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946A - 저분자량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케어 화장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저분자량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케어 화장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946A
KR20050096946A KR1020057013494A KR20057013494A KR20050096946A KR 20050096946 A KR20050096946 A KR 20050096946A KR 1020057013494 A KR1020057013494 A KR 1020057013494A KR 20057013494 A KR20057013494 A KR 20057013494A KR 20050096946 A KR20050096946 A KR 20050096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olecular weight
copolymer
cationic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나 리기아 안드리아노프
스튜워트 토드 엘더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9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9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30,000 내지 300,000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양이온성 공중합체 및 고분자량 알코올, 예컨대 1 이상의 C20-C40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및 예컨대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와 같은 아이-케어 화장품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수성 조성물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아이-케어 제제는 아이-케어 조성물에 탁월한 광택뿐만아니라 문지럼 탈락 내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저분자량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Cosmetic eye-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low molecular weight cationic copolymer}
본 발명은 아이라이너 및 마스카라와 같은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우수한 내구성뿐만아니라 문지럼 탈락(rub-off)에 대한 내구성을 아이-케어 제품에 부여하는, 저분자량의 양이온성 공중합체 및 고분자량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개인의 속눈썹을 숱이 많고 길어지며 색을 주고 윤곽을 명확하게 하는 것과 같은 소망하는 외관 특징을 제공함으로써 눈을 아름답게하기 위해 속눈썹 및 눈꺼풀에 적용하기 위한 착색 조성물이다. 속눈썹에 도포된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마스카라라고 칭하는 반면에, 눈꺼풀에 도포된 조성물을 흔히 아이라이너라고 한다.
마스카라 및 아이라이너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 이상의 막 형성제, 안료 및 전색제(이 제품이 눈 영역에 도포되면 흔히 증발되어 막을 고화시킨다)로 구성된다.
마스카라는 케이크 또는 블록, 크림, 겔 및 저점도 액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케이크 마스카라는 이러한 화장품의 원래 가장 대중적인 형태였다. 이들은 50% 이상의 비누 및 이 비누 케이크에 혼합된 안료로 구성된다. 젖은 브러시를 이용하여 마스카라를 흠뻑 묻혀서 속눈썹에 도포하면 만족스럽고 매끄러운 도포를 얻을 수 있다. 그의 주요 결점은 속눈썹 위의 막이 아주 수용성이어서 얼룩져서 흘러내리기 쉬워서, 제품이 눈 주변의 피부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이들의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왁스를 혼입함으로써, 케이크 마스카라는 원래 비누-기제 형태에 비하여 개선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흔히 적용의 평탄성을 희생한 것이다.
자동도포기, 나사 선단형 봉 또는 봉 및 브러시 도포기의 출현에 따라, 크림 및 액체 마스카라도 출현하게 되었다. 크림 마스카라는 물에 왁스와 안료가 분산된 분산액으로서 소멸성 크림과 아주 유사한 최종 컨시스턴시를 갖는다.
자동 도포기와 조합되어, 이들은 케이크-기제 도포기에 비하여 사용자의 실제 기술에 덜 영향을 받아 사용이 편리한 점에서 케이크 마스카라의 인기를 곧 초월하였다. 대부분의 성분은 향상된 형태의 케이크 마스카라와 유사하였고, 따라서 다수의 동일한 결점도 여전히 존재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크림상 조직을 갖기 때문에, 물의 농도는 더 높았다. 이것이 천연 및 합성 막 형성제의 혼입을 가능하게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킨다.
현재로서 3개 유형의 마스카라 제제가 시판되고 있다:
1) 무수, 유기 용매-기제 현탁제: 이들은 방수성이지만 번짐을 방지하지 않는다. 이들은 비누와 물로 씻겨지지 않고 제거하기가 아주 어렵다. 이들은 또한 번지는 경향이 있다. 이들 유형의 제제는 높은 오일 함량을 갖는다. 눈 영역은 오일성이므로, 이 유형의 제제는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2) W/O (water-in-oil) 유제: 이들은 방수성이지만 번짐을 방지하지 않는다. 이들의 일부는 비누 및 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3) O/W (oil-in-water) 유제; 이들은 "물-기제"이며 방수성이 아니지만 내수성이다. 막이 충분히 유연하면, 마스카라는 또한 "무 박편(flake free)" 및 "번짐 방지성" 일 수 있다. 내수성은 유제 중합체, 아크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등을 부가하여 달성할 수 있다.
유제 형태의 마스카라 제제는 본질적으로 유기 용매를 갖지 않는다.
현재 시판되는 아이라이너 조성물은 3가지 형태이다:
1) 연필: 이것은 적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가장 대중적이다;
2) 수성, 하이드로-알코올 현탁제: 이들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천연 검에 의해 겔화된다. 이들은 전체적으로 안정하지 않다. 따라서 이들은 사용하기 전에 흔들어야한다; 및
3) O/W 유제: 이들은 O/W 마스카라와 유사하지만 훨씬 더 얇고 더욱 더 액체 제제이다.
WO-A-97/26860호는 콘디쇼닝 샴푸 제제에서 통상적인 폴리쿼터니움(polyquaternium)-7의 사용을 개시한다. 폴리쿼터니움-7은 고분자량의 양이온성 공중합체로서, 보다 특이적으로 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예컨대 50/50 중량/중량% 공중합체이며, 약 500,000 이상, 예컨대 1 백만 이상의 전형적인 분자량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중합체는 희석 수용액, 예컨대 7-10 중량% 용액으로 제조되어 시판된다.
미국특허 5,925,337호는 용매-기제 무-유화제 방수성 마스카라에서 통상적인 폴리쿼터니움-7의 사용을 기재한다.
일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저 분자량의 양이온성 공중합체 및 고분자량 알코올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및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개 구체예로서, 저분자량의 양이온성 공중합체는 폴리쿼터니움-7 이고 또 고분자량 알코올은 라놀린 알코올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크림, 페이스트 및 고형과 같은 복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 형태는 유제, 예컨대 o/w 유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누 및 물에 의해 제거할 수 있으며 탁월한 광택 및 착용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마스카라 제제, 아이라이너 제제 및 기타 아이 메이컵 제품, 예컨대 크림 아이새도우에 대하여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마스카라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마스카라의 주요 브랜드에 비하여 더 우수한 광택, 커얼, 및 속눈썹 분리 및 볼륨 부착성을 갖는다.
용액의 점도가 25℃에서 10,000 cP(mPa.s) 미만일 때 20 내지 50 중량%의 활성 중합체의 농도를 갖는 수용액 형태의 30,000 내지 300,000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양이온성 공중합체는 WO 02/40622호로 부터 공지되어 있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다.
놀랍게도, 30,000 내지 300,000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양이온성 공중합체 및 고분자량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아이라이너 및 마스카라와 같은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하여 탁월한 광택뿐만 아니라 문지럼 탈락 내구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본 발명은 예컨대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와 같은 아이-케어 화장품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량의 알코올, 예컨대 라놀린 알코올과 같은 1 이상의 C20-C40 알코올과 조합된 30,000 내지 300,000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수성 양이온성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량 C20-C40 알코올은 직쇄, 측쇄 또는 일환식 또는 다환식일 수 있고 또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일 수 있다. 2 이상의 이들 알코올을 함유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일개 구체예로서, 라놀린 알코올과 같은 천연 산출 알코올의 혼합물도 사용된다.
라놀린 알코올은 3개의 주요 화학 기를 포함하는 복합 혼합물이다: 지방족 알코올, 스테롤(예컨대 콜레스테롤) 및 트리메틸 스테롤(예컨대 라노스테롤 및 데히드로라노스테롤). 라놀린 알코올은 전형적으로 약 26%의 지방족 알코올, 38%의 콜레스테롤 및 27%의 트리메틸 스테롤을 포함하며, 나머지는 탄화수소 및 미정 생성물이다. 라놀린 알코올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상술한 양이온성 공중합체 수용액의 점도는 스핀들 3을 이용하여 10 rpm에서 Brookfield RVT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통상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수법에 의해 측정한다.
공중합체 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건조 중량%의 농도를 갖는다.
상기 공중합체 수용액은 Brookfield RVT 점도계로 측정할 때 25℃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 cP의 점도를 갖는다.
상기 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0 중량%의 비이온성 단량체 단위체와 10 내지 75중량%의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체, 예컨대 50 내지 80 중량%의 비이온성 단량체 단위체 및 20 내지 50 중량%의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체, 특히 70 내지 80 중량%의 비이온성 단량체 단위체 및 20 내지 30 중량%의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체의 반응 생성물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단량체는 비이온성 단량체일 수 있고, 바람직한 단량체는 다음 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 불포화 N-치환 아미드, 예컨대 N-비닐 포름아미드, N-비닐 카프로락탐, 및 N-비닐 피롤리돈,
- 단일 또는 복수의 히드록시 작용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히드록시에틸 메틸아크릴레이트 (HEMA),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HPA),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HPMA), 글리세롤 모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아크릴레이트,
- 아크릴아미드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크릴아미드, 기타 N-알킬 또는 N-알콕시 치환된 아크릴아미드, 예컨대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바람직한 비이온성 단량체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양이온성 단량체는 어떤 양이온성 단량체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양이온성 단량체는 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 산 부가염 또는 바람직하게는 4급 암모늄 염 및 디알릴 디알킬 암모늄 할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는 디-C1-C4 아미노에틸(메틸)아크릴레이트이다. 바람직한 아크릴아미드 및 (메트)아크릴아미드는 디-C1-C4 알킬 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 특히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DMAE(M)A) 및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DMAP(M)A)이고, 산 부가염 및 바람직하게는 4급 암모늄염으로서 각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아미드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성 단량체는 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 이다.
특히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70 내지 80 중량%의 아크릴아미드 비이온성 단량체 단위체 및 20 내지 30 중량%의 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체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공중합체는 약 30,000 내지 300,000, 바람직하게는 약 40,000 내지 250,000의 분자량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분자량 범위는 100,000 내지 200,000, 예컨대 약 150,000 이다.
공중합체 수용액은 어떤 pH라도 좋지만, 바람직한 pH 범위는 pH 3 내지 pH 7.5 이다. 가장 바람직한 pH값은 pH 4.5 내지 pH 6.5 이다.
공중합체의 양이온 함량은 100% 활성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0.6 내지 4.5 몰/kg 범위이다.
공중합체 수용액은 비이온성 및 양이온성 단량체의 공중합반응을 통하여 생긴 미반응 단량체의 일부, 예컨대 20 ppm 미만을 포함할 수 있다.
공중합체 수용액은 또한 예컨대 화장품, 약품 및 식품에 흔히 사용되는 보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 벤조산, p-히드록시벤조산의 에스테르, DMDM 히단토인,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 및 p-히드록시벤조산 프로필 에스테르 및 그의 염 및 히드록시벤조산 메틸 에스테르 및 그의 염을 포함한다.
분자량이 30,000 내지 300,000 범위이고, 농도가 20 내지 50중량%이며 점도가 25℃에서 10,000 cP 미만인 양이온성 공중합체의 수용액은 공지 중합 방법에 의해, 예컨대 WO 02/4062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연속 부가 중합반응 수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일개 구체예로서, 30,000 내지 300,000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양이온성 공중합체와 고분자량 알코올의 혼합물은 유제로 존재한다.
유제는 방울 형태로 서로 분산된 1 이상의 비혼화성 액체로 구성된 이질 계로 간주된다. 이것은 내부 상 및 외부 상으로 공지된 2개 이상의 분명한 상으로 구성된 조성물이다. "내부 상"의 물질은 소형 방울로 분산되거나 또는 유제 조성물의 다른 분명한 상 중의 고형 입자이다. 용어 "외부 상"은 내부 상이 분산되어 있는 연속 상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유제"는 내부 상이 정상 사용 온도에서 고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보통 휘발성 액체 전색제 이외에, 필수적으로 물, 아이라이너 및 마스카라와 같은 화장품에 유용한 당분야에 공지된 부가 성분을 함유할 것이다. 상기 성분은 적어도 주위 온도에서 비휘발성인 다양한 물질을 포함한다. 다수는 정상 상태 및 주위 온도에서 고형 또는 반고형이다. 상기 물질은 상기 기재한 수용성 막 형성 중합체 이외에 아이 메이컵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혼입되는 왁스, 지방, 오일, 안료, 염료, 검, 수지, 무기 및 유기 물질, 충전제, 증점제, 겔화제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량 양이온성 중합체 및 고분자량 알코올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성분은 약 30% 내지 약 60%, 예컨대 약 35% 내지 약 55%, 특히 약 40% 내지 약 50%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필수적으로 물인 휘발성 액체 전색제는 약 30% 내지 약 65%, 예컨대 약 40% 내지 약 55%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막 형성 중합체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다양한 중합 수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 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히드록시에틸세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특정 수용성 막 형성 중합체는 Aqualon/Hercules사로 부터 얻은 Natrosol 250HHR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용성 합성 중합체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예컨대 PVP K-30 (ISP 제조), 4급화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고분자량 양이온성 중합체, 예컨대 분자량 약 500,000 이상, 예컨대 1백만 이상인 통상의 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폴리쿼터니움-7)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후자의 예는 SalcareR SC10 및 SalcareR SC11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제조)를 포함한다.
수용성 막-형성 중합체는 약 2% 내지 약 25중량%, 예컨대 약 3중량% 내지 약 15 중량%, 특히 약 4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며, 단 막-형성 중합체의 약 10중량% 내지 100 중량%는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량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고분자량 알코올은 약 0.1중량% 내지 약 10중량%, 예컨대 약 0.2 중량% 내지 약 5중량%, 특히 약 0.3 중량% 내지 약 3중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이 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o/w 유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들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내부 상을 형성하는 친유성 물질을 필요로 한다. 이들 친유성 물질은 흔히 화장품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된 왁스 및 지방이다.
흔히 사용되는 지방은 동물, 식물 및 합성 공급원 또는 그의 혼합물로 부터 유도될 수 있다. 지방의 융점은 55℃ 내지 100℃ 이고 미국 표준 ASTM D5에 따라 측정한 25℃에서 니들 침투(needle penetration)는 약 3 내지 약 40 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지방은 실온에서 고형이고 결정 구조를 나타내는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지방산 에스테르의 예는 스테아르산, 팔미트산과 같은 고급 지방산의 글리세릴 에스테르,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베헤네이트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존재하면, 이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0중량%, 예컨대 약 0.2 내지 약 5중량%, 특히 약 0.3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왁스는 실온에서 고형이고 일반적으로 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점 이외에는 지방 및 오일과 조성면에서 유사한 저융점 유기 혼합물 또는 고분자량의 혼합물로서 정의된다. 일부는 탄화수소이고 다른 것은 지방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왁스는 동물 왁스, 식물 왁스, 무기 왁스, 합성 왁스, 석유 왁스, 에틸렌 중합체, 탄화수소 유형, 예컨대 피셔-트로쉬 왁스, 실리콘 왁스,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왁스의 융점은 55℃ 내지 100℃이고 미국 표준 ASTM D5에 따라 측정한 25℃에서 니들 침투(needle penetration)는 약 3 내지 약 40 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특정 왁스는 밀랍, 라놀린 왁스, 쉘락 왁스(동물 왁스0; 카르나우바, 칸데릴라, 베이베리 나무(식물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무기 왁스); 파라핀, 미세결정성 왁스(석유 왁스); 폴리에틸렌, (에틸렌성 중합체); 폴리에틸렌 동종중합체 (피셔-트로쉬 왁스); C24-C45 알킬 메티콘(실리콘 왁스);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왁스는 밀랍, 카르나우바 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왁스는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약 5 내지 약 30중량%, 예컨대 약 6 내지 약 20중량%, 특히 약 8 내지 약 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의 고형 성분은 통상 무기 안료, 유기 레이크 안료, 진주광택 안료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품에 허용되는 안료를 함유한다. 사용한 경우, 상기 안료는 생성하고자하는 색상 및 그 세기에 따른 비율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안료의 양은 약 3 내지 약 20중량%, 예컨대 약 5 내지 약 15중량%, 특히 약 6 내지 약 12중량% 이다. 상기 안료는 실리콘, 퍼플루오르화된 화합물, 레시틴 및 아미노산 처리와 같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경우에 따라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무기 안료는 레퍼런스 CI 77,891하에서 칼러 인덱스로 코드되는 금홍석 또는 아나타제 이산화티탄; 레퍼런스 CI 77,499, 77, 492 및 77,491 하에서 코드되는 흑색, 황색, 적색 및 갈색의 산화철; 망간 바이올렛 (CI 77,742); 울트라마린 블루 (CI 77,007); 산화크롬 (CI 77,288); 크롬 수화물 (CI 77,289); 및 철 블루 (CI 77,510)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한다. 흑색 산화철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진주광택 안료는 산화티탄 코팅된 운모와 같은 백색 진주광택 안료, 옥시산화 비스무트, 산화철을 갖는 티타늄 운모, 철 블루를 갖는 티타늄 운모와 같은 착색된 진주광택 안료, 산화 크롬, 상술한 유형의 유기 안료를 갖는 티타늄 운모 뿐만 아니라 옥시산화 비스무트를 기본한 안료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한다.
유화제가 본 발명에 사용되어 균질 조성물의 제조를 보조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유화제는 비누,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에톡시화된 알코올, 에톡시화된 지방산, 에톡시화된 지방 에스테르, 폴리올 에테르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또는 소르비탄 에스테르, 글루코오스 에스테르, 칼륨 또는 DEA-세틸 포스페이트, 지방 에스테르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방산의 알칸올아민, 예컨대 트리에탄올아민 스테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유화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약 1 내지 약 10중량%, 예컨대 약 2 내지 약 8 중량%의 양으로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아이 케어 화장품 조성물의 임의 성분은 유해 미생물의 생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1 이상의 보존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보존제는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쿼터니움-15,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EDTA, 4급 암모늄 화합물, 페녹시에탄올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보존제는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는 CTFA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제3판에 자세하게 정의되어 있다. 이들 보존제 중에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그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보존제의 바람직한 농도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하여 약 0.01 내지 약 2 중량%, 예컨대 약 0.1 내지 약 1.2 중량% 범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임의적으로 포함된 다른 성분은 격리제이다. 격리제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하여 약 0.01 내지 약 0.1 중량% 범위의 농도로 존재한다. 상기 물질은 상술한 CTFA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제3판에 완전하게 정의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삼나트륨 EDTA는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이 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 공업에 잘 공지된 통상의 혼합 수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이들 수법의 일부를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체예에 다수의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해야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들의 상당물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모든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모든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마스카라 유제의 제조
과정:
A 상의 물을 측량해서 혼합 용기에 넣었다. 균질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PVP를 물에 살포하였다. 그 혼합물을 80 내지 85℃로 가열하고 1시간 동안 균질화를 유지시켰다. 이어 A 상의 나머지 성분을 상기 수성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안료를 부가한 다음 뱃치를 1시간 더 균질화시켰다.
B 상의 성분을 별개의 용기에 넣고 85℃로 가열시켰다; 이어 투명한 황색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잘 혼합하였다. B 상을 A 상에 서서히 부가하며 그동안 균질화 및 온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지시켰다.
생성한 o/w 유제를 냉각시켰다. 65℃에서 교반을 블레이드 교반기를 이용한 사이드 스윕(side sweep) 혼합으로 변경시키고 온화한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 지점에서 C 상을 얻는다. 55 내지 60℃에서 D 상을 얻으며, 상기 혼합물이 짙어감에 따라서 교반이 느리게 된다. 상기 유제가 실온에 도달할 때까지 혼합하였다.
결과:
3개의 마스카라 제제 각각을 합성 및 인간 속눈썹에서 평가하고 현재 시판되는 주요 제품과 비교하였다.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샘플 관찰
A 샘플 A는 광택이 강하며 짙은 흑색 외관을 갖는다. 또한 샘플 A는 속눈썹에 도포하였을 때 모든 4개 마스카라 샘플 중에서 가장 높은 광택을 제공하였다. 속눈썹을 떼어내고 윤곽을 명확하게 하였다. 기존의 주요 시판 제품에 비하여 속눈썹의 볼륨과 커얼이 더 우수하였다.
B 샘플 B는 A 만큼 광택이 좋지는 않았고 회색-흑색 칼러를 나타내었다. 샘플 B를 속눈썹에 도포하였을 때 이들은 덩어리가 지고 약간 점착성을 나타내었다.
C 샘플 C (라놀린 알코올 함유하지 않음)는 샘플 B와 유사한 외관을 가졌다. 속눈썹에 도포하였을 때 역시 덩어리가 졌다.
실시예 2
아이라이너의 제조
흑색 아이라이너 제제
과정:
D 상을 별개의 용기에서 85 내지 90℃로 가열시키고 투명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A 상의 물을 측량해서 혼합 용기에 넣었다. 균질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A 상의 잔류 성분을 순서대로 부가하고 그동안 85 내지 87℃로 가열시켰다. 뱃치를 1시간 동안 균질화시켰다. B상을 A에 부가하고; 이어 C 상을 A에 부가하였다. D 상을 A에 부가하며 그 동안 균질화 및 온도는 15분간 유지시켰다. 생성한 o/w 유제를 약 55℃로 냉각시킨 다음; 온화한 교반을 하면서 패들 혼합기를 이용하여 E 상을 부가하였다. 45℃에서 F 상을 뱃치에 부가하였다. 뱃치가 30℃에 도달할 때까지 뱃치를 냉각시켰다.
실시예 3
마스카라 유제의 제조
과정:
유제는 실시예 1의 과정에 의해 제조한다.
시험 결과:
2개의 마스카라 제제 각각을 합성 및 인간 속눈썹에서 평가하고 시판되는 현 시장 선도 제품과 비교하였다. 결과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샘플 관찰
A 샘플 A는 광택이 강하며 짙은 흑색 외관을 갖는다. 또한 샘플 A는 속눈썹에 도포하였을 때 모든 4개 마스카라 샘플 중에서 가장 높은 광택을 제공하였다. 속눈썹을 떼어내고 윤곽을 명확하게 하였다. 기존의 주요 시판 제품에 비하여 속눈썹의 볼륨과 커얼이 더 우수하였다.
B 샘플 B는 A 만큼 광택이 좋지는 않았지만, 아주 끈적끈적하였다. 속눈썹에 도포하였을 때 도포시 형성되는 "실모양" 스트링으로 인하여 덩어리져서 존재하였다.
주요 시판제품 샘플 A 및 B를 시장 선도 마스카라 중의 하나와 비교하였다. 샘플 A는 시장 선도 마스카라 및 샘플 B와 비교하여 볼륨, 광택 및 커얼면에서 우수하였다.

Claims (21)

  1. 30,000 내지 300,000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양이온성 공중합체 및 고분자량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고분자량 알코올이 1 이상의 C20-C40 알코올인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1 이상의 고분자량 C20-C40 알코올이 직쇄, 측쇄 또는 일환식 또는 다환식 알코올 또는 그의 혼합물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고분자량 알코올이 라놀린 알코올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공중합체가 25 내지 90 중량%의 비이온성 단량체 단위체와 10 내지 75중량%의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체의 반응 생성물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공중합체 단위체가 불포화 N-치환된 아미드, 단일- 또는 복수의 히드록시 작용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및 그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체는 디알릴 디알킬 암모늄 할라이드, 디알킬 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 디알킬 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산 부가 염 및 4급 암모늄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70 내지 80 중량%의 아크릴아미드 비이온성 단량체 단위체 및 20 내지 30 중량%의 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체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약 40,000 내지 250,000의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공중합체 및 고분자량 알코올의 혼합물이 유제로 존재하는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o/w 유제인 조성물.
  12. 제 10항에 있어서,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인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인 조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분자량이 30,000 내지 300,000 범위인 양이온성 공중합체 이외의 수용성의 막-형성 중합체, 왁스, 지방, 오일, 안료, 염료, 검, 수지, 무기 및 유기 물질, 충전제, 증점제, 겔화제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수용성의 막-형성 중합체는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25중량%를 포함하며, 단 막-형성 중합체의 약 10 내지 100 중량%는 분자량 30,000 내지 300,000 범위의 양이온성 공중합체인 조성물.
  16. 제 14항에 있어서, 분자량이 30,000 내지 300,000 범위인 양이온성 공중합체 이외의 수용성의 막-형성 중합체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합성 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8. 제 16항에 있어서, 합성 중합체는 폴리비닐피롤리돈, 4급화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고분자량의 양이온성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중합체는 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인 조성물.
  20. 제 14항에 있어서,
    약 2 내지 약 25중량%의 수용성의 막-형성 중합체, 단 상기 수용성의 막-형성 중합체의 약 10 내지 100중량%는 분자량 범위 30,000 내지 300,000의 양이온성 공중합체이며;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1 이상의 C20-C40 알코올;
    약 5 내지 약 30 중량%의 왁스;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지방, 및
    약 3 내지 약 20 중량%의 1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는 o/w 유제인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
  21.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에 제 1항에 따른 조성물을 혼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아이-케어 화장품 조성물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057013494A 2003-02-07 2004-01-30 저분자량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케어 화장품조성물 KR20050096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573803P 2003-02-07 2003-02-07
US60/445,738 2003-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946A true KR20050096946A (ko) 2005-10-06

Family

ID=3285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494A KR20050096946A (ko) 2003-02-07 2004-01-30 저분자량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케어 화장품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40156814A1 (ko)
EP (1) EP1589936A1 (ko)
JP (1) JP2006516582A (ko)
KR (1) KR20050096946A (ko)
CN (1) CN1747713A (ko)
BR (1) BRPI0407285A (ko)
MX (1) MXPA05008384A (ko)
WO (1) WO20040692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74B1 (ko) * 2007-11-30 2014-09-12 (주)아모레퍼시픽 양이온성 중합체와 양이온성 중합체로 코팅된 분체를함유하는 볼륨 마스카라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8004170A (es) * 2005-09-30 2008-10-17 Avon Prod Inc Composicion cosmetica de larga duracion, metodo para uso y proceso para elaboracion.
FR2920093A1 (fr) * 2007-08-21 2009-02-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derive d'huile de soja et/ou un de ses sels
US8343469B2 (en) * 2009-07-02 2013-01-01 Hercules Incorporated Cationic synthetic polymers with improved solubility and performance in surfactant-based systems and use in personal care and household applications
EP3122856A1 (en) * 2014-03-26 2017-0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15143644A1 (en) * 2014-03-26 2015-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15143645A1 (en) * 2014-03-26 2015-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FR3021323B1 (fr) * 2014-05-26 2017-03-03 Sensient Cosmetic Tech Composition pigmentaire aqueuse comprenant du phenoxyethanol
CN106999404B (zh) * 2014-12-15 2021-07-02 株式会社Lg生活健康 皮肤外用剂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4210A1 (fr) * 1982-06-17 1984-03-07 Oreal Composition a base de polymeres cationiques,de polymeres anioniques et de cires destinee a etre utilisee en cosmetique
US5580494A (en) * 1989-06-21 1996-12-03 Colgate-Palmolive Company Hair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high charge density polymers
US5925337A (en) * 1990-03-01 1999-07-20 L'oreal Waterproof composition for covering the eyelash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TE141784T1 (de) * 1991-10-29 1996-09-15 Procter & Gamble Haarshampoo-formulierung mit silikon, kationischem polymer und flüssigen, öligen konditionierungsmitteln
FR2687569B1 (fr) * 1992-02-21 1995-06-0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maquillage des yeux, comprenant une microdispersion de cire.
DE69519372T3 (de) * 1994-02-18 2004-06-09 Unilever Plc Hautreinigungsmittel
FR2795635B1 (fr) * 1999-06-30 2006-09-15 Oreal Mascara comprenant des polymeres filmogenes
DE19949382A1 (de) * 1999-10-13 2001-04-19 Basf Ag Verwendung feinteiliger, farbstoffhaltiger Polymerisate PF als farbgebenden Bestandteil in kosmetischen Mitteln
CA2448063A1 (en) * 2001-05-30 2002-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activated, trans-structured cosmetic bonding ag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74B1 (ko) * 2007-11-30 2014-09-12 (주)아모레퍼시픽 양이온성 중합체와 양이온성 중합체로 코팅된 분체를함유하는 볼륨 마스카라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07285A (pt) 2006-01-31
JP2006516582A (ja) 2006-07-06
US20040156814A1 (en) 2004-08-12
EP1589936A1 (en) 2005-11-02
WO2004069212A1 (en) 2004-08-19
MXPA05008384A (es) 2005-10-05
CN1747713A (zh)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3168B2 (ja) まつ毛を被覆するための耐水性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CA2218991C (en) Mascara compositions comprising water-insoluble polymeric material and water-soluble, film-forming polymers
JP3934472B2 (ja) 半結晶性ポリマーによりゲル化される液状脂肪相を含む組成物
DE69820519T2 (de) Haarkosmetische Zubereitung
JP3934471B2 (ja) 粒状ペーストを含む、半結晶性ポリマーによりゲル化された液状脂肪相を含有する組成物
US20090269376A1 (en) Stabilization of cosmetic compositions
DE60126649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heteropolymere und eine feste substanz und anwendungsverfahren
AU6100394A (en) Novel waterproof cosmetic compositions
KR20130067318A (ko) 재도포가능한 마스카라 조성물
KR1012278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4664049B2 (ja) パーソナルケアー用途での防水剤としてのアクリレートコポリマーの使用
KR20000023228A (ko) 친수성 증점 화합물 및 다당 알킬 에테르를 함유한 유제,상기 유제를 함유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50096946A (ko) 저분자량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케어 화장품조성물
CN110753535A (zh) 用于化妆和护理嘴唇的水包油乳剂
US9636294B2 (en) Long-wear mascara composition
DE10357532A1 (de) Verwendung von Polymerisaten auf Basis von N-Vinylcaprolactam für die Haarkosmetik
KR100530839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FR2872411A1 (fr) Emulsion cosmetique a colorants cristaux liquides
US11452684B2 (en) Mascara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16140810A1 (en) Mascara composition
JPH04305515A (ja) 乳化型マスカラ
EP2903693B1 (fr) Copolymeres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KR20230050348A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헤어 트리트먼트를 위한 화장품 제제
WO2019108472A1 (en) Mascara compositions including vinylpyrrolidone homopolymer and an additional film-forming polymer
WO2002042380A1 (en) Use of pigments in cosmetic, in particular in make-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