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205A - 가변 확산 인자에 대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 - Google Patents

가변 확산 인자에 대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205A
KR20050096205A KR1020057017340A KR20057017340A KR20050096205A KR 20050096205 A KR20050096205 A KR 20050096205A KR 1020057017340 A KR1020057017340 A KR 1020057017340A KR 20057017340 A KR20057017340 A KR 20057017340A KR 20050096205 A KR20050096205 A KR 20050096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hip
support block
symbol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325B1 (ko
Inventor
영록 김
중-린 판
아리에라 제이라
알렉산더 레즈닉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9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03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03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 H04B1/7105Joint detection techniques, e.g. linear detectors
    • H04B1/71052Joint detection techniques, e.g. linear detectors using decorrelation matrix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2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convolutional codes, e.g. unit memor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03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 H04B1/7105Joint detection techniques, e.g. linear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using multiple or variable 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using multiple or variable rates
    • H04B2201/70705Rate detection

Abstract

복수의 통신 신호는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갖는다. 각각의 통신은 칩을 포함하는 관련 코드를 갖는다. 각각의 통신의 각각의 칩에 대해, 임펄스 응답과 컨벌루션되는 그 칩의 벡터가 생성된다. 각각의 통신에 대해, 칩 벡터를 포함하는 서포트 블록이 생성된다. 서포트 블록 내의 칩 벡터의 수는 그 통신의 확산 인자에 기초한다. 시스템 응답 행렬이 어셈블된다. 시스템 응답 행렬은 심볼 소행렬을 갖는다.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각각의 통신으로부터의 서포트 블록을 포함한다. 통신의 데이터는 심볼 응답 행렬을 사용하여 검출된다.

Description

가변 확산 인자에 대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MULTIUSER DETECTOR FOR VARIABLE SPREADING FACTOR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중 접속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확산 인자를 갖는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의 동시 수신을 위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가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해 동일한 통신 매체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매체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 즉 LAN 내의 네트워크 케이블, 고전적 전화 시스템에서의 구리선, 또는 무선 통신의 공중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통신 매체는 통신 채널이라고 말해진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즉 FDMA, 시분할 다중 접속 즉 TDMA,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즉 CS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즉 CDMA 및 기타 등의 통신 기술은 2명 이상의 사용자의 동일한 통신 매체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들 기술은 서로 혼합되어 복합 형태의 다양한 다중 접속 방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분할 듀플렉스 즉 TDD 모드의 제안된 3세대 W-CDMA 표준은 TDMA와 CDMA의 결합이다.
종래의 예시적인 CDMA 통신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CDMA는 전송될 데이터를 의사 노이즈 신호로 변조함으로써 넓혀진 대역(확산 스펙트럼)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신 기술이다. 전송될 데이터 신호는 수백만 헤르쯔일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 걸쳐 분산되어 있는 단지 수천 헤르쯔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통신 채널은 K개의 독립적인 서브채널에 의해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각각의 서브채널에 있어서, 다른 모든 서브채널은 간섭인 것처럼 보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어진 대역폭의 단일 서브채널이 광대역폭의 의사 노이즈(PN) 시퀀스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미리 정해진 패턴을 반복하는 고유 확산 코드와 혼합된다. 이들 고유의 사용자 확산 코드는 일반적으로 확산 코드 간의 상호 상관이 0에 가깝도록 서로 의사 직교(pseudo-orthogonal)한다. 데이터 신호는 PN 시퀀스로 변조되어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 신호를 생성한다. 반송파 신호는 이어서 전송 매체에 따라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 신호로 변조되고 전송된다. 수신기는 그 전송을 복조하여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 신호를 추출한다. 전송된 데이터는 정합하는 PN 시퀀스로 상관시킨 후 재생된다. 확산 코드가 서로 직교인 경우, 수신된 신호는 특정의 확산 코드와 관련된 특정의 사용자 신호와 상관되도록 하여 특정의 확산 코드와 관련된 원하는 사용자 신호만이 증대되는 반면 다른 모든 사용자에 대한 나머지 신호들은 증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확산 코드의 각각의 값은 칩이라고 하며 데이터 레이트와 동일하거나 더 빠른 칩 레이트를 갖는다. 칩 레이트와 서브채널 데이터 레이트 사이의 비율이 확산 인자이다.
데이터 신호의 값들의 가능한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2개 이상의 이진값을 표현하기 위해 심볼이 사용된다. 3진 및 4진 심볼은 각각 3개 및 4개의 값을 나타낸다. 각각의 심볼의 비트 내용이 고유의 펄스 형상을 결정짓기 때문에 심볼의 개념은 더 고도의 정보를 가능하게 해준다. 사용되는 심볼의 수에 따라, 동일한 수의 고유 펄스 또는 파형이 존재한다. 소스에서의 정보는 목적지에서의 복조를 위해 서브채널을 통해 변조되고 전송되는 심볼로 변환된다.
CDMA 시스템에서의 확산 코드는 원하는 서브채널과 다른 모든 서브채널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원하는 서브채널을 복조하는 표준적인 방법은 다른 모든 서브채널을 통신 매체에 나타나는 간섭과 유사한 간섭으로서 취급하는 것이었다. 이 프로세스를 위해 설계된 수신기가 단일 사용자, 정합 필터 및 RAKE 수신기이다.
서로 다른 서브채널들이 서로 어느 정도는 간섭하기 때문에, 또하나의 방법은 수신기에서 모든 서브채널을 복조하는 것이다. 수신기는 그 사용자 각각에 대한 디코딩 알고리즘을 병렬로 실행함으로써 전송하는 사용자 모두를 한꺼번에 들을 수 있다. 이 개념은 다중 사용자 검출(multiuser detection)이라고 한다. 다중 사용자 검출은 단일 사용자 수신기보다 상당한 성능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중 사용자 검출기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CDMA 수신기의 시스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수신기는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무선 주파수 즉 RF 다운 컨버전 및 관련 필터링,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또는 특정의 통신 매체에 대한 광학 신호 복조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의 출력은 모든 활성 서브채널의 결합된 확산 신호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의 처리된 신호이다. 다중 사용자 검출기는 다중 사용자 검출을 수행하고 각각의 활성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를 출력한다. 전체 서브채널의 전부 또는 그 일부가 처리될 수 있다.
최적의 다중 사용자 검출기는 수많은 복잡한 수학 연산을 수행하는 계산 집중적인 장치이며 따라서 경제적으로 구현하기가 어렵다.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검출기의 성능에 가까운 절충안으로서 계산이 덜 복잡한 선형 검출기 등의 차선의 다중 사용자 검출기가 개발되었다. 선형 검출기는 역상관기, 최소 평균 제곱 에러 즉 MMSE 검출기 및 제로-강제(zero-forcing) 블록 선형 이퀄라이저 즉 ZF-BLE를 포함한다.
동기 또는 비동기 CDMA 통신을 위한 종래 기술의 선형 다중 사용자 검출기의 시스템 블록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통신 매체 특유의 수신기(도 3에 도시됨)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각각의 서브채널로 전송되는 각각의 심볼의 임펄스 응답을 추정하는 서브채널 추정기에 결합된다. 선형 검출기는 각각의 서브채널=s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서브채널=s 확산 코드와 함께 임펄스 응답 추정치를 사용한다. 데이터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서브채널 데이터 처리 블록으로 출력된다.
물리적 시스템에서 K명의 서브채널 사용자의 병렬 검출을 실시하기 위해, 선형 다중 사용자 검출기 방법은 고정 게이트 어레이(fixed gate array),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 즉 DSP 및 기타로서 실행된다. 고정 논리 시스템은 더 높은 시스템 속도를 가능하게 해주는 반면 마이크로프로세스 구동 시스템은 프로그래밍 유연성을 제공한다. 다중 사용자 검출을 맡고 있는 어느 구현이든 일련의 수학 연산을 수행한다. 그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하의 변수들은 일반적으로 선형 다중 사용자 검출기의 구조 및 동작을 정의한다.
K = 시스템에서 활성인 사용자/송신기의 전체 수.
Nc = 데이터 블록 내의 칩의 수. 칩의 수는 가변하는 확산 인자의 경우 이 수가 모든 사용자에 공통인 척도이기 때문에 필요하다.
W = 칩 단위의 통신 채널 임펄스 응답 길이. 이것은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이다.
= 사용자 k의 확산 인자. 확산 인자는 사용자=s 데이터의 심볼을 확산시키는 데 사용되는 칩의 수와 같다. 시스템은 확산 인자를 미리 알고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확산 인자를 추정할 필요가 없다.
= 사용자 k에 의해 전송된 심볼의 수. .
= 전송된 심볼의 전체 수.
= 사용자 k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정보). 데이터는 벡터의 형태로 제공되며, 여기서 벡터는 단일 인덱스 변수로 인덱싱된 데이터의 어레이이다. 다음에 오는 벡터 및 행렬 연산을 위해, 모든 벡터는 열 벡터로서 정의된다. 의 n번째 요소는 k번째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n번째 심볼이다.
= 벡터로서 제공된 사용자 k에 의해 경험되는 서브채널의 임펄스 응답. 이 양은 수신기에서 추정될 필요가 있다. 서브채널 임펄스 응답의 수신기=s 추정치는 라고 말한다. 벡터 의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서브채널에 의해 도입될 수 있는 진폭 및 위상 변동 둘다를 모델링하는 복소수이다.
= 벡터로서 제공되는 사용자 k의 확산 코드. 선형 다중 사용자 검출을 위해, 특정의 심볼을 확산시키는 확산 코드의 일부를 포함하는 벡터를 생각하는 것이 유용하다. 따라서, 벡터 는 k번째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n번째 심볼을 확산시키는 데 사용되는 확산 코드로서 정의된다. 수학적으로, 이것은 에 대해 로서 정의되고 다른 모든 i에 대해 0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i는 벡터 요소의 인덱스이다.
= 확산 시퀀스 에 의해 확산되고 그 사용자=s 서브채널 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k=s 데이터를 표현하는 벡터. 벡터 는 데이터 블록이 도착하는 기간 동안에 수행되는 채널 관찰을 나타낸다. 벡터 의 i번째 요소는 수학식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는 모든 사용자 신호 + 노이즈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신된 데이터 벡터 r을 수학식 2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벡터 n은 통신 채널에 의해 도입된 노이즈를 나타낸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선형 다중 사용자 검출기의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추정된 서브채널 임펄스 응답 벡터 및 확산 코드 는 각각의 사용자 k에 대한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행렬은 2개의 인덱싱 변수에 의해 인덱싱되는 숫자들의 블록으로서 직사각형 격자로서 배열되어 있고, 첫번째 인덱싱 변수는 행 인덱스이고 두번째 인덱싱 변수는 열 인덱스이다.
사용자 k에 대한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은 일반적으로 로서 표기된다. i번째 행, n번째 열 요소는 로서 표기되고,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행렬 의 각각의 열은 관심 기간 동안 사용자 k에 의해 전송된 특정의 심볼에 대한 정합 필터 응답에 대응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수신된 데이터 r은 모든 사용자=s 확산 코드 및 서브채널 임펄스 응답의 결합과 일치한다. 따라서, 개의 정합 필터 응답을 포함한다. 의 열은 수학식 4의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각각의 벡터 는 수학식 5의 차원을 가지며,
수학식 6만큼 행렬 의 상단으로부터 옵셋되어 있다.
확산 코드가 심볼 시간에 걸쳐 주기적이지 않기 때문에 i j에 대해 이다. 영이 아닌 값일 수 있는 벡터의 요소들은 벡터의 서포트(support of the vector)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의 서포트이다.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시스템 전송 행렬이 생성되면, A로 표기되는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이 수학식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사용자에 대한 시스템 전송 행렬을 연결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종래 기술의 변조 기술에 따르면, 의 요소들은 복소수일 수 있다. 그러면, 당연히 A의 비제로 요소가 복소수일 수 있다.
2명의(k=2) 사용자, 에 대한 것으로서,데이터 블록 내에 16개의 칩을 가지고, 채널 임펄스 응답 길이가 4이며(W=4), 2명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확산 인자가 2이고, 제2 사용자에 대한 확산 인자가 4인(=4) 경우, 수학식 4, 5, 6 및 7에 따라 어샘블된 가설적인 종래 기술의 다중 사용자 검출기에 대한 예시적인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는 수학식 8이 된다.
결과적인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에서, 는 k번째 사용자의 n번째 심볼에 대한 결합된 시스템 및 채널 응답의 i번째 요소를 나타낸다.
수신된 데이터 r은 y로서 표기되어 있는 정합 필터 출력의 벡터를 생성하기 위해 정합 필터 응답들의 뱅크를 나타내는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를 사용하여 처리된다. 정합 필터링 연산은 수학식 9와 같이 정의된다.
행렬 은 행렬 A의 허미트(또는 복소) 전치 행렬을 나타낸다. 허미트 전치행렬(Hermitian transpose)은 로서 정의되며, 여기서 오버바는 복소수의 공액을 취하는 연산을 나타낸다. 이어서, 정합 필터 출력은 목적 행렬(objective matrix) O의 역행렬로 곱해진다. 목적 행렬은 각각의 유형의 선형 수신기 모델을 차별화시키는 처리를 나타낸다. 그것은 시스템 전송 행렬 A로부터 도출된다.
제로 강제 블록 선형 이퀄라이저(ZF-BLE) 수신기는 로서 지정된 목적 행렬을 갖는 선형 수신기이다. 최소 평균 제곱 에러 블록 선형 이퀄라이저(MMSE-BLE) 수신기는 로서 지정된 목적 행렬을 갖는 선형 수신기이며, 여기서 는 수신된 데이터 벡터 r의 심볼들 각각에 존재하는 노이즈의 분산이고 행렬 I는 단위 행렬이다. 단위 행렬은 정방이고 대칭 행렬로서 그의 주대각선 상에 1을 가지고 그 밖의 곳에는 0을 갖는다. 단위 행렬의 크기는 선형 대수의 규칙에 따라 가산 연산이 유효하게 되도록 선택된다.
역상관기(역상관 수신기)[decorrelator(decorrelating receiver)]의 경우, 행렬 A는 채널 응답 을 무시하고 확산 코드 및 그의 상호 상관(간섭) 특성만을 고려함으로써 간단화된다. 통상 R이라고 하는 상호 상관 행렬은 일반적으로 역상관기 유형 수신기에 대해 작성된다. 이 행렬은 상기 A의 정의에서 (모든 서브채널의 채널 응답이 임펄스)인 것으로 가정함으로써 작성된다. 이어서, 상호 상관 행렬 R은 ZF-BLE 수신기에 대해 정의된 것과 같은 목적 행렬 O이다. 역상관기는 종종 보다 복잡한 다중 사용자 검출 수신기의 서브프로세스로서 기능한다. 목적 행렬이 생성되면, 다중 사용자 검출기는 로 표기된 행렬의 역행렬을 구한다.
이어서, 목적 행렬의 역행렬은 정합 필터 출력 벡터 y와 곱해져 데이터 벡터 d의 추정치를 생성하며 여기서 d(추정치)=이다. 목적 행렬 O의 역행렬 구하기는 복잡하고 계산 집중적인 프로세스이다. 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연산의 수는 행렬 O의 크기의 세제곱으로서 증가한다. 대부분의 비동기 CDMA 수신기에 있어서, O의 크기는 아주 커서 역행렬 구하기 프로세스를 실시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 한계를 극복하고 시스템을 물리적으로 실현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콜레스키(Cholesky)의 수치 해석이 사용된다. 콜레스키 분해는 행렬이 밴드형인(banded) 경우 행렬 O의 역행렬을 구하는 것의 계산상 복잡성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밴드형 행렬(banded matrix)은 주대각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몇개의 대각선 상에만 영이 아닌 값을 포함하는 정방 행렬이다. 적어도 하나의 비제로 요소를 갖는 주대각선에 인접한 비제로 대각선의 수를 대역폭이라고 한다. 따라서, 대칭 행렬 M은 수학식 10인 경우에 대역폭 p를 갖는 밴드형이라고 말해진다.
여기서,는 M의 요소이고 i는 행 인덱스이고 j는 열 인덱스이다. n으로 표기된 크기와 p로 표기된 대역폭을 갖는 밴드형 행렬에 있어서, 콜레스키 분해는 목적 행렬 O의 역행렬을 구하는 것의 요구되는 숫자 연산을 행렬의 크기의 세제곱, 으로서 변하는 것에서부터 행렬의 크기 × 대역폭의 제곱, 으로서 변하는 것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ZF-BLE 수신기에 대한 목적 행렬은 O = 이다. 숫자 복잡성을 설명하기 위해, 수학식 6에 나타낸 전체 시스템 응답 행렬 A에 대한 목적 행렬 O는 수학식 11과 같다.
여기서, 0은 수학적 연산에 의해 0을 산출하는 모든 요소를 나타내고 x=s는 비제로 값을 나타낸다. 전체 시스템 응답 행렬 A의 i번째 행 및 j번째 열의 비제로 요소가 동일한 벡터 인덱스를 갖지 않는 경우, 행 인덱스 i와 열 인덱스 j를 갖는 목적 행렬 O의 대응하는 요소는 0이 된다. 주대각선으로부터 9개 열 떨어진 곳에 비제로 요소가 있기 때문에 O(수학식 11)의 대역폭은 9가 된다.
목적 행렬 O는 도 5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수신기에서 작성될 때 양호한 밴드형을 이루지 않는다. 따라서, 콜레스키 분해는 행렬 O의 역행렬을 구할 때 연산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그렇지만, 종래 기술은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확산 인자로 전송할 때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의 재배열이 목적 행렬 A를 계산하여 행렬 O를 밴드형 행렬로 변환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 프로세스에 대한 시스템 블록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행렬 A의 열 재정렬을 계산하는 프로세스는 어떤 부가의 정보도 없이 재정렬을 수행한다. 재정렬은 행렬의 역행렬을 구할 때 연산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검출 절차가 완료되면, 사용자 데이터 벡터 d가 계산되고, 반전된 재정렬 프로세스가 수행되어 추가의 처리를 위해 벡터 d를 다시 그의 원래의 형태로 디스크램블한다.
일반적인 비동기 CDMA 시스템에서, 재정렬된 목적 행렬의 대역폭은 그의 원래 크기의 적어도 10배 더 작다. 따라서, 재정렬된 전체 시스템 응답 행렬에 기초하여 콜레스키 분해가 목적 행렬에 수행될 때 처리 시간에 있어서 적어도 100배의 절감이 달성된다. 그렇지만, 종래 기술은 서로 다른 확산 인자가 활성 사용자들 사이에 사용되고 있을 때에 대한 재정렬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다중 사용자 검출에 대한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통신 신호는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갖는다. 각각의 통신은 칩들을 포함하는 관련 코드를 갖는다. 각각의 통신의 각각의 칩에 대해, 임펄스 응답으로 컨벌루션되는 그 칩의 벡터가 생성된다. 각각의 통신에 대해, 칩 벡터들을 포함하는 서포트 블록이 생성된다. 서포트 블록 내의 칩 벡터의 수는 그 통신의 확산 인자에 기초한다. 시스템 응답 행렬이 어셈블된다. 시스템 응답 행렬은 심볼 소행렬을 갖는다.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각각의 통신으로부터의 서포트 블록을 포함한다. 통신의 데이터는 심볼 응답 행렬을 사용하여 검출된다.
실시예들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 참조 번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7에는 수신 이후에 공통 CDMA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검출하는 다중 사용자 검출기(17)가 도시되어 있다. 다중 사용자 검출기(17)는 콜래트럴 메모리(collateral memory)를 갖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대체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프로세서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DSP 및 고정 게이트 어레이를 포함한다. 검출기(17)는 또한 서브채널=s 자신의 심볼에 의해 야기된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즉 ISI 및 모든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다른 사용자=s 서브채널로부터의 심볼에 의해 야기된 다중 접속 간섭(multiple access interference) 즉 MAI를 보정하기 위해 벡터 로서 모델링된 개별적인 k개의 서브채널 임펄스 응답 추정치를 입력하는 제1 입력(19), 각각의 사용자=s 서브채널로부터의 결합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력 벡터 r의 형태로 이산적인 시간 블록에 전송된 모든 사용자 k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2 입력(21), 및 출력 벡터의 형태로 수신된 채널 데이터 r로부터의 각각의 사용자 k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를 출력하는 출력(23)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전체 수 K 및 각각의 사용자(k = 1, 2, 3, ..., K)에 대한 확산 인자 (41)는 미리 알고 있다.
결합된 사용자 데이터 r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를 획득하기 위해, 정합 필터(25)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는 필터링되어야만 한다. 당업자라면 전송에 앞서 신호를 나타내는 레벨을 갖는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정합 필터(25)가 확산 펄스 형상과 사용자=s 서브채널 임펄스 응답의 결합의 복소 공액인 응답 특성을 요구한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주어진 응답 특성에 정합하지 않는 필터(25)에 입력되는 신호는 더 낮은 출력을 생성한다.
각각의 개별적인 k개의 서브채널 임펄스 응답 추정치 는 제1 메모리(27)에 입력되고, 여기서 그 추정치는 동일한 사용자=s 확산 코드(29)(수학식 3)과 결합되어 그 사용자에 대한 시스템 전송 응답 추정치 행렬 을 생성한다. 다중 사용자 검출기(17)의 정렬 프로세서(33)는 모든 행렬 열들의 재배열(re-ordering)을 수행한다. 이 정렬 방법에서는 각각의 서브채널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이 선형 수신기를 나타내는 수학식 4에 의해 정의된 열 구조를 가져야만 한다.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이 수학식 4에 의해 정의된 형태를 갖지 않는 경우, 정렬 프로세서(33)는 먼저 수학식 4에 의해 정의된 구조에 맞춰 열들을 재정렬한다. 다중 사용자 검출기(17)에서는 모든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이 수학식 7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로 연결되어야만 함을 요구하지 않는다.
정렬 프로세서(33)는 (하나의 행렬에 대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단 옵셋 및 하단 옵셋 을 정의하는 각각의 벡터 (수학식 4)의 서포트로부터 비제로 값 요소의 수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열을 검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은 동일한 수의 행을 가지며, 열의 수만이 변동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 프로세서(33)는 그의 각각의 상단 옵셋 및 하단 옵셋 에 기초하여 각각의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의 각각의 열에 대한 인덱스 값 을 할당한다. 열 값은 상단 옵셋이 최소이고 하단 옵셋이 최대인 열로부터 상단 옵셋이 최대이고 하단 옵셋이 최소인 열로 크기 증가 순서로 할당된다.
2개의 열이 있고 하나가 다른 것보다 상단 옵셋이 더 크고 하단 옵셋이 더 큰 경우, 상단 옵셋 간의 차가 하단 옵셋 간의 차보다 더 크면, 더 낮은 상단 옵셋을 갖는 열이 더 낮은 인덱스 를 할당받는다. 하단 옵셋 간의 차가 상단 옵셋 간의 차보다 더 큰 경우, 하단 옵셋이 더 큰 열이 더 낮은 인덱스 를 할당받는다. 상단 옵셋과 하단 옵셋 간의 차가 같은 경우, 2개의 열 중 어느 하나가 더 낮은 인덱스 를 할당받을 수 있다.
정렬 프로세서(33)는 할당된 열 인덱스 의 순서로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N을 어셈블한다. 열 인덱스 는 디스크램블 프로세스(45) 동안에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33)에 보유되어 있다. 예로서, 수학식 8에 설명되고 나타낸 전체 시스템 응답 행렬 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정렬 방법(17)은 수학식 12에 나타낸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를 생성한다.
이 정렬 방법은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의 8개 열(1-8) 및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의 4개의 열(9-12)을 1, 9, 2, 3, 10, 4, 5, 11, 6, 7, 12, 8의 순서로 인덱싱하여 양호한 밴드형의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를 생성한다(수학식 12).
전술한 정렬 방법 실시예는 각각의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의 검사를 수반하여 상단 옵셋 과 하단 옵셋 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열을 다른 모든 열과 비교한다. 각각의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의 특수 구조가 주어지면, 즉 왼쪽에서 오른쪽을 진행함에 따라 각각의 행렬의 열이 상단 옵셋의 증가 및 하단 옵셋의 감소 순서로 정렬되면[수학식 8 참조, 행렬 ], 대체 방법(199)은 각각의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을 직접 검사할 필요없이 수행될 수 있다.
대체 방법(199)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확산 인자를 갖는 사용자들에 대응(단계 201)하는 모든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은 함께 그룹화된다(단계 203). 각각의 확산 인자 그룹 g에 대해, 모든 시스템 전송 행렬 으로부터의 열 모두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가 프로세서(33) 내에 배정된다. 확산 인자 그룹 g은 확산 인자 증가 순서로 정렬된다.
대체 방법(199)의 수행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할당된 4개의 서로 다른 확산 인자 를 갖는 7명의 사용자를 포함한다.
사용자 1 = 8 사용자 2 = 8 사용자 3 = 8
사용자 4 = 32 사용자 5 = 16 사용자 6 = 16
사용자 7 = 4
대체 방법의 시스템 및 방법(199)을 사용하여,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은 다음과 같이 확산 인자 그룹으로 분할된다.
그룹 1(확산 인자 4)
그룹 2(확산 인자 8)
그룹 3(확산 인자 16)
그룹 4(확산 인자 32)
각각의 확산 인자 그룹 g는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을 포함하며, 각각의 행렬 은 1부터 까지 임의적으로 인덱싱된다. 각각의 확산 인자 그룹 g는 확산 인자 크기 증가 순으로 인덱싱된다.
각각의 확산 인자 그룹 내에서, 관련된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의 열들은 공통의 확산 인자 그룹 전송 응답 행렬 로 어셈블되며, 여기서 g = 1, 2, 3,..., G이다(단계 205).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법(199)은 인덱스 1을 갖는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의 첫번째 열을 의 첫번째 비어있는 열로 복사하고, 인덱스 2를 갖는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의 첫번째 열을 의 두번째 비어있는 열로 복사하며, 모든 첫번째 열이 복사될 때까지 각각의 확산 인자 그룹 g 내의 나머지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들에 걸쳐 계속된다. 방법(199)은 각각의 확산 인자 그룹 내의 각각의 행렬 에 대해 계속하여 두번째 열, 세번째 열 등을 복사한다.
확산 인자 그룹 g 내의 모든 행렬은 동일한 확산 인자로 인해 동일한 수의 열을 갖는다. 따라서, 어셈블된 확산 인자 그룹 전송 응답 행렬 은 하나의 관련된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내의 열의 수의 배를 갖게 된다.
가변 확산 인자를 수용하는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N을 어셈블하기 위해, 최저 확산 인자를 갖는 확산 인자 그룹 전송 응답 행렬 은 첫번째 열, 즉 의 열 1부터 시작하여 AN의 첫번째 할당된 열까지 순차적으로 메모리에 복사된다(단계 207). 최저 확산 인자를 갖는 확산 인자 그룹 전송 응답 행렬 은 최대 수의 열을 갖는다. 다른 모든 확산 인자 그룹 전송 응답 행렬 열은 이 베이스 행렬 AN에 삽입된다.
시스템 확산 인자가 서로의 짝수배인 경우(단계 209), 프로세서(33)는 나머지 확산 인자 그룹 전송 행렬 을 임의의 순서로 고려(단계 209)함으로써 전체 시스템 전송 행렬 AN을 어셈블한다(단계 211). 각각의 확산 인자 그룹 전송 행렬 에 대해, 프로세서(33)는 수학식 13과 같이 열 배치 기준 인덱스 m을 도출하며,
여기서, 는 고려되고 있는 확산 인자 그룹 전송 행렬 와 관련된 확산 인자를 나타내고, 은 모든 그룹 중에서 최저 확산 인자를 나타내며, n(단, n = 1, 2, 3, ..., N)은 고려되고 있는 확산 인자 그룹 전송 응답 행렬 의 열이다(단계 211).
열 배치 인덱스 m을 사용하기 위해, AN 내에서의 기준 위치가 수학식 14와 같이 최저 확산 인자를 갖는 확산 인자 그룹 행렬을 구성하는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의 전체 수 를 사용하여 도출된다(단계 215).
프로세서(33)는 현재 고려되고 있는 확산 인자 그룹에 속하는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의 수를 사용하여 고려되고 있는 확산 인자 그룹 전송 응답 행렬 로부터 열 세트를 도출한다.
내지
프로세서(33)는 수학식 15에 의해 정의된 열 세트를 로부터 복사하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학식 14로 정의된 기준 위치를 갖는 의 열 이후에 이를 베이스 행렬 AN에 삽입한다(단계 219). 고려되고 있는 확산 인자 그룹 행렬의 나머지 열은 이와 유사하게 복사되어 베이스 행렬 AN에 삽입된다. 하나의 확산 인자 그룹 행렬로부터의 모든 열이 배치된 후에, 프로세서(33)는 그 다음 확산 인자 그룹 행렬 을 선택하고(단계 223) 상기의 방법을 실행한다. 수학식 13, 수학식 14 및 수학식 15는 나머지 확산 인자 그룹 전송 행렬 로부터의 i번째 열이 AN에서 유사한 서포트를 갖는 m번째 행 이후에 배치될 수 있게 해준다(단계 225).
시스템 확산 인자가 서로의 짝수배가 아닌 경우, 수학식 13의 우변식은 정수를 산출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프로세서(33)는 수학식 13의 결과를 그 값보다 높은 가장 가까운 정수 또는 그 값보다 낮은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된다(단계 213). 반올림 방향은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에 무시할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 그룹 시스템 전송 행렬 의 나머지가 고려되는 순서는 시스템 성능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다. 확산 인자에 대한 선험적 지식은 최적의 순서를 미리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정렬 기술을 사용하여, 또 확산 인자가 서로의 짝수배인 경우, 수학식 16과 같이 제한되는 것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는 행렬 대역폭 B은 달성될 수 있다.
수학식 16은 수학식 11의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의 대역폭이 3 내지 6일 것임을 예측한다. 수학식 12의 검사는 어느 정렬 방법(199) 이후의 대역폭이 4임을 보여준다.
전송된 심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개선이 추가로 인식된다. 시스템이 16,000개 칩(제1 사용자에 대해 800개 심볼 및 제2 사용자에 대해 400개 심볼)을 전송한 경우, 행렬 의 대역폭은 대략 800이 된다. 전체 시스템 응답 행렬 A를 생성하기 위해 정렬 방법을 사용하여, 의 대역폭은 대역폭(수학식 16)이 전송된 심볼의 수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4로 유지된다. 목적 행렬 O의 요소들 모두가 도출된 후에, 역행렬 구하기(41)가 수행된다. 행렬의 역행렬 구하기의 복잡성이 그의 대역폭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본 발명(17)은 대략 정도로 계산 복잡성의 감소를 제공한다.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N은 정합 필터(25)에 응답 특성을 제공한다. 시스템 응답 행렬 AN의 각 열은 특정 심볼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벡터이다. 수신된 데이터 벡터 r은 정합 필터(25)에 입력되고, 여기서 그 벡터는 전체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N으로부터의 모든 응답 특성과 정합되어 정합된 필터 출력 벡터 y를 생성한다. 출력 벡터 y의 각각의 요소는 주어진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특정의 심볼의 사전 추정치에 대응한다. 정합 필터(25)로부터의 출력 벡터 y는 역행렬된 목적 행렬 O와 함께 곱셈기(43)에 로드된다. 정합 필터(25) 출력 벡터 y 및 역행렬된 목적 행렬은 곱해져 사용자 데이터 벡터 d를 생성한다. 사용자 데이터 벡터 d는 이산적인 시간 블록 동안 모든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모두를 포함한다. 목적 행렬 O 및 정합 필터(25) 출력이 전체 시스템 응답 행렬 AN에 기초하기 때문에, 사용자 데이터 벡터 d는 디스크램블되어야만 한다. 디스크램블 프로세스는 정렬 방법(199)의 역이다.
디스크램블러(45)는 어느 한 정렬 방법(199)을 사용하는 동안 수행되는 열 재정렬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 벡터 d의 각 요소를 재정렬한다. 데이터 벡터 d의 요소들은 수직으로 전치된 전체 전송 응답 행렬 A에 의해 좌우되는 동일한 순서, 1, 9, 2, 3, 10, 4, 5, 11, 6, 7, 12, 8이다. 디스크램블러(45)는 동일한 차원을 갖는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각각의 벡터 요소를 순차적인 순서, 1-12로 배치한다. 사용자 데이터 벡터 d가 디스크램블된 후에, 사용자 데이터는 추가의 처리를 위해 출력된다(23).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A의 대역폭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체 방법이 도 13, 도 14, 및 도 15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16의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심볼 응답 행렬 A를 나타낸 것이다. A 행렬은 S개의 심볼 소행렬이 있도록 정렬된다. S는 시스템 내의 리소스 유닛의 데이터 필드가 가질 수 있는 심볼의 최소 수이다, 즉 이다. 는 데이터 필드 내의 칩의 수이다. 는 16의 확산 인자 등의 시스템의 최대 확산 인자이다. 시분할 듀플렉스 버스트 유형 2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는 1104이고 일반적인 최대 지연 확산 는 16이다. 그 결과, A 행렬은 69개의 소행렬을 포함한다.
각각의 소행렬은 K개의 수신된 리소스 유닛 각각에 대해 서포트 블록 을 갖는다. s는 1 내지 S의 심볼 소행렬의 수를 나타내고, k는 1 내지 K의 리소스 유닛의 수를 나타낸다.
각각의 리소스 유닛에 대해, 시스템 응답 행렬이 작성될 수 있다. 도 14는 k번째 리소스 유닛에 대한 시스템 응답 행렬 을 나타낸다. 이 행렬은 리소스 유닛의 데이터 심볼당 하나의 열, 개의 열을 갖는다. 는 k번째 리소스 유닛=s 확산 인자이다. 각각의 열은 i번째 열에 대한 열 블록 을 갖는다. 각각의 블록은 그 리소스 유닛=s 심볼 임펄스 응답 길이 + 1, 즉 + 1의 열 길이를 갖는다. 행렬의 첫번째(가장 왼쪽) 블록 에 대해, 그 블록의 최상단은 행렬의 최상단에 있다. 각각의 후속하는 블록은 그 행렬에서 한 심볼 더 낮다. 이를 설명하면, 두번째 열 의 열 블록은 그 행렬에서 보다 개 칩만큼 더 낮다.
각각의 열 블록 은 k번째 리소스 유닛의 i번째 심볼에 대응한다. 그것은 스크램블링 코드의 i번째 세그먼트와 수학식 17에 따라 그 세그먼트의 채널 임펄스 응답과 컨벌루션되는 k번째 리소스 유닛=s 코드의 칩끼리의 곱셈에 의해 도출된다(단계 300).
여기서, 는 k번째 코드의 i번째 세그먼트이다. 는 스크램블링 코드의 i번째 세그먼트이다. 는 k번째 리소스 유닛에 대한 채널 응답이다. 그 결과, k번째 리소스 유닛에 대한 각각의 열 블록의 길이는 이다.
리소스 유닛 시스템 응답 행렬 내지 의 열 블록은 도 13의 심볼 소행렬에 대한 서포트 블록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도 15는 첫번째 심볼 블록에서 k번째 리소스 유닛에 대한 서포트 블록 을 나타낸 것이다. 서포트 블록 개 열을 갖는다. 이를 설명하면, 시스템의 최대 확산 인자가 16이고 이 리소스 유닛에 대한 확산 인자가 1인 경우, 서포트 블록 은 16개 열을 갖는다. 이와 반대로, 리소스 유닛 확산 인자가 16인 경우, 서포트 블록 은 1개 열을 갖는다.
k번째 리소스 유닛으로부터 도출된 첫번째 서포트 블록에 대해, 그 리소스 유닛=s 시스템 응답 행렬 의 처음 개 열 블록이 취해진다. 서포트 블록의 첫번째 열은 시스템 응답 행렬 K의 첫번째 블록 열을 갖는다. 서포트 블록 내이 첫번째 블록 열의 최상단은 서포트 블록의 최상단에 있다. 각각의 후속하는 열 블록은 서포트 열에서 개 칩만큼 아래에 있다. 그 결과 얻어지는 서포트 블록의 전체 높이는 확산 인자 에 상관없이 + - 1이다(단계 302).
도 13은 심볼 소행렬 내의 서포트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심볼 소행렬 은 각각의 리소스 유닛에 대한 s번째 서포트 블록을 갖는다(단계 304). 다른 대안에서, 열 블록 행렬로부터 취해져 심볼 소행렬 내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블록 열 은 그 자원 유닛=s 행렬의 블록 열로부터 취해진다. 심볼 서브블록 s에 대한 행렬로부터 취해진 열은 내지 이다. x는 수학식 18에 따른다.
특정의 리소스 유닛 k에 대해, 각각의 심볼 서브블록은 그 리소스 유닛=s 열 블록 중 개를 포함한다. 서포트 블록 내의 첫번째 열 블록은 서포트 블록의 최상단에 그의 최상단을 갖는다. 각각의 후속하는 열은 서포트 블록에서 개 칩만큼 아래에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심볼 서브블록은 각각의 리소스 유닛에 대한 서포트 블록 을 갖는다. 리소스 유닛이 임의의 순서로 정렬되고 여전히 감소된 대역폭을 달성하지만, 가장 낮은 확산 유닛과 함께 전송된 리소스 유닛을 각각의 소행렬 블록의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대역폭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첫번째 열 블록은 1의 확산 인자를 갖는다. 따라서, 첫번째 심볼 소행렬의 첫번째 서포트의 첫번째 열 블록은 이다. 확산 인자가 16인 경우, 첫번째 열 블록의 길이는 15 + 이다. 이들 부가의 15개 칩은 전체 대역폭을 증가시킨다. 마지막 소행렬의 마지막 서포트의 마지막 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렇지만, 어떤 구현에서, 대역폭에서의 잠재적인 감소는 리소스 유닛의 재순서지정을 위한 부가의 복잡성을 능가하지 않을 수 있다.
s번째 심볼 소행렬은 각각의 리소스 유닛에 대한 s 서포트 블록을 갖는다(단계 304). 각각의 서포트가 동일한 높이를 갖기 때문에, 각각의 소행렬은 개 칩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각각의 소행렬의 폭은 수학식 19에 따라 M이다.
첫번째 심볼 소행렬은 시스템 응답 행렬 A의 좌상부 코너에 있다. 각각의 후속하는 행렬은 이전의 행렬을 따라 개 칩만큼 더 아래쪽에 있다(단계 306). A 행렬의 전체 높이는 이고 전체 폭은 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행렬의 이 구성은 대역폭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게다가, 이 감소된 대역폭 A 행렬을 도출함에 있어서의 복잡성은 작다.
실제의 통신 스테이션에서, 오버샘플링 및 전송 또는 수신 다이버시티로 인해, A 행렬은 몇개의 소행렬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또는 기지국에 있는 수신기는 수신된 벡터 r을, 칩 레이트의 2배 또는 4배 등의 칩 레이트의 배수로 샘플링할 수 있다. 게다가, 전송 또는 수신 다이버시티가 사용될 수 있다. 오버 샘플링 및 전송/수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A 행렬은 오버샘플링 및 다이버시티로부터 샘플들의 각 조합에 대한 소행렬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수신기는 칩 레이트의 2배로 샘플링하여 우수 및 기수 샘플을 생성할 수 있다. 수신기는 또한 2개의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 안테나 1 및 안테나 2를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 결과, 4개의 조합, 안테나 1을 통한 우수 세트, 안테나 1을 통한 기수 세트, 안테나 2를 통한 우수 세트 및 안테나 2를 통한 기수 세트가 얻어진다. 이러한 경우, 수신된 신호는 수학식 20에 따라 모델링될 수 있다.
은 안테나 1 및 우수 샘플에 대응한다. 은 안테나 1 및 기수 샘플에 대응한다. 는 안테나 2 및 기수 샘플에 대응한다. 는 안테나 2 및 우수 샘플에 대응한다.
칩 레이트 샘플링의 m배가 사용되고 n개의 안테나가 사용되는 일반적인 경우에, A는 수학식 21에 따라 모델링될 수 있다.
A 행렬의 대역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행렬 각각은 대역폭 감소 기술 중 하나에 의해 감소된 그의 대역폭을 갖는다. A 행렬이 데이터 검출 방식에서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소행렬의 감소된 대역폭은 A 행렬의 대역폭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이하의 청구항들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변형예들은 당업자라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 검출에 대한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CDMA 통신 시스템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3은 다중 사용자 검출을 갖는 종래 기술의 CDMA 수신기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다중 사용자 검출기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선형 다중 사용자 검출기의 블록도.
도 6은 콜레스키 분해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선형 다중 사용자 검출기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선형 다중 사용자 검출기의 블록도.
도 8은 시스템 전송 응답 행렬 상단 및 하단 열 옵셋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행렬 열 인덱스 값 할당을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대체 방법의 흐름도.
도 11은 확산 인자 그룹 행렬 을 어셈블하는 단계들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AN 행렬을 어셈블하는 단계들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시스템 응답 행렬 A의 대체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k번째 리소스 유닛에 대한 시스템 응답 행렬 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k번째 리소스 유닛에 대한 첫번째 서포트 블록 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대체 시스템 응답 행렬 A를 어셈블하는 단계들을 나타낸 도면.

Claims (40)

  1. 서로 다른 확산 인자를 갖는 복수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통신은 칩들을 포함하는 관련 코드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통신의 각각의 칩에 대해, 임펄스 응답과 컨벌루션되는 그 칩의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각각의 통신에 대해, 상기 칩 벡터를 포함하는 서포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서포트 블록 내의 칩 벡터의 수는 그 통신의 확산 인자에 기초하는 것인 생성 단계,
    심볼 소행렬을 갖는 시스템 응답 행렬을 어셈블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각각의 통신으로부터의 서포트 블록을 포함하는 것인 어셈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응답 행렬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블록 내의 상기 칩 벡터의 수는 상기 시스템의 최대 확산 인자를 그 통신의 확산 인자로 나눈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 벡터는 열 벡터인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포트 블록의 칩의 높이는 최대 확산 인자의 수 + 상기 임펄스 응답의 길이 - 1인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은 제로 강제 모델(zero forcing model)을 사용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은 최소 평균 제곱 에러 해(minimum mean square error solution)를 사용하는 것인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상기 시스템 응답 행렬에서 상기 심볼 소행렬 중 다른 하나보다 낮은 최대 확산 인자의 칩들의 수인 것인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확산 인자는 16인 것인 방법.
  9. 서로 다른 확산 인자를 갖는 복수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로서,
    각각의 통신은 칩들을 포함하는 관련 코드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장비는,
    각각의 통신의 각각의 칩에 대해, 임펄스 응답과 컨벌루션되는 그 칩의 벡터를 생성하는 수단,
    각각의 통신에 대해, 상기 칩 벡터를 포함하는 서포트 블록을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서포트 블록 내의 칩 벡터의 수는 그 통신의 확산 인자에 기초하는 것인 생성 수단,
    심볼 소행렬을 갖는 시스템 응답 행렬을 어셈블하는 수단으로서,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각각의 통신으로부터의 서포트 블록을 포함하는 것인 어셈블 수단, 및
    상기 시스템 응답 행렬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블록 내의 상기 칩 벡터의 수는 상기 시스템의 최대 확산 인자를 그 통신의 확산 인자로 나눈 것인 사용자 장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칩 벡터는 열 벡터인 것인 사용자 장비.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포트 블록의 칩의 높이는 최대 확산 인자의 수 + 상기 임펄스 응답의 길이 - 1인 것인 사용자 장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 수단은 제로 강제 모델(zero forcing model)을 사용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 수단은 최소 평균 제곱 에러 해(minimum mean square error solution)를 사용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15.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상기 시스템 응답 행렬에서 상기 심볼 소행렬 중 다른 하나보다 낮은 최대 확산 인자의 칩들의 수인 것인 사용자 장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확산 인자는 16인 것인 사용자 장비.
  17. 서로 다른 확산 인자를 갖는 복수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로서,
    각각의 통신은 칩들을 포함하는 관련 코드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장비는,
    각각의 통신의 각각의 칩에 대해, 임펄스 응답과 컨벌루션되는 그 칩의 벡터를 생성하는 구성 시스템 응답 블록(construct system response block),
    각각의 통신에 대해, 상기 칩 벡터를 포함하는 서포트 블록을 생성하고 심볼 소행렬을 갖는 시스템 응답 행렬을 어셈블하는 재배열 프로세서(rearrangement processor)로서, 상기 서포트 블록 내의 칩 벡터의 수는 그 통신의 확산 인자에 기초하고,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각각의 통신으로부터의 서포트 블록을 포함하는 것인 재배열 프로세서, 및
    상기 시스템 응답 행렬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다중 사용자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블록 내의 상기 칩 벡터의 수는 상기 시스템의 최대 확산 인자를 그 통신의 확산 인자로 나눈 것인 사용자 장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칩 벡터는 열 벡터인 것인 사용자 장비.
  20. 제19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포트 블록의 칩의 높이는 최대 확산 인자의 수 + 상기 임펄스 응답의 길이 - 1인 것인 사용자 장비.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사용자 검출기는 제로 강제 모델(zero forcing model)을 사용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사용자 검출기는 최소 평균 제곱 에러 해(minimum mean square error solution)를 사용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23. 제19항에 있어서,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상기 시스템 응답 행렬에서 상기 심볼 소행렬 중 다른 하나보다 낮은 최대 확산 인자의 칩들의 수인 것인 사용자 장비.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확산 인자는 16인 것인 사용자 장비.
  25. 서로 다른 확산 인자를 갖는 복수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으로서,
    각각의 통신은 칩들을 포함하는 관련 코드를 가지며,
    상기 기지국은,
    각각의 통신의 각각의 칩에 대해, 임펄스 응답과 컨벌루션되는 그 칩의 벡터를 생성하는 수단,
    각각의 통신에 대해, 상기 칩 벡터를 포함하는 서포트 블록을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서포트 블록 내의 칩 벡터의 수는 그 통신의 확산 인자에 기초하는 것인 생성 수단,
    심볼 소행렬을 갖는 시스템 응답 행렬을 어셈블하는 수단으로서,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각각의 통신으로부터의 서포트 블록을 포함하는 것인 어셈블 수단, 및
    상기 시스템 응답 행렬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기지국.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블록 내의 상기 칩 벡터의 수는 상기 시스템의 최대 확산 인자를 그 통신의 확산 인자로 나눈 것인 기지국.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칩 벡터는 열 벡터인 것인 기지국.
  28. 제27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포트 블록의 칩의 높이는 최대 확산 인자의 수 + 상기 임펄스 응답의 길이 - 1인 것인 기지국.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 수단은 제로 강제 모델(zero forcing model)을 사용하는 것인 기지국.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 수단은 최소 평균 제곱 에러 해(minimum mean square error solution)를 사용하는 것인 기지국.
  31. 제27항에 있어서,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상기 시스템 응답 행렬에서 상기 심볼 소행렬 중 다른 하나보다 낮은 최대 확산 인자의 칩들의 수인 것인 기지국.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확산 인자는 16인 것인 기지국.
  33. 서로 다른 확산 인자를 갖는 복수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으로서,
    각각의 통신은 칩들을 포함하는 관련 코드를 가지며,
    상기 기지국은,
    각각의 통신의 각각의 칩에 대해, 임펄스 응답과 컨벌루션되는 그 칩의 벡터를 생성하는 구성 시스템 응답 블록(construct system response block),
    각각의 통신에 대해, 상기 칩 벡터를 포함하는 서포트 블록을 생성하고 심볼 소행렬을 갖는 시스템 응답 행렬을 어셈블하는 재배열 프로세서(rearrangement processor)로서, 상기 서포트 블록 내의 칩 벡터의 수는 그 통신의 확산 인자에 기초하고,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각각의 통신으로부터의 서포트 블록을 포함하는 것인 재배열 프로세서, 및
    상기 시스템 응답 행렬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다중 사용자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인 기지국.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블록 내의 상기 칩 벡터의 수는 상기 시스템의 최대 확산 인자를 그 통신의 확산 인자로 나눈 것인 기지국.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칩 벡터는 열 벡터인 것인 기지국.
  36. 제35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포트 블록의 칩의 높이는 최대 확산 인자의 수 + 상기 임펄스 응답의 길이 - 1인 것인 기지국.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사용자 검출기는 제로 강제 모델(zero forcing model)을 사용하는 것인 기지국.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사용자 검출기는 최소 평균 제곱 에러 해(minimum mean square error solution)를 사용하는 것인 기지국.
  39. 제35항에 있어서, 각각의 심볼 소행렬은 상기 시스템 응답 행렬에서 상기 심볼 소행렬 중 다른 하나보다 낮은 최대 확산 인자의 칩들의 수인 것인 기지국.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확산 인자는 16인 것인 기지국.
KR1020057017340A 2002-06-18 2003-06-11 가변 확산 인자에 대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 KR100959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74,121 2002-06-18
US10/174,121 US6714527B2 (en) 1999-09-21 2002-06-18 Multiuser detector for variable spreading facto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507A Division KR100630861B1 (ko) 2002-06-18 2003-06-11 가변 확산 인자에 대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205A true KR20050096205A (ko) 2005-10-05
KR100959325B1 KR100959325B1 (ko) 2010-05-26

Family

ID=297335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507A KR100630861B1 (ko) 2002-06-18 2003-06-11 가변 확산 인자에 대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
KR1020057017340A KR100959325B1 (ko) 2002-06-18 2003-06-11 가변 확산 인자에 대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507A KR100630861B1 (ko) 2002-06-18 2003-06-11 가변 확산 인자에 대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6714527B2 (ko)
EP (1) EP1525696B1 (ko)
JP (1) JP4083740B2 (ko)
KR (2) KR100630861B1 (ko)
CN (1) CN1663160B (ko)
AT (1) ATE335324T1 (ko)
AU (1) AU2003248665A1 (ko)
DE (1) DE60307282T2 (ko)
ES (1) ES2270098T3 (ko)
TW (3) TWI318828B (ko)
WO (1) WO200310768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7331B2 (ja) * 1999-05-20 2010-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動作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DE1214796T1 (de) * 1999-09-21 2002-11-28 Interdigital Tech Corp Mehrbenutzerdetektor für variable spreizfaktoren
US6714527B2 (en) * 1999-09-21 2004-03-30 Interdigital Techology Corporation Multiuser detector for variable spreading factors
KR100473215B1 (ko) * 1999-10-19 2005-03-1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중 사용자의 cdma 신호 검출용 수신기
FR2822568B1 (fr) * 2001-03-22 2003-06-06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Methode et dispositif d'egalisation de type gmmse
ATE283580T1 (de) * 2001-07-05 2004-12-15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Mehrbenutzerdetektion in einem mc-cdma telekommunikationssystem
EP1300977A1 (en) * 2001-10-04 2003-04-09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n MC-CDMA telecommunication system
US7218624B2 (en) * 2001-11-14 2007-05-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performing data detection using a scalar array
AU2002368040A1 (en) * 2002-06-21 2004-0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eneration of orthogonal codes
US6741653B2 (en) * 2002-07-01 2004-05-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ata detection for codes with non-uniform spreading factors
US7912999B2 (en) * 2002-07-03 2011-03-2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Buff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communication signals
CN1170389C (zh) * 2002-11-13 2004-10-0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在联合检测系统中应用长小区化码的方法
AU2003247654A1 (en) * 2003-06-25 2005-02-14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Windowed multiuser detection
US6870502B1 (en) * 2003-08-29 2005-03-22 Raytheon Company Advanced asynchronous pulse detector
US20050232340A1 (en) * 2004-04-16 2005-10-20 Lucent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antenna receiver architecture
US7599344B2 (en) 2004-06-08 2009-10-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ulti-user process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116705B2 (en) * 2004-11-08 2006-10-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processing rate of a chip-level equalization receiver
US7570689B2 (en) * 2005-02-14 2009-08-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dvanced receiver with sliding window block linear equalizer
US7733996B2 (en) 2005-05-25 2010-06-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Joint space-time optimum filters (JSTOF)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CA2515996A1 (en) * 2005-08-15 2007-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Joint space-time optimum filters (jstof)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CA2516192A1 (en) * 2005-08-15 2007-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plementation of joint space-time optimum filters (jstof) using qr and eigenvalue decompositions
CA2516124A1 (en) * 2005-08-15 2007-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plementation of joint space-time optimum filters (jstof) using singular value decompositions
CA2515997A1 (en) * 2005-08-15 2007-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plementation of joint space-time optimum filters (jstof) using qr and eigenvalue decompositions
CA2515932A1 (en) * 2005-08-15 2007-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plementation of joint space-time optimum filters (jstof) using cholesky and eigenvalue decompositions
CA2515867A1 (en) * 2005-08-15 2007-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plementation of joint space-time optimum filters (jstof) using cholesky and eigenvalue decompositions
WO2014169048A1 (en) * 2013-04-09 2014-10-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Joint precoding and multivariate backhaul compression for the downlink of cloud radio access networks
WO2018236078A1 (ko) * 2017-06-19 2018-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교 또는 비직교 부호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269765B (zh) * 2021-06-04 2022-10-28 重庆大学 可扩张卷积神经网络训练方法及ct影像分割模型构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1919A (en) * 1990-12-17 1992-09-29 Ericsson-Ge Mobile Communications Holding Inc. Cdma subtractive demodulation
US5204874A (en) * 1991-08-28 1993-04-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orthogonal co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ZA965340B (en) * 1995-06-30 1997-01-27 Interdigital Tech Corp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
EP0767543A3 (de) * 1995-10-06 2000-07-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demultiplexnachrichtenübertragung mit Interferenzunterdrückung
FI100041B (fi) * 1995-12-29 1997-08-2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signaalin ja kohinan laadun estimoimiseksi ja vastaanotin
DE19616829C1 (de) * 1996-04-26 1997-04-24 Siemens Ag System zur Funkübertragung digitaler Signale zwischen mehreren Teilnehmerstationen und einer Basisstation
US6128276A (en) * 1997-02-24 2000-10-03 Radix Wireless, Inc. Stacked-carrier discrete multiple ton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mbinations with code null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retrodirective communication and adaptive antenna arrays
BR9812816A (pt) * 1997-09-15 2000-08-08 Adaptive Telecom Inc Processos para comunicação sem fio, e para eficientemente determinar na estação base um canal espacial da unidade móvel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e, estação base de cdma
US6339612B1 (en) * 1998-02-09 2002-01-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t detection of data in a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6307867B1 (en) * 1998-05-14 2001-10-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transmission over a communications link with variable transmission rates
US6463097B1 (en) * 1998-10-16 2002-10-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ate detection in direct seque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s
DE19852571C1 (de) 1998-11-13 2000-06-21 Siemens Ag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mit CDMA-Teilnehmerseparierung und variablen Spreizfaktoren
US6775260B1 (en) 1999-02-25 2004-08-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for TDD/WCDMA systems
FR2793363B1 (fr) * 1999-05-04 2001-07-06 France Telecom Procede de detection conjointe d'un ensemble de codes cdma
JP3485498B2 (ja) 1999-06-28 2004-01-13 株式会社ケンウッド Cdma用受信装置及びそのパス探索方法
US6831944B1 (en) * 1999-09-14 2004-12-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educed computation in joint detection
DE1214796T1 (de) * 1999-09-21 2002-11-28 Interdigital Tech Corp Mehrbenutzerdetektor für variable spreizfaktoren
US6714527B2 (en) * 1999-09-21 2004-03-30 Interdigital Techology Corporation Multiuser detector for variable spreading factors
JP2001111456A (ja) 1999-10-06 2001-04-20 Nec Corp Cdma受信機及び受信方法
KR100473215B1 (ko) * 1999-10-19 2005-03-1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중 사용자의 cdma 신호 검출용 수신기
IT1314346B1 (it) 1999-12-30 2002-12-09 Telit Mobile Terminals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la generazione di codici ortogonali a fattore di spreading variabile o righe di matricidi hadamard per sistemi di
JP3424748B2 (ja) 2000-05-25 2003-07-07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受信装置およびレート整合処理方法
JP2001358613A (ja) * 2000-06-14 2001-12-26 Fujitsu Ltd Cdma受信装置
WO2002013395A2 (en) * 2000-08-04 2002-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reading factor detector
FR2825856B1 (fr) * 2001-06-06 2003-09-12 Nortel Networks Ltd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signal dans un recepteur de radiocommunication a etalement de spectre
GB0427659D0 (en) * 2004-12-17 2005-01-19 Delta T Devices Ltd Moisture content sensor and related methods
WO2007131384A1 (fr) 2006-05-12 2007-11-22 Daoben Li Procédé de codage de plusieurs adresses de temps, espace, fréquence groupé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43828B2 (en) 2008-10-28
WO2003107688A3 (en) 2004-03-04
EP1525696A2 (en) 2005-04-27
WO2003107688A2 (en) 2003-12-24
CN1663160A (zh) 2005-08-31
KR20050013580A (ko) 2005-02-04
JP2005530424A (ja) 2005-10-06
KR100959325B1 (ko) 2010-05-26
TW200401517A (en) 2004-01-16
US6714527B2 (en) 2004-03-30
TWI318828B (en) 2009-12-21
EP1525696B1 (en) 2006-08-02
EP1525696A4 (en) 2005-08-10
KR100630861B1 (ko) 2006-10-04
AU2003248665A1 (en) 2003-12-31
US20090046692A1 (en) 2009-02-19
TWI237455B (en) 2005-08-01
AU2003248665A8 (en) 2003-12-31
TW200505180A (en) 2005-02-01
DE60307282T2 (de) 2007-08-09
TW200718046A (en) 2007-05-01
US20030021249A1 (en) 2003-01-30
ATE335324T1 (de) 2006-08-15
ES2270098T3 (es) 2007-04-01
US20040165567A1 (en) 2004-08-26
CN1663160B (zh) 2013-01-02
US8116220B2 (en) 2012-02-14
TWI342680B (en) 2011-05-21
JP4083740B2 (ja) 2008-04-30
DE60307282D1 (de)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861B1 (ko) 가변 확산 인자에 대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
KR100493750B1 (ko) 가변 확산 인자용 멀티유저 검출기
US6724809B2 (en)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iver for multiuser detection of CDMA signals
TWI433483B (zh) 具接收多樣化塊組傳輸之群組式連續干擾消除
EP1513266A1 (en) Multiuser detector for variable spreading factors
CA2617242C (en) Multiuser detector for variable spreading fa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