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462A -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462A
KR20050093462A KR1020040018924A KR20040018924A KR20050093462A KR 20050093462 A KR20050093462 A KR 20050093462A KR 1020040018924 A KR1020040018924 A KR 1020040018924A KR 20040018924 A KR20040018924 A KR 20040018924A KR 20050093462 A KR20050093462 A KR 20050093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device
data
web server
receiv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772B1 (ko
Inventor
황인성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7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 H03M13/6547TCP, UDP, IP and associated protocols, e.g.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망, 웹서버, 감시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접속된 상기 통신 단말기에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 장치를 선택된 감시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지에 있는 감시 장치에 접속하기 위하여 감시 장치의 URL을 직접 입력할 필요없이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감시 장치 목록에서 감시 장치를 선택하여 접속하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Monitoring Device and Receiving Data via Web Server}
본 발명은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로 웹서버에 접속하면 웹서버에서 감시 장치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감시 장치가 설치된 지역, 데이터의 종류 및 전송 속도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제공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감시 장치를 선택하여 접속하고,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서 수신할 수 있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가 발달하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가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기존의 유선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이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고,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의 단점을 보완해 주고 있다.
그리고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Internet)이 확립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고,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무선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또는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또는 이미지(Image)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상에서 특정 서버로부터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송받는 형태뿐만 아니라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통신 단말기와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 형태의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서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비스는 통신 단말기 상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감시 장치의 URL을 직접 입력하여 접속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통신 단말기가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원격지에 위치한 감시 장치의 URL을 알아야 하고, 통신 단말기에 URL을 직접 입력하여 접속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여러 개의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감시 장치에 접속할 때마다 감시 장치의 URL을 입력해야 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환경의 인터페이스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웹서버에서 감시 장치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감시 장치가 설치된 지역, 데이터의 종류 및 전송 속도 등의 정보를 준비하여 감시 장치 선택 메뉴로 구성한 후에, 통신 단말기에서 웹서버에 접속하면 접속할 감시 장치의 URL을 직접 입력할 필요없이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를 선택하고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타 수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통신망, 웹서버, 감시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접속된 상기 통신 단말기에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 장치를 선택된 감시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서버, 통신망, 웹서버, 감시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접속된 상기 통신 단말기에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 장치를 선택된 감시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MMS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선택 메뉴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를 선택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가진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의 수신을 중계하는 웹서버;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선택되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감시 장치; 및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수신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100), 통신망(110,130), 웹서버(120), 감시 장치(140) 및 수신 장치(15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통신망(110)에 연결되어, 웹서버(120)에 접속을 요청하고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전송받아 감시 장치(140)를 선택하며, 데이타 수신을 위한 제어 명령을 감시 장치(14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 각종 유무선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이동 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웹서버(120)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의 무선 인터넷 접속용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웹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및 I-mode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무선 접속망(160)을 통하여 통신망(110)에 연결되는데, 무선 접속망(16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한다. 무선 접속망(160)은 기지국 전송기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망(16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망 및 향후 구현될 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으나 후술할 감시 장치(140) 또는 수신 장치(150)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구성요소인 경우도 무선 접속망(160)을 통하여 통신망(13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130)은 TCP/IP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 또는 모뎀을 이용한 공중 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의 유무선 전화망을 말하며, 통신 단말기(100), 웹서버(120), 감시 장치(140) 및/또는 수신 장치(150)간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한다. 전술한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의 전송은 TCP/IP 방식에 의한 전송, X.25 방식에 의한 전송 및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 방식에 의한 전송 등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120)는 통신망(110,130)에 연결되어, 통신 단말기(100)의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감시 장치(14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가진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하고 데이터 수신을 중계한다. 웹서버(120)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구축된 웹사이트 또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구축된 웹사이트를 운용할 수 있다.
웹서버(120)는 내부 구성요소로서 메뉴 서버(121) 및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122) 등을 포함한다. 그 세부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서버(121)는 통신 단말기(100)에 감시 장치(140)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감시 장치가 설치된 지역, 데이터의 종류 및 전송 속도 등의 정보를 포함한 감시 장치의 목록을 감시 장치 선택 메뉴로 구성하여 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또한 감시 장치(14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며, 감시 장치(14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감시 장치(140)에 전송한다.
여기서, 감시 장치(140)란 감시 장치(140)에 포함된 촬상 수단 또는 음성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통신망(130)을 통해 전송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통신망(130)과 연결된 비디오 카메라, 녹음기 등을 포함한다. 감시 장치(140)의 상태 정보는 현재 감시 장치(140)에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는지 여부,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의 압축률 및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생성시 데이터의 비트 속도(Bit Rate) 등의 감시 장치(14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한다. 감시 장치(140)에 대한 제어 명령은 감시 장치(140)의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장치(150)로 전송하는 명령,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생성시 압축 데이터의 압축률 조정,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명령 등 감시 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122)는, 감시 장치(140)에 대한 제어 명령이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메뉴 서버(121)를 거쳐서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122)로 입력되면,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인코딩하여 감시 장치(140)로 전송하고, 감시 장치(140)의 상태 정보가 감시 장치(140)에서 인코딩되어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122)로 입력되면 인코딩된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메뉴 서버(121)로 전달한다.
여기서 프로토콜은 접속된 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오류를 최소화함으로써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규약을 말한다. 통신 규약에는 RS-232C와 같이 하드웨어 접속에 관한 하위 수준에서부터 사용자 프로그램의 제어에 관한 응용 수준에 이르기까지 여러 수준과 여러 종류의 규약이 있고, 전술한 TCP/IP는 인터넷용으로 개발되어 기본으로 사용되는 통신 규약이다. 후술할 본 발명의 응용 프로토콜은 상위 수준의 프로토콜에 해당하며, 감시 장치(140)의 상태 정보와 제어 명령을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140)는 웹서버(120)에서 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한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선택되면, 통신망(130)을 통해 수신 장치(150)와 접속하고 통신 단말기(100)에서 웹서버(120)를 통해 전송한 제어 명령에 의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타를 생성하여 수신 장치(150)로 데이타를 전송하게 된다. 감시 장치(140)는 내부 구성요소로서 영상 또는 음성 입력 모듈(141),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모듈(142), 데이터 송수신 모듈(143),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144) 및 제어 모듈(145) 등을 포함한다. 그 세부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또는 음성 입력 모듈(141)은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음성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음성을 녹음하여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촬상 수단은 캠코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음성 입력 수단은 마이크나 디지털 녹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수단은 감광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광학적 영상을 전기적 영상 신호로 바꾸고, 음성 입력 수단은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음성을 전기적 음성 신호로 바꾼 후에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적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디지털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모듈(142)은 대용량의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하여 적은 양의 데이터로 만들어 데이터 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모듈(142) 및 후술할 영상 또는 음성 복원 모듈(152)에서 사용하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의 압축 코덱은 MPEG 4, H.26L, Wavelet 방식, MDA,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및 H.2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모듈(143)은 유무선 인터넷망 및/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구성된 통신망(110,130)을 이용하여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감시 장치(140)의 상태 정보 및 감시 장치(140)에 대한 제어 명령 등을 송수신한다. 데이터 송수신 모듈(143)은 랜카드,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및 무선랜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144)는 감시 장치(140)의 상태 정보를 인코딩하여 웹서버(120)로 전송하고, 감시 장치(140)에 대한 제어 명령이 웹서버(120)의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122)에서 인코딩되어 입력되면 인코딩된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제어 모듈(145)로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45)은 감시 장치(14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영상 또는 음성 입력 모듈(141)에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고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모듈(142)에서 이 신호를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로 압축하여 데이터 송수신 모듈(143)에서 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150)로 전송하도록 감시 장치(140)를 제어한다. 또한 감시 장치(140)의 상태 정보를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144)를 통해 인코딩하여 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웹서버(120)에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모듈(145)은 중앙처리장치(CPU)의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150)는 감시 장치(140)에서 생성한 데이타를 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재생하게 된다. 수신 장치(150)는 내부 구성요소로서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모듈(151), 영상 또는 음성 복원 모듈(152) 및 데이터 송수신 모듈(153) 등을 포함한다. 그 세부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모듈(153)은 유무선 인터넷망 및/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구성된 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데이터 송수신 모듈(143)은 전술한 랜카드, ADSL 모뎀 및 무선랜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또는 음성 복원 모듈(152)은 데이터 처리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하였던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술한 압축 코덱을 사용하여 압축 전의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로 복원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모듈(153)은 전술한 영상 또는 음성 입력 모듈(141)과 반대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디지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적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바꾼 후에 영상 또는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영상 또는 음성을 재생하게 된다. 여기서 영상 출력 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음성 출력 수단은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신 장치(150)는 통신 단말기(100)의 영상 표시 또는 음성 출력 장치로서 통신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이거나 또는 통신 단말기(100)와 독립적인 장치로 존재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영상 표시 장치나 음성 출력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내장된 영상 표시 장치 또는 음성 출력 장치에서 감시 장치(140)에서 수신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100)와는 별도로 외부에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또는 음성 출력 장치에서 수신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수신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200), 통신망(210, 230), 웹서버(220), 감시 장치(240) 및 수신 장치(250) 등을 포함하고 추가로 MMS 서버(260)을 포함한다.
여기서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는 3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기본 요소로서 정지 영상, 음악, 음성 및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를 말한다. 2세대의 SMS(Short Messaging Service)의 뒤를 이은 MMS는 기존의 미디어 형식 메시지들과 멀티미디어 형식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서비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들 간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자메일처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 통신망(210, 230), 웹서버(220) 및 무선 접속망(27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240)는 내부 구성요소로서 영상 또는 음성 입력 모듈(241),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모듈(242), 데이터 송수신 모듈(244),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245) 및 제어 모듈(246) 등을 포함하고 추가로 MMS 모듈(243)을 포함한다.
여기서, MMS 모듈(243)은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모듈(242)에서 압축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MMS 메시지로 바꾸고 데이터 송수신 모듈(244)에 전달한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 모듈(244)은 감시 장치(240)에서 생성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MMS 메시지의 형태로 통신망(230)에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250)는 내부 구성요소로서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모듈(251), 영상 또는 음성 복원 모듈(252) 및 데이터 송수신 모듈(254) 등을 포함하고 추가로 MMS 모듈(253)을 포함한다.
여기서, MMS 모듈(253)은 감시 장치(240)의 데이터 송수신 모듈(244)에서 MMS 서버(260)를 경유하여 전송한 MMS 메시지에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영상 또는 음성 복원 모듈(251)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MMS 서버(260)는 전자 메일 서버처럼 감시 장치(240)에서 생성된 MMS 메시지가 수신 장치(250)에 전송되도록 중계해주는 서버이다. MMS 메시지는 수신자의 주소 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 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이 정보를 MMS 서버에서 분석하여 해당하는 수신 장치(250)에 MMS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서는 MMS모듈(243, 253) 및 MMS 서버를 추가하여, 감시 장치(240)에서 생성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MMS 메시지로 바꾸어서 전자 메일처럼 수신 장치(25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응용 프로토콜로서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이용하는 경우에 감시 장치의 제어 명령 및 상태 정보 명령어를 나타낸 도표이다.
여기서, SDP는 블루투스 장비를 위해 제공되는 프로토콜로서 블루투스 환경에서 서비스를 검색하고 서비스 특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RF(Radio Frequency) 기반의 동적인 서비스 환경에 적합한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명령어 중 Video Capture Sending 명령을 내린 경우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살펴본다.
통신 단말기(200)에서 Video Capture Sending 명령을 관련 파라미터(Parameter)를 10초로 정하여 메뉴 서버(221)를 거쳐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222)로 전달하면, 이 명령을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감시 장치(240)로 전송한다. 감시 장치(240)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244)로 인코딩된 제어 명령을 받은 후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245)에서 디코딩하여 제어 모듈(246)로 전달한다. 제어 모듈(246)은 Video Capture Sending 명령에 따라 영상 또는 음성 입력 모듈(241)에서 10초 동안 아날로그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은 후 디지털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모듈(242)에서 압축한 후에 MMS 모듈(243)에서 MMS 메시지로 바꾸어 데이타 송수신 모듈(244)을 통해 MMS 서버(260)로 전송하게 된다. MMS 서버(260)는 감시 장치(240)에서 생성된 MMS 메시지를 전송받아 수신 장치(250)와 관련된 수신자의 주소와 같은 식별 번호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수신 장치(250)에 M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수신 장치(250)에서는 데이타 송수신 모듈(254)에서 MMS 메시지를 수신하고 MMS 모듈(253)은 MMS 메시지에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며 영상 또는 음성 복원 모듈(252)은 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압축 전의 데이터로 복원한 후에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모듈(251)로 전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즉, 제어 명령에 따라 수신 장치(250)에서는 감시 장치(240)에서 10초 동안 생성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100)로 웹서버(120)에 접속을 요청하면(S400), 웹서버(120)에서 본 발명의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02). 여기서 가입자 확인은 일반적으로 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거나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 번호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정당한 가입자인지 여부가 확인되면, 웹서버(120)의 메뉴 서버(121)에서는 통신 단말기(100)에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전송한다(S404). 통신 단말기(100)는 전송된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140)를 선택하는데(S406), 감시 장치(140)의 번호를 입력하거나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는 마우스 포인터 등을 이용하여 감시 장치(140)의 아이콘(Icon)을 클릭(Click)하여 선택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140)를 선택하면 수신 장치(150)와 선택된 감시 장치(140)가 접속하게 된다(S408). 접속된 감시 장치(140)에서는 감시 장치(140)의 상태 정보를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웹서버(120)에 전송하며 웹서버(120)에서 이를 디코딩하여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410). 접속한 감시 장치(14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면, 통신 단말기(100)에서 감시 장치 제어 명령을 웹서버(120)에 전송하고 웹서버(120)에서 이를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후 감시 장치(140)에 전송하며 감시 장치(140)는 이를 디코딩하여 제어 모듈(145)에 전달한다(S412). 제어 모듈(145)에 전달된 제어 명령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장치(150)에 전송하는 명령인 경우, 감시 장치(140)에서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망(130)을 통해 수신 장치(150)로 전송하게 된다(S414). 수신 장치(150)에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수신 장치(150)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모듈(151)에서 실시간으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S416). 그동안 감시 장치(140)에서는 S410 단계로 돌아가 감시 장치(140)의 상태 정보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며, 통신 단말기(100)에서는 다른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감시 장치(140) 및 수신 장치(15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500에서 S512까지의 단계는 S400에서 S412까지의 단계와 동일하고, 제어 모듈(246)에 전달된 제어 명령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타를 수신 장치(250)에 전송하는 명령인 경우, 감시 장치(240)에서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MMS 메시지로 바꾸고 MMS 서버(260)를 경유하여 수신 장치(250)로 전송하게 된다(S514). 수신 장치(250)는 MMS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MMS 메시지에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수신 장치(250)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모듈(251)에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S516). 그동안 감시 장치(240)에서는 도 4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S510 단계로 돌아가 감시 장치(240)의 상태 정보를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며, 통신 단말기(200)에서는 다른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감시 장치(240) 및 수신 장치(250)를 조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단말기에서 감시 장치에 접속하기 위하여 감시 장치의 URL을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이 웹서버에서 제공되는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를 선택하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감시 장치 선택 메뉴는 감시 장치의 URL, 감시 장치가 설치된 지역, 데이터의 종류 및 전송 속도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정보를 미리 살펴보고 원하는 감시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응용 프로토콜로서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이용하는 경우에 감시 장치의 제어 명령 및 상태 정보 명령어를 나타낸 도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통신 단말기 110, 130, 210, 230 : 통신망
120, 220 : 웹서버 121, 221 : 메뉴 서버
122, 144, 222, 245 :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
140, 240 : 감시 장치 141, 241 : 영상 또는 음성 입력 모듈
142, 242 :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모듈
143, 153, 244, 254 : 데이터 송수신 모듈
145, 246 : 제어 모듈 150, 250 : 수신 장치
151, 251 :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모듈
152, 252 : 영상 또는 음성 복원 모듈
160, 270 : 무선 접속망 243, 253 : MMS 모듈
260 : MMS 서버

Claims (26)

  1. 통신망, 웹서버, 감시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접속된 상기 통신 단말기에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 장치를 선택된 감시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2.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서버, 통신망, 웹서버, 감시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접속된 상기 통신 단말기에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 장치를 선택된 감시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MMS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웹서버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2) 상기 웹서버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웹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정당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a3) 상기 (a2) 단계에서 정당한 가입자로 확인되면, 접속 승인 신호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는 접속할 수 있는 감시 장치의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목록은 감시 장치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감시 장치가 설치된 지역, 데이터의 종류 및 전송 속도를 포함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접속할 감시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제공하는 상기 선택된 감시 장치의 URL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감시 장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응용 프로토콜(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감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고 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감시 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감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고 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감시 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MMS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토콜은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방법.
  10.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선택 메뉴에서 접속할 감시 장치를 선택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가진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의 수신을 중계하는 웹서버;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에서 선택되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감시 장치; 및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을 중계하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서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유무선 인터넷망 및/또는 이동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 상기 감시 장치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감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감시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감시 장치에 송신하는 메뉴 서버;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거나 상기 감시 장치의 상태 정보를 가진 인코딩된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아날로그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또는 음성 입력 모듈;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는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모듈;
    상기 감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거나 상기 감시 장치에 대한 인코딩된 제어 명령를 디코딩하는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 또는 마이크 모듈, 상기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모듈, 상기 응용 프로토콜 해석기,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장치에서 생성된 영상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에서 입력받은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압축 되기 전의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로 복원하는 영상 또는 음성 복원 모듈; 및
    상기 복원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는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로 바꾸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에 전달하는 MMS 모듈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에서 전달된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에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복원 모듈에 전달하는 MMS 모듈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구성요소이거나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독립적인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기지국 전송기와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한 무선 접속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EV-DO폰, EV-DV(Data and Voice)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에는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의 무선 인터넷 접속용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및 I-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2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구축된 웹사이트 또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구축된 웹사이트를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2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이용한 상기 전송은 TCP/IP 방식에 의한 전송, X.25 방식에 의한 전송 및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 방식에 의한 전송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25.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압축 및 영상 또는 음성 복원 모듈에서 사용하는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의 압축 코덱은 MPEG 4, H.26L, Wavelet 방식, MDA,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및 H.26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접속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2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통신망에서 데이타를 송수신 하기 위한 랜카드,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및 무선랜카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데이터 수신 시스템.
KR1020040018924A 2004-03-19 2004-03-19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의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924A KR100627772B1 (ko) 2004-03-19 2004-03-19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의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924A KR100627772B1 (ko) 2004-03-19 2004-03-19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의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462A true KR20050093462A (ko) 2005-09-23
KR100627772B1 KR100627772B1 (ko) 2006-09-25

Family

ID=3727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924A KR100627772B1 (ko) 2004-03-19 2004-03-19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의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772B1 (ko)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19B1 (ko) * 2005-03-02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KR100726602B1 (ko) * 2006-01-20 2007-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장애 감시 장치
KR101399746B1 (ko) * 2012-02-29 2014-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N―스크린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06942B1 (ko) * 2011-11-02 2014-06-19 엄대용 영상전송률이 우수한 단말기 실시간 중계 시스템
KR20200056360A (ko) 2020-04-29 2020-05-22 김용원 자전거바퀴(회전자)와 바퀴덮개(고정자)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56359A (ko) 2020-04-29 2020-05-22 김용원 퀵보드 등 승용기구바퀴(회전자)에 설치되는 바퀴덮개(고정자)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56361A (ko) 2020-05-04 2020-05-22 김용원 발판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8A (ko) 2020-05-07 2020-05-29 김용원 수상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9A (ko) 2020-05-08 2020-05-29 김용원 헬스차량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7A (ko) 2020-05-06 2020-05-29 김용원 자전거와 리어 캐리어에 설치하는 발전장치들
KR20200061324A (ko) 2020-05-11 2020-06-02 김용원 보트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2092A (ko) 2020-05-11 2020-06-03 김용원 수차와 공기 컴프레서를 이용한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 발전기를 합한 발전기
KR20200068614A (ko) 2020-05-26 2020-06-15 김용원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공기, 물 컨디션너 조절장치 내에 설치한 발전기
KR20200083393A (ko) 2020-06-16 2020-07-08 김용원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를 합한 발전기"를 "발열소자를 이용한 발전기"와 적용 양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를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와 결합 장착한 드론
KR20200088241A (ko) 2020-06-30 2020-07-22 김용원 역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의 추진에 맞는 관성을 이기는 팬이 없는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를 장착한 드론
KR20200108392A (ko) 2020-08-31 2020-09-18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 모터의 정격에 맞는 오토바이바퀴에 회전자와 물받이 고정자 발전기를 설치한 오토바이에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Propulsor)와 장착한 드론의 프로퓰러(Propullor)를 장착하는 제조기술)
KR20210018367A (ko) 2021-01-26 2021-02-17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에 설치한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와 장착한 프로퓰러(Propullor)로 구성한 오토에어크라프트(Autoaircraft)
KR20210029730A (ko) 2021-02-22 2021-03-16 김용원 산사태에 대비, 대응하는 에어 레이어들 블록들이 형성된 거대장비들(에어 레이어들 블록들)
CN112543221A (zh) * 2020-10-30 2021-03-23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支持远程语音下达和实时监听的平调系统实现方法
KR20210040852A (ko) 2021-03-24 2021-04-14 김용원 전동에어버스
KR20210043513A (ko) 2021-03-26 2021-04-21 김용원 전동에어버스에 설치하는 연기(분연), 재 포집장치
KR20210045369A (ko) 2021-03-31 2021-04-26 김용원 전기 에어 카
KR20210049046A (ko) 2021-04-13 2021-05-04 김용원 전기에어버스를 강풍, 태풍에 구조하는 보조날개와 보조출입문 장치
KR20210055643A (ko) 2021-04-27 2021-05-17 김용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 다량의 회전자바퀴와 다량의 고정자바퀴발전기를 설치한 전동보드
KR20210072739A (ko) 2021-05-27 2021-06-17 김용원 의료용 전동보드
KR20210080293A (ko) 2021-06-11 2021-06-30 김용원 바퀴 사이 발전기 케이스
KR20220016234A (ko) 2022-01-14 2022-02-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를 장착한 3륜 자전거
KR20220038026A (ko) 2022-02-24 2022-03-25 김용원 4합 공기터빈 : 공기터빈 축에 1. 인너 팬들의 인너 실린더와 2. 아웃터 팬들의 아웃터 실린더와 3. 양쪽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에 덕트팬들과 덕트흡입구와 4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의 3. 덕트팬들에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외부 형틀
KR20220056159A (ko) 2022-04-04 2022-05-04 김용원 물탱크 내의 스팀집 슈퍼히터에 전력공급한 스팀공급으로 스팀터빈을 구동하는 것과 슈퍼히터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청소기에 발전기들을 설치하는 것과 공기터빈의 흡입구들의 공기필터들 설치와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온 공기배출과 얼음제조기 시스템
KR20220056835A (ko) 2022-04-18 2022-05-06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여러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수상 자전거
KR20220076421A (ko) 2022-05-11 2022-06-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페달자전차
KR20220080053A (ko) 2022-05-27 2022-06-14 김용원 다중 에어 레이어 튜브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8348A (zh) * 2016-08-31 2017-03-08 西南大学 无线Mic软件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19B1 (ko) * 2005-03-02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KR100726602B1 (ko) * 2006-01-20 2007-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장애 감시 장치
KR101406942B1 (ko) * 2011-11-02 2014-06-19 엄대용 영상전송률이 우수한 단말기 실시간 중계 시스템
KR101399746B1 (ko) * 2012-02-29 2014-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N―스크린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56360A (ko) 2020-04-29 2020-05-22 김용원 자전거바퀴(회전자)와 바퀴덮개(고정자)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56359A (ko) 2020-04-29 2020-05-22 김용원 퀵보드 등 승용기구바퀴(회전자)에 설치되는 바퀴덮개(고정자)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56361A (ko) 2020-05-04 2020-05-22 김용원 발판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7A (ko) 2020-05-06 2020-05-29 김용원 자전거와 리어 캐리어에 설치하는 발전장치들
KR20200060308A (ko) 2020-05-07 2020-05-29 김용원 수상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9A (ko) 2020-05-08 2020-05-29 김용원 헬스차량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1324A (ko) 2020-05-11 2020-06-02 김용원 보트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2092A (ko) 2020-05-11 2020-06-03 김용원 수차와 공기 컴프레서를 이용한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 발전기를 합한 발전기
KR20200068614A (ko) 2020-05-26 2020-06-15 김용원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공기, 물 컨디션너 조절장치 내에 설치한 발전기
KR20200083393A (ko) 2020-06-16 2020-07-08 김용원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를 합한 발전기"를 "발열소자를 이용한 발전기"와 적용 양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를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와 결합 장착한 드론
KR20200088241A (ko) 2020-06-30 2020-07-22 김용원 역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의 추진에 맞는 관성을 이기는 팬이 없는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를 장착한 드론
KR20200108392A (ko) 2020-08-31 2020-09-18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 모터의 정격에 맞는 오토바이바퀴에 회전자와 물받이 고정자 발전기를 설치한 오토바이에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Propulsor)와 장착한 드론의 프로퓰러(Propullor)를 장착하는 제조기술)
CN112543221A (zh) * 2020-10-30 2021-03-23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支持远程语音下达和实时监听的平调系统实现方法
CN112543221B (zh) * 2020-10-30 2023-10-17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支持远程语音下达和实时监听的平调系统实现方法
KR20210018367A (ko) 2021-01-26 2021-02-17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에 설치한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와 장착한 프로퓰러(Propullor)로 구성한 오토에어크라프트(Autoaircraft)
KR20210029730A (ko) 2021-02-22 2021-03-16 김용원 산사태에 대비, 대응하는 에어 레이어들 블록들이 형성된 거대장비들(에어 레이어들 블록들)
KR20210040852A (ko) 2021-03-24 2021-04-14 김용원 전동에어버스
KR20210043513A (ko) 2021-03-26 2021-04-21 김용원 전동에어버스에 설치하는 연기(분연), 재 포집장치
KR20210045369A (ko) 2021-03-31 2021-04-26 김용원 전기 에어 카
KR20210049046A (ko) 2021-04-13 2021-05-04 김용원 전기에어버스를 강풍, 태풍에 구조하는 보조날개와 보조출입문 장치
KR20210055643A (ko) 2021-04-27 2021-05-17 김용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 다량의 회전자바퀴와 다량의 고정자바퀴발전기를 설치한 전동보드
KR20210072739A (ko) 2021-05-27 2021-06-17 김용원 의료용 전동보드
KR20210080293A (ko) 2021-06-11 2021-06-30 김용원 바퀴 사이 발전기 케이스
KR20220016234A (ko) 2022-01-14 2022-02-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를 장착한 3륜 자전거
KR20220038026A (ko) 2022-02-24 2022-03-25 김용원 4합 공기터빈 : 공기터빈 축에 1. 인너 팬들의 인너 실린더와 2. 아웃터 팬들의 아웃터 실린더와 3. 양쪽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에 덕트팬들과 덕트흡입구와 4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의 3. 덕트팬들에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외부 형틀
KR20220056159A (ko) 2022-04-04 2022-05-04 김용원 물탱크 내의 스팀집 슈퍼히터에 전력공급한 스팀공급으로 스팀터빈을 구동하는 것과 슈퍼히터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청소기에 발전기들을 설치하는 것과 공기터빈의 흡입구들의 공기필터들 설치와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온 공기배출과 얼음제조기 시스템
KR20220056835A (ko) 2022-04-18 2022-05-06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여러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수상 자전거
KR20220076421A (ko) 2022-05-11 2022-06-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페달자전차
KR20220080053A (ko) 2022-05-27 2022-06-14 김용원 다중 에어 레이어 튜브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772B1 (ko)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772B1 (ko)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의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7219163B2 (en) Method and system that tailors format of transmission to suit client capabilities and link characteristics
US8611362B2 (en) Personalized multimedia services using a mobile service platform
JP5121705B2 (ja) 移動通信端末機を用いてアプリケーション状態を格納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7505782B2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DMA communication network
KR20090020421A (ko) 무선 영상 전화 단말간의 선호 영상 규격을 결정하는 방법및 장치
US201001518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message
KR101755433B1 (ko) 화질 개선이 가능한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영상 통화 장치
KR100703421B1 (ko) 트랜스코딩을 이용한 동영상메일 통신장치 및 방법
JP200435709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757260B2 (en) Method of multi-tasking in mobile terminal
JPWO2007034550A1 (ja) 動画像配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77292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서버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CN101166279A (zh) 使用视频呼叫的内容传输方法和设备
JP4354456B2 (ja) 送信した低品質a/vデータに対応する高品質a/vデータの送信
KR100573174B1 (ko) VoIP 링백톤을 이용한 통화중 배경음악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1059077B1 (ko) 유비쿼터스 통신에서 동영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655554B1 (ko) 유니버설 멀티미디어 액세스 시스템
KR101570240B1 (ko) 전자 메일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382421B1 (ko) 이동단말기에서 연속 동영상 재생 방법
KR100805056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05906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점의 오디오/비디오시스템으로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3071A (ko)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한 영상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316926A (ja) 通信中継装置
KR100562130B1 (ko) 인터넷 문서 재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