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796A -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796A
KR20030008796A KR1020010043714A KR20010043714A KR20030008796A KR 20030008796 A KR20030008796 A KR 20030008796A KR 1020010043714 A KR1020010043714 A KR 1020010043714A KR 20010043714 A KR20010043714 A KR 20010043714A KR 20030008796 A KR20030008796 A KR 20030008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address
private
internet network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4297B1 (ko
Inventor
윤상철
전덕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297B1/ko
Priority to US10/028,426 priority patent/US20030018733A1/en
Priority to CNB021020892A priority patent/CN1190923C/zh
Priority to EP02001714A priority patent/EP1278338B1/en
Priority to DE60204924T priority patent/DE60204924T2/de
Priority to JP2002015641A priority patent/JP3676739B2/ja
Publication of KR20030008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은 건물 내에 이미 구비된 LAN선 등으로 이루어진 인터넷망과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되도록 상기 가전기기로 사설 IP주소를 설정하는 연산장치와, 상기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가전기기와 인터넷망 사이의 송수신 정보를 각각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변환 처리하는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로 구성되어, 기존의 가전기기에 간단하게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을 장착함으로써 고가의 LAN 카드나 CPU의 장착 없이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통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통합 제어시스템 구축 시 소모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단하게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Home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인터넷망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가정 내에서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망이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되도록 하여 가정 내의 어느 공간에서나 또는 가정 외에서나 상기 가전기기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가정 내의 어느 공간에서도 특정 가정기기의 상태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에서도 컴퓨터 등의 수단을 통해 가정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많은 소비자의 호응을 얻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의 응용범위는 나날이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의 경우 가전기기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가전기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가정이나 건물 내에 전용선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전기기가 네트워크망과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망과 제어 및 상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전기기에 고가격의 LAN카드를 장착하여야 하며, 통신 처리를 할 수 있는 PC급 CPU를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가전기기에 LAN카드를 장착하고 PC급 CPU 갖추게 되는 경우, 상기 가전기기의 제조원가는 상승하게 되어 시장에서 그만큼 경쟁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생산라인에서 설계, 제조되던 가전기기와 달리 새로운 사양의 PC급 CPU와 LAN카드를 가전기기에 장착하기 위해서 새로운 생산라인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새로운 생산라인의 구축 시 소모되는 비용도 가전기기의 가격을 더욱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가전기기에 LAN카드와 PC급 CPU를 기본으로 장착하게 되는 경우, 네트워크망과 연결될 필요가 없는 가전기기 역시 LAN카드와 PC급 CPU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어될 필요가 없는 가전기기의 가격상승과 자원방비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정이나 빌딩 등에 이미 구비된 LAN 설비망을 가전기기와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가전기기와 네트워크망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내장형 통신모듈을 가정기기에 장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가전기기 통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이 도시된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게 도시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1~A3 : 가전기기B1~B3 : 연산장치
C1~C3 :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특징에따르면,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그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와, 상기 가전기기가 인터넷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가전기기를 인터넷망에 접속시키고 그 연결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사설 IP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가지는 상기 가전기기와 인터넷망의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상기 인터넷망에서 엑세스 가능한 공인 IP주소를 가지는 연산장치와, 상기 연산장치를 통해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연산장치를 통해 송수신되는 상기 인터넷망의 정보가 상기 가전기기와 송수신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한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전기기의 사설 IP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가지는 상기 가전기기와 인터넷망의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상기 인터넷망에서 엑세스 가능한 공인 IP주소를 가지는 연산장치와, 상기 연산장치를 통해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연산장치를 통해 송수신되는 상기 인터넷망의 정보가 상기 가전기기와 송수신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이 구축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구축된 연산장치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의 사설 IP주소가 설정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된 IP주소를 가지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실행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가 제어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이나 빌딩(H) 내에 이미 구비된 LAN 선으로 이루어진 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A1,A2,A3)와, 상기 가전기기(A1,A2,A3)의 사설 IP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가전기기(A1,A2,A3)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PC 등의 연산장치(B1,B2,B3)와, 상기 가전기기(A1,A2,A3)에 내장되어 상기 가전기기(A1,A2,A3)에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가전기기(A1,A2,A3)가 상기 인터넷망과 송수신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C1,C2,C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정이나 빌딩(H)에 구비된 인터넷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비인 허브(N1)와, 게이트웨이(N2)를 통해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가정이나 빌딩(H) 외부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외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연산장치(B1,B2,B3)로 접속하여 상기 가전기기(A1,A2,A3)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산장치(B1,B2,B3)는 외부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상기 연산장치(B1,B2,B3)에 접속할 수 있도록 공인 IP주소를 가지며, 경우에 따라 상기 연산장치(B1,B2,B3)는 단순한 PC가 아니라 게이트웨이나 라우터로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 혹은 제어자는 상기연산장치(B1,B2,B3)에 직접 제어정보를 입력하거나, 외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연산장치(B1,B2,B3)에 접속하여 상기 연산장치(B1,B2,B3)에 간접적으로 제어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연산장치(B1,B2,B3)는 상기 제어자가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A1,A2,A3)를 제어하기 위하여 직/간접으로 연산장치로 제어정보를 입력하기에 앞서, 상기 제어자가 입력하는 제어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자가 가전기기를 제어할 권한이 주어진 정당한 제어지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연산장치는 PC 내에 정당한 제어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자가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미리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각 가전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가전기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산장치(B1,B2,B3)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A1,A2,A3)로 사설 IP주소뿐만 아니라, 포트까지 할당함으로써 하나의 사설 IP주소가 허락된 상황에서도 복수개의 가전기기(A1,A2,A3)가 제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가 사설 IP주소뿐만 아니라 포트번호까지 일치하는 가전기기에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제어정보가 잘못 전송되거나 가전기기나 잘못된 제어정보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외에, 상기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B1,B2,B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전기기에 내장되어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가전기기의 주제어부의 송수신 정보를 각각 네트워크 장비 규격과 가전기기 주제어부 장비 규격에 적합하게 변환,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1)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11)를 통해 처리된 바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로 설정된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2)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12)에 저장된 사설 IP주소를 가지는 가전기기의 제어 및 상태관측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저장되는 인터페이스 저장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1)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어정보에 포함된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12)에 저장된 가전기기의 설정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와 비교하여 정당한 제어정보만 가전기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어정보를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에 설치된 가전기기 및 연산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연산장치(B1)는 외부 인터넷망과 게이트웨이(N2), 허브(N1)를 통해 연결되며, 공인 IP주소를 가짐에 따라 외부 인터넷망 상에서는 서버로 동작하며 외부 인터넷망을 통해 가전기기의 사용자 혹은 제어자가 상기 연산장치(B1)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산장치(B1)는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A1,A2,A3)와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C1,C2,C3)과 건물 내에 이미 구비된 LAN선 등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연산장치(B1)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C1,C2,C3)로 제어정보가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A1,A2,A3)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전기기(A1,A2,A3)는 상기 연산장치(B1)를 통해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가 부여됨에 따라 상기 제어정보 중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C1,C2,C3)에 저장된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를 가지는 제어정보만 수신하여 그에 따라 제어된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C1,C2,C3)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저장부(30)에는 상기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이 내장된 가전기기의 제어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저장하고 있어 상기 연산장치나 외부 인터넷망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프로그램이나 자바 스크립트가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연사장치 혹은 외부 인터넷망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따라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단계에서 상기 연산장치와 상기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이 건물 내에 설치된 가전기기와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구축된다.(S1)
제2 단계에서, 상기 연산장치는 상기 연산장치로 직접 또는 상기 공인 IP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연산장치로 접속한 가전기기 제어자의 간접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자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에 정당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였는지 확인한다. (S2)
제3 단계에서, 상기 제어자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에 정당한 제어자로 확인된 경우,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가 설정된다. (S3) 여기서, 상기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가 설정된 가전기기에 내장된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은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설정된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연산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설정된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를 가전기기별로 저장하여 상기 가전기기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단계에서, 상기 연산장치는 i번의 사설 IP주소와 i번의 포트번호를 가지는 가전기기가 인터넷망을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가전기기로 연결명령을 전송한다. (S4)
제5 단계에서, 상기 연산장치는 연결명령을 전송받은 가전기기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S5)
상기 제5 단계에서 연결이 확인된 경우, 제6 단계에서, 상기 연산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모두 인터넷망과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S6) 한편, 상기 제5 단계에서 연결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산장치는 계속적으로 상기 제4 단계에서 연결명령을 전송받은 가전기기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제6 단계에서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모두 인터넷망과 모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7 단계에서, 상기 연산장치는 연결명령을 전달하고자 하는 가전기기의 i번째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를 하나씩 증가시켜 상기 제4 단계로 복귀한 후, 결국 i+1번째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를 가지는 가전기기로 연결명령을 전달한다. (S7)
제8 단계에서,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설정된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를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의 가전기기 내장형통신모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가전기기의 제어 및 상태관측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연산장치로 전송한다. (S8) 여기서, 만일, 상기 제어자가 외부 인터넷망을 통해 간접으로 상기 연산장치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경우, 상기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 제어자에게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결국 상기 연산장치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자가 사용한 외부 인터넷망의 외부 PC나 인터넷 연결수단으로 전송된다.
상기 제8 단계에서 전송된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9 단계에서, 상기 연산장치에서 실행된다. (S9)
상기 제9 단계에서 실행된 유저 인터페이스에 따라 발생한 가전기기 제어정보가 제10 단계에서 건물 내의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전송된다. (S10)
제11 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는 상기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어정보 전송단계에서 전송된 제어정보 중 상기 제어정보가 포함하고 있는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S11)
상기 제11 단계에서 판단된 바에 따라 상기 제어정보의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와 상기 저장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가 일치하는 가전기기는 제12 단계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의하여 제어된다. (S12) 한편, 제어정보의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가 상기 저장된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가전기기는 수신된 제어정보를 무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건물 내에 이미 구비된 LAN선 등으로 이루어진 인터넷망과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되도록 상기 가전기기로 사설 IP주소를 설정하는 연산장치와, 상기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가전기기와 인터넷망 사이의 송수신 정보를 각각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변환 처리하는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로 구성되어, 기존의 가전기기에 간단하게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을 장착함으로써 고가의 LAN 카드나 CPU의 장착 없이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통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가전기기와 네트워크 통합 제어시스템 구축 시 소모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단하게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그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와; 상기 가전기기가 인터넷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가전기기를 인터넷망에 접속시키고 그 연결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사설 IP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가지는 상기 가전기기와 인터넷망의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상기 인터넷망에서 엑세스 가능한 공인 IP주소를 가지는 연산장치와; 상기 연산장치를 통해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연산장치를 통해 송수신되는 상기 인터넷망의 정보가 상기 가전기기와 송수신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장치는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상기 연산장치와 인터넷망을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은 상기 가전기기에 내장되어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가전기기의 주제어부의 송수신 정보를 각각 네트워크 장비 규격과 가전기기 주제어부 장비 규격에 적합하게 변환,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바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로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설 IP주소를 가지는 가전기기의 제어 및 상태관측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저장되는 인터페이스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4.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그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와; 상기 가전기기가 인터넷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가전기기를 인터넷망에 접속시키고 그 연결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사설 IP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가지는 상기 가전기기와 인터넷망의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상기 인터넷망에서 엑세스 가능한 공인 IP주소를 가지는 연산장치와, 상기 연산장치를 통해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연산장치를 통해 송수신되는 상기 인터넷망의 정보가 상기 가전기기와 송수신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이 구축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구축된 연산장치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의 사설 IP주소가 설정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된 IP주소를 가지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실행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가 제어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연산장치가 상기 연산장치로 직접 또는 상기 공인 IP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연산장치로 접속한 가전기기 제어자가 간접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확인하는 제어자 확인단계와; 상기 제어자 확인단계에서 상기 제어자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에 정당한 제어자인 경우 상기 건물 내의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설정하는 사설 IP주소 설정단계와; 상기 사설 IP주소 설정단계에서 사설 IP주소가 설정된 가전기기가 인터넷망을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가전기기로 연결명령을 전송하는 연결명령단계와; 상기 연결명령단계를 통해 연결명령을 전송받은 가전기기의 연결상태가 확인되는 가전기기 연결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 IP주소 설정단계는 상기 가전기기의 내장형 통신모듈이 상기 설정된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저장하는 사설 IP주소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된 사설 IP주소를 통하여 인터넷망과 접속한 가전기기의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에서 상기 가전기기의 제어 및 상태관측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연산장치로 전송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전송단계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전송단계에서 전송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연산장치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실행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전송단계에서 상기 연산장치는 상기 가전기기 제어자가 간접으로 상기 연산장치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경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 제어자에게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실행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한 가전기기 제어정보가 건물 내의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전송되는 제어정보 전송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내장된 상기 가전기기 내장형 통신모듈이 상기 제어정보 전송단계에서 전송된 제어정보가 포함하고 있는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와 상기 사설 IP주소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사설 IP주소 및 포트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정보 판단단계와; 상기 제어정보 판단단계에 따라 상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사설 IP주소와 포트번호가 설정된 가전기기가 상기 제어정보에 의하여 제어되는 가전기기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01-0043714A 2001-07-20 2001-07-20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42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714A KR100424297B1 (ko) 2001-07-20 2001-07-20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10/028,426 US20030018733A1 (en) 2001-07-20 2001-12-2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CNB021020892A CN1190923C (zh) 2001-07-20 2002-01-21 家用电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EP02001714A EP1278338B1 (en) 2001-07-20 2002-01-24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DE60204924T DE60204924T2 (de) 2001-07-20 2002-01-24 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von Heimgeräten
JP2002015641A JP3676739B2 (ja) 2001-07-20 2002-01-24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714A KR100424297B1 (ko) 2001-07-20 2001-07-20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796A true KR20030008796A (ko) 2003-01-29
KR100424297B1 KR100424297B1 (ko) 2004-03-24

Family

ID=3612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714A KR100424297B1 (ko) 2001-07-20 2001-07-20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18733A1 (ko)
EP (1) EP1278338B1 (ko)
JP (1) JP3676739B2 (ko)
KR (1) KR100424297B1 (ko)
CN (1) CN1190923C (ko)
DE (1) DE60204924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228B1 (ko) * 2005-12-30 2006-07-28 한영콘트롤 주식회사 웹기반 빌딩 통합 관리 및 제어 시스템
KR100772672B1 (ko) * 2006-03-03 2007-11-02 주식회사 유파워 인터넷회선 원격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70B1 (ko) * 2001-07-20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4786081B2 (ja) * 2001-08-24 2011-10-05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ホームゲートウエイ装置
JP2003348116A (ja) * 2002-05-28 2003-12-05 Hitachi Ltd 家庭内ネットワーク向けアドレス自動設定方式
US7444401B1 (en) 2002-11-18 2008-10-28 Arkion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expensiv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motely distributed appliances
US7398077B1 (en) 2002-12-12 2008-07-08 Alcatel Lucent Universal premise controller
KR100534611B1 (ko) * 2003-06-04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65487B1 (ko) * 2003-06-20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50008953A (ko) * 2003-07-14 2005-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E102004040795A1 (de) * 2004-08-23 2006-03-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Vorrichtung und Sofwaremodul zur softwaretechnischen Abbildung des Geräteverhaltens eines realen Hausgeräts in einem Modell
US8533253B2 (en) * 2005-06-09 2013-09-10 Whirlpool Corporation Distributed object-oriented appliance control system
US8615332B2 (en) * 2005-06-09 2013-12-24 Whirlpool Corporation Smart current attenuator for energy conservation in appliances
CN101305350A (zh) * 2005-06-09 2008-11-12 惠而浦公司 与家用电器内的至少一个部件通信以及对其进行管理的软件体系系统和方法
WO2007131169A2 (en) * 2006-05-04 2007-11-15 Capstone Mobile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water meter
US8690117B2 (en) 2006-05-04 2014-04-08 Capstone Metering Llc Water meter
MX2011004330A (es) 2008-10-27 2011-08-03 Mueller Int Llc Sistema y metodo de monitoreo de infraestructura.
JP2012527706A (ja) 2009-05-22 2012-11-08 ミューラ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ンフラ監視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412839B2 (en) * 2009-06-24 2013-04-02 Harris Technology, Llc Portable phone remote
CA3116787C (en) 2010-06-16 2023-07-11 Mueller International, Llc Infrastructure monito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8833390B2 (en) 2011-05-31 2014-09-16 Mueller International, Llc Valve meter assembly and method
US8660134B2 (en) 2011-10-27 2014-02-25 Mueller Internation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ime-based hailing of radio frequency devices
US8855569B2 (en) 2011-10-27 2014-10-07 Mueller Internation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squelching in radio frequency devices
DE102012200714A1 (de) * 2012-01-19 2013-07-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Datenkommunikation zwischen einem Haushaltsgerät und einem Benutzerendgerät, Haushaltsgerät und System mit einem Haushaltsgerät und einem Benutzerendgerät
DE102012214795A1 (de) 2012-08-21 2014-02-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mmunikationsmodul für ein Hausgerät
DE102013202048A1 (de) 2013-02-07 2013-04-18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atalytisch aktiven Masse, die ein Gemisch aus einem die Elemente Mo und V enthaltenden Multielementoxid und wenigstens einem Oxid des Molybdäns ist
CA3128758A1 (en) 2013-03-15 2014-09-25 Mueller International, Llc System for measuring properties of water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EP2884698A1 (en) * 2013-12-16 2015-06-17 Gemalto M2M GmbH Method for interaction of a device appliance and a communication unit
US9494249B2 (en) 2014-05-09 2016-11-15 Mueller International, Llc Mechanical stop for actuator and orifice
US9565620B2 (en) 2014-09-02 2017-02-07 Mueller International, Llc Dynamic routing in a mesh network
US11041839B2 (en) 2015-06-05 2021-06-22 Mueller International, Llc Distribution system monitoring
KR20200086430A (ko)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정원로드 도로용 충격완충장치
KR102118206B1 (ko) 2019-08-23 2020-06-02 주식회사 정원로드 도로용 충격 완충장치
CN110969823B (zh) * 2019-11-27 2022-03-22 深圳拓邦股份有限公司 清洁设备的控制方法与清洁设备
US11725366B2 (en) 2020-07-16 2023-08-15 Mueller International, Llc Remote-operated flushing system
US20240091756A1 (en) 2020-10-29 2024-03-21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a core-shell catalys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3696B1 (en) * 1996-10-15 2003-02-2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uniform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US6139177A (en) * 1996-12-03 2000-10-31 Hewlett Packard Company Device access and control using embedded web access functionality
JPH10276478A (ja) * 1997-03-31 1998-10-13 Toshiba Corp 家電機器制御装置
JP2000513916A (ja) * 1997-06-25 2000-10-17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ホームネットワーク自動ツリー生成器に対する方法及び装置
FR2770017B1 (fr) * 1997-10-17 1999-12-03 Thomson Multimedia Sa Systeme de controle d'equipement domestique par affichage graphique sur ecran
US6006272A (en) * 1998-02-23 1999-12-2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network address translation
KR100288508B1 (ko) * 1998-06-26 2001-05-02 민기철 인터넷을이용한원격가정자동화시스템
AUPP471098A0 (en) * 1998-07-16 1998-08-06 United Technology Pty Ltd Internet utility interconnect method and means
JP3136140B2 (ja) * 1999-06-03 2001-02-19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接続型sohoゲートウェイ装置
JP2000354053A (ja) * 1999-06-11 2000-12-19 Sanyo Electric Co Ltd ネットワーク用通信モジュール、及び該通信モジュールが接続可能な電気機器
JP3318289B2 (ja) * 1999-08-10 2002-08-26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エイ装置
JP2001086160A (ja) * 1999-09-14 2001-03-30 Aiwa Co Ltd データ通信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1086570A (ja) * 1999-09-14 2001-03-30 Takayuki Ono 電子メールによる家電遠隔操作システム
ES2220550T3 (es) * 1999-10-15 2004-12-16 Thomson Licensing S.A. Interfaz de usuario paa un sistema de comunicacion bidireccional.
CA2388389A1 (en) * 1999-10-22 2001-05-03 Roke Manor Research Limited A fully integrated web activated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US6453687B2 (en) * 2000-01-07 2002-09-24 Robertshaw Controls Company Refrigeration monitor unit
KR20020022317A (ko) * 2000-09-19 2002-03-27 윤종용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
US6587739B1 (en) * 2000-09-29 2003-07-01 Sunbeam Products, Inc. Appliance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and appliances for use in same
KR20020026745A (ko) * 2000-10-02 2002-04-12 윤종용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
KR20010016108A (ko) * 2000-11-06 2001-03-05 류왕수 홈오토메이션의 아이피 공유장치
KR100359827B1 (ko) * 2000-11-27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EP1598714B1 (en) * 2000-12-13 2016-09-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US20020103898A1 (en) * 2001-01-31 2002-08-01 Moyer Stanley 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to communicate with networked appliances
KR100429617B1 (ko) * 2001-05-1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아이피 환경에서의 가전기기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228B1 (ko) * 2005-12-30 2006-07-28 한영콘트롤 주식회사 웹기반 빌딩 통합 관리 및 제어 시스템
KR100772672B1 (ko) * 2006-03-03 2007-11-02 주식회사 유파워 인터넷회선 원격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9448A (zh) 2003-02-26
EP1278338A1 (en) 2003-01-22
DE60204924T2 (de) 2006-04-20
JP3676739B2 (ja) 2005-07-27
CN1190923C (zh) 2005-02-23
JP2003060665A (ja) 2003-02-28
EP1278338B1 (en) 2005-07-06
US20030018733A1 (en) 2003-01-23
KR100424297B1 (ko) 2004-03-24
DE60204924D1 (de)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4297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381170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3112761U (ja) 家電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437042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40139210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50008953A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429617B1 (ko) 유동 아이피 환경에서의 가전기기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CN103297506A (zh) 对家居设备控制的方法及系统
CN100485564C (zh) 远程自动化系统
KR100777811B1 (ko)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KR100381171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EP1523828B1 (en) Method for separating multiple home networks
KR20030070302A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CN103716368A (zh) 利用具备wifi模块的可视电话的远程控制装置
KR100565524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400459B1 (ko)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2922B1 (ko) 네트워크 통합시스템
KR100424298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KR100381172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신호 송수신방법
KR20020047626A (ko) 가정기기의 원격 제어 장치
KR100381201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KR100381173B1 (ko) 가전기기 주소 설정방법
KR100641099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외부서버 선택방법
KR200330750Y1 (ko) 홈오토메이션의 아이피 공유장치
KR100408809B1 (ko) 허브가 내장된 네트워크 카드를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