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557A - 통신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557A
KR20050091557A KR1020040017039A KR20040017039A KR20050091557A KR 20050091557 A KR20050091557 A KR 20050091557A KR 1020040017039 A KR1020040017039 A KR 1020040017039A KR 20040017039 A KR20040017039 A KR 20040017039A KR 20050091557 A KR20050091557 A KR 2005009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relay
data
serial
eth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글로브텍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글로브텍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4001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1557A/ko
Publication of KR2005009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비를 통해 시리얼 통신 또는 이더넷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접속 포트에 접속되는 기기의 종류, 예를 들면 시리얼 장비 또는 랜 장비에 따라 해당 기기의 통신 경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시리얼 데이터를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TCP/IP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로 연결하거나 이더넷 망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중계 모듈로 연결하여 하나의 장비로 이더넷 망으로의 네트워크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중계 장치{Communication relay device}
본 발명은 통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비를 통해 시리얼 통신 또는 이더넷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각 사업장이나 사무실에서는 옥내에 설치된 각종 컴퓨터나 측정기기 또는 각종 로봇 장비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이들 시스템을 이더넷 기반의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관리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옥내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들에 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중계 장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 조회기나, 바코드 스캐너, RF기기, 전자 측정 계기 등과 같이 시리얼 통신을 하는 시리얼 계측 장치를 옥내에 설치한 컴퓨터나 혹은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하려고 하면 인터넷 혹은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 시스템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계하는 시리얼-이더넷 변환장치를 이용하였다.
또한 시리얼 장치와는 별도로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컴퓨터 등과 같은 랜 장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허브와 같은 통신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축 방법은 옥내에 설치된 기기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중계 장치(시리얼-이더넷 변환장치나 허브)를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기기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중계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옥내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공장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각종 통신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교체하거나 시스템 개발과 시험 및 유지 보수를 위하여 한시적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용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를 통해 시리얼 통신 또는 이더넷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옥내에 설치된 장비들의 통신 환경을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점진적으로 교체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통신 환경을 저렴하고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통신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가 접속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접속 포트를 구비하고 있는 기기 접속부와; 상기 접속 포트들을 통해 접속된 기기들을 이더넷 망으로 중계하는 중계 모듈과; 상기 접속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시리얼 데이터를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중계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프로토콜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과; 상기 접속 포트에 접속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해당 기기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와;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의 경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 포트에 접속된 해당 기기의 통신 경로를 상기 중계 모듈로 연결하거나 상기 프로토콜 변환 모듈로 연결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위칭부를 통해 접속되는 기기에 대한 통신 경로를 프로토콜 변환 모듈 또는 중계 모듈로 설정해 줌으로써, 시리얼 장비와 랜 장비 모두를 하나의 장비를 통해서 이더넷 망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신호 발생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보조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신호 발생부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 모듈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또 보조적인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장치에 의하여 각종 기기가 외부와 접속되는 시스템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접속부(210)인 RJ-45 커넥터를 통해 각종 기기, 예를 들면 신용카드 조회기나 바코드 스캐너, 각종 계측 장비 등과 같은 시리얼 장비(101)나, 랜 장비(102)들이 접속된다. 그리고 이 통신 중계 장비는 내부에 구비된 중계 모듈(220)을 통해 이더넷 망(300)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중계 장치(200)는 기기 접속부(210)를 통해 접속되는 시리얼 장비(101)나 랜 장비(102)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장비의 종류에 따라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 또는 중계 모듈(220)을 통해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직접 이더넷 망(300)에 연결하여 다른 장비, 예를 들면 시리얼 장비 또는 랜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나 서버 또는 이들 장비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기타 장비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정보 등을 해당 장비(101,102)로 전송하여 주는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기기 접속부(210)에 접속되는 기기에 따라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설정 신호에 의해 스위칭부(250)가 해당 기기의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
즉 통신 중계 장치(200)는 시리얼 장비(101)를 이더넷 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과, 랜 장비(102)를 서버나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주는 중계 모듈(220)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단일의 시스템(통신 중계 장치)에 접속되는 각종 기기들에 따라 해당 기기의 통신 경로를 통해 변경 설정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이더넷 망에 연결되어 이들 장비를 제어하는 컴퓨터나 다른 장비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종래 각 장비 별로 상이한 통신장치, 예를 들면 시리얼 장비인 경우에는 시리얼-이더넷 변환장치나, 랜 장비인 경우에는 허브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던 것과는 달리 단일의 장치를 통해 시리얼 장비 및 랜 장비의 사용이 모두 가능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 면적을 줄일 수 있어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공장이나 사무실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된 각종 통신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교체하거나 시스템 개발과 시험 및 유지 보수를 위하여 한시적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하는 경우 종래에 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200)는 각종 장비(100)가 접속되는 기기접속부(210)와, 중계 모듈(220)과,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과,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 및 스위칭부(250)를 포함한다.
기기 접속부(210)는 이더넷 망(300)을 통해 다른 장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101,102)들이 접속된다. 이 때 기기 접속부(21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기기(101,102)가 동시에 접속 가능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접속 포트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200)는 기기 접속부(210)를 통해 1 대 N방식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스위칭부(250)는 기기 접속부(210)를 통해 접속된 해당 기기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수단으로, 기기 접속부를 구성하는 각 접속 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릴레이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접속 포트의 통신 경로를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 또는 중계 모듈(220)로 연결해 준다. 즉 스위칭부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의 경로 선택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기기 접속부(210)의 접속 포트에 접속된 해당 기기의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접속부(210)의 접속 포트 1,2,3에 바코드 스캐너와 신용카드 조회기 및 계측 장비 등과 같은 시리얼 장비(101)들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이 접속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250)의 릴레이들은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로부터 입력되는 경로 선택 신호에 의해 해당 접속 포트를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로 연결해 준다. 그리고 접속 포트 4,5에 랜 장비(102)들이 접속되는 경우, 이 접속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250)의 릴레이들은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로부터 입력되는 경로 선택 신호에 의해 해당 접속 포트를 중계 모듈(220)로 연결해 준다.
한편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 포트에 접속되는 기기에 따라 해당 접속 포트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통해 각 접속 포트에 대한 스위칭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속 포트 별로 설정된 릴레이를 구동하도록 해당 접속 포트 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하드웨어적인 스위칭 구성을 통해 기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장비의 통신 경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칭 신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경로 선택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릴레이는 반드시 각 포트 별로 구성되는 것이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하나의 릴레이를 통해 다수의 접속 포트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가 하이인 경우,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는 릴레이가 프로토콜 변환 모듈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로우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는 릴레이가 중계 모듈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각 릴레이들의 구동을 소프트웨어적으로도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기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들은 스위칭부(250)를 통해 설정된 경로를 따라 중계 모듈(220) 또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모듈(220)은 접속 포트들을 통해 접속된 기기들을 이더넷 망(300)으로 중계한다. 즉 중계 모듈(220)은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이나 기기 접속부(210)로부터 입력되는 TCP/IP프레임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더넷 망(300)으로 중계하는 허브로 구성된다. 이러한 허브는 본 건 출원일 이전에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은 기기 접속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시리얼 데이터를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TCP/IP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하고, 중계 모듈(220)을 통해 입력되는 TCP/IP 프레임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부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231)와, 프로토콜 변환 모듈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32)와, 제어부(232)를 통해 처리된 시리얼 데이터를 중계 모듈(220)로 연결하는 이더넷 컨트롤러(233)를 포함한다.
메모리부(231)는 데이터의 프로토콜 변환 동작 및 제어 동작 시 발생하는 데이터들과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232)는 접속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시리얼 데이터를 TCP/IP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계 모듈(2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중계 모듈(220)로부터 수신되는 TCP/IP 프레임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기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가 프로토콜 변환 모듈의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부의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메모리부(231)에는 기기 접속부를 구성하는 각 접속 포트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232)는 메모리부(23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접속 포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스위칭부의 릴레이를 식별하고,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로 해당 릴레이에 대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더넷 컨트롤러(233)는 제어부(232)와 중계 모듈(22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으로, 제어부(231)를 통해 변환된 TCP/IP 프레임 데이터를 중계 모듈(220)로 출력한다. 그리고 중계 모듈(220)로부터 입력되는 TCP/IP 프레임 데이터를 제어부(23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시리얼 장비의 시리얼 포맷을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TCP/IP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TCP/IP 프레임 데이터를 이더넷 망에 연결되어 있는 중계 모듈을 통해 이더넷 망에 연결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통신 중계 장치의 작동 상태는 하드웨어적인 스위칭을 통해 시리얼 장비 또는 랜 장비가 이더넷 망에 연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먼저 사용자가 기기 접속부(210)의 접속 포트에 시리얼 장비(101)나 랜 장비(102)를 접속한다. 그리고 접속 포트에 대한 통신 경로를 스위치 조작을 통해 설정한다. 예를 들어 시리얼 장비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 모드는 시리얼 모드로 설정되고, 랜 장비인 경우 스위칭 모드는 랜 모드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시리얼 장비 및 랜 장비가 접속된 접속 포트들은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설정된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의 경로 선택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250)를 구성하는 각각의 릴레이가 구동하게 된다. 즉 시리얼 장비가 접속되어 있는 접속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는 시리얼 모드 설정에 따라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로 연결된다. 그리고 랜 장비가 접속되어 있는 접속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는 랜 모드 설정에 따라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중계 모듈(220)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 또는 중계 모듈(220)로 연결된 시리얼 장비 및 랜 장비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 또는 중계 모듈(220)을 통해 이더넷 망(300)에 연결되어 있는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기기 접속부(210)에 접속되는 장비가 시리얼 장비(101)인 경우에는 시리얼 데이터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을 거쳐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TCP/IP프레임 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TCP/IP프레임 데이터는 중계 모듈(220)을 통해 이더넷 망(300)에 연결되어 다른 장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더넷 망(300)을 통해 통신 중계 장치(200)로 TCP/IP 프레임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이더넷 망으로부터 입력된 TCP/IP 프레임 데이터는 우선 중계 모듈로 입력된다. 그리고 이 중계 모듈(220)로 입력된 TCP/IP 프레임 데이터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240)에 따른 스위칭부(250)의 설정 상태에 따라 시리얼 장비(101)로 설정된 경우에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230)로 출력되고, 랜 장비(102)로 설정된 경우에는 기기 접속부(210)로 직접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스위칭부를 통해 접속되는 기기에 따라 프로토콜 변환 모듈 또는 중계 모듈로의 통신 경로를 설정해 줌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통해 시리얼 통신 혹은 이더넷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각 장비 별로 상이한 통신장치, 예를 들면 시리얼 장비인 경우에는 시리얼-이더넷 변환장치, 랜 장비인 경우에는 허브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던 것과는 달리 단일의 장치를 통해 시리얼 장비 및 랜 장비의 사용이 모두 가능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 면적을 줄일 수 있어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공장이나 사무실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된 각종 통신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교체하거나 시스템 개발과 시험 및 유지 보수를 위하여 한시적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하는 경우 종래에 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중계 장치에 의하여 각종 기기가 외부와 접속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부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신호 발생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프로토콜 변환 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시리얼 장비 102 : 랜 장비
200 : 통신 중계 장치
210 : 기기 접속부 220 : 중계 모듈
230 : 프로토콜 변환 모듈 240 : 스위칭 신호 발생부
250 : 스위칭부
300 : 이더넷 망

Claims (4)

  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가 접속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접속 포트를 구비하고 있는 기기 접속부와;
    상기 접속 포트들을 통해 접속된 기기들을 이더넷 망으로 중계하는 중계 모듈과;
    상기 접속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시리얼 데이터를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중계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프로토콜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과;
    상기 접속 포트에 접속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해당 기기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와;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의 경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 포트에 접속된 해당 기기의 통신 경로를 상기 중계 모듈로 연결하거나 상기 프로토콜 변환 모듈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중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는 :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중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는 :
    상기 프로토콜 변환 모듈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경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중계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 모듈은 :
    데이터의 프로토콜 변환 동작 및 제어 동작 시 발생하는 데이터들과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접속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시리얼 데이터를 TCP/IP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중계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TCP/IP 프로토콜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접속 포트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TCP/IP 프로토콜 데이터를 상기 중계 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중계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TCP/IP 프로토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이더넷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중계 장치.
KR1020040017039A 2004-03-12 2004-03-12 통신 중계 장치 KR20050091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039A KR20050091557A (ko) 2004-03-12 2004-03-12 통신 중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039A KR20050091557A (ko) 2004-03-12 2004-03-12 통신 중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557A true KR20050091557A (ko) 2005-09-15

Family

ID=3727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039A KR20050091557A (ko) 2004-03-12 2004-03-12 통신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1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699A (ko) 2015-09-07 2017-03-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통신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중계방법
KR20190134359A (ko) * 2018-05-25 2019-12-04 (주)에즈웰플러스 접속망 분리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699A (ko) 2015-09-07 2017-03-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통신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중계방법
KR20190134359A (ko) * 2018-05-25 2019-12-04 (주)에즈웰플러스 접속망 분리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9961B2 (en) Industrial ethernet communications adapter
CN101809934B (zh) 用于使用管理端口电路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US20080279202A1 (en) Integrated Gateway for Distributed Home Network and Software Framework Structure for the Same
US8943188B2 (en) Automation network comprising network components that produce status messages
US8972641B2 (en) Device and method for addressing, and converter
US20040139210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30008796A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EP1720286A2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0116488A1 (ja) 通信アダプター装置
CN101485141B (zh) 用于基于管理服务发现Web服务的两阶段机制的方法和系统
CN101150451B (zh) 一种网络设备单板状态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KR100949814B1 (ko) 무정전전원장치의 통합 원격 감시 시스템
US20020059485A1 (en) Controller internal bus supporting the TCP/IP Protocol
CN103200067A (zh) 用以隔离数据的动态虚拟lan
KR20050091557A (ko) 통신 중계 장치
CN101116040A (zh) 控制至少一个能联网设备、尤其是家用设备从第一网络接入装置转换到第二网络接入装置的方法和装置
US20040114591A1 (en) IP Routing Between Modules on a PLC Backplane
CN101262482A (zh) 一种TTCN语言实现的DHCPv6测试方法
KR20030060598A (ko) 상이한 프로토콜로 동작하는 네트워크의 관리방법 및 장치
KR20080110216A (ko) 동시 분산제어 및 독립제어 시스템
CN113138732A (zh) 多显示控制器系统、访问控制系统以及显示控制器
JP4671056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通信ユニット
JP5906747B2 (ja) サーバ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バ管理方法
JP2002163164A (ja) マルチプロトコル対応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
JP3571612B2 (ja) データ監視方法及び制御系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