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449A -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449A
KR20050089449A KR1020040014872A KR20040014872A KR20050089449A KR 20050089449 A KR20050089449 A KR 20050089449A KR 1020040014872 A KR1020040014872 A KR 1020040014872A KR 20040014872 A KR20040014872 A KR 20040014872A KR 20050089449 A KR20050089449 A KR 2005008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device
gps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
Original Assignee
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 filed Critical 박현
Priority to KR102004001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449A/ko
Publication of KR2005008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4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SMS 정보로 변환하는 제 1 휴대단말장치, 제 1 휴대단말장치로부터 SMS 서버를 통해 변환된 SM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SMS 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복원하는 제 2 휴대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PS 정보가 SMS로 변환되어 수신측 단말장치로 전송되고, 수신측 단말장치는 이를 복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장소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해당장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부터 설명을 듣거나 약도를 참고로 하는 것이 보통이나, 설명과 약도만으로 초행길을 찾아가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또한,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특정위치에 대한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다수 제공되나, 시시각각 변화되는 도로상황, 지형, 건물, 업종 등에 모두 대처할 수는 없다.
이에, 사용자가 직접 지도나 약도 등을 제작하여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등록한 후, 위치정보를 원하는 타사용자에게 지도나 약도가 등록된 서버의 URL을 SMS로 전송하고, SMS를 전송받은 타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지도나 약도를 확인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위치 변경시 직접 지도나 약도를 제작하여 업데이트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주관적인 입장에서 지도나 약도가 제작될 수 있어 위치 전달시 정확성이 결여될 우려가 있다.
보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방안으로, 위성을 이용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가 있다. GPS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 속도 등을 나타내는 전파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대상물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시스템이다.
GPS는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와 같이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나 속도를 파악하거나 이동경로의 결정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위도와 경도에 의해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다수 제공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위치를 찾기 위하여 단말장치를 통해 위성으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목적지를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타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은 부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위성으로부터 제공받은 GPS 정보를 SMS로 변환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SMS 정보로 변환하는 제 1 휴대단말장치; 제 1 휴대단말장치로부터 SMS 서버를 통해 변환된 SM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SMS 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복원하는 제 2 휴대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정장소의 GPS 정보를 SMS 정보로 변환하는 GPS 정보 관리서버; GPS 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GPS 정보를 요청하고, SMS 서버를 통해 변환된 SMS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SMS 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복원하는 휴대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휴대단말장치는 GIS 정보가 내장되고, 복원된 GPS 정보와 상기 GIS 정보을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휴대단말장치, 제 1 휴대단말장치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휴대단말장치로 이루어지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제 1 휴대단말장치 사용자가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가 SMS 정보로 변환되는 단계; 제 1 휴대단말장치로부터 변환된 SMS 정보가 제 2 휴대단말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제 2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SMS 정보에 의해 GPS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 제 2 휴대단말장치로부터 복원된 GPS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송수신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정장소의 GPS 정보를 관리하는 GPS 정보 관리서버, GPS 정보 관리서버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단말장치로 이루어지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휴대단말장치로부터 GPS 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GPS 정보 관리서버에 GPS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GPS 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요청받은 GPS 정보를 SMS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GPS 정보 관리서버로부터 변환된 SMS 정보를 휴대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SMS 정보에 의해 GPS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 휴대단말장치로부터 복원된 GPS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위치정보 송수신 방법이 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단말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단말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단말장치에 디스플레이된 GPS 정보를 예시한 화면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위성(10)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휴대단말장치(20)와, 제 1 휴대단말장치(20)로부터 GPS 정보를 제공받는 제 2 휴대단말장치(40)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 휴대단말장치(20, 40)는 휴대폰이나 PDA 등을 포함한다.
제 1 휴대단말장치(20)는 이동환경에서 자신의 위치를 제 2 휴대단말장치(40)로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위성(10)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고, GPS 정보를 SMS로 변환하여 제 2 휴대단말장치(40)로 전송하며,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 정보 수신모듈(21)은 위성(10)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3개 이상의 위성(10)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각 위성(10)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방법에 의하여 현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GPS 정보 수신모듈(21)에 의해 수신되는 GPS 정보는 해당 위치의 위도와 경도 데이터를 포함한다.
SMS 변환모듈(22)은 GPS 정보 수신모듈(21)에 의해 수신된 GPS 정보를 제 2 휴대단말장치(40)로 전송하기 위하여 SMS로 전송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것으로, GPS 정보중 위도와 경도를 포함하여 SMS 정보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MS 전송모듈(23)은 SMS 변환모듈(22)에 의해 SMS로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된 GPS 정보를 SMS 서버(30)를 통해 제 2 휴대단말장치(40)로 전송한다.
제 2 휴대단말장치(40)는 제 1 휴대단말장치(20)로부터 SMS가 전송되면, SMS 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복원하며,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MS 수신모듈(41)은 제 1 휴대단말장치(20)의 SMS 전송모듈(23)로부터 전송되는 SMS 정보를 수신한다.
GPS 정보 복원모듈(42)은 SMS 수신모듈(41)에 의해 수신된 SMS 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복원한다. 이때, SMS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위도와 경도에 의해 GPS 정보를 알 수 있다.
GIS 정보 연동모듈(43)은 제 2 휴대단말장치(40) 사용자가 제 1 휴대단말장치(20)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GPS 정보 복원모듈(42)에 의해 복원된 GPS 정보를 제 2 휴대단말장치(40)에 내장된 GIS 정보와 연동하여 전자지도로부터 해당 위치를 추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4)은 GIS 정보 연동모듈(43)에 의해 추출된 해당위치의 전자지도를 제 2 휴대단말장치(4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도 4를 참고하여, 제 2 휴대단말장치(40)에 GIS 정보가 내장되지 않았을 경우에 디스플레이 모듈(44)은 GPS 정보 복원모듈(42)에 의해 복원된 GPS 정보를 간략하게 그래프화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제 1 휴대단말장치(20)와 제 2 휴대단말장치(40)를 송신측 단말장치와 수신측 단말장치로 구분하여 각각의 기능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2 내지 도 3의 모듈들이 하나의 단말장치에 포함되어 제 1 휴대단말장치(20)와 제 2 휴대단말장치(40)가 필요에 따라서 송신측 또는 수신측 단말장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정보 송수신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제 1 휴대단말장치(20)는 GPS 정보 수신모듈(20)에 의해 위성(10)으로부터 자신의 현재 위치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S10), SMS 변환 모듈(22)에 의해 GPS 정보를 SMS 정보로 변환하며(단계 S12), SMS 전송모듈(23)에 의해 GPS 정보를 포함하는 SMS를 제 2 휴대단말장치(40)로 전송한다(단계 S14).
제 2 휴대단말장치(40)는 제 1 휴대단말장치(20)로부터 SMS가 전송되면, SMS 수신모듈(41)을 통해 SMS 정보를 수신하고, GIS 정보 복원모듈(42)에 의해 SMS 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복원한다(단계 S16).
이후, GIS 정보 연동모듈(43)에 의해 GPS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위치의 GIS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18), 연동된 GIS 정보와 GPS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제 1 휴대단말장치(20) 사용자의 위치가 수시로 변경되더라도 위성(10)을 통해 GPS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GPS 정보를 SMS로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단절되더라도 제 2 휴대단말장치(40)로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으며, 제 2 휴대단말장치(40) 사용자는 용이하게 해당 위치를 찾아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 송수신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보인 화면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특정장소의 GPS 정보를 관리하는 GPS 정보 관리서버(50)와, GPS 정보 관리서버(50)와 인터넷(60)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 단말장치(70)로 이루어진다.
GPS 정보 관리서버(50)는 특정장소의 GPS 정보를 보유하여 휴대 단말장치(70)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웹(Web) 또는 왑(WAP) 페이지에 지도나 약도를 등록하고, 휴대 단말장치(70) 사용자가 웹 또는 왑 페이지에 접속하여 위치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GPS 정보를 SMS 정보로 변환하여 휴대 단말장치(70)로 전송한다.
GPS 정보 관리서버(50)에서 제공하는 왑 페이지를 예로 들어 도 7에 도시하였다. 휴대단말장치(70) 사용자는 이 왑 페이지를 통해 특정장소의 지도나 약도를 확인할 수 있고, 휴대단말장치(70)로 위치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GPS 정보 관리서버(50)는 도 1 내지 도 2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제 1 휴대단말장치(20)의 기능과 유사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GPS 정보 관리서버(50)에서 제공하는 GPS 정보는 고정된 위치의 GPS 정보이기 때문에, 위성(10)으로부터 수시로 GPS 정보를 제공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GPS 정보 수신모듈(21)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휴대단말장치(70)는 인터넷(60) 연결이 가능한 휴대폰이나 PDA를 포함하고, 인터넷(60)을 통해 GPS 정보 관리서버(50)에서 제공하는 웹 또는 왑 페이지에 접속한다. 또한, 휴대단말장치(70) 사용자는 웹 또는 왑 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지도나 약도를 확인하고, 위치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 GPS 정보 관리서버(50)로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휴대단말장치(70)는 도 1 또는 도 3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제 2 휴대단말장치(4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 송수신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휴대단말장치(70)는 무선 인터넷(60)을 통해 GPS 정보 관리서버(50)에 접속하고(단계 S30), GPS 정보 관리서버(50)에서 제공하는 왑페이지를 통해 목적지의 약도를 확인한 후, GPS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32).
이후, 휴대단말장치(70)로부터 GPS 정보 요청을 받은 GPS 정보 관리서버(50)는 해당 GPS 정보를 SMS로 전송하기 위하여 SMS 정보로 변환한 후, 변환된 SMS 정보를 휴대단말장치(70)로 전송한다(단계 S36).
또한, GPS 정보 관리서버(50)로부터 SMS를 전송받은 휴대단말장치(70)는 SMS 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복원하고(단계 S38), 복원된 GPS 정보와 휴대단말장치(70)에 내장된 GIS 정보와 연동하여 각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단계 S40 내지 S4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휴대단말장치(70) 사용자가 특정장소를 찾아가고자 하는 경우에 인터넷(60)을 통해 위치정보를 요청하면 SMS를 통해 위치정보를 제공받으므로, 별도로 기재하거나 프린트할 필요없이 이동중에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업의 홈페이지는 물론 각종 단체, 유명 관광지 등의 위치를 홍보하기 위한 방법으로도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이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서술되는 특허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가 수시로 변경되는 경우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SMS 정보로 변환하여 타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별도의 작업 없이 정확하게 타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목적지의 GPS 정보를 SMS를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메모 또는 프린트할 필요 없이 휴대단말장치를 통해 이동시에도 수시로 확인하여 용이하게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단말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단말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단말장치 또는 단말장치에 디스플레이된 GPS 정보를 예시한 화면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정보 송수신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 송수신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보인 화면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 송수신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5)

  1.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SMS 정보로 변환하는 제 1 휴대단말장치;
    상기 제 1 휴대단말장치로부터 SMS 서버를 통해 상기 변환된 SM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SMS 정보로부터 상기 GPS 정보를 복원하는 제 2 휴대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2. 특정장소의 GPS 정보를 SMS 정보로 변환하는 GPS 정보 관리서버;
    상기 GPS 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GPS 정보를 요청하고, SMS 서버를 통해 상기 변환된 SMS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SMS 정보로부터 상기 GPS 정보를 복원하는 휴대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GIS 정보가 내장되고, 상기 복원된 GPS 정보와 상기 GIS 정보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4.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휴대단말장치, 상기 제 1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휴대단말장치로 이루어지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상기 제 1 휴대단말장치 사용자가 상기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GPS 정보가 SMS 정보로 변환되는 단계;
    상기 제 1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변환된 SMS 정보가 상기 제 2 휴대단말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 2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SMS 정보에 의해 상기 GPS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
    상기 제 2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복원된 GPS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송수신 방법.
  5. 특정장소의 GPS 정보를 관리하는 GPS 정보 관리서버, 상기 GPS 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단말장치로 이루어지는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상기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상기 GPS 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GPS 정보 관리서버에 GPS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GPS 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받은 GPS 정보를 SMS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GPS 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변환된 SMS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SMS 정보에 의해 상기 GPS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복원된 GPS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위치정보 송수신 방법.
KR1020040014872A 2004-03-05 2004-03-05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89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872A KR20050089449A (ko) 2004-03-05 2004-03-05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872A KR20050089449A (ko) 2004-03-05 2004-03-05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449A true KR20050089449A (ko) 2005-09-08

Family

ID=3727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872A KR20050089449A (ko) 2004-03-05 2004-03-05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4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0121A1 (ko) * 2015-06-09 2016-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0121A1 (ko) * 2015-06-09 2016-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06581B2 (en) 2015-06-09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7210B1 (en) Automatic mobile object locator apparatus and method
US7299256B2 (en) Creating a virtual link between a physical location and its web representation
US9014973B2 (en) Methods for obtaining a navigation track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location at a client de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erver device and relate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6169902B1 (en) Information terminal, processing method by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network system
CN102223602B (zh) 位置信息共享的方法、终端及系统
US200201470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management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0944827B1 (ko) 혼잡 정보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서버, 혼잡 정보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6671738B1 (en) System and method of associating an object with a world wide web (WWW) site
Ibraheem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ow-cost secure vehicle tracking system
EP1976324A2 (en) Search system, management serv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earch method, and program
JP4347829B2 (ja) 情報登録装置、プログラム、情報登録方法、及び情報提供方法
Bertolotto et al. Bus catcher: A context sensitive prototype system for public transportation users
US8766796B2 (en) Method for reading position data from remot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signal switching network system
CN102158501A (zh) 车载系统及车载系统的信息处理方法
US20090083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sightseers
KR20050089449A (ko) 위치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45472A (ko) 위치정보와 지리정보를 이용한 이동체 위치 정보 확인 방법
KR101836113B1 (ko)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7337401B2 (ja) 防災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防災情報通知方法
US20030092429A1 (en) Method of transferring facility information by radio and control center
Pradhan et al. Websign: hyperlinks from a physical location to the web
EP1767959A1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JP4472735B2 (ja) 測位ゲートウェイ装置、端末位置情報要求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810997B2 (ja) 情報通信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並びに、情報通信方法
JP200524125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路側装置、車載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