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687A -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687A
KR20050090687A KR1020040015888A KR20040015888A KR20050090687A KR 20050090687 A KR20050090687 A KR 20050090687A KR 1020040015888 A KR1020040015888 A KR 1020040015888A KR 20040015888 A KR20040015888 A KR 20040015888A KR 20050090687 A KR20050090687 A KR 20050090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wir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687A/ko
Publication of KR2005009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68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33Joints with beveled or recessed upper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수화기가 인출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이어폰을 사용함이 없이 이어폰기능과 수화기기능을 겸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음성출력단자를 포함하여 무선통신기능이 가능한 장치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이 케이스에 내설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단자와 일정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안착되도록 케이스는 일면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소정부위에는 케이스의 안밖으로 전선이 유통되도록 형성되는 안내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MOBILE PHONE HAVING A EAR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수화기가 인출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이어폰을 사용함이 없이 이어폰기능과 수화기기능을 겸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상적으로 통화중 자신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송신하기 위한 입력장치로 마이크가 설치되었고, 음성청취를 위해 스피커를 단말기에 설치하여 통회시 이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청취하거나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알람음, 키 비프음 등을 출력하였다. 또한 차량 운전중이나 소음이 심한 지역에서 통화를 할 때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고 통화를 하거나 주위의 소음으로 부터 상대방의 음성을 청취하기 위하여 이어폰잭이 설치되어 필요할 때 이어폰을 이어폰잭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어폰잭을 구비한 단말기는 별도의 이어폰을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특히 수화기 기능을 하는 스피커가 단말기 폴더로 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이어폰기능을 갖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출력단자를 포함하여 무선통신기능이 가능한 장치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이 케이스에 내설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단자와 일정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안착되도록 케이스는 일면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소정부위에는 케이스의 안밖으로 전선이 유통되도록 형성되는 안내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올바른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 1, 2, 3,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 의 폴더부위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와 권취제어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폴더부위 상단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00) 수납식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마이크가 설치된 본체(120)와 힌지결합된 폴더(130)에 이어폰(20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이어폰(200)을 스피커기능으로 사용될 때에는 폴더(130)에 안착된 상태가 되며, 그리고 이어폰(200)을 이어폰기능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폴더(130)에서 일정거리 이탈한 상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100)에 이어폰(200)이 탈착되도록 안착홈(131)과 상기 이어폰(200)의 전선(210)이 단말기(100)의 내외부로 관통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132)을 폴더(130)에 형성하고, 상기 폴더(130)의 내부에는 전선(210)을 내부에 수납 및 인출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폴더(130)의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수납부(300)와, 상기 수납부(300)에 내장되어 전선(210)을 탄력적으로 권취하고 전선(210)의 일단이 접지되는 권취부(400)와, 상기 권취부(400)의 권취작동을 제어하는 권취제어부(500)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납부(300)는, 상부케이스(130a)와 하부케이스(130b)를 형합하므로써 형성되는 소정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30b)의 저면 일 측에 힌지축(134)이 하향으로 돌출되고, 중앙에는 권취부(400)가 안착되는 보스(310)가 상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하고, 상향으로 돌출된 보스(310)의 중앙에는 복원스프링(420)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보스(311)가 상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스(310)의 외측으로 하부케이스(130b)의 바닥에는 환형의 제 1 접지단자(320)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단으로 안착되며, 각각의 상기 제 1 접지단자(320)는 인쇄회로기판(600)의 음성출력단자(6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400)는, 사용자가 이어폰(200)의 전선(210)을 잡아 당기면 이어폰(200)의 전선(210)이 인출되면서 회전하는 회전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10)에 외측단이 고정되어 회전부재(41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420)과, 상기 회전부재(4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전선(210)의 일단이 고정접지되고 제 1 접지단자(320)와 탄력있게 접지되는 제 2 접지단자(430)로 구성된다.
이러한 권취부(400)의 회전부재(410)는 상부 측에 일 방향으로 만곡되게 이(齒)를 형성한 랫칫(411)이 구비되고, 이와 소정 간격 이격된 하부에는 원판(412)이 구성되며, 상부 측 랫칫(411)과 원판(412)의 사이에는 이어폰(200)의 전선(210)을 감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보빈(413)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410)의 중앙에는 복원스프링(420)이 끼워지고 하부케이스(130b)의 중앙에 돌출된 보스(310)에 삽입될 수 있는 설치공(415)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415)의 내주면 일 측에는 복원스프링(420)의 외측단을 고정시켜주는 고정돌기(4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 접지단자(430)는 일측이 탄성을 가지도록 절곡된 파형으로 구성되어 원판(412)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고, 이 제 2 접지단자(430)에는 보빈(413)에 감겨진 전선(210)의 후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제어부(500)는, 수납부(300)의 통공(133)을 통하여 외부로 표출되는 누름구(510)가 구비되고, 이 누름구(510)의 후방에는 연결대(511)를 일 측으로 연결시키고 그 선단에는 상기 랫칫(411)의 치에 삽탈되는 걸림구(513)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대(511)의 중앙에는 하부케이스(130b)에 형성된 힌지축(134)이 끼워지는 힌지공(5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구(513)의 직후방에는 소정의 탄성압력으로 전진하여 랫칫(411)의 이(齒)에 끼워지도록 인장스프링(520)이 개재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이어폰(200)을 사용하기 위해 이어폰(200)의 전선(210)을 인출 시킬 경우에는 도 1,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130)의 안착홈(131)에서 이어폰(200)을 탈거한 후 이어폰(200)의 전선(210)을 잡아 당기면 회전부재(410)가 인장스프링(520)의 압력을 극복하면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이때, 권취제어부(500)의 걸림구(513)는 회전부재(410)의 상부에 랫칫(411)에 형성된 이(齒)의 만곡면을 따라 전후진하므로 회전부재(410)는 권취제어부(500)의 간섭을 받지 않고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보빈(413)에 감긴 전선(210)은 안내공(132)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전선(210)이 인출되는 상태에서 전선(210)의 인출 동작을 멈추게 되면 회전부재(410)가 멈춤과 동시에 랫칫(411)의 이(齒)에 걸림구(513)가 삽입된다. 이때 걸림구(513)에는 인장스프링(520)의 탄성에 의한 가압력이 하방향으로 작용하여 회전부재(410)를 강제로 정지 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어폰(200)의 전선(210)을 권취 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권취제어부(500)의 누름구(510)를 누르게 되면 인장스프링(520)이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부케이스(130b)의 저면 일 측에 돌출된 힌지축(134)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권취제어부(500)의 걸림구(513)는 랫칫(411)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복원스프링(420)이 회전을 하면서 이에 고정된 회전부재(4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어폰(200)의 전선(210)을 권취 시키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이어폰(200)의 전선(210)을 많이 인출 시켜 인출된 전선(210)을 적정한 길이로 조절하기 위해 권취제어부(500)의 누름구(510)를 누르게 되면 걸림구(513)는 그 후방에 탄설된 인장스프링(52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외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회전부재(4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선(210)을 권취시키고, 누름구(510)의 누름 동작을 해제하게 되면 인장스프링(520)의 원 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걸림구(513)는 내향으로 회동하여 랫칫(411)의 이(齒)에 걸려 회전부재(410)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동작을 연속 반복하면서 이어폰(200)의 전선(210)을 원하는 길이 만큼 권취시킨 상태에서 이어폰(200)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200)은 전선(210)의 일단이 접지된 제 2 접지단자(430)가 회전부재(410)의 고정 및 회동상태에서도 인쇄회로기판(600)의 음성출력단자(610)와 접지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므로써, 단말기(100)에 수신된 음성신호가 단절됨이 없이 이어폰(200)으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에 이어폰은 인입/인출가능하게 설치하여, 종래의 단말기와 같이 별도로 이어폰을 휴대하여야 하는 휴대상의 불편함과 취급상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사시도.
도 2는 도 1 의 폴더부위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와 권취제어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1의 폴더부위 상단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단말기 130 : 폴더 130a :상부케이스
130b : 하부케이스 131 : 안착홈 132 : 안내공
133 : 통공 134 : 힌지축 200 : 이어폰
210 : 전선 300 : 수납부 310 : 보스
311 : 고정보스 320 : 제 1 접속단자 400 : 권취부
410 : 회전부재 411 : 래칫 412 : 원판
413 : 보빈 415 : 설치공 416 : 고정돌기
420 : 복원스프링 430 : 제 2 접속단자 500 : 권취제어부
510 : 누름구 511 : 연결대 512 : 힌지공
513 : 걸림구 600 : 인쇄회로기판 610 : 음성출력단자

Claims (5)

  1. 음성출력단자를 포함하여 무선통신기능이 가능한 장치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이 케이스에 내설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단자와 일정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안착되도록 케이스는 일면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소정부위에는 케이스의 안밖으로 전선이 유통되도록 형성되는 안내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전선이 수납되도록 케이스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내장되어 전선을 탄력있게 권취시키고 이어폰측의 전선과 인쇄회로기판의 음성출력단자를 접속시키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의 권취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권취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일측부에 힌지축이 돌출되고,
    중앙부에 권취부가 안착되는 보스가 돌출되며, 그 중앙에 고정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보스의 외측으로 환형의 제1접지단자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단으로 설치되여 인쇄회로기판의 음성출력단자와 접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보스와 고정보스가 삽입되고 소정부위에 고정돌기가 돌설된 설치공이 내경을 형성하고 그 외경에는 이어폰의 전선이 감기는 보빈의 일단에는 외연부에 일 방향으로 만곡되게 다수의 이가 형성된 래칫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일정크기의 원판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며 고정돌기에 외측단이 고정되고 내측단은 고정돌기에 고정되여 보빈에 전선이 감기도록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원판의 외측면에 고설되여 보빈에 감겨진 전선의 후단이 연결되며 일측이 탄성을 가지도록 절곡된 판형으로 형성된 제 2 접지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제어부는 수납부의 외부로 표출되는 누름구가 구비되고,
    상기 누름구에는 연결대를 일 측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대에는 중앙부에 힌지공과 선단에 걸림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와 케이스의 내부 상단 사이에는 걸림구를 하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015888A 2004-03-09 2004-03-09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90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888A KR20050090687A (ko) 2004-03-09 2004-03-09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888A KR20050090687A (ko) 2004-03-09 2004-03-09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687A true KR20050090687A (ko) 2005-09-14

Family

ID=3727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888A KR20050090687A (ko) 2004-03-09 2004-03-09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6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08B1 (ko) * 2012-10-05 2013-10-23 함영남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586585B1 (ko) * 2014-09-19 2016-01-18 김영섭 자가발전형 이어폰이 구비된 이동단말기 케이스
KR101586584B1 (ko) * 2014-09-18 2016-01-18 김영섭 자가발전형 이어폰이 구비된 이동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08B1 (ko) * 2012-10-05 2013-10-23 함영남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4054850A1 (ko) * 2012-10-05 2014-04-10 Ham Youngnam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586584B1 (ko) * 2014-09-18 2016-01-18 김영섭 자가발전형 이어폰이 구비된 이동단말기
KR101586585B1 (ko) * 2014-09-19 2016-01-18 김영섭 자가발전형 이어폰이 구비된 이동단말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1833B2 (ja) ヘッドセット
US6633770B1 (en) Telecommunication device holster having a retractable earpiece assembly integrated with the holster
US7086512B2 (en) Headset cable retraction system
JP4310893B2 (ja)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KR101117503B1 (ko) 코드 권취 장치가 부착된 헤드폰
KR20050090687A (ko) 이어폰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US8059854B2 (en) Earphone
US6374970B1 (en) Communication wire device having a wire-winding mechanism
KR19980059970U (ko) 이어폰의 전선 권취장치
KR100554565B1 (ko) 이어폰이 수납된 핸즈프리장치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100579038B1 (ko) 박형 콤팩트 타입 이어폰 라인 케이스
KR20000023875A (ko) 휴대폰용핸즈프리장치
WO2005055642A2 (en) Flat compact-type earphone line case, reel assembly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earphone line to jack line
JP3635429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
KR200356253Y1 (ko)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KR200165525Y1 (ko) 이어폰선 자동 감김 장치
KR101479605B1 (ko) 이어독 이어폰
KR200385670Y1 (ko) 이어마이크 어셈블리
KR200272060Y1 (ko) 이어마이크폰
WO2003043296A1 (en) Cable winder for a telephone set
KR200233029Y1 (ko) 핸즈프리용 송화기를 갖는 수화기의 권취장치
KR200204483Y1 (ko) 핸즈프리용 이어폰장치
KR20040037564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3750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