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416A -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 Google Patents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416A
KR20050097416A KR1020040023216A KR20040023216A KR20050097416A KR 20050097416 A KR20050097416 A KR 20050097416A KR 1020040023216 A KR1020040023216 A KR 1020040023216A KR 20040023216 A KR20040023216 A KR 20040023216A KR 20050097416 A KR20050097416 A KR 20050097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cross
space
liver
liv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4002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7416A/ko
Publication of KR2005009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화 프라스틱으로 된 간봉 본체(10)의 공간부(12)에 지지부(14)를 형성하여 간봉 본체(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지지부(14)는 공간부(12)의 단면적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하고, 특히 공간부(12)를 이루는 상면(16)과 지지부(14)의 단면 두께를 양 측면(18)과 홈부(22) 및 밑면(20)의 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함으로서, 내·외측 유리(3)(4)의 사이의 공간이 진공 상태를 이룰 때, 간봉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안정된 진공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특히 강화 프라스틱을 이용한 간봉 본체(10)에 의해 직접적인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어 실내의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Plastic space bar for pair glass}
본 발명은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강화 프라스틱으로 된 간봉 본체의 공간부에 단수 또는 복수로 지지부를 형성하므로서, 간봉 본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실 내외의 기온차에 의한 결로현상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 유리는 실내외측 유리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가 진공 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서, 실내의 열에너지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실외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주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복층유리는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력 향상에 따른 생활 환경의 변화와 복층유리의 제조기술의 발전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그 사용이 증대되는 추세이며, 최근 들어서는 소음에서 벗어나 보다 안락한 주거환경(생활환경)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대형빌딩은 물론이고 소규모의 상가 건물이나 개인 주택에 까지 복층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어온 복층유리는 주로 금속재,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간봉으로서, 도 1, 2 에 표현된 바와 같이 통기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면(2)과, 내외측 유리(3, 4)와 접하게 되는 양 측면(5)과, 양측으로 홈부(6)를 갖춘 밑면(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면상 내부에는 공간부(8)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에 금속재로된 간봉을 사용한 이유는 간봉 몸체(1)가 내외측 유리(3, 4) 사이의 공간부에 형성된 진공에 의한 음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간봉 몸체(1)의 양 측면(5)은 내외측 유리(3, 4)의 대응하는 내면에 접하게 되고, 밑면(7)의 양측에 형성된 홈부(6)에는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9)를 도포하여 간봉 몸체(1)가 내외측 유리(3, 4)와 완전한 일체를 이루게 한다.
간봉 몸체(1)의 내부 공간부(8)에는 통상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제가 채워지는데, 이 흡습제들이 상면(2)에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통기홀을 통해서 내외측 유리(3, 4) 사이의 공간부에 있는 습기를 제거하므로서, 복층 유리가 항상 맑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해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금속재 간봉은 간봉 그 자체가 열전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실내외의 온도가 현격하게 차이가 날 경우에는 상기 금속재의 간봉몸체(1)를 통해 열전도 현상이 발생되면서 실내 유리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간봉 몸체를 두쪽으로 분할하고, 그 사이에다 단열제를 삽입하여 간봉 그 자체에 의한 열전도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제품도 이미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제품 역시 근본적으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간봉에 의한 열전도를 방지 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제조 단가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강화프라스틱을 이용하여 간봉 본체를 형성하되, 진공에 의한 음압력에 견딜수 있도록 단면상 공간부에 단수 또는 복수의 지지부를 형성하여 간봉 본체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서, 열전도를 차단하여 실내 유리에 결로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면상 내부에 공간부를 갖춘 간봉에 있어서, 상기 간봉 본체의 공간부에 지지부를 형성하여 간봉 본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지지부는 공간부의 단면적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하고, 특히 공간부를 이루는 상면과 지지부의 단면 두께와 양측면과 홈부의 단면두께의 비율이 2:1을 이루게 함으로서, 내외측 유리의 사이가 진공상태를 이룰때 보다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강화 프라스틱을 이용한 간봉 본체에 의해 직접적인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의 예시도이고, 예시도 4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의 다른 예시도이며, 예시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의 사용상태 예시도 이다.
상기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면과 양측면 및 밑면으로 이루어져 단면상 내부에 공간부를 갖춘 복층 유리용 간봉에 있어서, 상기 간봉 본체(10)의 공간부(12)에 지지부(14)를 형성하여 간봉 본체(10)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지지부(14)는 공간부(12)의 단면적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하고, 특히 공간부(12)를 이루는 상면(16)과 지지부(14)의 단면두께가 양측면(18)과 밑면(20) 및 홈부(22)의 단면 두께 보다 두껍게 하여 간봉 본체(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24는 간봉 본체(10)를 이루는 상면(16)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통기홀이고, 이하 종래의 알루미늄 간봉의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종래의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예시도 3 내지 예시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강화 프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간봉 본체(10)는 통기홀(24)이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 형성된 상면(16)과 하단부에 홈부(22)를 갖춘 양 측면(18)과 밑면(20)에 의해 공간부(12)가 형성되어 지되, 상기 공간부(12)에 간봉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4)는 간봉 본체(10)에 형성된 공간부(12)의 단면적 크기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되어 간봉 본체(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10)를 이루고 있는 상면(16)과 지지부(14)의 단면두께를 양 측면(18)과 밑면(20)의 단면두께 보다 두껍게 함으로서 내외측 유리(3, 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진공상태를 이룰 때 생기는 음압력에 대하여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다른 프라스틱 간봉의 사용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강화 프라스틱으로 성형된 간봉 본체(10)는 내외측유리(3, 4)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지되, 간봉 본체(10)의 하단부 양측단에 형성된 홈부(22)에 접착제(9)를 도포하여 간봉 본체(10)와 내외측 유리(3, 4)가 완전한 일체를 이루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내외측 유리(3, 4) 사이의 공간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게 되면, 간봉 본체(10)에 가해지는 음압력은 상면(16)에 의해 지지되며, 특히 간봉 본체(10)의 공간부(12)에 형성된 단수 또는 복수의 지지부(14)에 의해 공간부(12)의 형태가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결국 접착제(9)가 온전한 접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간부(12)에는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제를 충전하여 통기홀(24)을 통해서 내외측 유리(3, 4) 사이의 공간부에 있는 습기를 제거 하므로서 복층유리가 항상 맑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간봉 몸체(10)를 구성하는 플라스틱의 재질은 종래의 열경화성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으며, 예컨대 PVC나 PP 또는 PE, 에폭시 수지 등 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봉 본체(10)의 공간부(12)에 지지부(14)를 형성하여 간봉본체(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지지부(14)는 공간부(12)의 단면적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하고, 특히 공간부(12)를 이루는 상면(16)과 지지부(14)의 단면 두께를 양 측면(18)과 홈부(22) 및 밑면(20)의 단면두께보다 두껍게 함으로서, 내외측 유리(3, 4)의 사이의 공간이 진공상태를 이룰 때,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강화 프라스틱을 간봉본체(10)의 재료로 사용 하므로서 간봉에 의한 직접적인 열전도를 차단하여 실내의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알루미늄 간봉의 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알루미늄 간봉의 다른 예를 이용한 사용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간봉의 예시도,
도 4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간봉의 다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간봉의 사용상태 예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간봉 본체, 12 - 공간부,
14 - 지지부, 16 - 상면,
18 - 측면, 20 - 밑면,
22 - 홈부.

Claims (3)

  1. 상면과 양측면 및 밑면으로 이루어진 단면상 내부에 공간부를 갖춘 복층유리용 간봉에 있어서,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간봉 본체(10)의 공간부(12)에 지지부(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14)는 공간부(12)의 단면적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3. 제 1 항에 있어서, 공간부(12)를 이루는 상면(16)과 지지부(14)의 단면 두께가 양측면(18)과 밑면(20) 및 홈부(22)의 단면 두께 보다 두껍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KR1020040023216A 2004-04-03 2004-04-03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KR20050097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216A KR20050097416A (ko) 2004-04-03 2004-04-03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216A KR20050097416A (ko) 2004-04-03 2004-04-03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310U Division KR200355693Y1 (ko) 2004-04-03 2004-04-03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416A true KR20050097416A (ko) 2005-10-07

Family

ID=3727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216A KR20050097416A (ko) 2004-04-03 2004-04-03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74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21B1 (ko) * 2006-12-24 2007-07-30 변창성 복층 유리 간봉
KR101338871B1 (ko) * 2011-09-27 2014-01-06 (주) 콘즈 자동 절곡을 위한 이중 유리창용 간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21B1 (ko) * 2006-12-24 2007-07-30 변창성 복층 유리 간봉
WO2008078903A1 (en) * 2006-12-24 2008-07-03 Chang-Sung Byun Spacer of pair glass
CN101631926B (zh) * 2006-12-24 2011-08-31 边昌成 双层玻璃间隔条
KR101338871B1 (ko) * 2011-09-27 2014-01-06 (주) 콘즈 자동 절곡을 위한 이중 유리창용 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6342A1 (en) Thermal composite window
JPH11247540A (ja) 複層ガラス用のスペーサ及び複層ガラス
US7954283B1 (en) Fibrous aerogel spacer assembly
KR100743921B1 (ko) 복층 유리 간봉
JP2011214312A (ja) 複合窓枠の下部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複合窓枠
US10550628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ss panes
KR200355693Y1 (ko)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KR20050097416A (ko)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KR200476917Y1 (ko) 창호 단열구조
JP6655026B2 (ja)
CN202611467U (zh) 一种多层中空玻璃
KR100982949B1 (ko) 복층 유리 간봉
CN103912184A (zh) 一种全隐式铝木复合门窗
KR200296701Y1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JP5170400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CN203783382U (zh) 一种铝包木隐扇
JP4942026B2 (ja) 合成樹脂製中空パネル
CN203783383U (zh) 一种铝木复合隐扇
JP6396763B2 (ja) 開口部建材
KR100444151B1 (ko) 열교차단 스페이서가 설치된 고성능 복층유리
CN203783341U (zh) 一种全隐式铝木复合门窗
KR200256877Y1 (ko) 열교차단 스페이서가 설치된 고성능 복층유리
KR100771098B1 (ko) 다층유리용 간봉 및 이를 이용한 다층유리
KR101703895B1 (ko) 단열 및 결로 방지를 위한 적층 단열패널
JP6396762B2 (ja) 開口部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