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877A - 압착 접촉 단자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압착 접촉 단자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877A
KR20050089877A KR1020057012698A KR20057012698A KR20050089877A KR 20050089877 A KR20050089877 A KR 20050089877A KR 1020057012698 A KR1020057012698 A KR 1020057012698A KR 20057012698 A KR20057012698 A KR 20057012698A KR 20050089877 A KR20050089877 A KR 20050089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vity
contact terminal
plug connector
contac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갈릭 에르베 르
쟝비에르 갸시
다미엥 세쥬르네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ublication of KR2005008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8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착 접촉 단자(5)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1)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1)의 하나 이상의 제1 압착 접촉 단자(5) 및 커넥터의 제1 접촉 단자의 접촉면 각각을 각각 세정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접촉 단부(8)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5)를 제공하며, 이 접촉 단부는 상기 접촉 단부의 장축(13) 및/또는 접속축(15)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연장하는 그 세장형 부분(16)의 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캐비티의 내주(14)에 대해 미끄러지도록 압박될 때, 접촉 단부의 강제 측방향 변위를 유발하기 위해 컷아웃 패널(38)을 포함하며, 그래서, 제1 접촉 단자와 제2 접촉 단자 사이의 전기 접속시 접속축에 대한 접촉 단부의 장축의 재배향을 얻는다.

Description

압착 접촉 단자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EQUIPPED WITH COMPRESSION CONTACT TERMINALS}
본 발명은 압착 접촉 단자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와 고정-베이스 커넥터 사이의 전기 접속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셀 전화 분야를 위한 것이지만, 다른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캐비티를 구비한 플라스틱 절연체를 가지며, 이 캐비티는 각각 제1 접촉 단자 및 제1 접촉 요소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 접촉 단자는 특히, 인쇄 회로 보드에 연결된 연결 단부, 중간 스프링 부분 및 고정-베이스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접촉 단부를 갖는다. 이때, 고정-베이스 커넥터의 제2 접촉 요소 또는 제2 접촉 단자의 표면과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단부의 접촉 동안 전기 접속이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접촉 단자와 고정-베이스 커넥터의 제2 접촉 단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제1 접촉 단자와 제2 접촉 단자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먼지 입자의 존재에 의해 두절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단자와 고정-베이스 커넥터의 대응 제1 접촉 단자 사이의 이 전기적 접속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서 US-A-5,540,599호는 제2 접촉 요소와 제1 접촉 요소의 접촉 동안 세정 작용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전기 접촉 커넥터를 기술하고 있다. 전기적 커넥터는 접촉면을 구비한 제1 접촉 요소와, 또한, 다른 접촉면을 구비한 제2 접촉 요소를 가진다. 제1 접촉 요소와, 제2 접촉 요소 사이의 접촉은 제1 및 제2 접촉 요소의 각 표면이 서로 접촉할 때, 제1 접촉 요소가 제1 요소의 주축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접촉 요소는 또한 제1 접촉 요소의 이 동일 주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접촉 요소 및 제2 접촉 요소의 각 접촉면은 제1 접촉 요소의 접촉면과 제2 접촉 요소의 표면의 스윕핑에 의해 세정될 수 있다. 이 유형의 접촉 커넥터는 제1 접촉 요소 및 제2 접촉 요소의 접촉면 각각을 세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지만, 전기 접속 동안 제2 접촉 요소의 접촉면에 대해 제1 접촉 요소에 의해 측방향 및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불완전한 전기 접속이 형성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문서 EP-A-0 490,860호에 기술된 다른 세정 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 문서에는 또한 제1 접촉 요소 및 제2 접촉 요소를 가지는 전기 접촉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이 전기 접촉 장치의 제2 접촉 요소는 칩 카드의 일부이며, 칩 카드는 제1 접촉 요소와 제2 접촉 요소 사이의 전기 접속 동안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칩 카드가 제1 및 제2 운동을 받고, 제1 운동은 제2 운동에 대향한 방향인 방식으로 압축된다. 제1 운동 및 제2 운동은 제1 접촉 요소가 제2 접촉 요소와 접촉할 때와 동시에, 연결 축에서 제1 접촉 요소와 스프링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기 접속의 순간에 칩 카드의 제2 접촉 요소와 제1 접촉 요소 사이의 접촉 영역으로부터 먼지 입자가 제거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먼지의 제1 파일 및 먼지의 제2 파일이 칩 카드의 제1 접촉 요소와 제2 접촉 요소 사이의 전기 접속 영역의 각 측부상에 나타날 수 있다. 이들 먼지의 두 파일의 존재는 그후, 열악한 전기 접속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전기 접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단자와 고정-베이스 커넥터의 하나의 대응 제2 접촉 단자 사이의 전기 접속을 향상시키는 것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접촉 단부의 세장형 부분의 단부에 장착되어 이 동일 접촉 단부의 장축 및/또는 접속축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생성하는 것을 제공한다. 전기 접속 동안, 접촉 단부는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접속 단부의 방향으로 밀려진다. 접촉 단부가 밀려지는 것과 동시에, 돌출부는 접속축에 대한 접촉 단부의 장축의 재배향을 획득하도록 절연체로 이루어진 각 캐비티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의 내주에 대한 정지부로 미끄러진다.
이 돌출부는 캐비티의 내주에 대하여 이 돌출부가 미끄러질 때, 접촉 단부의 측방향 이동을 강요하기 위해 컷아웃 면을 갖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돌출부는 또한 이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접촉 단자의 영역에서 측정된, 그리고, 접속축에 수직으로 측정된 이 접촉 단부의 폭이 캐비티의 폭 보다 다소 작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방식으로, 돌출부는 이 동일 캐비티의 내주와 돌출 부 사이에 미소한 유격을 유지하면서, 전기 접속 동안 캐비티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컷아웃면은 제2 대응 접촉 단자와의 전기 접속 이후, 이 동일 단자가 접속축에 대해 측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접촉 단자가 캐비티 내측의 적소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고정-베이스 커넥터의 단면도.
도2는 전기적으로 단절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
도3은 전기 접속 동안 본 발명에 다른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일 접촉 단부의 개략도.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 내주를 각각 형성하는 캐비티를 구비한 절연체와,
- 장축을 따라 세장형으로 형성되고 대응 제2 접촉 단자에 의해 고정-베이스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착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제1 압착 접촉 단자는 캐비티내에 삽입되도록 설계되며,
제1 접촉 단자는
- 인쇄 회로 보드에 접속되도록 설계된 접속 단부와,
- 중간 스프링부와,
- 고정-베이스 커넥터의 대응 제2 접촉 단자에 접속되도록 설계된 접촉 단부를 포함하는 접속축을 따라 고정-베이스 커넥터내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플러그에 있어서,
제1 접촉 단자의 접촉 단부는 그 세장형 부분의 단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 돌출부는 접촉 단부가 제2 접촉 단자의 전면 접촉 단부와 접촉할 때 중간 스프링 부분의 압착으로부터 기인하여 이 돌출부가 캐비티의 내주에 대해 미끄러질 때 접촉 단부의 측방향 이동을 강요하도록 컷아웃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에 동반되는 도면을 고찰할 때 본 발명을 보다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을 전혀 제한하지 않는다.
도1은 플러그 커넥터(1) 및 고정-베이스 커넥터(2)를 예시하며, 플러그 커넥터 및 고정-베이스 커넥터는 각각 5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단자와, 9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단자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하도록 서로 협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는 4 같은 캐비티를 구비하는 절연체(3)를 갖는다. 각 캐비티(4)는 접속축(15)에 대하여 제1 접촉 단자(5)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접속축(15)은 플러그 커넥터를 따른 축이며, 고정 베이스 커넥터(2)는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 접촉 단자(5)는 평면형이며, 접속축(15)을 따라 세장형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제1 접촉 단자는 접속축에 대하여, 접속 단부(6), 중간 스프링부(7) 및 접촉 단부(8)를 포함한다. 접속 단부(6)는 이 동일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위치된, 인쇄 회로 보드(미도시)에 접속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접촉 단부(8)는 고정-베이스 커넥터(2)에 접속되도록 설계된다. 이 접촉 단부(8)는 장축(13)을 따라 세장형 부분(16)을 형성하며, 세장형 부분(16)은 라운드형 에지(27)에 의해 종결된다. 라운드형 에지(27)는 전체적으로 라운드형 U 형상을 형성한다.
절연체(3)의 각 캐비티(4)는 내주(14)를 형성하면서, 제1 접촉 단자(5)의 형상에 적응된 공간을 형성한다. 내주(14)는 캐비티(4) 내측에서 제1 접촉 단자(5)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접촉 단자(5)는 일 측부상에서 제2 돌출부(31)에 대항하여, 그리고, 제1 돌출부에 대항하여, 그리고, 다른 측부상에서 견부(25)에 대항하여 접속 단부(6)로부터 접촉 단부(8)까지 지지되는 중간 스프링부(7)에 의해 캐비티(4) 내측에 유지된다. 제1 돌출부(30) 및 제2 돌출부(31)는 결합하지 않고, 접속축(15)에 수직으로 내주(14)로부터 시작하여 제1 접촉 단자(5)에 의해 형성된 평면내로 연장한다. 견부(25)는 중간 부분(7)과 접촉 단부(8) 사이의 접합부에 배치된 캐비티(4)의 영역에 형성된다. 이 견부(25)는 중간 부분(7)이 캐비티(4)의 내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티의 국지적 구속부를 생성한다.
접촉 단부(8)는 고정-베이스 커넥터(2)의 제2 접촉 단자(9)와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제2 접촉 단자(9)는 전면 접촉 단부(10) 및 접촉 미부(11)를 포함한다. 전면 접촉 단부(10)는 플러그 커넥터(1)의 제1 접촉 단자(5)와 접촉하도록 설계되며, 접촉 미부(11)는 이 동일 인쇄 회로(미도시)의 트랙과 접촉 미부를 납땜함으로써 인쇄 회로에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 접촉 단부(8)의 라운드형 에지(27)는 고정 베이스 커넥터(2)의 제2 접촉 단자(9)의 전면 접촉부(10)의 단부 또는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접촉 단부(8)는 그 세장형 부분(16)의 단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를 가지고, 이 돌출부는 동일 접촉 단부의 장축(13) 및/또는 접속축(15)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연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돌출부는 접촉 단자(5)의 평면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돌출부(12)는 접촉 단부의 라운드형 에지(27)로부터 시작하여 형성되고, 절연체(3)의 캐비티(4)의 내주(14)에 대항하는 정지부까지 미끄러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돌출부(12)는 접촉 단부(8)의 장축(13)의 재배향이 제2 접촉 단자(9)와의 제1 접촉 단자(5)의 전기 접속 동안 접속축(15)에 대해 얻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도1 및 도2).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2)는 컷아웃면(38)을 가지며, 이 컷아웃면은 이 돌출부(12)가 컷아웃면(38)에 의해 캐비티의 내주(14)에 대해 미끄러질 때, 접속축(15)에 대해 접촉 단부(8)의 측방향 이동을 강요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강제 측방향 이동은 접속축(15)에 대한 접촉 단부(8)의 장축(13)의 재배향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접촉 단부(8)는 세장형 부분(16)이 접속축(15)에 대해 미소하게 경사지는 방식으로 캐비티(4) 내측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축(13)은 캐비티(4) 내측의 접속축(15)에 대해 미소하게 경사진다. 중간 스프링부(7)는 22 같은 일련의 코일을 포함한다. 중간 부분(7)은 접속 단부(6)로부터 접촉 단부(8)까지 제1 코일(23)에 의해 시작하고, 최종 코일(24)에 의해 종결된다. 최종 코일(24)은 접속축(15)에 대해 장축(13)을 경사지게 하도록 캐비티에 형성된 견부(25)에 대해 놓여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종 코일(24)은 접촉 단자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돌출부(12)가 형성되는 것과 동일 측부상에 배치되며, 접속축(15) 및/또는 장축(13)을 통과한다.
캐비티(4)는 입구(33)와 출구(34)를 한정한다. 입구(33)는 접촉 단부(8) 인근의 캐비티의 영역에 있으며, 출구는 이 동일 접촉 단부(8)로부터 떨어진 캐비티의 영역에 존재한다. 캐비티(4)의 입구는 그 부근에서 제1 접촉 단자(5)와 제2 접촉 단자(9) 사이의 전기 접속이 형성되는 캐비티(4)의 영역에 대응한다. 캐비티(4)의 출구(34)는 제1 접촉 단자(5)가 플러그 커넥터(1)에 대하여 배치된 인쇄 회로 보드와 접속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캐비티(4)의 다른 영역에 대응한다. 캐비티(4)의 입구(33)에서, 내주(14)는 제1 접촉 단자의 접촉 단부(8)가 그에 대해 전기적으로 단절되어 휴지상태로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직각 또는 직선 에지(26)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절시, 접촉 단부(8)는 세장형 부분(16)과 돌출부(12) 사이의 접합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캐비티(4)의 직선 에지(26)에 대하여 지지된다. 접촉 단부(8)는 돌출부(12)가 전기적으로 단절된 상태로 캐비티 외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직선 에지(26)는 라운드형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접속 동안, 접촉 단부(8)는 제2 접촉 단자(9)의 전면 접촉 단부(10)와 접촉하게 된다. 제1 접촉 단자(5)는 그후, 플러그 커넥터(1)에 대하여 배치된 인쇄 회로 보드의 방향으로, 그리고, 접속축(15)에 대해 종방향으로 중간 스프링 부분(7)을 압착함으로써 캐비티(4)내측에서 미끄러지게 된다. 캐비티(4) 내측으로 미끄러짐으로써, 컷아웃면(38)은 세장형 부분(16)의 장축(13)의 강제 재배향이 접속축(15)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얻어지는 방식으로 직선 에지(26)에 대해 미끄러지게 된다. 접촉 단부(8)는 제1 접촉 단자(5)가 접속 단부(6)의 방향으로 밀려질 때, 접속축(15)에 평행해지는 경향을 갖는 장축(13)과 재배향된다. 장축(13)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축(15)과 합병될 수도 있다.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컷아웃면은 대응 제2 접촉 단자와 전기접속된 이후접속축에 대해 측방향 및/또는 축방향으로 이 동일 단자가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캐비티 내측의 적소에 제1 접촉 단자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돌출부(12)는 접촉 단자(5)의 라운드형 에지(27)가 제1 폭(2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1 폭(20)은 돌출부(12)가 위치되는 라운드형 에지(27)의 영역에서 접속축(15) 및/또는 장축(13)에 대하여 수직으로 측정된다. 이 제1 폭(20)은 캐비티(4)의 제2 폭(21) 보다 미소하게 작다. 이 제2 폭(21)은 접촉 단부가 배치되도록 설계되는 입구(33) 부근의 캐비티의 영역에서 측정되며, 제2 폭(21)은 접속축(15)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된다. 접촉 단부가 캐비티(4)내로 밀려질 때, 돌출부(12)는 라운드형 에지(27)가 캐비티(4)의 내주(14)와 접촉하도록 캐비티(4)의 내주(14)에 대하여 끼워진다. 내주(14)는 그후 접촉 단부가 전기 접속 동안 접속축(15)에 대하여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캐비티(4)는 접촉 단부(8)에 대면하도록 설계된 부분을 가지며, 이 부분은 캐비티(4)의 입구(33)를 향해 배향된 전체적으로 원추형 형상을 갖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체 원추형 형상은 전기적으로 단절될 때, 세장형 부분(16)이 접속축(15)에 대하여 캐비티(4) 내측으로 쉽게 경사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내주(14)의 직선 에지(26)에 대한 돌출부(12)의 미끄러짐 동안 접속축(15)에 대한 접촉 단부(8)의 요동이 얻어진다. 이 요동은 접촉 단부(8)가 접속 단부(6)의 방향으로 밀려질 때, 그리고, 전기적 접촉 동안 발생된다. 이 로킹은 고정-베이스 커넥터(2)의 전면 접촉 단부(10)에 대한 접촉 단부(8)의 라운딩된 단부(27)의 스윕핑 이동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 스윕핑 이동은 플러그 커넥터(1)의 접촉 단부(8)에 의해 형성된 접촉면상에, 그리고, 고정-베이스 커넥터(2)의 전면 접촉 단부(10)에 의해 형성된 다른 대응 접촉면상에 퇴적될 수 있는 소정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 스윕핑 이동 이후, 제1 접촉 단자(5)는 전기 접속 동안 얻어진 접촉 단부(8)의 강제 측방향 이동으로 인해 캐비티 내측에서 적소에 유지된다. 이 스윕핑 이동 이후, 제1 접촉 단자(5)는 또한 돌출부가 전기 접속 동안 캐비티의 내주(14)에 대해 끼워진다는 사실로 인해 캐비티 내측에서 적소에 유지된다.
변형인 도4에서, 접촉 단부(8)는 접속 단부(6)로부터 접촉 단부(8)까지, 장축(13)을 따라 제1 돌출부(35) 및 제2 돌출부(36)를 포함하고, 이들은 장축(13)을 따라 단차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돌출부(35) 및 제2 돌출부(36)는 접속 단부(6)로부터 접촉 단부(8)까지 동일 평면에서 하나씩 전후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35)는 제2 돌출부(36) 보다 좁고 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돌출부(35) 및, 그후의 제2 돌출부(36)의 직선 에지(26)에 대한 미끄러짐 동안, 각각 제1 스윕핑 이동이 얻어지고, 제2 스윕핑 이동이 이어진다. 이들 두 스윕핑 이동은 플러그 커넥터(1)의 접촉 단부에 의해, 그리고, 고정-베이스 커넥터(2)의 전면 접촉 단부(10)에 의해 형성되는 각 접촉면을 위한 보다 양호한 먼지 제거를 보증한다. 제2 돌출부(36)는 캐비티(4)의 제2 폭(21) 보다 미소하게 작은 제3 폭(37)을 형성하며, 이 제3 폭(37)은 접속축(15) 및/또는 장축(13)에 수직인 축을 따라 측정된다.
각 접촉 단자(5)는 스탬핑에 의한 금속 시트의 절단 이후 생성된다. 이 금속 시트는 전기 접속 동안 변형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Claims (8)

  1. 접속축(15)을 따라 고정-베이스 커넥터(2)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플러그 커넥터(1)이며,
    - 각각 내주(14)를 형성하는 캐비티(4)를 구비하는 절연체(3)와,
    - 축(13)을 따라 세장형이고, 제2 대응 접촉 단자(9)에 의해 고정-베이스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설계되며, 캐비티내에 삽입되도록 설계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압착 접촉 단자(5)를 포함하고,
    제1 접촉 단자는,
    - 인쇄 회로 보드에 접속되도록 설계된 접속 단부(6)와,
    - 중간 스프링부(7)와,
    - 고정-베이스 커넥터의 제2 대응 접촉 단자에 접속되도록 설계된 접촉 단부(8)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제1 접촉 단자의 접촉 단부는 그 세장형 부분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이 돌출부가 캐비티의 내주에 대해 미끄러질 때 접촉 단부의 측방향 이동을 강요하여, 접촉 단부(8)가 제2 접촉 단자(9)의 전면 접촉 단부(10)와 접촉할 때, 중간 스프링부(7)의 압착을 초래하는 컷아웃면(3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 제1 접촉 단자는 평면형이고,
    - 제1 접촉 단자의 접촉 단부로부터의 돌출부는 이 접촉 단자의 평면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 중간 스프링부(7)는 제1 코일(23)에서 시작하여 최종 코일(24)에서 종결되는 일련의 코일(22)을 포함하고, 제1 코일은 접촉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고, 최종 코일은 접촉 단부 인근에 있으며,
    최종 코일은 접속축(15)에 대해 장축(13)을 경사지게 하도록 캐비티내에 형성된 견부(25)에 대하여 지지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단부는 제1 돌출부(35)와 제2 돌출부(36)를 가지고,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접촉 단부의 장축을 따라 단차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접촉 단부의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캐비티(4)는 입구(33)와 출구(34)를 형성하고, 입구(33)는 접촉 단부(8) 인근의 캐비티의 영역에 있고, 출구는 이 동일 접촉 단부(8)로부터 떨어진 캐비티의 영역에 있으며,
    - 캐비티(4)의 입구에서, 캐비티(4)의 내주(14)는 직선 에지(26)를 형성하고, 이 직선 에지에 대해, 전기적으로 단절될 때, 제1 접촉 단자의 접촉 단부(8)가 휴지상태로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 접촉 단부는 돌출부(12)를 구비하는 라운드형 에지(27)에서 종결하는 세장형 부분(16)을 형성하고,
    - 접촉 단부는 돌출부와 세장형 부분 사이의 접합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캐비티(4)의 직선 에지(26)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접촉 단자는 스탬핑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057012698A 2003-01-07 2004-01-06 압착 접촉 단자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KR200500898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0200 2003-01-07
FR0300200A FR2849721A1 (fr) 2003-01-07 2003-01-07 Connecteur a fiches muni de bornes de contact a compre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877A true KR20050089877A (ko) 2005-09-08

Family

ID=3252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698A KR20050089877A (ko) 2003-01-07 2004-01-06 압착 접촉 단자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44278B2 (ko)
EP (1) EP1588459A1 (ko)
KR (1) KR20050089877A (ko)
CN (1) CN1757140A (ko)
FR (1) FR2849721A1 (ko)
WO (1) WO2004066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11191T1 (de) * 2001-05-29 2008-10-15 Tyco Electronics Amp Gmbh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r sonnenblende in einem fahrzeug
US7270550B1 (en) * 2006-07-11 2007-09-1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 to board connector
US7736202B1 (en) * 2009-01-14 2010-06-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ntact assembly for attachment to an electronics module
US7585192B1 (en) * 2009-02-24 2009-09-0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8512079B2 (en) * 2009-09-17 2013-08-20 Henge Docks Llc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improved electrical interface
US9285831B2 (en) 2009-09-17 2016-03-15 Henge Docks Llc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s
TWI500222B (zh) * 2013-07-12 2015-09-11 Ccp Contact Probes Co Ltd 連接器組合
US9927838B2 (en) 2013-12-31 2018-03-27 Henge Docks Llc Sensor system for docking station
US9650814B2 (en) 2013-12-31 2017-05-16 Henge Docks Llc Alignment and drive system for motorized horizontal docking station
CN104319521B (zh) * 2014-10-15 2017-09-22 苏州技泰精密部件有限公司 一种接触弹簧及其装配方法
US9727084B2 (en) 2015-10-23 2017-08-08 Henge Docks Llc Drivetrain for a motorized docking station
US9811118B2 (en) 2015-10-23 2017-11-07 Henge Docks Llc Secure assembly for a docking station
US9575510B1 (en) 2015-10-23 2017-02-21 Matthew Leigh Vroom Precision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grated retention mechanism
US9985374B2 (en) * 2016-05-06 2018-05-29 Tc1 Llc Compliant implantable connector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10365688B1 (en) 2018-04-19 2019-07-30 Henge Docks Llc Alignment sleeve for docking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5549A6 (nl) 1990-12-07 1993-10-26 Bell Telephone Mfg Elektrische contactinrichting.
GB2276285B (en) 1992-11-11 1996-03-06 Elco Europ Ltd Electrical connector
GB9421663D0 (en) * 1994-10-27 1994-12-14 Amp Holland Radio-telephone cradle connector
US5967856A (en) * 1995-12-20 1999-10-19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with spring contact member and shorting means
US6071141A (en) 1998-05-14 2000-06-06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latches
US6083059A (en) * 1999-05-28 2000-07-04 Ant Precision Industry Co., Ltd. Structure of a terminal
JP3634998B2 (ja) * 2000-02-09 2005-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520468B2 (ja) * 2000-06-21 2004-04-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NL1017001C2 (nl) * 2000-12-28 2002-07-01 Fci S Hertogenbosch B V Connector en kabel die deze omv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8459A1 (fr) 2005-10-26
WO2004066450A1 (fr) 2004-08-05
US7144278B2 (en) 2006-12-05
US20060148328A1 (en) 2006-07-06
FR2849721A1 (fr) 2004-07-09
CN1757140A (zh)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9877A (ko) 압착 접촉 단자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US8840406B2 (en) Terminals
JP3617220B2 (ja) コネクタ
US541140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8109794B2 (en) Contact, and card adaptor and car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20030220015A1 (en)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forming it
KR20020000213A (ko)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JP2003017173A (ja) スプリングコネクタ
JP2006100240A (ja)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US6231396B1 (en) Jack connector
US20100112834A1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conductive terminals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e terminals
US9190753B2 (en) Electrical connector
JPH07326416A (ja) 端子及びコネクタ
JP2004111081A (ja) コネクタ
EP0595025A2 (en) An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jector unit for connecting IC cards to printed circuit boards
US674305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retention
JP3965380B2 (ja) オス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オスコネクタ
FI67458B (fi) Elektriskt kontaktdon med stickkontakt och stickdosa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WO2008001459A1 (fr) Structure de contact d'un contact dans un connecteur électrique
JP3691294B2 (ja) 電気コネクタ
US6428366B1 (en) Electrical terminal socket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CN114122767B (zh) 基板用连接器
US4776805A (en) Card biasing device for card edge connectors
JP3906786B2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端子圧入治具
EP1427062A1 (en) 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