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993A -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993A
KR20050091993A KR1020047015317A KR20047015317A KR20050091993A KR 20050091993 A KR20050091993 A KR 20050091993A KR 1020047015317 A KR1020047015317 A KR 1020047015317A KR 20047015317 A KR20047015317 A KR 20047015317A KR 20050091993 A KR20050091993 A KR 20050091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mote controller
operation panel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862B1 (ko
Inventor
히로시 가꾸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6Viruses; Subviral particles; Bacteri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45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04Screening or testing of compounds for diagnosis of disorders, assessment of conditions, e.g. renal clearance, gastric emptying, testing for diabetes, allergy, rheuma, pancreas fun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08C19/28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using pulse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제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351)를 경유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정보로서, 퍼스널 컴퓨터(351)와, 무선 LAN을 개재하여 접속되는 텔레비전 수상기(21), 및 퍼스널 컴퓨터(31)의 어드레스 정보가, 퍼스널 컴퓨터(351)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제공된다. 리모트 컨트롤러(1)와 텔레비전 수상기(21), 리모트 컨트롤러(1)와 퍼스널 컴퓨터(31)의 사이에서는, 퍼스널 컴퓨터(351)를 경유하여, 각종의 정보가 송수신되고,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이들 디바이스가 제어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의해, 각종의 AV 기기, 가전 제품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CONTROL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레코더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레코드 등의, 새로운 카테고리의 AV(Audio Visual) 기기 등이 보급되어 있다. 이들 기기에는 통상, 각각의 기기에 리모트 컨트롤러가 부속되어 있기 때문에, 새롭게 기기를 구입할 때마다, 가정 내에 어떤 리모트 컨트롤러의 수가 늘어나게 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가정에는 텔레비전 수상기, VTR(Video Tape Recorder), 혹은 오디오 기기 등의 리모트 컨트롤러가 이미 존재한다. 또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재생 기능이나 음악 재생 기능이 탑재된 퍼스널 컴퓨터, 혹은 에어컨이나 조명 기기 등의 각종의 가전 제품에도,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것이 증가하고 있고, 가정에 따라서는 그 수가 상당한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그와 같이 복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일원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종래부터 각종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2-16990호 공보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표시 화면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러 화상을 표시시킴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6-319177호 공보에는, 그와 같이, 한 대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복수의 기기가 제어 가능한 경우에, 제어 대상으로 하는 기기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에서는, 제어 대상으로 되는 기기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적외선 등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 한정되어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가령, 직접 통신이 가능한 기기뿐만 아니라, 그 기기와 접속되어 있는 기기도,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한 경우,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각 기기를 제어 가능하리라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것은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제1 기기와, 제1 기기를 개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2 기기가, 무선 등에 의해 접속되고, 각각 다른 방에 있는 경우, 특히 현저한 것으로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상으로 하는 기기의 제어를, 보다 효율적이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수단과,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화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조작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조작 화면에 대한 입력이 있었던 경우, 요구 수단에 의한 요구에 따라서,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취득 수단은 조작 화면 정보를,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취득 수단은,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다른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다른 조작 화면 정보를 더 취득하고, 표시 수단은,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조작 화면 정보와 다른 조작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화면과 다른 조작 화면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검출 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단계와,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화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조작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표시 단계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 조작 화면에 대한 입력이 있었던 경우, 요구 단계의 처리에 의한 요구에 따라서,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검출 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단계와,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화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조작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표시 단계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 조작 화면에 대한 입력이 있었던 경우, 요구 단계의 처리에 의한 요구에 따라서,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검출되고, 검출된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 정보가 요구된다. 또한,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화면 정보가 취득되고, 취득된 조작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화면이 표시되어, 표시된 조작 화면에 대한 입력이 있었던 경우, 요구에 따라서,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간접적으로 제어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블루투스 모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블루투스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도 6의 탐색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도 6의 기억 제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도 6의 표시 제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도 1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도 10의 퍼스널 컴퓨터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등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도 12의 단계 S4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처리에 의해 등록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2의 처리에 대응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은 조작 패널을 표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은 도 16의 단계 S34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6의 단계 S37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6의 처리에 대응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조작 패널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20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23은 도 20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22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24는 디바이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어드레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등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7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등록 처리를 설명하는, 도 26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28은 도 26 및 도 27의 처리에 대응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9는 도 26 및 도 27의 처리에 대응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도 28에 계속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30은 조작 패널을 표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31은 도 30의 단계 S200에 있어서 실행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패널의 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32는 HTML 파일의 재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조작 패널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35는 도 20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모트 컨트롤러(제어 장치)(1)는,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통신이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11a,802.11b,802.11g 등에 준거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갖고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는 이들 무선 통신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는 커맨드를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여, 디바이스의 제어를 행한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에도, Bluetooth 통신에 의한 통신 기능이나 IEEE802.11b 등의 통신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방(11)에는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로서, 텔레비전 수상기(21) 및 오디오 시스템(2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방(12)에는 퍼스널 컴퓨터(PC)(31) 및 로봇(32)이 설치, 또는 존재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는 예를 들면, 내장하는 진동 센서에 있어서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진동이 발생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보유되고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의 탐색을 행하여, 근방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여기서 말하는 「근방」이란, 그 때 리모트 컨트롤러(1)가 존재하는 방에 설치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수십 센티미터 내지 수 미터의 범위를 말한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디바이스의 탐색이 행하여지는 범위(근방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리모트 컨트롤러(1)는, 탐색에 의해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를 검출했을 때, 그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예를 들면,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한 통신을 행하고, 디바이스를 제어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패널(각종의 버튼이 배치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패널 정보를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는 각각, 예를 들면,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에 의해 기술된 조작 패널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Bluetooth 통신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조작 패널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1)에 제공한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1)와 디바이스에 의해, 클라이언트-서버의 시스템이 실현되고, 서버인 디바이스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에 조작 패널 정보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방(11)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들어 올려진 것을 검출했을 때, 리모트 컨트롤러(1)는 탐색에 의해,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텔레비전 수상기(21) 및 오디오 시스템(22)을 검출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는 텔레비전 수상기(21) 및 오디오 시스템(22)으로부터, 각각이 갖는 조작 패널 정보를 Bluetooth 통신에 의해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을 표시한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51)(도 2)에는, 텔레비전 수상기(2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과, 오디오 시스템(22)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바이스가 검출된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에서는, 복수의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을 1개의 LCD(51)에 표시하기 위해서, 조작 패널 정보의 편집(HTML 파일의 프레임 분할)이 행하여진다.
LCD(51)에는 터치 패널이 중첩되어 있고, 조작 패널의 소정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었을 때, 그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가 디바이스에 대하여 송신된다. 도 1의 예에서는 파선의 화살표에 의해, 오디오 시스템(22)에 대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소정의 제어 커맨드가 송신되어 있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를 보유한 채, 방(11)에서 나갔기 때문에, 디바이스(텔레비전 수상기(21) 및 오디오 시스템(22))와의 통신 가능한 범위로부터 나간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에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조작 패널은 소거된다.
방(1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들어 올려진 것이 검출되었을 때 등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디바이스의 탐색이 행하여진다. 이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에는, 퍼스널 컴퓨터(31) 및 로봇(32)으로부터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31)를 제어할 때 조작되는 조작 패널과, 로봇(32)을 제어할 때 조작되는 조작 패널이 LCD(51)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를 들고서, 디바이스와의 통신 가능 범위로 들어가기만 하여도, 스스로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어떠한 조작도 하지 않고, 근방에 있는 디바이스에 대응한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Bluetooth 통신이나 IEEE802.11b 등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41)가 마련되어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는 예를 들면, 검출한 디바이스에 조작 패널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디바이스에 기능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그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새로운 조작 패널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41)와 통신을 행하고, 네트워크(42)를 개재하여 서버(43)에 액세스하여, 서버(43)로부터 조작 패널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이에 의해, 디바이스의 기능의 추가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때의 디바이스 기능에 최적인 조작 패널을 리모트 컨트롤러(1)에 표시시킬 수 있다.
도 2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외관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리모트 컨트롤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손으로 파지 및 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그 케이싱이 형성되어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의 케이싱 정면에는 각종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이 표시되는 LCD(51)가 형성되어 있다. LCD(51)에는 터치 패널이 중첩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끝 등으로 누른 위치(버튼)가 검출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에는 케이싱의 측면 상측에 죠그 다이얼(52)이 마련되어 있다. 죠그 다이얼(52)은 LCD(51)에 표시된 버튼이나 아이콘 등을 선택할 때에, 도면의 하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 또는 본체 내부 방향으로의 가압 조작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조작 패널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죠그 다이얼(52)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LCD(51)의 표시 범위를 스크롤시켜, 조작 패널을 선택할 수 있다.
키(5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61)(도 3 참조)에 각종 명령을 입력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예를 들면, 키(53)로서, 탐색을 개시할 때에 조작되는 탐색 개시 버튼이나, 복수의 조작 패널 정보가 리모트 컨트롤러(1)에 취득된 경우에, 그 표시를 전환할 때에 조작되는 표시 전환 버튼 등이 마련되도록 해도 된다.
도 3은 리모트 컨트롤러(1)의 내부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PU(61)는 ROM(Read Only Memory)(6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69)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6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63)에는 CPU(6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적절하게 기억된다.
CPU(61), ROM(62), 및 RAM(63)은 버스(64)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6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6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5)에는 LCD(51), 죠그 다이얼(52), 키(53), LCD(51)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터치 패널(66)이 접속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65)에는 디바이스의 탐색이나 제어, 혹은 액세스 포인트(41)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 모듈(67)이 접속된다.
도 3의 예에서는, 디바이스의 탐색이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로서, Bluetooth 통신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블루투스 모듈(67)이 마련되어 있지만, 블루투스 모듈(67) 대신에, 또는 블루투스 모듈(67)과 함께, 상술한 IEEE802.11b 등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모듈이 마련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적외선 통신을 행하는 모듈이 마련되고,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에 의해, 디바이스의 탐색, 제어가 행하여지도록 해도 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5)에는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의 케이싱에 발생한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센서(68),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69)가 접속된다. 기억부(69)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에 관한 각종 디바이스 정보가 기억됨과 함께, 그 캐쉬 메모리(69A)에는,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HTML 파일)가 기억된다.
리모트 컨트롤러(1)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의 커넥터 등이 형성되어 있고, 적절하게, 커넥터에 USB 케이블을 개재하여 접속된 드라이브(70)가 입출력 인터페이스(65)에 접속된다.
드라이브(70)에는 필요에 따라서, 자기 디스크(71), 광 디스크(72), 광 자기 디스크(73), 혹은 반도체 메모리(74) 등이 장착되고, 이들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부(69)에 인스톨된다. 또한, 자기 디스크(71) 내지 반도체 메모리(74)에 의해, 조작 패널 정보가 리모트 컨트롤러(1)에 제공되도록 해도 된다.
도 4는 도 3의 블루투스 모듈(67)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PU(81)는 ROM(82)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RAM(83)에 전개하고, 블루투스 모듈(67)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81) 내지 RAM(83)은 버스(85)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85)에는 플래시 메모리(84)가 접속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84)에는 예를 들면,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기기)에 대하여 설정되고,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나,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대하여 고유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이 기억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6)는 CPU(8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도 3의 입출력 인터페이스(65)를 개재하여 공급되어 온 데이터, 및 기저 대역 제어부(87)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한다.
기저 대역 제어부(87)는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86)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부(101)에 공급하고, GFSK 복조부(106)로부터 데이터가 공급되어 왔을 때, 그것을 버스(85)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86)에 출력한다. 기저 대역 제어부(87)에 있어서는, 적절하게, 통신 링크의 제어, 패킷의 제어, 논리 채널의 제어, 및 시큐러티의 제어 등의 각종의 제어, 혹은 오류 정정 부호화, 복호화, 데이터의 랜덤화 등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RF(Radio Frequency)부(88)의 GFSK 변조부(101)는, 기저 대역 제어부(87)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의 고역 성분을 필터에 의해 제한하고, 1차 변조로서 주파수변조를 행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부(102)에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부(102)는 호핑 신시사이저부(104)로부터 지시되는 주파수 호핑 패턴에 기초하여, 반송 주파수를 전환하고, 공급되어 온 데이터에 대하여 스펙트럼 확산을 실시한 후에 얻어지는 신호를, 통신 제어부(103)에 출력한다.
역 스펙트럼 확산부(105)는, 호핑 신시사이저부(104)로부터 지시되는 주파수 호핑 패턴에 기초하여, 수신 주파수를 호핑시키고, 예를 들면,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취득한다. 또한, 역 스펙트럼 확산부(105)는 취득한 신호를 역 스펙트럼 확산하고, 얻어진 신호를 GFSK 복조부(106)에 출력한다. GFSK 복조부(106)는 역 스펙트럼 확산부(105)로부터 공급되어 온 신호를 GFSK 복조하고, 얻어진 데이터를 기저 대역 제어부(87)에 출력한다.
통신 제어부(103)는 2.4 GHz대를 사용하여, 스펙트럼 확산이 실시된, 예를 들면, 소정의 커맨드를 반송하는 신호를 안테나(89)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03)는 안테나(89)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역 스펙트럼 확산부(105)에 출력한다.
도 5는 Bluetooth 통신에 있어서의 PAN(Personal Area Network) 프로파일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한 디바이스의 제어는 PAN 프로파일에 의해 행해진다.
프로토콜 스택은 하드웨어부(111)와 소프트웨어부(112)로 구성된다. 하드웨어부(111)의 물리층(RF층)(121)은, 2.4 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프로토콜이고, 기저 대역층(122)으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의 아날로그 변환이나 그 역의 처리 등을 행한다. 기저 대역층(Baseband층)(122)은 물리층(121)에 대하여, 송수신 데이터 패킷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구체적으로는, 패킷의 생성, 인코드, 또는 디코드 외에, 주파수 호핑을 관리하기 위한 송수신 주파수의 지정이나 시간 축 슬롯의 관리 등을 행한다.
소프트웨어부(112)의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논리 링크 관리층)(131)는, Bluetooth 시스템의 전체를 제어하고, 상위 층과 하위 층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의 분류나, 패킷 길이의 변환 등을 행한다. BNEP(Bluetooth Network Encapsulation Protocol)(l32)는 멀티포인트로 접속하고 있는 슬레이브의 기기끼리의 통신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133)는 다른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이나 서비스를 검출하는 프로토콜이다. Bluetooth Manager(134)는 기저 대역층(122)과 마찬가지로, Bluetooth 통신에 있어서의 통신 링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이고, 예를 들면, 기저 대역층(122)에 대하여, 통신 링크의 설정이나, 설정된 통신 링크에 관한 각종 파라미터의 설정을 지시한다.
Bluetooth Library(135)에는 통신에 필요한 각종 콤포넌트가 포함되어 있다.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층(136)에 의해, 검출된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TCP/IP 통신이 관리되고, HTTP층(137)에 의해, HTTP를 이용한 통신이 관리된다. 어플리케이션층(138)에 의해, Bluetooth에 의한 파일 전송이나 LAN 접속 등이 실현된다.
도 6은 이상의 구성을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각 기능부는 CPU(61)에 의해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통신 제어부(151)는 블루투스 모듈(67)의 동작을 관리하고,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블루투스 통신을 제어한다. 따라서, 블루투스 모듈(67) 대신에, 무선 LAN 모듈 등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그 동작이 통신 제어부(151)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에 의한 디바이스의 제어가 행하여지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통신 제어부(151)는 탐색부(161), 디바이스 제어부(162), 및 요구부(163)를 갖고 있다. 탐색부(161)는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혹은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의 케이싱이 들어 올려졌을 때 등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블루투스 통신에 규정되는 Inquiry(조회) 및 Page(호출)에 의해, 근방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의 탐색을 행한다. 탐색부(161)에 의한 탐색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는 기억 제어부(152)나 표시 제어부(153)에 출력된다.
디바이스 제어부(162)는 탐색된 디바이스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송신하고, 디바이스의 제어(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21)에 대한 채널의 전환 등)를 행한다. 즉, 입력 검출부(154)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가, 통신 제어부(151)의 디바이스 제어부(162)에 출력된다.
요구부(163)는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제1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제2 디바이스를 간접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제2 디바이스의, 그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요구한다.
기억 제어부(152)는 기억부(69)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관리함과 함께,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적절하게, 통신 제어부(151) 등에 제공한다. 기억 제어부(152)에 의해, 예를 들면, 제어 대상으로 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나, 사용자의 조작 이력 등의 정보가 관리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미리 등록할 필요가 있다.
표시 제어부(153)는 LCD(51)의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조작 패널 정보가 통신 제어부(151)에 의해 취득되고, 그것이 공급되어 왔을 때, 표시 제어부(153)는 공급되어 온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을 LCD(51)에 표시시킨다.
입력 검출부(154)는 키(53), 및 터치 패널(66)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한다. 검출된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는 적절하게, 기억 제어부(152), 표시 제어부(153) 등에 출력된다.
도 7은 도 6의 탐색부(161)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기 설정부(171)는 그 때의 리모트 컨트롤러(1)의 상황에 따라서, 탐색이 실행되는 주기를 설정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에는 탐색을 실행하는 디폴트의 주기로서, 예를 들면, 10초의 주기가 설정되어 있고, 탐색에 의해 디바이스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주기 설정부(171)는 탐색을 실행하는 주기로서, 그 디폴트의 주기 대신에, 보다 긴 주기를 설정한다. 주기 설정부(171)에 의해 설정된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는, 탐색 실행부(172)에 출력된다.
탐색 실행부(172)는 주기 설정부(171)에 의해 설정되는 주기에 따라서, 디바이스의 탐색(Inquiry, Page)을 행한다. 또한 탐색 실행부(172)는, 진동 검출부(173)에 의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진동이 검출되었을 때, 디바이스의 탐색을 행한다.
탐색 실행부(172)에 의한 탐색 결과는 적절하게, 기억 제어부(152) 및 표시 제어부(153)에 출력된다.
진동 검출부(173)는 진동 센서(68)의 출력을 감시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에 발생한 진동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진동이 검출되었을 때, 진동 검출부(173)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케이싱이 들어 올려졌다고 인식하여,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주기 설정부(171), 및 탐색 실행부(172)에 출력한다.
도 8은 도 6의 기억 제어부(152)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사용자에 의한 등록 조작에 의해 등록되고, 통신 제어부(151)로부터 공급되어 온 디바이스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에 의해 관리되는 디바이스 정보에는, 디바이스의 명칭, 카테고리(디바이스의 기기의 종별), 메이커 코드, 디바이스 ID, 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이 포함된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관리하고 있는 정보를, 적절하게, 사용자 설정 관리부(184), 및 조작 이력 관리부(185) 등에 제공한다.
캐쉬 메모리 관리부(182)는 통신 제어부(151)에 의해,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를 캐쉬 메모리(69A)에 기억시키고, 그것을 관리한다. 예를 들면, 캐쉬 메모리 관리부(182)는 조작 패널 정보의 관리로서, 사용 빈도가 낮은 조작 패널 정보, 또는 기억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조작 패널 정보를 소거한다. 또한, 캐쉬 메모리 관리부(182)는 캐쉬 메모리(69A)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패널 정보를 표시 제어부(153)에 출력한다.
가조작 패널 관리부(183)는 가상의 조작 패널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서, 그것을 표시 제어부(153)에 출력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에서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디바이스로부터, 조작 패널 정보가 취득될 때까지의 동안, 그 디바이스의 종별에 따른, 가상의 조작 패널이 LCD(51)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탐색에 의해 텔레비전 수상기(21)가 검출된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21) 전용의 조작 패널 정보가 텔레비전 수상기(21)로부터 취득될 때까지의 동안, LCD(51)에는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가상의 조작 패널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된 가상의 조작 패널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는, 캐쉬 메모리 관리부(182)에도 출력되고, 캐쉬 메모리(69A)에 관리된다.
리모트 컨트롤러(1)의 기억부(69)에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조작 패널의 정보, 일반적인 VTR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조작 패널의 정보, 일반적인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조작 패널의 정보 등이, 가상의 조작 패널 정보로서 미리 준비되어 있다.
사용자 설정 관리부(184)는 입력 검출부(154)로부터 공급되어 온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조작 패널의 표시에 관한 사용자의 설정 등을 관리한다. 조작 이력 관리부(185)는 입력 검출부(154)로부터 공급되어 온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디바이스를 제어한 내용이나, 그 시각 등의 조작 이력을 관리한다. 사용자 설정 관리부(184)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설정 정보, 조작 이력 관리부(185)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이력 정보는, 적절하게,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에 출력된다.
도 9는 도 6의 표시 제어부(153)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는 기억 제어부(152)의 캐쉬 메모리 관리부(182)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조작 패널 정보, 또는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고, 통신 제어부(151)로부터 공급되어 온 조작 패널 정보를 취득하여, 그것을 편집부(202)에 출력한다.
편집부(202)는 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로부터 공급되어 온 조작 패널 정보를 편집하여, LCD(51)에 조작 패널을 표시시키기 위한, 새로운 조작 패널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2개의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 정보가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로부터 공급되어 왔을 때, 편집부(202)는, LCD(51)의 상반분과 하반분으로, 각각의 조작 패널이 표시되도록, 조작 패널 정보의 편집(HTML 파일의 프레임 분할)을 행한다. 편집부(202)에 의해 생성된 조작 패널 정보는 제어부(203)에 출력된다.
또한, 편집부(202)에 의해 행해지는 편집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조작 이력 해석부(204)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이력의 해석 결과의 정보가 참조된다.
제어부(203)는 LCD(51)의 동작을 제어하고, 편집부(202)로부터 공급되어 온 조작 패널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을 LCD(51)에 표시시킨다.
조작 이력 해석부(204)는, 기억 제어부(152)의 조작 이력 관리부(185)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조작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해석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조작 이력 정보가 편집부(202)에 의해 취득된 경우, 조작 이력 해석부(204)는, 각각의 조작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해석하여, 해석 결과를 편집부(202)에 출력한다.
전파 강도 검출부(205)는 통신 제어부(151)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모듈(67)에 있어서 수신되어 있는 전파의 강도를 검출한다. 검출된 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편집부(202), 제어부(203)에 출력된다.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수신되는 전파가 약한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에 관해서는, 보다 투명도가 높은 것이 표시되도록(얇게 표시되도록), 그 표시가 제어된다.
도 10은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인 퍼스널 컴퓨터(3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퍼스널 컴퓨터(31)는 기본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되는 리모트 컨트롤러(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복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5)에는 블루투스 모듈(229)이 접속되어 있다. 블루투스 모듈(229)은 리모트 컨트롤러(1)의 블루투스 모듈(67)과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행하고,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67)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기억부(228)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패널 정보를 송신한다.
통신부(230)는 예를 들면,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30)는 인터넷을 개재하여 접속되는 각종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도 11은 도 10의 퍼스널 컴퓨터(31)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되는 각 기능부는, 도 10의 CPU221에 의해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제어부(241)는 퍼스널 컴퓨터(31)의 전체(통신 제어부(242), 조작 패널 정보 관리부(243),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244))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제어부(242)는 블루투스 모듈(229)에 있어서의 블루투스 통신, 혹은 통신부(230)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조작 패널 정보 관리부(243)는 기억부(228)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패널 정보를 관리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에서의 요구에 따라서, 조작 패널 정보를 판독하여, 그것을 제공한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244)는 퍼스널 컴퓨터(31)의 명칭, 카테고리(퍼스널 컴퓨터), 메이커 코드, 디바이스 ID, 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관리하고, 그것을 리모트 컨트롤러(1)에 제공한다.
또한, 도 1의 텔레비전 수상기(21), 오디오 시스템(22), 및 로봇(32)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는 퍼스널 컴퓨터(3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도 10 및 도 11은 텔레비전 수상기(21), 오디오 시스템(22), 및 로봇(32)의 구성으로서도 인용된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21) 및 오디오 시스템(22)에는 도 10의 구성 외에, 튜너부나 스피커부 등, 각각의 디바이스에 특유의 구성이 부가된다.
다음에, 도 1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바이스 정보의 등록이 사용자로부터 지시되었을 때, 탐색부(161)는 단계 S1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67)을 기동시키고, 디바이스의 탐색(Inquiry, Page)을 행한다.
탐색부(161)는 단계 S2에 있어서, 통신 가능 범위에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로 되돌아가, 탐색을 반복하여 행한다. 블루투스 모듈(67)로부터 출사된 전자파의 도달 범위 내에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그 디바이스로부터 탐색에 대한 응답이 행하여진다.
단계 S2에 있어서, 탐색부(161)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 디바이스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탐색에 의해 검출된 디바이스 중에, 등록 대기의 상태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1)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도록, 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1)에 등록하는 사용자는, 소정의 조작에 의해, 디바이스의 상태를 등록 대기의 상태로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탐색부(161)는 단계 S3에 있어서, 검출된 디바이스 중에, 등록 대기의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로 되돌아가, 이상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탐색이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 실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등록 대기의 디바이스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3에 있어서, 탐색부(161)는, 등록 대기의 디바이스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검출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표시 제어부(153)(제어부(203)(도 9))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153)는 단계 S4에 있어서, 탐색부(161)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등록 대기의 디바이스(디바이스 정보를 등록 가능한 디바이스)의 일람을 LCD(51)에 표시시킨다.
도 13은 단계 S4에 있어서 LCD(51)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화면의 상측에 「등록 가능 기기 일람」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그 아래에, 등록 대기의 상태가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로서, 「TV(텔레비전 수상기(21))」, 「오디오 시스템(오디오 시스템(22))」이 표시되어 있다. 즉, 도 13의 화면은 사용자가, 도 1의 방(11)에 마련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21)와 오디오 시스템(22)을 등록 대기의 상태로 설정하고, 등록 조작을 행하고 있는 경우의 예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TV」, 「오디오 시스템」의 텍스트 정보는, 탐색에 의해, 텔레비전 수상기(21)와 오디오 시스템(22)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디바이스의 카테고리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도 13에 도시되는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LCD(51)의 표면을 직접 누르는 등 하여, 커서(301)를 이동시켜, 등록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사용자에 의한 입력은 입력 검출부(154)에 의해 검출되어, 통신 제어부(151)(디바이스 제어부(162))에 통지된다.
단계 S5에 있어서, 디바이스 제어부(162)는 사용자에 의해 디바이스 정보의 등록이 지시된 디바이스에 대하여,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미리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 정보가 판독되고, 판독된 디바이스 정보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에 제공된다.
단계 S6에 있어서, 디바이스 제어부(162)는 블루투스 모듈(67)을 제어하여,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어 온 디바이스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된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 제어부(162)로부터 기억 제어부(152)(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에 출력된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단계 S7에 있어서, 공급되어 온 디바이스 정보를 기억부(69)에 기억시켜 등록한다.
도 14는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에 의해 관리되는 디바이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정보로서, 예를 들면, 디바이스의 명칭, 디바이스의 카테고리, 메이커 코드, 디바이스 ID,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등록된다.
도 14에서는, 도 13의 선택 화면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21)가 선택된 경우의 예로 되어 있고, 디바이스(1)(텔레비전 수상기(21))의 명칭 「텔레비전」, 카테고리 「TV」, 메이커 코드 「00x1」, 디바이스 ID 「1234」, 블루투스 어드레스 「08:00:46:21:94:A3」가 등록되어 있다.
이상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되고, 도 14에 도시되는 테이블에 각각의 디바이스의 정보가 순차 추가된다. 예를 들면, 등록된 메이커 코드 등의 정보에 따라서, 디바이스 제어부(162)에 의해 커맨드가 생성되기 때문에, 그 이후,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2의 처리에 대응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텔레비전 수상기(21)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1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21)의 제어부(241)는, 입력부(226)(도 10)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등록 대기의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지시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제어부(241)는 단계 S2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소정의 버튼이 조작되었기 때문에, 등록 대기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2로 진행하여, 텔레비전 수상기(21)의 상태를 등록 대기의 상태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블루투스 모듈(229)에 의해, Inquiry 스캔, Page 스캔이 반복 실행되고,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의 전자파가 수신되었을 때, 등록 대기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통지된다.
단계 S23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42)는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송신이 요구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통신 제어부(242)는 단계 S23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이 요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4로 진행하여,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244)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한다. 즉,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244)에 의해, 기억부(228)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 정보가 판독되고, 그것이, 통신 제어부(242)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송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어 온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러(1)에 있어서는, 그 등록이 행하여진다(도 12의 단계 S7).
다음에,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조작 패널을 표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행해지는 탐색 처리에 의해, 제어 대상으로 하는 디바이스가 검출되었을 때에 실행된다.
디바이스가 검출되었다는 것이 탐색부(161)로부터 통지되어 왔을 때, 기억 제어부(152)의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단계 S31에 있어서, 기억부(69)에 관리하고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검출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 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1에 있어서,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검출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2로 진행하고,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등록 처리를 행한다. 즉, 등록 대기의 디바이스가 검출되었을 때, 검출된 디바이스에 대하여,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이 요구되고, 그 요구에 따라서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어 온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된다.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된 후, 단계 S33의 처리는 스킵되고,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 S31에 있어서,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검출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나 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의 디바이스 정보가 기억부(69)에 이미 등록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3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고, 텔레비전 수상기(21)가 탐색에 의해 검출된 경우,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단계 S33에 있어서, 캐쉬 메모리 관리부(182)는, 캐쉬 메모리(69A)에, 검출된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 정보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남아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4로 진행한다.
캐쉬 메모리(69A)에 조작 패널 정보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캐쉬 메모리 관리부(182)로부터 가조작 패널 관리부(183)에 대하여,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된다. 가조작 패널 관리부(183)는 검출된 디바이스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가상의 조작 패널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하, 가조작 패널 정보라고 함)를 표시 제어부(153)에 출력한다.
가조작 패널 관리부(183)로부터 출력된 가조작 패널 정보는, 표시 제어부(153)의 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에 의해 취득되고, 편집부(202)를 개재하여 제어부(203)에 출력된다.
제어부(203)는 단계 S34에 있어서, 공급되어 온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의 조작 패널을 LCD(51)에 표시시킨다.
도 17은 단계 S34에 있어서 LCD(51)에 표시되는 가상의 조작 패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21)가 검출되고, 그 텔레비전 수상기(21)의 조작 패널 정보가 캐쉬 메모리(69A)에 남아 있지 않은 경우, LCD(51)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조 메이커 등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에 마련되어 있는 기능을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이 표시된다.
도 17의 예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21)의 가상의 조작 패널의 좌측 위에는, 전원의 온/ 오프를 전환할 때 조작되는 전원 버튼(311)이 표시되고, 그 우측 아래에는, 채널을 전환할 때 조작되는 텐키(312)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가상의 조작 패널의 좌측 아래에는, 음량을 조정할 때 조작되는 음량 버튼(313)이 표시되어 있다. 이들 전원 버튼(311), 텐키(312), 및 음량 버튼(313)은 메이커나 기능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공통하여 준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의 조작 패널이, 검출된 텔레비전 수상기(21)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21) 전용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키기 위한 조작 패널 정보가 송신되어 올 때까지의 동안,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텔레비전 수상기(21)로부터 조작 패널 정보가 송신되고, 그것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텔레비전 수상기(21) 전용의 조작 패널)이 표시될 때까지의 동안, 가상의 조작 패널을 이용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21)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텔레비전 수상기(21)가 검출된 직후부터, 텔레비전 수상기(21)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6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단계 S35에 있어서, 디바이스 제어부(162)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정보를 디바이스에 대하여 송신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에 최적의 조작 패널 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21)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의 특징 정보로서, LCD(51)의 해상도(화면 사이즈) 등의, 하드웨어에 관한 정보가 텔레비전 수상기(21)에 대하여 송신되고, LCD(51)의 해상도에 응답한 조작 패널 정보의 송신이 요구된다.
텔레비전 수상기(21)에서는 예를 들면, 미리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디바이스 정보를 요구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해상도에 응답한 것이 선택되거나, 혹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해상도에 응답한 변환 처리가 행하여진다.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디바이스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의 하드웨어 구성에 따른 조작 패널 정보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 디바이스 제어부(162)는, 단계 S36에 있어서, 송신되어 온 조작 패널 정보를 수신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62)에 의해 수신된 조작 패널 정보는, 표시 제어부(153)의 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에 의해 취득된다.
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에 의해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는, 편집부(202)에 의해 소정의 편집이 행하여진 후, 제어부(203)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조작 패널 정보가 취득된 경우, 편집부(202)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 패널을 LCD(51)에 표시시키기 위한, HTML 파일(조작 패널 정보)의 소정의 편집이 행하여진다.
단계 S37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조작 패널을 LCD(51)에 표시시킨다.
도 18은 단계 S37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조작 패널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조작 패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의 예에서는, 조작 패널의 우측 위에는 전원 버튼(321)이 표시되고, 그 좌측에는 BS(Broadcasting Satellite) 디지털 방송, CS(Communications Satellite) 디지털 방송, 아날로그 방송 중에서, 소스를 전환할 때 조작되는 전환 버튼(322)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전환 버튼(322)의 아래쪽에는 텐키(323)가 표시되고, 그 우측에는 음성 출력을 오프로 할 때 조작되는 소음 버튼(324), 음량을 조정할 때 조작되는 음량 버튼(325), 및 채널을 전환할 때 조작되는 채널 전환 버튼(326)이 표시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되는 가상의 조작 패널과 비교하여 분명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상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도 18에 도시되는 조작 패널 쪽이, 텔레비전 수상기(21)의 기능에 따라서 커스터마이즈되어 있다. 즉, 텔레비전 수상기(21)에, 예를 들면, BS 디지털 방송, CS 디지털 방송, 아날로그 방송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도 18의 조작 패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을 전환하는 버튼 등이 준비되는 조작 패널이, 텔레비전 수상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조작 패널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리모트 컨트롤러(1)의 사용자는 조작 패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수상기(21)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되는 조작 패널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패널 정보(HTML 파일)는, 캐쉬 메모리(69A)에 보존된다.
도 16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표시 제어부(153)의 전파 강도 검출부(205)에 의해, 디바이스와의 통신 가능 범위에서 나갔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통신 가능 범위에서 나갔다고 판정될 때까지, 단계 S37로 되돌아가, 조작 패널의 표시가 속행된다. 전파 강도 검출부(205)에 대해서는, 블루투스 모듈(67)과 디바이스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51)로부터, 그 통신에 이용되고 있는 전파의 수신 상황이 통지되고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21)를 지금까지 조작하고 있던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를 지닌 상태에서 이동했기 때문에, 단계 S38에 있어서, 통신 가능 범위에서 나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9로 진행하고, 제어부(203)는 지금까지 표시하고 있던 조작 패널의 표시를 소거한다.
다음에, 도 1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6의 처리에 대응하여, 디바이스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2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51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21)의 조작 패널 정보 관리부(243)는, 블루투스 모듈(229)에 있어서 수신되고, 통신 제어부(242)를 개재하여 공급되어 오는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조작 패널 정보의 송신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요구되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조작 패널 정보 관리부(243)는, 단계 S51에 있어서, 조작 패널 정보의 송신이 요구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52로 진행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의 요구에 포함되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특징 정보(LCD(51)의 해상도, 컬러 표시가 가능한지 여부 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조작 패널 정보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각각의 해상도에 응답한 복수의 조작 패널 정보가 텔레비전 수상기(21)에 준비되어 있는 경우, 그 중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의 해상도에 응답한 것이 선택된다. 또한, 조작 패널 정보 관리부(243)에 의해, 조작 패널 정보의 표시 사이즈의 변환이 행하여지고, 리모트 컨트롤러(1)의 해상도에 응답한 것이, 제공하는 조작 패널 정보로서 선택된다. 조작 패널 정보 관리부(243)에 의해 선택된 조작 패널 정보는, 통신 제어부(242)에 출력된다.
단계 S53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42)는, 조작 패널 정보 관리부(243)에 의해 선택된 조작 패널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송신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에서는, 여기서 송신된 조작 패널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이 표시된다(도 16의 단계 S37).
이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의 해상도나, 컬러 표시가 가능한지 여부 등의 특징에 따른 조작 패널 정보가 선택되기 때문에, 리모트 컨트롤러(1)에 최적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조작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에 리모트 컨트롤러(1)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그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을 자동적으로 표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 패널의 표시를 지우는 조작을 스스로 행하는 일없이, 그 표시를 지울 수도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에 표시되는 조작 패널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디바이스의 기능에 따라서, 최적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조작 패널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8에 도시되는 조작 패널이 LCD(51)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전원 버튼(321)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텔레비전 수상기(21)의 전원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근방에 있고, 블루투스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와 직접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그 직접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되는 다른 디바이스도,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첨부되어 있다.
도 20에서는 방(13)이 도 1의 구성에 추가되고, 거기에 퍼스널 컴퓨터(351)가 마련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351)는 다른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도 10 및 도 11의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수상기(21)나 오디오 시스템(22)과 마찬가지로, 퍼스널 컴퓨터(351)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51)는 예를 들면, IEEE802.11b에 준거한 무선 LAN에 의해, 방(11)에 마련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21), 및 방(12)에 마련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31)와 접속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퍼스널 컴퓨터(351)와 텔레비전 수상기(21)를 연결하는 파선의 화살표, 및 퍼스널 컴퓨터(351)와 퍼스널 컴퓨터(31)를 연결한 파선의 화살표는, 무선 LAN을 개재하여 서로 통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방(13)에 있기 때문에,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351)가 검출되고, 그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된 후, 퍼스널 컴퓨터(351)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가,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351)에 대하여 요구된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351)와 무선 LAN을 개재하여 접속되는 텔레비전 수상기(21), 및 퍼스널 컴퓨터(31)는,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351)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 된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IP 어드레스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등의, 텔레비전 수상기(21)와 퍼스널 컴퓨터(31)의 어드레스 정보가, 퍼스널 컴퓨터(351)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로서 송신된다.
그 후,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텔레비전 수상기(21)나 퍼스널 컴퓨터(31)에 대한 액세스가, 퍼스널 컴퓨터(351)를 개재하여 행하여지고, 텔레비전 수상기(21)와 퍼스널 컴퓨터(31)의 조작 패널 정보가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취득된다.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31)의 조작 패널이 LCD(51)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방(13)에 있으면서, 그것을 조작하여, 방(12)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3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퍼스널 컴퓨터(31)의 조작 패널이 조작되었을 때, 리모트 컨트롤러(1)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가 생성되고, 생성된 커맨드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351)에 대하여 송신된다. 블루투스 통신을 개재하여 송신되어 온 커맨드를 수신한 퍼스널 컴퓨터(351)는, 그 커맨드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 등의, 커맨드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송신되어 온 커맨드를, 무선 LAN을 개재하여, 방(12)의 퍼스널 컴퓨터(31)에 송신한다. 커맨드를 취득한 퍼스널 컴퓨터(31)에서는 커맨드에 따른 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도 20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와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없는 디바이스이더라도, 직접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퍼스널 컴퓨터(351))와, 네트워크(무선 LAN)를 개재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리모트 컨트롤러(1)가, 도 20의 상태에 있는 경우의 LCD(51)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의 영역(51A)에 표시되는 조작 패널은, 텔레비전 수상기(21)로부터, 무선 LAN, 퍼스널 컴퓨터(351), 및 블루투스 통신을 개재하여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도 21의 영역(51B)의 상측에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인 퍼스널 컴퓨터(351)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때에 조작되는 아이콘(36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영역(51B)의 하방에는, 퍼스널 컴퓨터(351)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텔레비전 수상기(21)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때에 조작되는 아이콘(371)과, 퍼스널 컴퓨터(31)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때 조작되는 것에 아이콘(372)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 21의 상태에서, 아이콘(361)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351)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수 있고, 아이콘(372)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31)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1은 LCD(51)에 1개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키는 것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예로 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하여 표시되는 조작 패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수상기(21)나 퍼스널 컴퓨터(31)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를 디바이스에 근접시키는 일없이, 다른 방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3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0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 22 및 도 2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0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디바이스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1)에 등록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 적절하게, 도 20의 퍼스널 컴퓨터(351)를 「디바이스 A」라고, 텔레비전 수상기(21)를 「디바이스 B」라고, 퍼스널 컴퓨터(31)를 「디바이스 C」라고 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1)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디바이스 A(퍼스널 컴퓨터(351))에 대하여,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와 디바이스 A 사이의 처리는, 기본적으로는 도 12, 도 15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이고, 등록 대기의 상태의 디바이스 A에 대하여 디바이스 A의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이 요구된다.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의 요구는, 단계 S121에 있어서, 디바이스 A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122에 있어서, 디바이스 A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디바이스 A의 디바이스 정보가 송신된다.
리모트 컨트롤러(1)는 단계 S102에 있어서, 디바이스 A에서 송신되어 온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103으로 진행하여 그것을 등록한다. 이에 의해, 디바이스 A의 디바이스 ID, 메이커 코드, 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의 정보가 등록된다.
단계 S104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1)는 디바이스 A에 대하여, 디바이스 A를 개재시킴으로써,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조회한다.
이 조회는 단계 S123에 있어서, 디바이스 A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124로 진행하여,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에 할당되어 있다, 무선 LAN 상의 IP 어드레스 등의 어드레스 정보가, 리모트 컨트롤러(1)에 송신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A로서의 퍼스널 컴퓨터(351)에는, 무선 LAN에 의한 접속이 확립되었을 때에, 텔레비전 수상기(21)와 퍼스널 컴퓨터(31)의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가 취득되어 있고, 그것이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송신된다. 이 IP 어드레스는 도시하지 않는 라우터에 의해 할당된 것이다.
디바이스 A로부터 송신된 정보는 단계 S105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수신된다.
단계 S106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1)는, 디바이스 A로부터 통지되어 온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B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디바이스 A에 송신한다. 이 메시지에는, 텔레비전 수상기(21)인 디바이스 B의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가, 송신처를 지정하는 정보로서 포함되어 있다.
메시지는 블루투스를 개재하여 디바이스 A에 의해 수신되고, 그 디바이스 A를 경유하여 디바이스 B에 대하여 송신된다. 즉, 디바이스 A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송신처를 판단하고, 그것을 디바이스 B에 송신한다.
디바이스 B는 단계 S131에 있어서, 디바이스 A를 경유하여 송신되어 온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132로 진행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디바이스 B의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한다. 디바이스 B로부터 송신된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 A를 경유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에 송신된다.
단계 S107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1)는, 디바이스 A를 경유하여, 디바이스 B로부터 송신되어 온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108로 진행하여, 그것을 등록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는 단계 S109로 진행하고, 다음에, 디바이스 C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디바이스 B에 대한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C에 대한 메시지는 디바이스 A를 경유하여 디바이스 C에 송신된다.
디바이스 C는 단계 S141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송신되어 온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142로 진행하여, 디바이스 C의 디바이스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1)에 송신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는 디바이스 C로부터, 디바이스 A를 경유하여 송신되어 온 디바이스 정보를, 단계 S110에 있어서 수신하고, 단계 S111로 진행하여, 그것을 등록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 A의 디바이스 정보와, 디바이스 A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의 디바이스 정보가 리모트 컨트롤러(1)에 등록된다.
도 24는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에 등록된 디바이스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의 예에서는, 제1 번째의 정보(디바이스 1)로서, 퍼스널 컴퓨터(351)의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되고, 제2번째의 정보(디바이스 2)로서, 텔레비전 수상기(21)의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되고, 제3번째의 정보(디바이스3)로서, 퍼스널 컴퓨터(31)의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퍼스널 컴퓨터(351)의 디바이스 정보로서, 명칭 「퍼스널 컴퓨터」, 카테고리 「PC」, 메이커 코드 「00x1」, 디바이스 ID 「1122」, 블루투스 어드레스 「06:O0:25:63:75:B5」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21)의 디바이스 정보로서, 명칭 「텔레비전」, 카테고리 「TV」, 메이커 코드 「00x1」, 디바이스 ID 「1234」, 블루투스 어드레스 「08:00:46:21:94:A3」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1)의 디바이스 정보로서, 명칭 「퍼스널 컴퓨터」, 카테고리 「PC」, 메이커 코드 「00x5」, 디바이스 ID 「7788」, 블루투스 어드레스 「07:01:22:34:56:78」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디바이스 A로부터 취득된 각 디바이스의 어드레스 등의 정보도, 도 24의 디바이스 정보와 함께 등록된다.
도 25는 디바이스 정보와 함께, 리모트 컨트롤러(1)에 등록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51)(디바이스 A)의 IP 어드레스와 MAC 어드레스 디바이스 A로부터 통지된, 텔레비전 수상기(21)(디바이스 B) 및 퍼스널 컴퓨터(31)(디바이스 C)의, 각각의 IP 어드레스와 MAC 어드레스가 등록된다.
도 25의 예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21)의 IP 어드레스는 「192.168.0.10」으로 되고, MAC 어드레스는 「00-30-65-BA-E9-C2」로 되어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51)의 IP 어드레스는 「192.168.0.2」로 되고, MAC 어드레스는 「00-30-63-CA-E8-D1」로 되어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1)의 IP 어드레스는 「192.168.0.11」로 되고, MAC 어드레스는 「O0-30-65-CC-E9-C5」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5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에서 본 각 디바이스의, 접속의 관계(모자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도 등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텔레비전 수상기(21)의 모(親)에 상당하는 디바이스, 및 퍼스널 컴퓨터(31)의 모에 상당하는 디바이스가, 퍼스널 컴퓨터(351)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와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모」의 디바이스로 되고, 모 디바이스를 개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1)와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자」의 디바이스로 되어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되는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1)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소정의 커맨드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이후, 리모트 컨트롤러(1)와 텔레비전 수상기(21) 사이의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 및 리모트 컨트롤러(1)와 퍼스널 컴퓨터(31) 사이의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은,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51)를 경유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도 26 및 도 2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는, 도 20의 리모트 컨트롤러(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리모트 컨트롤러(1)의 보다 상세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도 26의 처리는 기본적으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단계 S151 내지 S157의 처리는 도 12의 단계 S1 내지 S7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고, 디바이스 정보의 등록이 사용자로부터 지시되었을 때, 탐색부(161)는 단계 S151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67)을 기동시켜, 디바이스의 탐색(Inquiry, Page)을 행한다.
탐색부(161)는 단계 S152에 있어서, 통신 가능 범위에 디바이스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53으로 진행하여, 탐색에 의해 검출된 디바이스 중에, 등록 대기 상태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A(퍼스널 컴퓨터(351))가 등록 대기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탐색부(161)는, 단계 S153에 있어서, 등록 대기의 디바이스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단계 S154로 진행한다.
단계 S154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153)는, 등록 대기의 디바이스의 일람을 LCD(51)에 표시시킨다. 일람 중에서 디바이스 정보의 등록이 지시된, 예를 들면, 디바이스 A에 대하여, 디바이스 제어부(162)는 단계 S155에 있어서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디바이스 A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디바이스 정보가 판독되고, 판독된 디바이스 정보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에 제공된다.
단계 S156에 있어서, 디바이스 제어부(162)는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어 온 디바이스 정보를 취득한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단계 S157에 있어서, 디바이스 제어부(162)에 의해 취득된 디바이스 A의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한다.
단계 S158에 있어서, 요구부(163)는 디바이스 A에 대하여, 간접적인 제어(디바이스 A를 통한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조회한다.
이 조회에 응답하여,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디바이스 A로부터 통지되어 오기 때문에, 요구부(163)는, 단계 S159에 있어서,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요구부(163)는 단계 S159에 있어서,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60으로 진행하여, 디바이스 A에서 송신되어 오는,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인,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의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단계 S159에 있어서,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요구부(163)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 정보는,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에 출력되고,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에 의해, 디바이스 정보와 함께 관리된다.
단계 S161에 있어서, 디바이스 제어부(162)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 B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디바이스 A에 송신한다. 이 메시지에는, 디바이스 B의 IP 어드레스가, 메시지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포함되고 있다. 메시지에 응답하여, 디바이스 정보가 디바이스 B로부터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 디바이스 제어부(162)는 단계 S162에서 그것을 수신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 및 디바이스 B로부터 송신되는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 A를 경유하여 송수신된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단계 S163에 있어서, 디바이스 B의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고, 단계 S164로 진행하여,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것이 통지된 디바이스의, 모든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단계 S164에 있어서,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것이 통지된 디바이스의, 모든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61로 되돌아가, 이상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단계 S164에 있어서,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것이 통지된 디바이스의, 모든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했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킨다.
다음에, 도 28 및 도 2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6 및 도 27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디바이스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와, 블루투스에 의한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 A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71 내지 S174의 처리는, 도 15의 단계 S21 내지 S2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즉, 단계 S171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351)의 제어부(241)는, 등록 대기의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72로 진행하여, 디바이스 A의 상태를 등록 대기의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단계 S173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42)는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이 요구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74로 진행하여,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244)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175에 있어서, 제어부(241)는,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의 조회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조회가 있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 A에 대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디바이스 A를 통한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의 조회가 행해진다(도 26의 단계 S158).
제어부(241)는 단계 S175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의 조회가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76으로 진행하여,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의 어드레스 정보를, 통신 제어부(242)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송신한다. 제어부(241)는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와의 사이에서, 무선 LAN이 확립되었을 때, 디바이스 B와 디바이스 C의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미리 취득하고 있다.
그 후,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블루투스에 의해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 통신 제어부(242)는, 단계 S177에 있어서, 그 메시지가 송신되어 왔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통신 제어부(242)는 단계 S177에 있어서, 디바이스 B 또는 디바이스 C를 송신처로 하는 메시지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78로 진행하여, 메시지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참조하고, 그에 의해 지정되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무선 LAN을 개재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송신되어 온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B의 IP 어드레스가, 메시지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포함되어 있는 경우,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메시지는, 통신 제어부(242)에 의해 디바이스 B에 대하여 송신된다.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로부터는 무선 LAN을 경유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가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 통신 제어부(242)는 단계 S179에 있어서, 디바이스 정보가 송신되어 왔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79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42)는, 디바이스 정보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80으로 진행하여, 그것을 블루투스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송신한다.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디바이스 정보에는, 그 송신처로서,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1)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통신 제어부(242)는 단계 S181에 있어서,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에 관한, 모든 디바이스 정보가 리모트 컨트롤러(1)에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송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77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통신 제어부(242)는, 단계 S181에 있어서,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에 관한, 모든 디바이스 정보가 리모트 컨트롤러(1)에 송신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와, 그 디바이스를 개재하여, 간접적인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가 취득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는 취득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적으로 통신을 행할 수 없는 디바이스에 대하여도, 소정의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3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탐색에 의해 복수의 디바이스가 검출된 경우의 리모트 컨트롤러(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탐색부(161)에 의해 행해지는 탐색에 의해, 디바이스가 검출된 것이 통지되어 왔을 때, 표시 제어부(153)의 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는, 단계 S191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변수 n에 「0」을 설정한다. 이 변수 n은 검출된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 정보가 취득될 때마다, 1씩 인크리먼트된다(단계 Sl98).
기억 제어부(152)의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단계 S192에 있어서, 기억부(69)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대상으로 하고 있는 디바이스(변수 n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 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92에 있어서,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대상으로 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93으로 진행하고,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했다, 디바이스 정보의 등록 처리를 행한다.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된 후, 단계 S194의 처리는 스킵되고,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 S192에 있어서, 디바이스 정보 관리부(181)는, 현재, 대상으로 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가, 기억부(69)에 이미 등록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94로 진행한다. 단계 S194에 있어서, 캐쉬 메모리 관리부(182)는, 대상으로 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 정보가 캐쉬 메모리(69A)에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캐쉬 메모리 관리부(182)는, 단계 S194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 정보가 캐쉬 메모리(69A)에 남아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95로 진행하여, 조작 패널 정보를 캐쉬 메모리(69A)에서 판독하고, 그것을 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에 출력한다.
한편, 단계 S194에 있어서, 캐쉬 메모리 관리부(182)는, 대상으로 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 정보가 캐쉬 메모리(69A)에 남아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9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96 및 S197에서는, 도 16의 단계 S35 및 S36과 마찬가지로, 리모트 컨트롤러(1)의 특징 정보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디바이스에 통지되고, 그 통지에 응답하여 송신되어 온 조작 패널 정보가 수신된다.
예를 들면, 현재 대상으로 하고 있는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A(퍼스널 컴퓨터(351))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 C(퍼스널 컴퓨터(31))인 경우, 퍼스널 컴퓨터(31)의 IP 어드레스 등을 포함하는, 조작 패널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퍼스널 컴퓨터(351)에 송신된다. 이 메시지는 상술한,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퍼스널 컴퓨터(351)를 경유하여 퍼스널 컴퓨터(31)에 대하여 송신된다.
그리고, 메시지에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3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351)를 경유하여 조작 패널 정보가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 그 조작 패널 정보가 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에 의해 취득된다.
단계 S195 및 S197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 정보가 취득되었을 때, 단계 S198에 있어서, 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는 변수 n의 값을 1만큼 인크리먼트하고, 단계 S199로 진행하여, 탐색에 의해 검출된 모든 디바이스와,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로부터, 조작 패널 정보를 취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모든 디바이스로부터, 조작 패널 정보가 아직 취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92로 되돌아가고, 그 이후, 다음에 대상으로 된 디바이스에 대하여 이상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조작 패널 정보 취득부(201)는 단계 S199에 있어서, 탐색에 의해 검출된 모든 디바이스와,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로부터, 조작 패널 정보를 취득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00으로 진행하여, 조작 패널의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200에서는, 예를 들면, 모든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의 편집이나, 편집하여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는 조작 패널의 표시 등이 행해진다.
다음에, 도 3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30의 단계 S200에서 실행되는 조작 패널의 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조작 패널 정보가 취득된 경우, 표시 제어부(153)의 편집부(202)는, 단계 S211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 패널을 LCD(51)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의 편집을 행한다. 도 16에서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디바이스가 1개라고 했기 때문에, 검출된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에 기초하여, LCD(51) 전체에 1개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수 있지만, 복수의 디바이스가 검출된 경우, 이들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을 LCD(51)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을 행할 필요가 있다.
조작 패널 정보의 편집으로서, 예를 들면, LCD(51)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프레임에 각각의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이 표시되도록, HTML 파일인 조작 패널 정보의 재구성이 행하여진다.
도 32는 HTML 파일의 재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TML 파일(381)은 도 20의 텔레비전 수상기(21)로부터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이고, 그 <TITLE> 태그의 사이에는 「TV」가 기술되어 있다. 도 32에서는, HTML 파일(381)은 <HTML> 내지 </HTML>, <HEAD> 내지 </HEAD>, <TITLE> 내지 </TITLE>, <BODY>…의 각 태그에 의해, 문서의 구조가 나타내져 있다.
HTML 파일(382)은 도 20의 퍼스널 컴퓨터(31)로부터 취득된 조작 패널 정보이고, 그 <TITLE> 태그의 사이에는 「PC」가 기술되어 있다. HTML 파일(382)의 구조는 HTML 파일(381)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들 HTML 파일(381) 및 HTML 파일(382)은 각각, 텔레비전 수상기(21) 및 퍼스널 컴퓨터(3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351)를 경유하여 취득된 것이다.
HTML 파일(381) 및 HTML 파일(382)에 기초하여, 편집부(202)에 의해 HTML 파일의 재구성이 행하여져, 예를 들면, HTML 파일(383)이 새롭게 생성된다.
HTML 파일(383)의 제1 행째에는, <FRAMSET ROWS="50%, 50%">가 기술되어 있다. 이 <FRAME SET> 태그에 의해, LCD(51)(브라우저 화면)를 가로 방향으로 2 분할하고, 브라우저 화면의 상하 방향 전체를 100%로 하여, 50%씩의 사이즈의 상단과 하단의 프레임을 작성하는 것이 정의되어 있다.
<FRAME SET> 태그의 아래에는, <FRAM SRC="TV.html", <FRAM SRC="PC.html">이 기술되어 있다. 이에 의해, <FRAME SET> 태그에 의해 정의된 상단의 프레임에, "TV.html"에 의해 지정되는, 텔레비전 수상기(21)로부터 취득된 HTML 파일(381)의 내용이 기술되고, 하단의 프레임에, "PC.html"에 의해 지정되는, 퍼스널 컴퓨터(31)로부터 취득된 HTML 파일(382)의 내용이 기술되는 것이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탐색에 의해, 먼저 검출된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이 상단의 프레임에 표시되도록 HTML 파일이 편집된다. 도 32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21)가 퍼스널 컴퓨터(31)보다도 먼저 검출된 경우의 예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분할이 지정된 HTML 파일(383)에 기초하여, 단계 S212에 있어서, LCD(51)에는, 예를 들면, 도 33의 조작 패널이 표시된다.
도 33에 된 바와 같이, 도 32의 HTML 파일(383)에 기초하여, LCD(51)의 상반분에 형성된 영역(프레임)(51A)에, 텔레비전 수상기(21)의 조작 패널이 표시되고, 하반분에 형성된 영역(51B)에, 퍼스널 컴퓨터(31)의 조작 패널이 표시된다.
이 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351)의 조작 패널로서, 퍼스널 컴퓨터(351)에 보존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혹은 퍼스널 컴퓨터(351)에 소정의 콘텐츠를 보존시키거나 할 때 등에 조작되는 조작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도 33의 LCD(51)의 우단에는 영역(5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영역(51C)의 상측에는, 직접 통신이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351)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때 조작되는 아이콘(36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영역(51C)의 하방에는 퍼스널 컴퓨터(351)를 개재하여, 간접적인 통신이 가능한, 텔레비전 수상기(21)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때 조작되는 아이콘(371)과, 퍼스널 컴퓨터(31)의 조작 패널을 표시시킬 때 조작되는 아이콘(372)이 표시되어 있다.
이 아이콘의 화상 정보도 예를 들면, 조작 패널 정보와 함께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와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없는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이더라도,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과 마찬가지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와 디바이스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걱정하는 일없이, 이들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 LAN 등에 의해 디바이스 사이를 접속시키는 것은, 예를 들면, 데이터의 송수신 등, 이들 디바이스를 상호 제휴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고, 접속되는 디바이스는 서로 관련성이 높은 디바이스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1)의 근방에 있는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뿐만 아니라,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도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휴시켜 실행시키는 소정의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디바이스 A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3의 조작 패널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계 S221에 있어서, 입력 검출부(154)는, 텔레비전 수상기(21)의 조작 패널(상단), 또는 퍼스널 컴퓨터(31)의 조작 패널(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소정의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눌러졌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221에 있어서, 입력 검출부(154)는 소정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졌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22로 진행한다.
단계 S222에 있어서, 디바이스 제어부(162)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버튼에 응답하여,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커맨드와, 커맨드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351)(디바이스 A)에 송신하여, 텔레비전 수상기(21) 또는 퍼스널 컴퓨터(31)를 간접적으로 제어한다.
커맨드를 수신한 텔레비전 수상기(21) 또는 퍼스널 컴퓨터(31)에서는 커맨드에 따른 동작이 행해진다.
이상에 있어서는,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1)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소위 「자」의 디바이스라고 했지만, 「자」의 디바이스에,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손」의 디바이스도,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즉, 「자」의 디바이스는 2개의 네트워크(「모」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네트워크와, 「손」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자」의 디바이스와 「모」의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와, 「손」의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디바이스 정보나 조작 패널 정보, 혹은 각종의 메시지 등의 정보가 송수신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자」의 디바이스인 텔레비전 수상기(21), 및 퍼스널 컴퓨터(31)의 디바이스 정보는, 퍼스널 컴퓨터(351)를 경유하여, 각각의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다고 했지만, 이들 디바이스 정보가, 미리 퍼스널 컴퓨터(351)에 의해 취득되어 있고, 퍼스널 컴퓨터(351)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제공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도 3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디바이스 A에 의해,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의 디바이스 정보가 관리되고 있고, 그것이 리모트 컨트롤러(1)에 제공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35의 처리는 도 22 및 도 23의 처리에 대응한다.
단계 S231 내지 S233, 및 단계 S241 및 S242의 처리는, 도 22의 단계 S101 내지 S103, 및 단계 S121 및 S122의 처리와 각각 마찬가지이다. 즉, 단계 S231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1)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디바이스 A에 대하여,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따라서 송신되어 온 디바이스 A의 디바이스 정보를 단계 S232에 있어서 수신한다. 수신된 디바이스 A의 디바이스 정보는 단계 S233에서 등록된다.
단계 S234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1)는 디바이스 A에 대하여, 디바이스 A를 개재시킴으로써, 간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조회한다.
디바이스 A는 예를 들면, 무선 LAN에 의한 접속이 확립되었을 때,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로부터 디바이스 B와 디바이스 C의 각각의 디바이스 정보를 취득하고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의 조회는 단계 S243에서 디바이스 A에 의해 수신된다.
단계 S234에 있어서, 디바이스 A는 디바이스 B와 디바이스 C의 각각의 디바이스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1)에 송신한다. 송신된 디바이스 정보는 단계 S235에 있어서 수신되고, 단계 S236으로 진행하여 등록된다.
이상과 같이, 디바이스 B와 디바이스 C의 각각의 디바이스 정보가, 디바이스 A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에 제공됨으로써, 도 22 및 도 23과 비교하여 분명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개별로 행해지는, 디바이스 정보의 요구와,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의 조작 패널 정보 등도, 디바이스 A에 의해 미리 취득되고, 그것이 리모트 컨트롤러(1)에 제공되도록 해도 된다.
이상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와 디바이스의 사이에서 Bluetooth 통신에 의해 통신이 행하여지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설명했지만, 마찬가지로, IEEE802.11a,802.11b 등의 각종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는, 도 1의 텔레비전 수상기(21), 오디오 시스템(22), 퍼스널 컴퓨터(31), 로봇(32)이다고 했지만, 이것 이외의 각종 기기를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DVD 레코더나 하드디스크 레코더 등의 AV(Audio Visual) 기기, 조명 기기나 에어컨디셔너 등의 가전 제품, 그 밖의 기기를, 리모트 컨트롤러(1)에 의해 제어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각각의 기기가, 그 기기를 제어할 때 조작되는 조작 패널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기억되어 있는 조작 패널 정보가 리모트 컨트롤러(1)에 대하여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퍼스널 컴퓨터(351)는 IEEE802.11b에 준거한 무선 LAN으로 텔레비전 수상기(21) 및 퍼스널 컴퓨터(31)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설명했지만, 네트워크로서, IEEE802.11a 등의 각종 무선 통신 혹은 Ethernet(등록상표) 등 각종 유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7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7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 자기 디스크(73)(MD(등록상표)(Mini-Disk)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7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62)이나, 기억부(69)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방에 존재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근방에 존재하는 정보 처리 장치뿐만 아니라, 그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l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수단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제1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조작 화면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제2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조작 화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1 조작 화면 정보와 상기 제2의 조작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작 화면과 상기 제2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2 조작 화면에 대한 입력이 맞으면, 상기 요구 수단에의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서 송신되어 온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제2 조작 화면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l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단계와,
    상기 제 l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제1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조작 화면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제2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조작 화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1 조작 화면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의 조작 화면과 상기 제2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 단계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2 조작 화면에 대한 입력이 맞으면, 상기 요구 단계의 처리에의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서 송신되어 온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단계와,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제1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조작 화면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제2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조작 화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1 조작 화면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작 화면과 상기 제2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 단계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2 조작 화면에 대한 입력이 맞으면, 상기 요구 단계의 처리에의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서 송신되어 온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5. 무선 통신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단계와,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제1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조작 화면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때에 조작되는 제2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조작 화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1 조작 화면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작 화면과 상기 제2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 단계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2 조작 화면에 대한 입력이 맞으면, 상기 요구 단계의 처리에의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서 송신되어 온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47015317A 2003-01-30 2003-12-19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043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1972 2003-01-30
JP2003021972A JP3800625B2 (ja) 2003-01-30 2003-01-30 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993A true KR20050091993A (ko) 2005-09-16
KR101043862B1 KR101043862B1 (ko) 2011-06-22

Family

ID=3282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317A KR101043862B1 (ko) 2003-01-30 2003-12-19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204356B2 (ko)
EP (2) EP1507436B1 (ko)
JP (1) JP3800625B2 (ko)
KR (1) KR101043862B1 (ko)
CN (1) CN100542331C (ko)
AU (1) AU2003292576A1 (ko)
WO (1) WO2004068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6949A1 (en) * 2004-02-05 2005-08-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stination discovery in a wireless network
US7203772B2 (en) * 2004-08-04 2007-04-10 Universal Scientific Industrial Co., Ltd. Bluetooth device with user-reconfigurable device name
KR100703319B1 (ko) * 2004-10-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조회사 아이디를 이용한 블루투스 기기의 탐색 방법
EP1744290B1 (en) * 2005-07-15 2018-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US8421597B2 (en) * 2005-10-14 2013-04-16 Kyocera Corporatio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9277156B2 (en) * 2005-11-30 2016-03-01 Broadcom Corporation Universal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KR100743920B1 (ko) 2005-12-29 2007-07-30 (주)시그마컴 멀티 포트 무선 영상 전송장치
US7699229B2 (en) * 2006-01-12 2010-04-20 Broadcom Corporation Laptop based television remote control
US20070197164A1 (en) * 2006-02-23 2007-08-23 Arnold Sheynma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bluetooth pairing
US20080207125A1 (en) * 2007-02-27 2008-08-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Conforming a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to a Local Social Standard
JP4956281B2 (ja) * 2007-05-29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124845B2 (en) * 2007-07-19 2015-09-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media display functions
KR20090021796A (ko) 2007-08-28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기기 제어 방법
JP4687728B2 (ja) * 2008-02-29 2011-05-25 ソニー株式会社 遠隔制御方法および遠隔制御装置
CN101534378B (zh) * 2008-03-10 2010-12-08 宏正自动科技股份有限公司 多媒体系统、信号转换装置及控制计算机的方法
JP4458184B2 (ja) * 2008-06-09 2010-04-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通信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035055A (ja) * 2008-07-30 2010-02-12 Panasonic Corp 遠隔操作装置、ネット家電、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遠隔操作方法
FR2942060B1 (fr) * 2009-02-11 2016-02-12 Oberthur Technologies Entite electronique apte a communiquer avec un lecteur et procede mis en oeuvre au sein d'une telle entite electronique
JP2011142405A (ja) * 2010-01-05 2011-07-21 Buffalo Inc 可搬型録画再生装置
JP5521833B2 (ja) * 2010-06-30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54074B1 (en) * 2010-07-02 2014-02-18 Alpha and Omega, Inc. Remo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ge commands to digital electronic display devices
CN102355606B (zh) * 2011-09-27 2016-02-17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遥控智能电视机的方法
CN102355599A (zh) * 2011-09-27 2012-02-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和系统
EP2613556A1 (en) * 2012-01-06 2013-07-10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xternal apparatus or an appratus connected to the external aparatus
WO2014027391A1 (ja) * 2012-08-13 2014-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DE202013101796U1 (de) * 2013-04-25 2014-07-29 Zumtobel Lighting Gmbh Energieautarkes Bedienelement für ein steuerbares Gerät
US9978267B2 (en) 2013-07-21 2018-05-22 Wizedsp Ltd. Systems and methods using acoustic communication
CN103795785B (zh) * 2014-01-16 2019-01-08 加一联创电子科技有限公司 物联网控制方法和终端
FR3017738A1 (fr) * 2014-02-14 2015-08-21 Orange Commande d'equipement, perfectionnee et universelle
JP2015207153A (ja) * 2014-04-21 2015-11-1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51411A (ko) * 2014-11-03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의 물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5622A (ko) * 2015-07-29 201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27920A (ko)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이의 주변기기 연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시스템
CN115175150A (zh) * 2019-11-22 2022-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系统
US11644902B2 (en) * 2020-11-30 2023-05-09 Google Llc Gesture-based content transf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890A (ja) * 1992-09-22 1994-04-15 Pioneer Electron Corp カラオケシステム
JPH06319177A (ja) 1993-02-24 1994-11-15 Hewlett Packard Co <Hp> 適応遠隔制御システム
JP3836154B2 (ja) * 1996-09-11 2006-10-18 株式会社セガ スキーシュミレーション装置
JP3473731B2 (ja) 1997-03-21 2003-12-08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設定方法、及び電気機器制御方法
WO1999010801A1 (en) 1997-08-22 1999-03-04 Apex Inc. Remote computer control system
JP3552199B2 (ja) 1998-12-28 2004-08-11 株式会社東芝 機器制御装置及び通信ノード
WO2001001677A1 (en) * 1999-06-28 2001-01-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and method with niche hubs
JP4576675B2 (ja) 2000-06-30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機器及びサーバ
KR100426181B1 (ko) * 2001-02-09 2004-04-06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온풍기 원격제어 중계 장치 및 그 중계 방법
US20020194596A1 (en) * 2001-06-18 2002-12-19 Srivastava Gopal K. Control of multiple AV-devices by a single master controller using infrared transmitted commands and bus transmitted commands
EP1443766A3 (en) 2003-01-30 2007-10-03 Broadcom Corporation Personal access to and control of media peripherals on a media exchange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7436B1 (en) 2016-03-02
US20140062677A1 (en) 2014-03-06
EP3002957B1 (en) 2018-08-29
JP3800625B2 (ja) 2006-07-26
JP2004235961A (ja) 2004-08-19
KR101043862B1 (ko) 2011-06-22
CN100542331C (zh) 2009-09-16
EP1507436A1 (en) 2005-02-16
EP3002957A1 (en) 2016-04-06
US8611718B2 (en) 2013-12-17
US8204356B2 (en) 2012-06-19
AU2003292576A1 (en) 2004-08-23
EP1507436A4 (en) 2009-11-25
CN1692674A (zh) 2005-11-02
WO2004068890A1 (ja) 2004-08-12
US20050172321A1 (en) 2005-08-04
US9123235B2 (en) 2015-09-01
US20120326968A1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862B1 (ko)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JP3800626B2 (ja) 制御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674815B1 (en) Configuration method for a remote
JP5307237B2 (ja) データ転送を簡略化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2273330B1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1000825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ceshifting media playback
JP2004235960A (ja) 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015787A (ja) リモート制御装置
JP2004297472A (ja) 電子機器運転パターン切換システムおよびその電子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