노트북의 전원케이블에는 어댑터가 연결되어 있어 데스크탑용 전원케이블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노트북에 전원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 전자교탁내부에 있는 도선통로를 통해 전원콘센트에 연결된 데스크탑용 전원케이블을 제거한 후, 그 자리에 노트북용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 전원콘센트가 구비된 다른 곳에 노트북용 전원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 해제된 각종 케이블이 노트북에 연결될 수 있다 할지라도, 강의가 끝난 후에는 데스크탑용 컴퓨터에 재차 연결해야하는 불편함 때문에 데스크탑용 컴퓨터에 연결된 각종 케이블의 연결해제 없이도 데스크탑용 컴퓨터와 노트북을 편리하게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교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교탁에 설치된 데스크탑용 컴퓨터와 노트북을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요소인 상단의 일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구성요소인 상단의 타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회로기판 중 메인회로기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의 상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9부터 도 14는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은 전자교탁의 상단(70) 내부의 양측단부에 회로적으로 연결(M')(S')된 메인회로기판(M)과 서브회로기판(S)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되는 회로기판 중 먼저, 메인회로기판(M)에는 일측에 PC(100)에 구비된 각종 입력포트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중계포트군 및 타측에 상기 중계포트군에 구비된 각종 포트 중 주변기기의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C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과 더불어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서브회로기판(S)에는 일측에 휴대용컴퓨터(200)에 구비된 각종 입력포트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휴대용컴퓨터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자교탁의 상단(70)의 내부에 장착되는 데스크탑용 컴퓨터인 PC(100)에 구비된 입력포트인 LAN 포트(103), RGB 포트(101), 키보드 포트(107), 마우스 포트(106), 복수의 USB 포트(102), 스피커 포트(105) 및 마이크 포트(104)와 일단이 연결되는 각 중계케이블의 타단이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메인회로기판(M)의 일측에 구비된 중계포트군에는 PC용 LAN 중계포트(103a), PC용 RGB 중계포트(101a), PC용 키보드 중계포트(107a), PC용 마우스 중계포트(106a), PC용 USB 중계포트(102a), PC용 스피커 중계포트(105a) 및 PC용 마이크 중계포트(104a)와 더불어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외부의 통신선로(703)가 연결되는 외부용 LAN 중계포트(703a)와 메인회로기판(M)이 구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기판 전원공급포트(P')도 구비되며, 이와 같이 각 중계포트가 구비되는 메인회로기판(M)의 일측은 PC(100)와의 연결이 쉽도록 본체(8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메인회로기판(M)의 타측에 구비된 PC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은 PC(100) 본체와 연결되는 키보드(707)와 마우스(706) 등과 같은 각종 주변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전자교탁 상단(8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PC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에는 키보드(707)의 출력단이 연결되는 주변기기용 키보드 중계포트(707a), 마우스(706)의 출력단이 연결되는 주변기기용 마우스 중계포트(706a), USB 포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주변기기용 USB 중계포트부(702a), 스피커의 입력단이 연결되는 주변기기용 스피커 중계포트(705a), 마이크 포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주변기기용 마이크 중계포트부(704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주변기기용 USB 중계포트부(702a)는 삽입되는 주변기기의 출력단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USB 중계포트(702a')(702a'')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과 각 주변기기간에 호환성을 향상시킨다. 일예로, 육각형상을 가지는 USB 중계포트(702a')는 디지털카메라에 주로 적용되고, 또 하나의 USB 포트(702a'')는 웹캠(web cam)에 주로 적용되어진다.
그리고 마이크 중계포트부(704a)도 일반적인 PC(100)에 사용되는 마이크의 출력단인 잭 이외에도 캐논마이크도 사용할 수 있도록 캐논마이크의 잭에 대응하도록 두 개의 마이크 중계포트(704a')(704a'')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메인회로기판(M)에는 스위칭수단(M1)을 더 포함하고, 전자교탁 상단(70)의 외부에 설치된 PC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에도 신호전환스위치(M1')를 더 포함함으로써 신호전환스위치(M1')의 푸쉬에 의해 메인회로기판과 서브회로기판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선택제어한다.
또한, 메인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된 중계포트군에는 빔프로젝터용 RGB 중계포트(101a')를 더 포함하여 규모가 큰 강당에서 강의를 진행할 경우 빔프로젝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함으로써 큰 규격의 디스플레이화면(스크린)에 영사하여 강의가 진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빔프로젝터용 RGB 중계포트(101a')는 모니터 공유기의 입력단과 그 규격이 동일하기 때문에 여러 학습실에 복수의 모니터를 구비한 상태에서도 학습진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회로기판(M)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서브회로기판(S')의 일측에 구비된 휴대용컴퓨터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은 휴대용컴퓨터인 노트북과 연결되는 각종 케이블을 중계연결 시키기 위해 전자교탁 상단(7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휴대용컴퓨터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에는 휴대용컴퓨터용 LAN 중계포트(703a'), 휴대용컴퓨터의 RGB포트(601)와 연결되는 휴대용컴퓨터용 RGB 중계포트(701a), 휴대용컴퓨터용 전원공급포트(P''), 도 5에는 USB 포트를 한 개 밖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USB 포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휴대용컴퓨터용 USB 중계포트부(702a'''), 휴대용컴퓨터용 스피커 중계포트(705a''') 및 휴대용컴퓨터용 마이크 중계포트(704a'')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은 본체 내부에 PC(100)가 탑재되어 있고, 그 탑재된 PC(100)와 빔프로젝터 및 스피커가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메인회로기판(M)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자신이 강의하고자 하는 내용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모니터(500)와 빔프로젝터를 통해 실시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강의장이 폐쇄된 다수의 강의실인 경우에는 빔프로젝터가 연결되는 빔프로젝터용 RGB 중계포트(101a')에 모니터 공유기의 입력단을 연결하여 각 강의실에 구비된 다수의 모니터를 통해 학습내용을 디스플레이하면서 학습할 수도 있다.
또한, 강의실이 규모가 클 경우에는 강의하는 내용을 청강자가 쉽게 청강할 수 있도록 전자교탁의 상단(70)의 일측에 설치된 주변기기용 마이크 중계포트부(704a)에 마이크(704)의 출력단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전자교탁에 설치된 스피커(705)를 통해 줄력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여분의 스피커를 더 구비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강의자가 주변기기인 프린터, 디지털카메라, 웹캠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전자교탁의 상단(70)의 일측에 설치된 주변기기용 USB 중계포트부(702a)에 해당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강의자가 강의하는 내용이 노트북에 저장된 경우 전자교탁의 상단(70)의 타측에 설치된 휴대용컴퓨터용 RGB 중계포트(701a) 및 휴대용컴퓨터용 전원공급포트(P'')에 휴대용컴퓨터의 RGB포트(601)와 연결된 연결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을 각각 연결한다. 이후 전자교탁의 상단(70)의 일측에 설치된 신호전환스위치(M1')를 푸쉬하면 메인회로기판(M)에 구비된 스위칭수단(M1)의 1-2 및 4-5 연결이 3-2 및 6-5로 스위칭되어 PC(100)의 본체를 통해 출력되는 강의내용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영상신호 대신에 노트북(200)에 저장된 강의내용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출력이 되도록 선택제어된다.
여기서, PC(100) 및 노트북(20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만 스위칭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그외의 스피커와 마이크 등의 주변기기는 PC(100) 및 노트북(200)의 양자간에 공유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따로 연결을 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스위칭에 의해 노트북(200)의 영상신호를 출력할 경우 따로 휴대용컴퓨터용 스피커 중계포트(705a''') 및 휴대용컴퓨터용 마이크 중계포트(704a'')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연결하지 않아도 기존의 마이크(704)와 스피커(705)를 사용할 수 있다. 노트북(200)은 전자교탁의 상단(70)에 설치된 거치대(72)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노트북(200)을 이용하여 강의 시 인터넷에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노트북(200)과 연결된 랜케이블의 입력단을 휴대용컴퓨터용 LAN 중계포트(703a')에 연결하면 노트북의 모니터(600) 및 빔프로젝터를 통해 영사되는 스크린에는 해당 접속한 웹사이트가 디스플레이되어진다.
또한, 강의자는 노트북(200)을 이용하여 강의 시 주변기기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자교탁의 상단(70)의 타측에 설치된 휴대용컴퓨터용 USB 중계포트부(702a''')에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교탁의 내부에 설치된 데스크탑용 컴퓨터와 노트북을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노트북에 저장된 강의내용을 업로드/다운로드를 할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하고 편리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노트북에 저장된 특정 응용프로그램이 전자교탁에 없는 경우에도 강의자들이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응용프로그램을 전자교탁의 데스크탑용 컴퓨터에 저장하지 않아도 강의진행이 가능하여 고가의 정품 응용프로그램을 구매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정부의 불법프로그램 사용 방지정책에도 순응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기타 여러 주변기기를 전자교탁의 외부에서 바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교탁의 내부에 설치된 데스크탑 컴퓨터와 연결할 필요가 없어 주변기기의 사용 시 사용상의 편리함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기재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제공매체가 조합된 전자교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구성요소인 상단의 일측면도,
도 5는 도 3의 구성요소인 상단의 타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회로기판 중 메인회로기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의 상단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부터 도 14는 본 발명의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M : 메인회로기판 M1 : 스위칭수단
M1' : 신호전환스위치 P' : 회로기판 전원공급포트
P'' : 휴대용컴퓨터용 전원공급포트 S : 서브회로기판
80 : 본체 101 : RGB 포트
101a : PC용 RGB 중계포트 102 : USB 포트
102a : PC용 USB 중계포트 103 : LAN 포트
103a : PC용 LAN 중계포트 104 : 마이크 포트
104a : PC용 마이크 중계포트 105 : 스피커 포트
105a : PC용 스피커 중계포트 106 : 마우스 포트
106a : PC용 마우스 중계포트 107 : 키보드 포트
107a : PC용 키보드 중계포트 702a : 주변기기용 USB 중계포트부
703 : 통신선로 703a : 외부용 LAN 중계포트
704 : 마이크 704a : 주변기기용 마이크 중계포트부
705 : 스피커 705a : 주변기기용 스피커 중계포트
706 : 마우스 706a : 주변기기용 마우스 중계포트
707 : 키보드 707a : 주변기기용 키보드 중계포트

Claims (7)

  1. 일측에 PC 본체에 구비된 각종 입력포트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중계포트군 및 타측에 상기 중계포트군에 구비된 각종 포트 중 주변기기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PC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을 포함하는 메인회로기판과,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휴대용컴퓨터에 구비된 각종 입력포트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휴대용컴퓨터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을 포함하는 서브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회로기판에는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상기 서브회로기판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선택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된 중계포트군에는 PC용 LAN 중계포트, PC용 RGB 중계포트, 외부용 LAN 중계포트 및 회로기판 전원공급포트, PC용 키보드 중계포트, PC용 마우스 중계포트, PC용 USB 중계포트, PC용 스피커 중계포트 및 PC용 마이크 중계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타측에 구비된 PC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에는 주변기기용 키보드 중계포트, 주변기기용 마우스 중계포트, USB 포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주변기기용 USB 중계포트부, 주변기기용 스피커 중계포트, 마이크 포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주변기기용 마이크 중계포트부와 더불어 개인용컴퓨터와 휴대용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전환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된 휴대용컴퓨터용 주변기기연결 중계포트군에는 휴대용컴퓨터용 LAN 중계포트, 휴대용컴퓨터용 RGB 중계포트, 휴대용컴퓨터용 전원공급포트, USB 포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휴대용컴퓨터용 USB 중계포트부, 휴대용컴퓨터용 스피커 중계포트 및 휴대용컴퓨터용 마이크 중계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4.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된 중계포트군에는 빔프로젝터용 RGB 중계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5.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된 중계포트군에는 모니터 공유기용 RGB 중계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6. 전자교탁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PC 본체와 연결되는 각종 주변기기를 중계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상단의 외부 일측에 키보드의 출력단이 연결되는 주변기기용 키보드 중계포트, 마우스의 출력단이 연결되는 주변기기용 마우스 중계포트, USB 포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주변기기용 USB 중계포트부, 스피커의 입력단이 연결되는 주변기기용 스피커 중계포트, 마이크 포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주변기기용 마이크 중계포트부 및 신호전환스위치(M1')를 포함하여 설치되고,
    상단의 외부 일측에 휴대용컴퓨터용 LAN 중계포트, 휴대용컴퓨터의 RGB포트와 연결되는 휴대용컴퓨터용 RGB 중계포트 USB 포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휴대용컴퓨터용 USB 중계포트부 및 휴대용컴퓨터용 전원공급포트를 포함하여 설치되며,
    상기 상단의 외부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 각 포트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단의 외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선택제어하도록 스위칭수단이 구비된 회로기판을 상단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신호전환스위치(M1')의 푸쉬에 의해 상기 상단의 외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선택제어하여 PC 또는 휴대용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선택제어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외부 일측에는 휴대용컴퓨터용 스피커 중계포트 및 휴대용컴퓨터용 마이크 중계포트를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 전자교탁.
KR1020040023121A 2004-04-02 2004-04-02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전자교탁 KR20050097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121A KR20050097853A (ko) 2004-04-02 2004-04-02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전자교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121A KR20050097853A (ko) 2004-04-02 2004-04-02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전자교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853A true KR20050097853A (ko) 2005-10-10

Family

ID=3727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121A KR20050097853A (ko) 2004-04-02 2004-04-02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전자교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78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04B1 (ko) * 2012-09-04 2014-10-01 정성현 전자교탁의 통합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04B1 (ko) * 2012-09-04 2014-10-01 정성현 전자교탁의 통합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2419B1 (en) Multimedia presentation computing device
US20100231556A1 (en) Devic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n interactive whiteboard system
CN104199539A (zh) 会议/教学设备互动平台系统
KR102031739B1 (ko) 디스플레이 화면과 별도로 수업 진행모드에 따른 강의화면을 구성하여 실시간 인터넷 방송을 지원하는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US11622623B2 (en) Digital teaching station
CN202150192U (zh) 便携式多媒体教学一体机
CN205230394U (zh) 一种多媒体教学系统的集成中央控制器
CN2814551Y (zh) 便携式数码电教平台
CN203325238U (zh) 一种多媒体音视频投影采集播放一体机
KR20050097853A (ko) 전자강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전자강의 제어시스템이 장착된전자교탁
KR102026879B1 (ko) Hdmi 겸용 구동부를 통해 데이터 손실 없이 주변기기와의 hdmi 연결, usb 연결, 시리얼 연결 및 오디오 연결을 제공하는 전자교탁 시스템 및 그 연결방법
CN208540071U (zh) 音视频网关设备及教学系统
CN107071303B (zh) 一种数字化多讲台同播系统
CN210777259U (zh) 一种双系统的教学终端
WO2017219638A1 (zh) 信号转接设备及投影系统
CN219085410U (zh) 多媒体一体机
KR101563876B1 (ko)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 우선순위 결정 방법
WO2023016425A1 (zh) 多屏互动系统及多屏互动设备
KR100794497B1 (ko)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전송시스템
US20210311693A1 (en) Sound output device, sound output system, output sound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9980040338A (ko) 멀티미디어 프로젝터
KR20100010610A (ko) 동영상 제공 장치
KR20010088683A (ko) 교육용 멀티미디어시스템
CN206542504U (zh) 一种用于教学的多媒体高清输出控制器
TWI504264B (zh) 可選擇訊源的錄影播放裝置及其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