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909A -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909A
KR20050093909A KR1020040018855A KR20040018855A KR20050093909A KR 20050093909 A KR20050093909 A KR 20050093909A KR 1020040018855 A KR1020040018855 A KR 1020040018855A KR 20040018855 A KR20040018855 A KR 20040018855A KR 20050093909 A KR20050093909 A KR 20050093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composite
building
fl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황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황광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Priority to KR102004001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3909A/ko
Publication of KR2005009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9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자중을 줄일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하며, 충분한 내하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부로 이루어진 기본부재와; 상기 기본부재가 좌우에 끼워지도록 상하와 좌우로 날개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직사각형 중공부로 이루어진 연결부재와; 상기 기본부재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일측면 상하간에 날개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직사각형 중공부로 이루어진 측면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조립방법은 연결부재의 좌우에 기본부재를 접착제를 도포 삽입하여 일정한 길이의 단위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구조체의 측면에는 측면부재를 접착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삽입하여 단위구조체와 측면부재를 연결하여 합성구조 플로어를 조립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The composite floor for construction, and the method of making it}
본 발명은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학적으로 비강도와 비강성이 높고, 큰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내하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 데크플레이트는 요철이 형성된 강재판으로 이루어진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합성 데크플레이트는 바닥판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데크플레이트가 부담하며,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된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 콘크리트는 통상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내에 압축철근을 배근한 후, 상기 압축철근이 콘크리트의 압축력을 분담하도록 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합성 데크플레이트는 압축측의 보강을 위하여 압축철근을 배근하므로, 철근배근에 따라 작업량과 소요자재가 늘어나게 되어 공사비 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내에 압축철근을 배근하지 않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단면을 증가시켜야 되므로, 공사비의 증가 및 자증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전체적으로 자중을 줄일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하며, 충분한 내하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부로 이루어진 기본부재와; 상기 기본부재가 좌우에 끼워지도록 상하와 좌우로 날개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직사각형 중공부로 이루어진 연결부재와; 상기 기본부재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일측면 상하간에 날개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직사각형 중공부로 이루어진 측면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조립방법은 연결부재의 좌우에 기본부재를 접착제를 도포 삽입하여 일정한 길이의 단위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구조체의 측면에는 측면부재를 접착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삽입하여 단위구조체와 측면부재를 연결하여 합성구조 플로어를 조립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좌측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기본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우측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a, 8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부(14)로 이루어진 기본부재(10)와; 상기 기본부재(10)가 좌우에 끼워지도록 상하와 좌우로 날개부(22)가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직사각형 중공부(24)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0)와; 상기 기본부재(10)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일측면 상하간에 날개부(32)가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직사각형 중공부(34)로 이루어진 측면부재(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부재(10)는 사각형 파이프이며, 그 외의 연결부재(20)와 측면부재(30)는 에폭시, 폴리에스터르, 비닐에스터르, 페놀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유리섬유, 탄소섬유 중의 어느 하나를 함침시켜 형성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는 크게 기본부재(10)와 연결부재(20) 및 측면부재(3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조립방법은 연결부재(20)의 좌우에 기본부재(10)를 접착제를 도포 삽입하여 일정한 길이의 단위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구조체의 측면에는 측면부재(30)를 접착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삽입하여 단위구조체와 측면부재(30)를 연결하여 합성구조 플로어(D)를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구조 플로어(D)의 표면이음부위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방수처리하는 단계를 추가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조립방법은 먼저, 기본부재(10)와 연결부재(20)를 이용하여 2∼3인이 직접 운반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단위구조체를 조립하고, 이 단위구조체의 측면에 측면부재(30)를 삽입하여 합성구조 플로어(D)를 마감 처리한다.
따라서, 상기한 작업순서로 원하는 크기의 합성구조 플로어(D)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한 합성구조 플로어(D)의 조립을 위한 단위구조체의 조립은 기본부재(10)와 연결부재(20) 그리고 측면부재(30)를 이용하여 압축력에 의한 구조계산으로 결정된 단위구조체로서, 합성구조 플로어(D)의 크기만큼 연결부재(20)와 측면부재(30)를 인발성형으로 연결부재(20)와 측면부재(30)를 각각 공장 조립하여 현장에서 최소의 작업인원으로 합성구조 플로어(D)의 폭과 길이만큼 합성구조 플로어(D)를 만들어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해 나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본부재(10)는 사각형 일반 파이프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와 측면부재(30)는 인발성형으로 제조한 복합재료 부재이며, 상기 연결부재(20)와 측면부재(30)를 조립하기 위한 인발성형은 일반적으로, 길고 곧으며 단면적이 일정한 구조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방법이다.
그리고, 각 단위구조체의 연결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키면 된다.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합성구조 플로어(D)가 완성되면 표면이음부위에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포 처리함으로써 완전구조체가 되어 방수처리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조립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은 FRP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연결부재(20)와 측면부재(30)를 조립한 구조형식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강성과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방향으로만 강성과 강도를 높여서 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20)와 측면부재(30)는 에폭시, 폴리에스터르, 비닐에스터르, 그리고 페놀 기지에 유리섬유, 탄소섬유를 함침시켜 제조된 것으로 가공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정형가공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와 측면부재(30)는 비등방성 물질이므로 섬유방향으로 가장 높은 강성과 강도를 나타내므로 하중이 나아가는 방향으로는 탄성계수가 큰 섬유를 배치하고,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탄성계수가 작은 섬유를 배치하는 직교 이방성 구조체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섬유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도 배치하여 최적의 방향이 되도록 하여, 역학적인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는 기본부재(10)와 연결부재(20) 및 측면부재(30)를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일정한 강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비강도와 비강성이 높기 때문에 자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축력에 대해서도 충분히 안전하게 내하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방식성이 높고 역학적으로 매우 유리한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부식에 강해 내환경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원하는 방향으로 강성과 강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필요한 방향으로 강성과 강도를 높임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로 조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좌측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기본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우측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a, 8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본부재 12 : 중공부
20 : 연결부재 22 : 날개부
24 : 중공부 30 : 측면부재
32 : 날개부 34 : 중공부
D : 합성구조 플로어

Claims (4)

  1.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부(14)로 이루어진 기본부재(10)와;
    상기 기본부재(10)가 좌우에 끼워지도록 상하와 좌우로 날개부(22)가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직사각형 중공부(24)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0)와;
    상기 기본부재(10)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일측면 상하간에 날개부(32)가 형성됨과 동시에 속이 빈 직사각형 중공부(34)로 이루어진 측면부재(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와 측면부재(30)는 에폭시, 폴리에스터르, 비닐에스터르, 페놀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유리섬유, 탄소섬유 중의 어느 하나를 함침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3. 연결부재(20)의 좌우에 기본부재(10)를 접착제를 도포 삽입하여 일정한 길이의 단위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구조체의 측면에는 측면부재(30)를 접착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삽입하여 단위구조체와 측면부재를 연결하여 합성구조 플로어(D)를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조립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구조 플로어의 표면이음부위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방수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조립방법.
KR1020040018855A 2004-03-19 2004-03-19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 KR20050093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55A KR20050093909A (ko) 2004-03-19 2004-03-19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55A KR20050093909A (ko) 2004-03-19 2004-03-19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664U Division KR200352243Y1 (ko) 2004-03-19 2004-03-19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909A true KR20050093909A (ko) 2005-09-23

Family

ID=3727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855A KR20050093909A (ko) 2004-03-19 2004-03-19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39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9165B2 (en) Self supportive panel system
US8245470B2 (en) Wood-concrete-composite systems
KR100699394B1 (ko) Frp 지붕재, 그의 제조 방법,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
US6591567B2 (en) Lightweight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modular panel
US20060272111A1 (en) Fiber reinforced plastics bearing deck module having integrated shear connector and concrete composite bearing deck using the same
KR200386579Y1 (ko) 고강도 초경량 패널
WO2014112629A1 (ja) フロアパネル
CA2443021A1 (en) Structural foam
US6735916B2 (en)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EP2360325B1 (en) A reinforced composite panel
KR19990014015A (ko) 보강판에 의해 보강된 금속 셸을 가지는 구조용 부재
KR200352243Y1 (ko)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KR20050093909A (ko) 건축용 합성구조 플로어 및 그의 조립방법
JP3958450B2 (ja) 木材の接続構造
KR200186899Y1 (ko) 거푸집
KR100454787B1 (ko) 콘크리트 거푸집널
EP2554756B1 (en) A panel and a method for building panels
KR100568903B1 (ko) 하이브리드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를구비한 복합형 바닥판
KR101189024B1 (ko) 보강부가 구비된 코어 및 이 코어를 이용한 섬유보강플라스틱재로 된 상판모듈
KR20210096727A (ko) 경량 석재데크
JP2008230032A (ja) 構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52326Y2 (ko)
KR101242267B1 (ko)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건축구조용 부재
KR101040656B1 (ko) 콘크리트보에 frp가 분사된 합성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2769949B2 (ja) 石膏系床板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