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309A -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309A
KR20050092309A KR20040017457A KR20040017457A KR20050092309A KR 20050092309 A KR20050092309 A KR 20050092309A KR 20040017457 A KR20040017457 A KR 20040017457A KR 20040017457 A KR20040017457 A KR 20040017457A KR 20050092309 A KR20050092309 A KR 20050092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ssage
called terminal
terminal
vo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1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2681B1 (ko
Inventor
권혁훈
박태욱
함희혁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1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6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681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발신단말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고,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착신단말로 전송시 착신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전화를 받는 동작만으로도 발신자가 전송하는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단말이 착신단말로 발신을 수행하면 착신단말의 착신가능 상태를 판단하고, 착신단말이 착신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발신단말의 현재 호를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환하며, 호가 전환된 후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고, 착신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착신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착신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착신단말이 응답하면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상기 착신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발신자는 통화 불능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으며, 착신자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전화를 받는 동작만으로도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
본 발명은 착신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전화를 받는 동작만으로도 발신자가 전송하는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1980년대 후반부터 서비스되기 시작한 아날로그 셀룰러 방식의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에서 제공하는 낮은 품질의 음성 통화 위주의 제 1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로부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제 2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는 디지털 셀룰러 방식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에서 제공하는 향상된 음성 통화 및 저속(14.4 Kbps)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였다. 또한, 제 2.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는 GHz대의 주파수 확보와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가 개발되어 향상된 음성 통화 및 저속(144 Kbps)이지만 데이터 서비스도 가능하게 되었으며, 제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 사서함을 통하여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데, 발신단말이 착신단말로의 호 접속시 착신단말이 접속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호를 음성 사서함으로 접속시키고 발신단말을 통해 음성을 녹음하게 함으로써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였다.
그리고 착신단말이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되면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착신단말로 전송하고, 착신단말은 소정의 접속 절차를 통하여 음성 사서함으로 접속함으로써 착신 사용자는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에서 착신자 단말은 음성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음성 사서함으로 별도의 호 접속을 수행해야만 착신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어 사용이 불편하였으며, 착신단말에는 음성 사서함 접속을 위한 별도의 통신요금이 부과되었다. 또한 착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발신자는 확인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착신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전화를 받는 동작만으로도 발신자가 전송하는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이동교환기 및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간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단말 중 발신단말이 착신단말로 발신 중 통화불능상태일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 전환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과 호를 설정하고,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착신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여 착신단말이 응답하면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은, 이동교환기 및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음성 메시지 서버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발신단말이 착신단말로 발신을 수행하면 착신단말의 착신가능 상태를 판단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착신단말이 착신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발신단말의 현재 호를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환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호가 전환된 후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는 3단계, 상기 착신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상기 착신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착신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에서 상기 착신단말이 응답하면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상기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에서 발신되는 음성메시지를 착신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발신단말(10)이 착신단말(20)로 발신을 수행하면(S1), 이동통신망(30)은 착신단말(20)의 착신가능상태를 판단하고 호 연결 불능상태일 경우(S2), 현재 발신단말(10)의 호를 음성 메시지 서버(40)로 전환한다(S3).
이에 따라 발신단말(10)은 음성 메시지 서버(40)에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고(S4), 음성 메시지 서버(40)는 착신단말(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S5). 모니터링 결과 착신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호 연결을 수행하고(S6), 연결이 되면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착신단말(20)로 전송한다(S7).
이에 따라서 착신단말(20)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없이 전화를 받는 것 만으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상세한 구성 및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100 및 2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하 'BTS'라 칭함)(210 및 220)과, 상기 BTS(210 및 220)를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이하 'BSC'라 칭함)(230)와, 상기 BSC(230)와 접속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240)와, 상기 BSC(230)와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 통신을 서비스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이하 'PDSN'이라 칭함)(260)를 포함하고, 상기 PDSN(260)에는 데이터 코어망(이하 'DCN'이라 칭함)(270)이 접속되고, 상기 DCN(27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인 음성 메시지 서버(이하 'VIMS'라 칭함)(400)가 접속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메시지서버(VIMS)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 메시지 서버(400)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하여 발신단말과 접속하고, 상기 발신단말이 전송하는 음성신호를 녹음하여 음성 메시지로 설정한다. 그리고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착신단말 정보에 따라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착신단말로 전송하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VIMS(400)는 전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10)와, 이동통신망(300)과 접속하기 위한 망접속부(420)와, 접속한 이동통신단말로 음성안내를 수행하기 위한 ARS제공부(431) 및 음성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ARS 데이터베이스(432)와,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42)에 저장/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부(441)와, ARS제공부(431)를 통한 음성 안내에 따라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하는 음성 메시지 녹음부(450)와, 상기 음성 메시지 녹음부(450)를 통해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462)에 저장하거나 상기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462)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와,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300)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SMS제어부(47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VIMS(400)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망 접속부(420)를 통하여 수신/녹음하여 착신단말로 전송한다.
발신단말(100)이 착신단말(200)로 발신을 수행하면, 이동통신망(300)은 착신단말로 호를 연결하는데, 착신단말(200)이 호 연결을 할 수 없는 상태(예를 들어 착신단말 전원꺼짐, 무응답, 통화중 등의 상태)일 경우 이동통신망(300)은 발신단말의 호를 VIMS(400)로 전환한다.
VIM(400)는 상기 호가 전환되면 ARS제공부(431)를 통해 ARS데이터베이스(432)에 저장된 음성 안내를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발신단말로 음성 메시지를 위한 음성안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발신단말 사용자는 상기 ARS 제공부(431)로부터의 음성안내에 따라 음성 녹음 메뉴를 선택하고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은 발신단말을 통해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VIMS(400)로 전달되고, VIMS(400)의 ARS제공부(431)는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음성 메시지 녹음부(450)로 전달한다.
음성 메시지 녹음부(450)는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음성을 녹음하고,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462)에 저장한다.
음성 녹음 후 발신단말은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 즉 착신단말의 이동전화번호를 전송하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는 상기 착신번호를 녹음된 음성 메시지에 매칭한다. 이때 발신번호정보를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에 매칭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것이다.
이후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하여 착신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예를 들어 HLR 또는 MSC를 통해 착신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착신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이면, 이동통신망(300)으로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착신단말,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200)에 대한 호 접속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서 이동통신망(300)의 MSC(240)는 상기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200), 즉 착신단말에 대한 호를 접속하기 위하여 HLR(250)를 통해 착신단말의 경로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경로정보에 따라 MSC(240)는 착신단말로 호 접속을 요청한다. 상기 MSC(240)는 호 접속 요청시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를 착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발신자 정보표시에 따라 발신번호를 착신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착신단말은 MSC(240)로부터의 호 접속 요청에 따라 소정의 벨소리를 출력한다. 이때 착신단말은 현재의 호가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발신번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착신단말이 호 접속 요청에 응답하면, 그 응답에 따라 VIMS(4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462)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착신단말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착신단말은 상기 VIMS(4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착신단말의 사용자는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한편, VIMS(400)는 상기 음성 메시지의 데이터를 착신단말로 데이터 푸시방법으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는 이동통신망(300)으로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착신단말로 데이터 푸시 요청을 수행하고,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데이터푸시 요청에 따라 음성 메시지 데이터를 착신단말로 푸시한다. 착신단말은 음성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표시부에 음성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전술한 음성 메시지 전달 동작에서 착신단말이 전원 꺼짐, 무응답, 통화중 등과 같이 음성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없는 상태에 있을 경우 VIMS(400)는 이동통신망, 예를 들어 HLR 또는 MSC등을 통해 착신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되면 음성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VIMS(400)는 음성 메시지 전달 상황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SMS제어부(470)를 통해 생성하고, 발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과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발신단말(100)이 착신단말(200)로의 발신을 수행하며(S10), 발신MSC는 상기 발신요청에 따라 HLR(250)로 상기 착신단말(200)에 대한 경로요청을 수행한다(S21).
HLR(250)은 상기 단계 S21에서의 경로요청에 따라 해당 착신MSC로 경로정보를 요청하고(S22), 착신MSC는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HLR(250)로 전송한다(S23). 이에 HLR(250)은 상기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를 발신MSC로 전송한다(S24).
발신MSC는 상기 HLR(250)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에 따라서 착신단말(200)이 착신불능 상태, 예를 들어 전원꺼짐, 통화중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0). 이때 착신단말이 착신불능 상태라고 판단되면 현재 호를 VIMS(400)로 전환한다(S40).
그러나, 단계 S30에서 착신불능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발신 MSC는 경로정보에 따라 착신 MSC로 호 설정을 수행하고(S31), 착신 MSC는 착신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한다(S32). 그리고 착신단말이 페이징에 응답하는 지를 판단한다(S33). 단계 S33에서 착신단말(200)이 응답을 하게 되면 발신단말(100)과 착신단말(200) 간에는 통화로가 개설되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S34).
그러나, 단계 S33에서 착신단말(200)이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는다면, 즉 착신단말이 무응답이면 착신 MSC는 현재 호를 VIMS(400)로 전환한다(S35).
또한 상기 단계S35 또는 단계 S40에서 호 전환이 이루어지면, 발신단말(100)과 VIMS(400)간의 호 설정이 이루어진다(S50).
상기 단계 S50에서의 호 설정에 따라 VIMS(400)의 ARS제공부(431)는 ARS데이터베이스(432)에 저장된 음성 안내를 위한 데이터를 추출(S61)하고 발신단말(100)로 음성안내를 수행한다(S62).
이에 따라 발신단말 사용자는 상기 ARS 제공부(431)로부터의 음성안내에 따라 음성 녹음 메뉴를 선택하고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은 발신단말을 통해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VIMS(400)로 전달되고(S71), VIMS(400)의 ARS제공부(431)는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음성 메시지 녹음부(450)로 전달한다.
음성 메시지 녹음부(450)는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음성을 녹음하고,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462)에 저장한다(S72).
음성 녹음 후 발신단말(100)은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 즉 착신단말(200)의 이동전화번호를 전송(S81)하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는 상기 착신번호를 녹음된 음성 메시지에 매칭하여 음성 메시지를 생성한다(S82). 이때 착신번호는 호 전환을 수행한 MSC로부터 제공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발신번호 정보를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에 매칭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는 착신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HLR(250)로 착신단말(200)의 경로정보를 요청한다(S91). HLR(250)은 상기 경로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교환기, 즉 착신MSC로 경로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다(S92). 그리고 HLR(250)은 수신된 경로정보를 VIMS(400)로 전송한다(S93).
VIMS(4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는 상기 단계 S93에서 수신한 경로정보에 따라서 해당 착신단말(200)이 착신가능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00). 본 실시에서 VIMS(400)는 HLR(250)을 통해 착신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지만, MSC또는 이동통신망의 다른 구성을 통해서도 착신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 착신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해당 착신 MSC로 착신단말(200)로의 착신을 요청한다(S111). 이에 따라서 착신MSC는 착신단말(200)로 페이징을 수행한다(S112). 이때 상기 착신MSC는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로부터의 전송정보에 따라서 페이징시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를 착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발신자 정보표시에 따라 발신번호를 착신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착신단말(200)이 상기 페이징에 응답하면(S113), VIMS(400)와 착신단말(200)간 호 설정이 이루어지고(S120), VIMS(4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462)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착신단말(200)로 전송한다(S130).
이에 따라서 착신단말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없이 전화를 받는 것 만으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단계 S112에서 착신단말이 무응답일 경우 VIMS(400)는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이 경과 후 페이징을 재차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과 방법에 의하면, 발신자는 통화 불능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으며, 착신자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전화를 받는 동작만으로도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으며, 음성 메시지 서버가 직접 착신단말로 호를 설정하여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므로 착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반드시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메시지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과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200:이동통신단말 300:이동통신망
400:음성메시지서버 410:제어부
420:망접속부 431:ARS제공부
432:ARS데이터베이스 441:사용자관리부
442:사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 450:음성메시지 녹음부
461:음성 메시지 관리부 462: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이동교환기 및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간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단말 중 발신단말이 착신단말로 발신 중 통화불능상태일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 전환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과 호를 설정하고,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착신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여 착신단말이 응답하면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는 전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기 위한 망접속부와,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부와, 호 설정이 된 발신단말로 음성안내를 수행하기 위한 ARS제공부 및 음성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ARS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ARS제공부를 통한 음성안내에 따라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하는 음성 메시지 녹음부와, 상기 녹음된 음성을 통하여 음성메시지를 생성하여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관리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착신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여 착신단말이 응답하면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는 음성 메시지 전송시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 또는 발신단말의 발신번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은 착신단말로의 페이징시 상기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 또는 발신번호를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는 착신단말로의 음성 메시지 전송 불가 사유가 발생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착신단말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호 접속 가능 상태가 되면 음성 메시지 전송을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는 상기 페이징에 따라 착신단말이 응답하면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는 상기 페이징에 따라 착신단말이 응답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경과 후 페이징을 재 수행하고 착신단말이 응답하면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7. 이동교환기 및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음성 메시지 서버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발신단말이 착신단말로 발신을 수행하면 착신단말의 착신가능 상태를 판단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착신단말이 착신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발신단말의 현재 호를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환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호가 전환된 후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는 3단계,
    상기 착신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상기 착신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착신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에서 상기 착신단말이 응답하면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상기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착신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의 호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착신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징에 상기 착신단말이 응답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단말이 응답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발신단말의 현재 호를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환하고 상기 3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는 페이징시 현재 페이징이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 또는 발신단말의 발신번호를 선택적으로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 착신단말이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이 경과 후 상기 5단계를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17457A 2004-03-15 2004-03-15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1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7457A KR100612681B1 (ko) 2004-03-15 2004-03-15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7457A KR100612681B1 (ko) 2004-03-15 2004-03-15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309A true KR20050092309A (ko) 2005-09-21
KR100612681B1 KR100612681B1 (ko) 2006-08-14

Family

ID=3727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17457A KR100612681B1 (ko) 2004-03-15 2004-03-15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26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453B1 (ko) * 2005-10-31 2007-01-04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음성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75187B1 (ko) * 2005-10-04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급 통화 방법
KR100784217B1 (ko) * 2006-05-17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51588B1 (ko) * 2006-04-07 2008-08-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메시지 사서함 서버에 저장된 메시지 제공방법 및 이를위한 미디어 전달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187B1 (ko) * 2005-10-04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급 통화 방법
KR100665453B1 (ko) * 2005-10-31 2007-01-04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음성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51588B1 (ko) * 2006-04-07 2008-08-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메시지 사서함 서버에 저장된 메시지 제공방법 및 이를위한 미디어 전달 서버
KR100784217B1 (ko) * 2006-05-17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2681B1 (ko) 2006-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496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JP2007519347A (ja) 音声情報の到着を確実にする方法とシステム
KR100612681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1365173A (zh) 一种当前使用号码通知方法、系统和号码通知服务器
KR20030073627A (ko) 휴대전화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706899B1 (ko) 가입자 기반 복수 링백톤 서비스 방법
JP4763037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0683169B1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2659B1 (ko) 착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링백톤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0612680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6544617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12692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00173A (ko) 발신자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12686B1 (ko) 웹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로의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방법
KR100565822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안내 링백톤 제공 방법
KR100525523B1 (ko) 이동통신망의 음성 쪽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28139A (ko) 컬러링 음원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51627B1 (ko) 음원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음원 푸시 장치
KR100710137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 내용 전송 방법
KR100478919B1 (ko) 음성 사서함을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유아 놀이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11818B1 (ko) 음성 대화 저장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54261A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23290A (ko)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JPH10336743A (ja) 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