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610A - 폐토너량을 줄이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폐토너량을 줄이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610A
KR20050096610A KR1020040022044A KR20040022044A KR20050096610A KR 20050096610 A KR20050096610 A KR 20050096610A KR 1020040022044 A KR1020040022044 A KR 1020040022044A KR 20040022044 A KR20040022044 A KR 20040022044A KR 20050096610 A KR20050096610 A KR 20050096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photosensitive medium
belt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6610A/ko
Publication of KR20050096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61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과,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감광매체 상에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감광매체는 각 현상기 내부에 장착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기들은 그 내부에 장착된 감광매체가 노광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노광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토너량을 줄이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an reduce amount of toner waste}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컬러 화상의 인쇄가 가능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란, 일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 화상 또는 컬러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이러한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인 감광드럼(1)과, 대전롤러(2), 노광유닛(3), 4개의 현상기(4), 전사벨트(5)를 구비한다.
감광드럼(1)은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도전성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드럼(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노광유닛(3)은 감광드럼(1)의 하방에 설치되며,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드럼(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유닛(3)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4 개의 현상기(4C, 4M, 4Y, 4K)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드럼(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25)를 각각 구비한다. 4개의 현상기(4C, 4M, 4Y, 4K)는 현상롤러(25)가 감광드럼(1)의 외주면과 현상갭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현상갭은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이다.
전사벨트(5)에는 감광드럼(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됨으로써 칼라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전사벨트(5)의 길이는 칼라토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용지(S)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다.
전사롤러(12)는 전사벨트(5)와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전사롤러(12)는 전사벨트(5)에 칼라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5)에 칼라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벨트(5)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참조부호 10는 전사전 제전유닛(pre-transfer eraser)이다. 전사전 제전유닛(10)은 감광드럼(1)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5)로 전사시키기 전에 감광드럼(1)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비화상영역)의 전하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감광드럼(1)으로부터 전사벨트(5)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조부호 7는 제전램프이다. 제전램프(7)는 대전 전 단계에서 감광드럼(1)의 외주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의 일 예이다. 제전램프(7)는 감광드럼(1)의 외주면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조사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한다.
참조부호 8는 전원공급기이다. 전원공급기(8)는 현상기(4)로부터 감광드럼(1)으로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바이어스, 현상기(4)로부터 감광드럼(1)으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방지바이어스, 감광드럼(1)으로부터 전사벨트(5)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1 전사바이어스, 전사벨트(5)로부터 용지(S)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2 전사바이어스, 대전롤러(2)에 제공되는 대전바이어스를 제공한다.
정착기(11)는 용지(S)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상기 정착기(11)는 한 쌍의 롤러(23, 24)가 서로 소정의 압력으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된 것이다. 한 쌍의 롤러(23, 24)에는 토너화상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마련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S)가 정착기(11)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에 정착됨으로써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참조부호 13a는 급지카세트로서,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이다. 적재수단에는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제2 급지카세트(13b) 및 MPF(multi-purpose feeder, 13c)가 포함될 수 있다. MPF(13c)는 OHP용지나 비규격 용지(S)를 이송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피드롤러(16)는 픽업롤러(15a, 15b, 15c)에 의해 급지카세트(13a, 13b, 13c)로부터 인출된 용지(S)를 이송시킨다. 참조부호 17는 용지(S)를 배출시키는 배출롤러이다. 용지이송유닛(20)은 피드롤러(16)와 정착기(11) 사이에서 용지(S)를 안내하는 급지경로(21)와, 양면인쇄를 위한 반전경로(duplex path)(22)를 포함한다.
정착기(11)를 통과하여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S)는 배출롤러(17)에 의해 배출된다. 양면인쇄를 위해서는 배출롤러(17)가 역회전되고, 용지(S)는 반전경로(22)로 이송된다. 그러면,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용지(S)가 역전된다. 역전된 용지(S)는 다시 피드롤러(16)에 의해 급지경로(21)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다른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제1 클리닝장치(6)는 토너화상이 전사벨트(5)로 전사된 후에도 감광드럼(1)의 외주면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또한, 제2 클리닝장치(9)는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5) 상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상기 제1 및 제2 클리닝장치(6, 9)에 의해 제거된 상기 폐토너는 각각 소정의 이송경로(미도시)를 통해 폐토너 저장용기(40)에 수용된다. 상기 폐토너 저장용기(40)는 상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전면부 도어(31)를 개방하면 볼 수 있는 폐토너 저장용기 수용부(33)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폐토너 저장용기(40)에 폐토너가 가득 차면, 이를 상기 폐토너 저장용기 수용부(33)에서 분리하여 폐토너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하고 적당한 방법으로 폐기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1)의 직경이 4개의 현상기(4K, 4Y, 4M, 4C)을 합쳐놓은 높이에 대응되도록 커져야 하므로, 화상형성장치의 크기를 작게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폐토너 저장용기(40)에 제1 및 제2 클리닝장치(6, 9)로부터 폐토너가 유입되므로, 폐토너 저장용기(40)의 교환 주기가 짧아져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폐토너 저장용기(40)의 교환 주기를 길게 하기 위해 폐토너 저장용기(40)의 용량을 크게 하면, 화상형성장치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컬러 화상 구현을 위하여 복수 개의 현상기 내에 각각 감광매체가 장착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과,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감광매체 상에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감광매체는 각 현상기 내부에 장착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기들은 그 내부에 장착된 감광매체가 노광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노광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현상기는 상하로 인접 배열된 복수 개의 현상기 지지대에 하나씩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현상기 지지대는, 모터와, 상기 현상기 지지대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 휠과,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휠을 감고 있는 벨트를 구비하여 된 벨트 컨베이어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현상기 지지대에 부착된 현상기 내부의 감광매체가 노광될 수 있도록 전진하고, 상기 모터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원위치로 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인접 배열된 한 쌍의 현상기 지지대 가운데, 위에 위치하는 현상기 지지대는, 상하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벨트의 상하 두 부분 가운데 상부 벨트 부분에 고정 체결되고, 아래에 위치하는 현상기 지지대는 하부 벨트 부분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는 현상기 지지대의 양 측부에 각각 체결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벨트는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수평 샤프트에 의해 동조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현상기는 상하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현상기 후방에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푸셔(pusher)가 마련되며,
상기 푸셔가 단속적으로 승강하며 현상기를 밀어 현상기 내부의 감광매체가 노광 위치까지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그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컬러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토너를 수용하는 4개의 현상기(101C, 101M, 101Y, 101K)와, 4개의 감광매체인 감광드럼(102C, 102M, 102Y, 102K)을 구비하며, 상기 4개의 감광드럼(102C, 102M, 102Y, 102K)은 카트리지 형태인 4개의 현상기(101C, 101M, 101Y, 101K)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4개의 현상기(101C, 101M, 101Y, 101K)에는 각각 감광드럼(102C, 102M, 102Y, 102K) 외에도, 상기 감광드럼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05C, 105M, 105Y, 105K)와, 감광드럼(102C, 102M, 102Y, 102K)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103C, 103M, 103Y, 103K)와, 상기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04C, 104M, 104Y, 104K), 및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20)에 전사된 후 감광드럼(102C, 102M, 102Y, 102K) 외주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긁어내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106C, 106M, 106Y, 106K)를 구비한다.
상기 4개의 현상기(101C, 101M, 101Y, 101K)는 상하로 인접하여 배열된 4개의 현상기 지지대(110C, 110M, 110Y, 110K)에 하나씩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현상기 지지대들 중에서 위에 위치하여 인접한 한 쌍(110Y, 110K)은 제1 벨트 컨베이어(150)에 고정 체결되어 전진 또는 후퇴하고, 아래에 위치하여 인접한 다른 한 쌍(110C, 110M)은 제2 벨트 컨베이어(170)에 고정 체결되어 전진 또는 후진한다.
상기 제1 벨트 컨베이어(150)는 구동모터(160)와, 한 쌍의 컨베이어 휠(152, 154)과,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휠(152, 154)을 감고 있는 벨트(155)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휠(152, 154)은 상기 한 쌍의 현상기 지지대(110Y, 110K)의 전후진 이동 범위를 한정하며, 그 중 하나(152)는 상기 구동모터(160)에 의해 동력 회전하는 구동 컨베이어 휠이고, 다른 하나(154)는 화상형성장치(100) 내부 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아이들 휠이다. 상기 벨트(155)는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휠(152, 154)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현상기 지지대(110Y, 110K)는 각각 그 측면에 마련된 체결구(112Y, 112K)가 벨트(155)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벨트(155)가 운행함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현상기 지지대 가운데, 위에 있는 현상기 지지대(110K)의 체결구(112K)는 상기 컨베이어 휠(152, 154)을 기준으로 상하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155)의 상하 두 부분(155-1, 155-2) 중에서 상부 벨트 부분(155-1)에 고정 체결되고, 아래에 있는 현상기 지지대(110Y)의 체결구(112Y)는 하부 벨트 부분(155-2)에 고정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60)의 회전으로 구동 컨베이어 휠(15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아래에 있는 현상기 지지대(110Y)가 전진하고 위에 있는 현상기 지지대(110K)는 후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기 지지대의 체결구(112Y, 112K)는 현상기 지지대(110Y, 110K)의 양 측부에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벨트(155)와, 구동 컨베이어 휠(152)과, 아이들 컨베이어 휠(154)도 한 쌍씩 구비된다. 이에 따라 현상기 지지대(112Y, 112K)는 안정되게 전후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벨트(155)는 구동모터(160)의 동력을 전달하는 수평 샤프트(165)에 의하여 서로 동조하여 움직인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샤프트(165)는 화상형성장치(100) 내부 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단에는 구동모터(160)의 회전축에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휠(166)이 마련되고, 타측단에는 벨트(155)와 마찰에 의해 벨트(155)를 움직이는 구동휠(167)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60)가 회전하면, 그 회전축에 직접 연결된 컨베이어 휠(152)이 회전하여 일측 벨트(155)가 움직이고, 수평 샤프트(165)의 구동휠(166)이 회전함에 따라 타측 벨트(155)도 움직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벨트 컨베이어(150)의 구성은, 제2 벨트 컨베이어(170)에 있어서도 동일하므로, 제2 벨트 컨베이어(170)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현상기 지지대(110C, 110M, 110Y, 110K)에 장착되는 현상기(101C, 101M, 101Y, 101K)의 앞에는 전사벨트(120)가 위치한다. 제1 또는 제2 벨트 컨베이어(150, 170)에 의해 상기 현상기들(101C, 101M, 101Y, 101K) 중 하나(예컨데, 101Y)가 전진하면, 후술할 노광유닛(140)에 의해 감광드럼(예컨데, 102Y)이 노광되는 노광 위치에 오게 되며, 노광 위치에서 상기 감광드럼(예컨데, 102Y)는 전사벨트(120)에 맞닿게 된다. 전사벨트(120)에는 각 현상기의 감광드럼(102C, 102M, 102Y, 102K)에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되고 중첩되어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전사벨트(120)의 앞에는 전사롤러(130)가 상기 전사벨트(120)와 대면하여 위치한다. 전사롤러(130)는 전사벨트(120)에 컬러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120)에 컬러토너화상이 전부 전사되면 이를 상향 이송되는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벨트(120)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한다.
상기 현상기(101C, 101M, 101Y, 101K) 아래에는 노광유닛(140)이 설치된다. 노광유닛(140)은 노광 위치에 온 감광드럼(예컨데, 102Y)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유닛(140)으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인쇄 과정을 살펴본다.
화상형성장치(100)에 화상 인쇄 지시가 입력되면 노광유닛(140)은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순차적으로 상향 주사한다.
만약, 상기 노광유닛(140)이 시안(C)의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는 순서에서는 그에 앞서 제2 벨트 컨베이어(170)가 구동하여 시안(C) 색상 토너를 수용한 현상기(101C)를 노광 위치까지 전진시킨다. 상기 현상기(101C) 내부에서는 대전롤러(105C)에 의해 감광드럼(102C)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되고, 노광 위치에서 상기 감광드럼(102C)이 노광되어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 때 노광유닛(140)의 폴리곤은 각 현상기(101C)의 노광 거리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왕복이동할 수 있다. 현상롤러(103C)는 상기 정전잠상에 시안(C) 색상의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으로 현상한다. 감광드럼(102C)이 회전하면서 전사 바이어스 또는 접촉압력에 의해 상기 시안(C) 색상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20)에 전사된다. 전사후에도 감광드럼(102C)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106C)에 의해 감광드럼(102C)에서 제거된다.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도 전사벨트(120)에 전사되어 전사벨트(120)에는 상기 4가지 색상의 중첩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이 과정 중에 전사롤러(130)는 전사벨트(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20)로 모투 전사되어 전사벨트(120)에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되면, 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롤러(130)가 전사벨트(120)에 접촉한다.
전사벨트(120)에 형성된 컬러토너화상의 선단부가 전사벨트(120)와 전사롤러(130)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맞추어, 용지(S)의 선단부가 전사벨트(120)와 전사롤러(130)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게끔 용지(S)가 이송되어 용지(S)에 컬러토너화상이 전사된다. 상기 용지(S)에 전사된 컬러토너화상은 열 및 압력에 의해 용지(S)에 고착되고, 상기 용지(S)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용지(S)의 이송을 위한 구성과 그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와 다르지 않으므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200)도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와 마찬가지로 4가지 색상의 토너를 각각 수용하는 현상기(201C, 201M, 201Y, 201K)와, 상기 현상기들을 지지하며 상하로 인접하여 배열된 현상기 지지대(210C, 210M, 210Y, 210K)와, 전사벨트(220)와, 전사롤러(230)와, 노광유닛(240)을 구비한다.
4개의 현상기(201C, 201M, 201Y, 201K) 뒤에는 상기 현상기들이 전진하도록 앞으로 밀어주는 푸셔(260)가 마련된다. 상기 푸셔(260)는 상하로 배열된 구동휠(252)과 아이들휠(254), 및 상기 휠들(252, 254)을 감고 있는 승강벨트(255)로 이루어진 승강장치의 상기 승강벨트(255)에 고정 체결되어 승강한다. 상기 푸셔(260)의 선단부 및 상기 푸셔(260)와 접촉하는 4개의 현상기 후단부(208C, 208M, 208Y, 208K)는, 상기 푸셔(260)가 승강할 때 현상기(201C, 201M, 201Y, 201K)가 상기 푸셔(260)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각 현상기 지지대(210C, 210M, 210Y, 210K)는 스프링(215C, 215M, 215Y, 215K)에 의해 전사벨트(22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215C, 215M, 215Y, 215K)은, 그 일단부가 각 현상기 지지대의 측부에 형성된 브라켓(212C, 212M, 212Y, 212K)에 체결되고, 그 타단부가 화상형성장치(200) 내부의 프레임(미도시)에 체결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200)에 화상 인쇄 지시가 입력되면 노광유닛(240)은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순차적으로 상향 주사한다.
만약, 상기 노광유닛(240)이 시안(C)의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는 순서에서는, 상기 승강벨트(255)가 움직이고 푸셔(260)가 시안(C)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 현상기(201C) 뒤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상기 현상기(201C)가 밀려 노광 위치까지 전진하여 감광드럼(202C)이 노광된다. 그 이후의 토너화상의 전사 과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노광유닛(240)이 마젠타(M)의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는 순서에서는, 상기 승강벨크(255)가 움직여 푸셔(260)가 마젠타(M)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 현상기(201M) 뒤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현상기(201M)가 밀려 노광 위치까지 전진하며, 동시에 노광 위치에 있었던 시안(C)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 현상기(201C)는 스프링(215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진하여 전사벨트(220)에서 이격된다.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 현상기(201Y, 201K)도 차례로 전진하며 컬러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컬러토너화상은 용지(S)에 전사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감광드럼이 소형화되어 각 현상기 내부에 장착되므로 화상형성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둘째, 감광드럼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각 현상기 내부에 수용되고, 전사벨트에 잔류하는 폐토너만이 화상형성장치 전면부의 폐토너 저장용기에 모이게 되므로, 폐토너 저장용기의 교환주기를 길게 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폐토너 배출량이 줄어들므로 폐토너 저장용기의 용량을 줄일 수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셋째, 단색의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 하나의 현상기만 전진하여 전사하므로 인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1; 현상기
102; 감광드럼 103; 현상롤러
110; 현상기 지지대 120; 전사벨트
130; 전사롤러 140; 노광유닛
150, 170; 벨트 컨베이어 152. 154, 172, 174; 컨베이어휠
155, 175; 벨트 160; 구동모터

Claims (5)

  1.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과,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감광매체 상에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감광매체는 각 현상기 내부에 장착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기들은 그 내부에 장착된 감광매체가 노광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노광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현상기는 상하로 인접 배열된 복수 개의 현상기 지지대에 하나씩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현상기 지지대는, 모터와, 상기 현상기 지지대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 휠과,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휠을 감고 있는 벨트를 구비하여 된 벨트 컨베이어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현상기 지지대에 부착된 현상기 내부의 감광매체가 노광될 수 있도록 전진하고, 상기 모터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원위치로 후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하로 인접 배열된 한 쌍의 현상기 지지대 가운데, 위에 위치하는 현상기 지지대는, 상하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벨트의 상하 두 부분 가운데 상부 벨트 부분에 고정 체결되고, 아래에 위치하는 현상기 지지대는 하부 벨트 부분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현상기 지지대의 양 측부에 각각 체결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벨트는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수평 샤프트에 의해 동조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현상기는 상하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현상기 후방에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푸셔(pusher)가 마련되며,
    상기 푸셔가 단속적으로 승강하며 현상기를 밀어 현상기 내부의 감광매체가 노광 위치까지 전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22044A 2004-03-31 2004-03-31 폐토너량을 줄이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50096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044A KR20050096610A (ko) 2004-03-31 2004-03-31 폐토너량을 줄이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044A KR20050096610A (ko) 2004-03-31 2004-03-31 폐토너량을 줄이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610A true KR20050096610A (ko) 2005-10-06

Family

ID=3727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044A KR20050096610A (ko) 2004-03-31 2004-03-31 폐토너량을 줄이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66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3589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1002290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rote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image bearing member to avoid adhesion of film of additives to image bearing member
JP200604801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14518700B (zh) 像载体单元及具备该像载体单元的图像形成装置
US950729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carrier unit
JP451534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78867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20050096610A (ko) 폐토너량을 줄이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0656556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conveying member for stably conveying developer,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2872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47131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2011033702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6456337B2 (ja) 現像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298835A (ja) 画像形成装置
KR100636204B1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H0777849A (ja) 画像形成装置
JP6482321B2 (ja) 搬送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30009010A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7870539A (zh) 图像形成装置
JP553282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7388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alizing downsizing of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EP311869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ensures improved replacement workability of image carrier unit
KR101123769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WO202301439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wivel housing
JP4947078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