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916A -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916A
KR20050093916A KR1020040018875A KR20040018875A KR20050093916A KR 20050093916 A KR20050093916 A KR 20050093916A KR 1020040018875 A KR1020040018875 A KR 1020040018875A KR 20040018875 A KR20040018875 A KR 20040018875A KR 20050093916 A KR20050093916 A KR 20050093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tank
gas
dissolved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5933B1 (ko
Inventor
조현준
Original Assignee
조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준 filed Critical 조현준
Priority to KR102004001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93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수조속에 기포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오존 용해수를 만들었으나 이는 오,폐수 전처리 과정때 이젝터 또는 스태틱믹서가 자주 막혀 기계고장이 잦고, 반응조내의 처리수가 와류되어 방류 농도가 불규칙하며 배오존량이 많아지는 문제점과 대용량화가 어렵고 고농도의 용해 효율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취수조(10)의 처리수에 오존가스를 믹싱하는 1차 오존 용해수 생성단계(S210); 상기 1차 오존 용해수에 오존가스를 보충 투입 믹싱하는 2차 오존 용해수 생성단계(S220); 상기 2차 오존 용해수를 미세기포로 만든 후 가압용해 반응탱크(50)에서 오존 용해율을 고농도로 높히는 미세기포 처리 및 가압용해 단계(S230); 가압용해 반응탱크(50)에서 배출되는 배오존 가스의 처리단계(S240); 2차 오존 용해수의 일부는 취수조(10)로 재순환하고, 그 나머지는 오존용해반응처리수조(90)를 거쳐 최종처리수조(100)와 1,2차 가압여과조(110a)(110b)를 반복 순환시키면서 방류하는 단계(S25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 및 처리비용이 저렴하며 고농도의 오존 용해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Method and devic for manufacturing of gas/liguid mixing ozone solution watar}
본 발명은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오존 산소 등의 기체를 처리수인 하수 또는 오,폐수속에 용해시켜서 용존율이 최대화된 고농도의 용해 효율을 얻고, 물에 잔류하는 오존과 각종 중금속과 무기물까지 걸러서 식수나 중수도로 재 활용할 수 있는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의 환경산업과 관련된 기술은 급진전하여 수처리 분야에 있어서 BOD, SS, COD 처리는 별로 문제가 없을 정도로 연구 개발되었고, 이제는 질소(T-N)와 인(T-P)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단계에서 많은 여러방법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점차 오염되어 고갈되는 수자원을 위하여 하수 또는 오,폐수도 고도처리를 하여 재사용하여야 되는 시점에 와 있고 또한 상수도의 정수처리에 있어 소독처리 문제로 수인성 전염병 예방을 위해 좀더 고도처리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하수 또는 오,폐수의 고도처리를 위한 통상의 기체 용해장치로는 공기나 순 산소 또는 오존을 다공성 산기관을 사용하여 처리수 속에 유입시키는 방식의 공기확산형 산기식 기체(오존) 용해장치와; 물을 교란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용해시키는 구조를 갖는 기계식 기체(오존) 용해장치의 두 종류로 대별된다.
즉, 오존 용해수는 강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물의 소독, 살균, 수중 오탁 물질의 분해 내지 무해화시키고, 이러한 산화반응처리는 수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예를 들면 유해한 유기물을 완전 산화하면 이산화탄소(CO₂), 물(H₂O), 질소(N₂) 가스 등으로 변화하고, 철(Fe+²)과 망간(Mn+²) 같은 수용성 금속이온을 불용성의 수산화물로서 제거할 수 있으며, BOD 및 COD도 오존에 의해 CO²나 H²O 등으로 분해되어 처리된다.
이러한 오존용해수를 만드는 장치 중 기존의 공기확산형 산기식 기체 용해장치는 용해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어서 최근에는 이를 좀 더 보완한 방식으로 이젝터(EJECTOR) 방식 또는 스태틱믹서 방식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일정한 수조속에 기포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종전의 산기방식과 달리 고농도의 용해수를 얻을 수는 있으나 오,폐수의 전처리 과정에서 이젝터 또는 스태틱믹서 부분에서 자주 막혀 기계 작동중 고장이 너무 잦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조 반응조내에서 와류되는 현상을 저지하는 장치가 없어서 불안정한 수조 속의 와류현상으로 인해 처리수 방류 농도가 불규칙하고 배오존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해 효율은 약간 더 개선하였으나 처리장치의 길이가 길어져 설치장소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고, 가압펌프 방식을 이에 접합한 방식으로 처리할 경우에는 용해 효율이 비교적 높아 고농도의 용해 효율을 낼 수는 있으나 기존의 방식만으로는 대용량화가 어렵고 용액의 안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계식 기체 용해장치는 수중 교반과 표면 교반식의 두 종류로 구분되며, 두 방식 모두 임펠러로 교반되는 수중에 공기를 유입시켜 기체와 물의 접촉 영역을 급격히 변화시킴으로서 물속에 공기 또는 가스를 용해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공기나 가스의 고농도 용해 효율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용해장치를 개량하고 추가 보완하여 향상된 성능을 발휘하도록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소 또는 기타 다른 기체의 용해도 가능하도록 개발함과 아울러 가동에 따른 고전력유지비 또는 기계유지비용 등을 절감하고 기체의 용해 효율 및 안정성을 더욱 높힐 수 있는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해 오존 용해수를 만드는 과정을 예시한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해 기/액체(이하 "기/액" 이라 칭함) 혼합 오존 용해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볼 때 본 발명은,
제1단계 : 취수조의 처리수를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과정 중 처리수에 오존가스를 투입 믹싱하여 처리수에 오존가스가 용해되게 하는 1차 기/액 혼합 오존 용해수(이하 "1차 오존 용해수" 라 칭함) 생성단계(S210);
제2단계 :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1차 기/액 용해수에 재차 오존가스를 투입하여 오존을 보충 용해하여 믹싱하는 2차 기/액 혼합 오존 용해수(이하 "2차 오존 용해수"라 칭함) 생성단계(S220);
제3단계 :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2차 오존 용해수의 기포 입자를 고속 회전하는 스크류 타입 임펠러에 의해 미세기포로 만들어 가압방식의 가압용해 반응탱크로 유입시킨 후 상기 가압용해 반응탱크의 내/외통 사이를 지그재그로 상승시켜서 2차 오존 용해수와의 접촉면적 극대화 및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고 와류현상을 안정화시켜 오존 용해율을 고농도로 높히는 미세기포 처리 및 가압용해 단계(S230);
제4단계 : 상기 가압용해 반응탱크에서 배출되는 배오존 가스를 별도 포집한 후 처리하여 대기중에 방류하는 배오존 처리단계(S240);
제5단계 : 상기 가압용해 반응탱크에서 고농도로 오존이 용해된 2차 오존 용해수의 일부는 취수조로 재순환시키고, 그 나머지 일부는 오존용해반응처리수조를 거쳐 최종처리수조와 1,2차 가압여과조를 반복 순환시키는 과정 중 방류 또는 중수재로 재 사용하는 최종 처리수 여과 및 방류 단계(S250); 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액 혼합 오존 용해수를 제조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에 의해 오존 용해수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실시된 기/액체 압출식 용해반응 시스템의 처리공정도로서, 본 발명의 기/액 혼합 압출식 처리시스템에서 취수조(10)는 용해 기체 생성을 위한 처리수가 저장되고, 그러한 취수조(10)의 처리수는 1차가압펌프(20)에 의해 라인을 따라 펌핑되어 제1이젝터(30)의 분사노즐(31)로 분사된다.
도 5a 는 상기 제1이젝터의 구조도로서, 상기 제1이젝터(30)의 탱크(32) 내에는 분사노즐(31)과 배출관(34)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탱크(32) 일측에는 오존유입구(3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32) 내에서는 처리수가 분사노즐(31)에서 배출관(34)으로 분사될 때 그 압력에 의해 오존이 믹싱되면서 1차 오존 용해수가 만들어져 배출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액 혼합압출기의 내부 구조도로서, 기/액 혼합압출기(40)의 기/액 2차혼합통(41) 일측에는 상기 제1이젝터(30)의 1차 오존 용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4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오존가스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구(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액 2차혼합통(41)과 그 하부의 케이스(45) 내에는 모터(44)에 의해 고속 회전하면서 통공(48)을 통해 기/액 2차혼합통(41)의 용해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중공축(46)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45) 하부로 노출되는 중공축(46) 끝단에는 토출공(49)이 있는 스크류 타입의 임펠러(47)가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47)를 포함한 중공축(46)과 케이스(45)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가압용해 반응탱크(50)의 내통(51)에 진입된 상태로 조립된다.
그러므로 제1이젝터(30)에서 분출되어 유입되는 1차 오존 용해수는 가압용해 반응탱크(50)의 내통(51)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언제나 기/액 혼합압출기(40)의 기/액 2차혼합통(41)으로 먼저 유입되며, 그 때 기체유입구(43)를 통해 유입되는 오존가스가 재차 보충 믹싱되면서 상기 제2단계의 2차 오존 용해수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액 혼합압출기(40)의 임펠러(47)가 고속 회전하면 그 하단은 진공상태가 되므로 기/액 2차혼합통(41)에서 생성된 2차 오존 용해수는 중공축(46)을 통해 고속 회전하는 스크류 타입 임펠러(47)에 의해 다시 한번 기포 입자가 잘게 미세기포로 부수어지면서 가압용해 반응탱크(5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시스템 중 가압용해 반응탱크의 내부 구조도로서, 가압용해 반응탱크(50)는 내/외통(51)(52) 사이의 양쪽으로 다수의 경사판(53a)(53b)이 아래를 향해 서로 지그재그로 대향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제2이젝터(60)의 배오존 유입구(63)와 연결되는 배오존 배기관(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용해 반응탱크(50) 내에서는 오존 용해수와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면서 오존의 용해속도가 더 빨라지게 되고, 고농도로 용해되는데다 가압용해 반응탱크(50)가 또한 가압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때의 오존 용해수의 오존 농도는 약 10~15mg/ℓ의 고농도로 용해 반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기존의 용해방식에서 처럼 스태틱믹서를 통해 가스의 용존율을 증가시키는 방법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훨씬 더 개선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외통(51)(52) 사이에서 하향으로 지그재그 설치된 경사판(53a)(53b)은 기/액 혼합압출기(40)로부터 내통(51) 속으로 압출된 오존 용해수가 내/외통(51)(52) 사이를 통해 상승될 때 그 오존 용해수의 와류현상을 안정되게 가라 앉히며, 또한 기/액 혼합압출기(40)가 작동중에는 스태틱믹서와 같은 작용을 하는데 상기 가압용해 반응탱크(50)의 경사판(53a)(53b)을 따라 연속 순환을 하게 되어 더욱 고농도의 용해율을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경사판(53a)(53b)은 도 3 에서와 같이 오존 용해수의 흐름을 화살표 방향을 따라 갈지자로 오르내리게 하면서 오존의 접촉 체류시간을 대폭적으로 연장시켜 주고, 기체의 용해 반응 접촉시간을 길게 하여 난류를 층류로 변화시키고 안정화시켜 준다, 따라서, 종래 스태틱믹서의 용해효과 보다 몇배의 용해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오존 용해수의 흐름이 안정되고 고농도로 기체가 액체속에 용해된다.
도 5b 는 본 발명의 제2이젝터의 내부 구조도로서, 탱크(62) 일측에 배오존 유입구(63)가 형성된 상기 제2이젝터(60)는 2차가압펌프(70)로 취수조(10)의 처리수가 분사노즐(61)에서 배출관(64)으로 분사될 때 상기 배오존 유입구(63)를 통해 유입되는 배오존이 혼합 믹싱된 상태에서 취수조(10) 내의 배오존 포집조(80)로 포집된 후 배오존 처리기(81)에서 처리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되게 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에도 불구하고 가압용해 반응탱크(50) 내에서 용해되지 않았거나 불완전하게 용해된 기체(오존)는 용해액에서 분리된 후 상부의 배오존 배기관(55)을 통해 제2이젝터(60)의 배오존 유입구(63)로 보내져서 취수조(10) 내의 배오존 포집조(80)로 포집된 다음 불완전 용해의 기체는 배오존 처리기(81)에서 처리된 후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가압용해 반응탱크(50)에서 처리된 오존 용해수의 배출라인 중 일단은 오존용해반응 처리수조(90)와 연결되고 배출라인의 타단은 취수조(10)와 연결되어 재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존용해반응 처리수조(90)에서 넘친 오존 용해수는 그 다음 처리조인 최종처리수조(100)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최종처리수조(100)에는 가압여과펌프(111)를 통해 공급되는 오존 용해수를 차례로 가압여과시키는 제1,제2 가압여과탱크(110a)(110b)가 설치되며, 제2가압여과탱크(110b)를 통과한 오존 용해수는 최종처리수조(100)로 재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가압여과탱크(110a)는 모래, 제오라이트, 세라믹입자 여재를 조합한 여과조로 구성하고, 제2가압여과탱크(110b)는 AC 필터 여과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같이 하면 오존 용해수가 제1,제2 가압여과탱크(110a)(110b)를 차례로 거칠 때 잔류 오존이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됨과 아울러 완전한 정수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색도, 병원균, 기타 이물질까지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여과처리된 최종 처리수는 최종처리수조(100)로 재순환되는 과정을 반복하다가 필요시 방류 또는 중수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오존 용해수 제조장치는 기존의 다른 처리장치와 달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 상기 가압용해 반응탱크(50)에서 생성된 2차 오존 용해수가 취수조로의 재순환이 이루어진다.
둘째 : 가압여과탱크(110a)(110b)에서 여과된 최종처리수의 반복된 재순환이 이루어진다.
세째 : 경사판 안정화법의 특수 공법을 사용함으로써 타 방법에 비하여 훨씬 강력하고 고농도의 가스 용해수를 제조하여 좀 더 확실하고 안정된 처리수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기체 용해수는 중수도 또는 음료수 등 재 사용수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용해된 기체에 따라 여러 산업분야에 활용될 수 있고, 오존 용해수는 상하수의 최종처리, 수산물, 야어장, 축산, 농업, 의료, 반도체광학, 살균 소독, 색도 및 냄새 제거 등 다방면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이젝터에서 취수조의 처리수를 통과시킬 때 기체와 액체의 주입이 동시에 되고 그러한 이젝터에서 처리수에 오존을 혼합시켜 1차로 기/액 용해반응이 되게 한 것을 기/액 혼합압출기에서 2차로 좀 더 강력한 용해가 되게 하는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가 저렴하고 공정이 간편하여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노즐을 수중으로 유입하는 처리구조 또는 종래의 기계형 기체 용해방식은 캐비네이션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효율적인 용해를 위해서는 차폐판의 설치가 필수적이므로 전체 공정이 복잡해지고 설치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을 해결하고, 가스와 액체의 주입이 별개로 되어 1차 혼합만 되는 종래 방식에 비해 기/액 용해 효율을 대폭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액 혼합압출기의 하단 압출구로 오존 용해수가 압출될 때 고속회전하는 스크류 타입의 임펠러에 의해 압출되는 오존 용해수는 아주 작은 미세기포로 분산되므로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용존효율을 높힐 수 있고, 기/액 혼합압출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다 보면 물의 와류가 심해지지만 본 발명은 지그 재그 설치된 경사판이 물을 층류로 형성하고 안정시켜 주므로 고농도의 가스 용해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해 오존 용해수를 만드는 과정을 예시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이 실시된 기/액체 압출식 용해반응 시스템의 처리공정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시스템 중 가압용해 반응탱크의 내부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액 혼합압출기의 내부 구조도
도 5a 는 본 발명의 제1이젝터의 내부 구조도
도 5b 는 본 발명의 제2이젝터의 내부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제1이젝터 31 : 분사노즐
32 : 탱크 33 : 오존 유입구
40 : 기/액 혼합압출기 41 : 기/액 2차혼합통
43 : 기체유입구 46 : 중공축
47 : 임펠러 50 : 가압용해 반응탱크
53a,53b: 경사판 55 : 배오존 배기관
60 : 제2이젝터 63 : 배오존 유입구
80 : 배오존 포집조 81 : 배오존 처리기
90 : 오존용해반응 처리수조 100 : 최종처리수조
110a,110b: 제1,제2 가압여과탱크

Claims (5)

  1. 취수조(10)의 처리수에 오존을 혼합하여 오존 용해수를 제조함에 있어서,
    취수조(10)의 처리수를 펌핑 순환시키는 과정 중 오존가스를 투입 믹싱하여 처리수에 오존가스가 1차 용해되게 하는 1차 오존 용해수 생성단계(S210)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1차 오존 용해수에 재차 오존가스를 보충 투입믹싱하여 오존을 2차 용해하는 2차 오존 용해수 생성단계(S220)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2차 오존 용해수의 기포 입자를 잘게 미세기포로 만들어 가압방식의 가압용해 반응탱크(50) 내로 유입시킨 후 가압용해 반응탱크(50)의 내/외통(51)(52) 사이를 지그재그로 상승시켜서 접촉면적 극대화와 체류시간 연장 및 와류현상 안정화로 오존 용해율을 고농도로 높히는 미세기포 처리 및 가압용해 단계(S230)와;
    상기 가압용해 반응탱크(50)에서 배출되는 배오존 가스를 별도 포집한 후 처리하여 대기중에 방류하는 배오존 처리단계(S240)와;
    고농도로 오존이 용해된 2차 오존 용해수의 일부는 취수조(10)로 재순환시키고, 그 나머지는 오존용해반응처리수조를 거쳐 최종처리수조(100)와 1,2차 가압여과조(110a)(110b)를 반복 순환시키는 과정 중 방류 또는 중수재로 재 사용하는 최종 처리수 여과 및 방류단계(S25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방법.
  2. 취수조(10)의 처리수에 오존가스를 혼합하여 오존 용해수를 제조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분사노즐(31)과 배출관(34)을 탱크(32) 내에서 이격되게 설치하고, 탱크(32) 일측에는 오존유입구(33)를 형성하며, 상기 분사노즐(31)과 취수조(10) 사이에 1차가압펌프(20)를 설치하여 1차 오존 용해수를 만들어 배출하는 제1이젝터(30)와;
    상기 제1이젝터(30)의 1차 오존 용해수가 공급되는 유입구(42)와 오존가스용 기체유입구(43)가 형성된 기/액 2차혼합통(41) 내에서 2차 오존 용해수를 만든 후 압출수단에 의해 외부로 압출하는 기/액 혼합압출기(40)와;
    상기 기/액 혼합압출기(40)로부터 2차 오존 용해수를 받은 후 가압수단에 의해 오존이 고농도로 용해되게 하고, 상부에는 배오존 배기관(55)이 형성되며, 처리된 오존 용해수의 배출라인 일부는 오존용해반응 처리수조(90)와 연결되고 배출라인의 타단은 취수조(10)와 연결되어 재순환되게 하는 가압용해 반응탱크(50)와;
    분사노즐(61)과 배출관(64)을 탱크(62) 내에서 이격시켜 설치하고, 탱크(62) 일측에는 배오존 배기관(55)과 연결된 배오존 유입구(63)를 형성하며, 상기 분사노즐(61)과 취수조(10) 사이에 2차가압펌프(70)를 설치하여 배오존 용해수를 배출하는 제2이젝터(60)와;
    상기 제2이젝터(60)에서 공급되는 배오존 용해수를 취수조(10)내의 배오존 포집조(80)로 포집하여 처리한 후 대기중에 방출하는 배오존 처리기(81)와;
    상기 오존용해반응 처리수조(90)를 통해 유입되는 최종처리수조(100)의 오존 용해수를 가압여과펌프(111)로 공급받아 가압 여과시킨 후 최종처리수조(100)로 다시 재순환시키는 제1,제2 가압여과탱크(110a)(110b);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혼합압출기(40)의 압출수단으로, 상기 기/액 2차혼합통(41) 하부의 케이스(45) 내에는 모터(44)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중공축 (46)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45) 하부로 노출되는 중공축(46) 끝단에는 중공축 (46)을 통해 공급되는 2차 오존 용해수를 고속 회전하면서 배출하도록 스크류 타입의 임펠러(47)가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47)를 포함한 중공축(46)과 케이스(45)가 가압용해 반응탱크(50)의 내통(51) 내에 조립되어 2차 오존 용해수가 내통(51)으로 압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용해 반응탱크(50)의 가압수단으로, 가압용해 반응탱크(50)의 내/외통(51)(52) 사이 양쪽 벽면에 다수의 경사판(53a)(53b)을 아래를 향해 서로 지그재그 대향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하여 기/액 혼합압출기(40)에서 내통(51) 하부로 공급되는 2차 오존 용해수가 상기 경사판(53a)(53b)을 따라 지그재그로 상승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여과탱크(110a)는, 모래와 제오라이트 및 세라믹입자 여재를 조합한 여과조로 구성하고, 제2가압여과탱크(110b)는 AC 필터 여과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KR1020040018875A 2004-03-19 2004-03-19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KR100545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75A KR100545933B1 (ko) 2004-03-19 2004-03-19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75A KR100545933B1 (ko) 2004-03-19 2004-03-19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669U Division KR200354665Y1 (ko) 2004-03-19 2004-03-19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916A true KR20050093916A (ko) 2005-09-23
KR100545933B1 KR100545933B1 (ko) 2006-01-25

Family

ID=3727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875A KR100545933B1 (ko) 2004-03-19 2004-03-19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93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27B1 (ko) * 2006-01-18 2007-03-16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용존산소량 증대용 배수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0791860B1 (ko) * 2007-10-15 2008-01-07 우진나노케미칼주식회사 오존수 제조장치
KR100856504B1 (ko) * 2007-05-30 2008-09-04 동아정밀공업(주) 저농도 고압력을 이용한 다단방식의 폐수 처리장치
KR100872968B1 (ko) * 2008-04-01 2008-12-08 김철옥 브라운 가스를 이용한 미세기포 함유 산소수소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898810B1 (ko) * 2008-11-11 2009-05-22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하천 악취제거 및 수질개선을 위한 다중기액접촉장치가 적용된 하천수 정화 및 재활용시스템
WO2014014159A1 (ko) * 2012-07-17 2014-01-23 진우통상(주)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1380346B1 (ko) * 2012-03-06 2014-04-02 노정기 수처리장치
KR101467084B1 (ko) * 2013-03-28 2014-12-01 이엽신 질소 가스를 이용한 공구 냉각 장치 및 공구 냉각 방법
CN115140855A (zh) * 2022-07-19 2022-10-04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大型水库移动式水体增氧设备
KR102539757B1 (ko) * 2022-04-15 2023-06-02 이근형 기체 용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018B1 (ko) 2008-01-29 2010-05-14 (주)국 제 앤 텍 미세오존가속증폭장치와 광촉매를 활용한 수영장 수질을개선한 중수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27B1 (ko) * 2006-01-18 2007-03-16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용존산소량 증대용 배수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0856504B1 (ko) * 2007-05-30 2008-09-04 동아정밀공업(주) 저농도 고압력을 이용한 다단방식의 폐수 처리장치
KR100791860B1 (ko) * 2007-10-15 2008-01-07 우진나노케미칼주식회사 오존수 제조장치
KR100872968B1 (ko) * 2008-04-01 2008-12-08 김철옥 브라운 가스를 이용한 미세기포 함유 산소수소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898810B1 (ko) * 2008-11-11 2009-05-22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하천 악취제거 및 수질개선을 위한 다중기액접촉장치가 적용된 하천수 정화 및 재활용시스템
KR101380346B1 (ko) * 2012-03-06 2014-04-02 노정기 수처리장치
WO2014014159A1 (ko) * 2012-07-17 2014-01-23 진우통상(주)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1467084B1 (ko) * 2013-03-28 2014-12-01 이엽신 질소 가스를 이용한 공구 냉각 장치 및 공구 냉각 방법
KR102539757B1 (ko) * 2022-04-15 2023-06-02 이근형 기체 용해 장치
CN115140855A (zh) * 2022-07-19 2022-10-04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大型水库移动式水体增氧设备
CN115140855B (zh) * 2022-07-19 2023-07-28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大型水库移动式水体增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933B1 (ko)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8245Y1 (ko) 오수 처리를 위한 순산소 포기장치
US3650950A (en) Material shearing mixer and aerator
JP5752608B2 (ja) 廃液を洗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545933B1 (ko)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WO2009116711A2 (en)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bubbles
US6315893B1 (en) Gas/liquid mixer with degasifier
KR100843656B1 (ko) 2단 침지형 막여과조를 이용한 고도정수처리장치
KR200354665Y1 (ko) 기/액체 혼합 오존 용해수의 제조장치
KR20010056230A (ko) 일체식 타워형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08866B1 (ko) 재순환식 오존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순환식 오존수처리방법
JP3575047B2 (ja) 排水の処理方法
JP2005218955A (ja) 気液接触装置
JP2004313847A (ja) 気液溶解装置、これを用いた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方法
KR100500374B1 (ko) 진공펌프를 이용한 고농도 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JP2005270886A (ja) 産業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20070937A (ko) 오존접촉식 폐수처리장치
CN207072838U (zh) 一种废水深度处理装置
KR100418362B1 (ko)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 시스템 및그 방법
JP2002126480A (ja) オゾン水処理装置
JP2001121168A (ja) 水処理装置
JPH08299971A (ja) 分離注入式オゾン接触方法
KR100377481B1 (ko) 오존을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CN212651618U (zh) 一种VOCs新型多效净化装置
KR200358463Y1 (ko) 기체가 용해된 용해수 제조용 혼합 토출기
JP2001191085A (ja) 発生期状態の酸素による水質及び気質浄化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