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714A -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714A
KR20050088714A KR1020040014132A KR20040014132A KR20050088714A KR 20050088714 A KR20050088714 A KR 20050088714A KR 1020040014132 A KR1020040014132 A KR 1020040014132A KR 20040014132 A KR20040014132 A KR 20040014132A KR 20050088714 A KR20050088714 A KR 20050088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
task
human re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욱
Original Assignee
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욱 filed Critical 강욱
Priority to KR102004001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8714A/ko
Publication of KR2005008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조직의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를 통하여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조직내의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 관리할 수 있는 방법과 조직의 객관적 평가를 통하여 조직의 투명성 확보 및 조직내 인적자원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조직의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를 하기 위해 통신망을 지원하는 단말기와 업무관리 시스템,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조직관리 시스템, 평가관리 시스템등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져 있고,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은 업무관리를 위한 업무 관련 데이터를 등록 관리하고, 상기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에는 인적자원 관련 데이터를 등록 관리하고, 상기 조직관리 시스템에는 조직관련 데이터를 등록관리하고 평가관리 시스템에는 조직 및 인적자원의 평가관련 데이터를 등록관리하는 등의 다수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단말기에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에 업무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한 업무를 수행할 조직 및 인적자원을 조회하여 선발하는 과정, 선발된 조직 및 인적자원의 업무 투입 확정 과정, 상기 등록 업무의 진행 과정을 계속적으로 기록하는 과정 및 상기 업무 수행 완료시(혹은 수행중) 업무를 수행한 조직 및 인적자원에 대한 평가와
2) 상기 업무를 수행할 조직을 관리하기 위하여 조직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조직관리 시스템에 조직 정보를 등록, 조회하는 방법과
3) 상기 업무를 수행할 인적 자원 관리를 위하여 상기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에 인적자원정보를 등록,조회하는 과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ement of business and human resources}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조직의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를 통하여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조직내의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 관리할 수 있는 방법과 조직의 객관적 평가를 통하여 조직의 투명성 확보 및 조직내 인적자원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회사는 업무를 수행하는 집단으로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무엇 보다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있으나 현대사회의 발전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인적자원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이러한 개념에서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는 적재적소에 필요 인력을 투입하고 능력있는 인적자원의 활용이 무엇 보다 중요시 된다. 그러나 현재 조직의 실태를 살펴보면 조직내 인적자원들은 자신의 업무외에는 조직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업무에 대하여 알지 못하며 또한 업무를 수행하는 인적자원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효율적인 업무 수행 및 인적자원 관리는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로 조직 및 인적자원에 대한 신뢰성 있는 객관적인 평가는 엄두도 못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 관계로 외부 인력을 파견 받거나 하는 경우에는 극히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급속히 변화하는 추세를 따라 가기 위하여는 보다 진보된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나의 회사를 들어 설명한다.
회사는 여러 부서로 구성되고 부서에는 한명 이상 부서원이 근무를 하고 있다.
부서원은 주어진 자기의 업무를 수행하고 회사에서는 필요한 업무가 발생시 업무담당자에 의하여 필요한 인적자원을 채용하거나 용역을 주어 수행한다. 그러나 회사 내에서 업무를 처리할 인적자원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현재 수행 중인 업무와 병행하더라도 무리가 없는 인적자원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현재 회사의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를 보다 진보한 형태의 시스템으로 만드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업무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1개 조직의 업무를 살펴보면 다음의 네가지 종류로 크게 구분된다.
1) 한명의 인적 자원으로 가능한 업무
2) 여러명의 인적 자원이 필요한 업무
3) 업무 자체를 맡아 수행할 조직이 필요한 업무
4) 1),2),3)의 혼합 된 업무
각각의 경우를 발명하려는 시스템으로 설명한다.
1) 한명의 인적자원으로 가능한 업무
a. 업무 시스템에 업무를 등록한다.
b. 업무 등록자는 업무 시스템의 업무 내용을 보고 업무를 맡아 수행하기를 원하는 지원 인적자원, 인적자원 시스템이 업무에 적합한 인적자원을 자동으로 조회 추천한 인적자원 및 업무책임자가 직접 인적자원 시스템을 조회하여 선발한 인적자원의 세가지 방법으로 업무에 투입할 초기 인적자원을 선별한다.
c. 1단계는 간단한 이력 내용으로 1차 선발 후 2단계는 상세 경력 사항 및 평가 내용 등을 고려하여 업무를 수행할 인적자원을 선정한 후 실제 면접을 통하여 최종 투입 인적자원을 선발한다..
d. 선정된 인적자원이 업무를 맡아 수행한다.
e. 단위 업무 처리 내용을 입력하고 의뢰자가 있는 경우은 의뢰자가 간단한 평가를 실시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1. b번의 경우 기존 형태는 업무 수행자를 인사 담당자(혹은 업무책임자)가 일방적으로 조회 선발하는 형태이나 본 발명에서는 업무를 맡아 수행하기를 원하는 인적자원의 지원을 받는 방법, 시스템에서 해당 인력을 자동으로 찾아 주는 방법및 업무 등록자가 직접 조회하는 방법의 3가지 방법으로 선별한다.
2.선정 된 인적자원이 해당 업무를 수행하고도 다른 업무를 처리할 능력이 되는 경우(동일한 분야 혹은 다른 분야, 동일 조직 혹은 타조직에 관계 없슴) 업무시스템을 통하여 업무를 부여 받아 수행하는 경우(즉 두 개 이상의 업무를 동시에 수행함)와
3.현재의 업무가 과중하여 장기간 혹은 단기간 업무 수행을 맡아 줄 사람을 찾아야 하는 경우 업무 시스템에 해당 업무를 등록하여 a,b,c,d 순의 절차로 같이 업무를 수행할 인적 자원을 구하며
4. 업무 수행에 관련한 내용을 일정 주기로 입력하여 현재 수행 업무 내용, 수행할 업무 및 수행한 업무 등을 일목 요연하게 공개하여 업무 수행의 투명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모든 업무의 내용이 기록으로 남아 참고 자료로 이용되며 수행한 인적자원의 경력 및 이력 관리도 가능하게 되며
5.일정 주기로 지속적인 평가를 실시하여 객관적이고 신뢰성 높은 인적자원의 평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2) 여러명의 인적 자원이 필요한 업무
a. 업무 시스템에 업무 내용 및 필요한 분야 및 인적자원의 수 등을 등록한다.
b. 필요 분야 각각에 대하여 1)의 b와 동일하게 실시한다.
c. 필요 분야 각각에 대하여 1)의 c와 동일하게 실시한다.
d. 1)의 d와 동일하게 실시한다.
e. 1)의 e와 동일하게 실시한다.
위의 경우는 보통의 회사의 부서 조직의 개념을 갖는 것으로 각 부서원이 부서 조직의 각각의 분야를 맡아 수행하는 형태로 볼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인적자원이 부서의 조직원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업무 수행중에는 업무를 수행하는 인적자원과 보다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어 실제 소속한 부서 및 조직이 다를 수 있고 업무가 끝나면 또 다시 각자의 분야의 업무를 맡아 흩어지는 방법으로 본 방법의 기본이 되는 업무 형태로 모든 업무가 이러한 형태를 기본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형태로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 인적자원의 교류가 어려운 과거 업무 형태에서 자연히 벗어나 유기적이고 능동적인 업무 형태로 변하게 된다.
또한 2)도 1)번의 특징을 그대로 갖고 있다.
3) 업무 자체를 맡아 수행할 조직이 필요한 업무
자체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여 업무를 맡아서 수행 할 다른 조직을 찾아야만하는 업무로
a. 업무 시스템에 업무 내용 및 맡아 수행할 조직의 조건등을 등록한다.
b. 업무 책임자는 업무 시스템의 업무 내용을 보고 업무를 맡아 수행하고자 하는 조직의 담당자가 지원하는 방법, 조직관리 시스템이 업무에 적합한 조직을 자동으로 조회 추천한 조직 및 업무책임자가 직접 조직관리 시스템을 조회하여 선발한 조직의 세가지 방법으로 업무에 투입할 초기 조직을 선별한다.
c. 1단계는 간단한 조직의 이력 내용으로 1차 선발 후 2단계는 조직의 상세사항 및 평가 내용 등을 고려하여 업무를 수행할 조직을 선정한 후 조직의 담당자 및 실사를 통하여 수행할 조직을 최종 선발한다.
d. 업무를 맡은 조직은 맡은 업무를 1),2),3)의 형태로 실시한다.
업무를 모두 맡기는 형태로 현재의 아웃 소싱과 같은 업무를 말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경우 업무를 맡아 수행할 조직 선발시 입찰을 통하거나 수의로 계약하나 업무 수행에 관한 객관적이고 투명한 판단 기준 없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업무 수행 후에는 객관적인 평가 내용 및 업무 수행 내용이 있어 투명하고 객관적인 업무 수행 조직의 선별이 가능하다.
4) 1),2),3)의 혼합 된 업무
1),2),3) 형태의 업무가 혼합 된 업무로 업무 책임자는 업무를 등록 후 다시 업무 형태에 따라 1),2),3)으로 쪼개여 실시하는 형태이다.
위의 내용은 한 회사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부서를 회사로 확대하면 회사 와 회사간의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가 되고 부서를 그룹으로 하면 좀 더 광범위한 형태이고 또한 부서를 국가로도 확장 발전 할 수 있다 . 즉 조직이하함은 한명의 인적자원이 될 수도 있고 여러 회사가 모인 그룹이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여러국가가 모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망을 지원하는 단말기와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이하 관리시스템이라 칭함)간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관리시스템에는 업무관리, 인적자원관리, 조직관리, 평가관리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수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관리시스템에 업무를 등록하는 과정, 업무 등록 후 업무를 수행할 인적자원 및 조직에 대한 등록, 조회 및 선발 과정, 업무 수행 중 업무 추진 내용을 등록하는 과정, 업무 종료시 업무 관련자 및 조직에 대해 평가하는 과정, 조직에 대한 등록 과정, 조직에 속한 인적자원을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을 위한 망 접속 구성도이다.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이하 관리시스템이라 칭함)(10)에는 다수 종류의 시스템(12-17)을 구비하고 있으며 싸이트 관리자는 관리자 PC(20)를 통하여 관리시스템(10)을 관리하며 또한 프로그램 개발 및 유지보수와 데이터 관리를 수행한다. 조직내 PC(50)와 타 조직내 PC(60)는 통신망(40)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한다. 상기 관리 시스템(10)과 조직내 PC(50) 및 타 조직내 PC(60)사이의 접속은 모뎀과 PSTN을 통한 통신망 접속, 또는 전용선 접속, ISDN을 이용한 유선방식과 셀룰러, PCS, 마이크로 웨이브나 위성통신등을 통해 무선 통신망 접속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조직내 PC(50)와 타조직내 PC(60)는 상기 방식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다. 조직내 PC(50)와 타조직내 PC(60)는 통신망 접속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PC이어야 한다. 또한 조직내 PC(50)와 타조직내 PC(60)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씩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다수개가 연결되어 있으며, 조직내 PC 및 타조직 PC로 구분하였으나 PC의 내부 구성이나 프로그램이 달라지는 것은 전혀 없다. 그리고 조직내 PC(50)와 타조직내 PC(60)는 각각 설명의 편의상 퍼스널 컴퓨터를 예를 들었으나 통신망을 지원하는 단말기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업무관리 시스템(12)은 업무에 관련한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인적자원관리 시스템(13)은 인적자원관리에 관련한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조직관리 시스템(14)은 조직에 관련한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평가관리 시스템(15)은 평가에 관련한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자연어처리 시스템(18)은 서술적 내용의 자연어 검색을 위하여 자연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기타 부속시스템(17)은 이메일(E-Mail), 게시판, 대화방 등 보조적인 사항을 처리한다.
도 2는 신규 업무를 등록하는 흐름도이다.
201단계는 업무 등록자가 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단계로 업무 등록을 위하여는 login 절차가 필요하며 ID와 Password를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자인지를 확인한다. 202단계에서는 업무관리 시스템이 선택 되었는지 검사한다. 203단계는 신규 업무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업무코드가 없는 경우는 신규업무 단계로 진행하고 업무코드가 있는 경우는 업무코드에 해당되는 기 등록된 업무를 표출하며 수정,삭제 단계로 이동한다. 204단계는 새로운 업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 업무 등록자는 업무에 필요한 기본사항과 필요인력 및 조직에 관한 사항을 입력한다. 기본사항인 업무명, 담당자, 의뢰 조직명, 연락처, 수행기간, 업종 및 분야, 총 인적자원수, 예산, 기타에 관련한 일반적인 사항을 입력한다. 그리고 필요인력 및 조직에는 구분, 업종, 업무, 경력년수, 인원수, 기간 및 기타 내용등의 수행할 조직 및 인적자원에 대한 상세한 사항을 입력하게 된다. 구분은 조직이 필요한지 인적자원이 필요한지를 구분하는 내용으로 업무 전체를 맡길 경우는 구분에 조직을 선택한다. 업종은 예를 들어 회계등이 되고, 업무는 예를 들어 프로그래머가 되며,경력년수는 예를 들어 3년, 인원수는 예를 들어 1명, 기타는 특이사항등 필요한 내용을 예를 들면 여성인력등과 같이 입력한다. 이러한 사항의 입력이 완료되면 등록이 완료된다. 205단계는 새로 등록된 업무의 내용을 검토하여 시스템관리자가 업무에 관한 코드를 부여하여 등록을 완료하는 과정이다. 업무 코드를 부여 받지 못하는 업무는 신규 업무로 등록되지 못하며 보류 업무로 남게 된다. 업무 등록자에게 부여된 업무 코드는 이메일이나 전화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되며 또한 신규 업무안내 화면에서 직접 확인 할 수 있다. 206단계는 등록된 업무 중 인적자원이 필요한 업무와 조직이 필요한 업무를 구분하는 단계로 필요인적자원 및 조직의 구분코드에 의하여 구분되며 조직을 선택한 경우는 수행할 조직이 선발된 후 선발된 조직은 업무 등록을 수행하여 필요한 인적자원을 선발하여야한다.
도3은 신규 등록 업무에 수행 가능 인적자원 지원 흐름도이다.
301단계는 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단계로 login 절차가 필요하며 ID와 Password를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자인지를 확인한다. 302단계에서는 업무관리 시스템이 선택 되었는지 검사한다. 303단계는 신규 등록 업무를 검토하는 단계로 필요인적자원 및 조직사항의 구분에 인적자원이 선택된 업무를 검토한다. 304단계는 해당 업무를 수행하기를 원하는 인적자원이 직접 해당 업무에 지원하는 경우로 해당 업무를 선택한 후 자신의 ID를 입력하면 된다. 305단계는 수행 가능 인적자원을 보유한 조직의 담당자가 수행 가능한 인적자원을 지원하는 경우로 해당 업무를 선택한 후 수행 가능 인적자원의 ID를 입력하며 여러명을 동시에 입력하여도 무방하다. 306단계는 해당 업무 등록자가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을 조회하여 직접 입력하는 방법으로 수행 가능 인적자원의 ID를 입력하며 여러명을 동시에 입력하여도 무방하다.
도4는 신규 등록 업무에 수행 가능 조직 지원 흐름도이다.
401단계는 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단계로 업무에 login 절차가 필요하며 ID와 Password를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자인지를 확인한다. 402단계에서는 업무관리 시스템이 선택 되었는지 검사한다. 403단계는 신규 등록 업무를 검토하는 단계로 필요인적자원 및 조직사항의 구분에 조직이 선택된 업무를 검토한다. 404단계는 수행 가능 조직의 담당자가 직접 지원하는 경우로 해당 업무를 선택한 후 수행 가능 조직 코드를 입력한다. 405단계는 해당 업무 등록자가 조직관리 시스템을 조회하여 직접 등록하는 방법이다.
도 5는 신규 업무에 지원한 인적자원 중 업무에 투입할 인적자원 선발 흐름도이다.
501단계는 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단계로 login 절차가 필요하며 ID와 Password를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자인지를 확인한다. 502단계에서는 업무관리 시스템에서 신규 등록 업무 중 인적자원 선발을 위한 해당 업무가 선택되었는가 구별하는 단계이다. 503단계는 해당 업무의 수행을 원하는 인적자원이 직접 지원한 인적자원, 수행 가능 인적자원을 보유한 인적자원의 담당자가 지원한 인적자원, 업무등록자가 직접 조회한 인적자원 및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선발한 인적자원의 ID를 리스트 형태로 표출한다. 504단계는 503단계에서 표출된 인적자원의 ID를 선택하면 일반적인 사항 및 경력 사항을 조회할 수 있으며 선발을 원하는 인적자원의 코드 옆에 있는 선택란을 체크하여 1차 인적자원을 선발한다. 505단계는 2차 선발에 필요한 인적자원의 상세 사항 및 평가 사항 조회를 위한 임시 비밀번호를 요청하여 관리자로부터 보안 등급에 맞는 비밀번호를 부여받는 단계이다. 506단계는 2차 선발을 위하여는 관리자로부터 부여 받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하며 1차 선발 인적자원 리스트에서 인적자원 코드를 선택하면 인적자원에 대한 상세 정보(상세 경력사항, 상세 업무 수행 사항 및 평가 사항 등)를 조회 할 수 있다. 선발을 원하는 인적자원의 코드 옆에 있는 선택란을 체크하여 2차 인적자원을 선발한다. 507단계는 2차 선발자중에서 업무를 수행할 최종 인적자원을 선발하는 것으로 면접과 같이 실제적인 면답을 통하여 최종 수행 인적자원을 선발하며 업무에 투입할 인적자원의 선발을 최종 확정하여 업무를 수행을 개시한다. 업무는 신규 등록 업무에서 수행 중인 업무로 이전되며, 업무 투입된 인적자원은 투입 가능 인적자원에서 불가능한 인적자원으로 자동으로 이전 등록되나 본인의 영량에 따라 업무 수행 중에도 다른 업무를 수행할 있으므로 본인이 수시로 투입 가능 여부를 업무 수행 책임자와 상의하여 업무 투입 여부는 고칠 수 있으며 특이 사항으로 기술하여 선발시 참고 자료로 이용한다. 즉 한 업무에 투입된 인적자원이더라도 본인과 업무 책임자의 판단에 의하여 다른 업무에도 투입 가능할수 있으므로 투입 가능 여부는 수시로 수정 가능하다.
도6은 수행할 조직의 선발을 위한 흐름도이다.
601단계는 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단계로 login 절차가 필요하며 ID와 Password를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자인지를 확인한다. 602단계에서는 업무관리 시스템에서 신규 등록 업무 중 조직 선발을 위한 해당 업무가 선택되었는가 구별하는 단계이다. 603단계는 수행을 원하는 조직의 담당자가 직접 지원한 조직, 업무 등록자가 직접 조회한 조직 및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선발한 조직의 코드를 해당 리스트 형태로 표출한다. 604단계는 603단계에서 표출된 조직 코드를 선택하면 일반적인 사항 및 조직의 이력 사항을 조회할 수 있으며 선발을 원하는 조직 코드 옆에 있는 선택란을 체크하여 1차 조직을 선발한다. 605단계는 2차 선발에 필요한 조직의 구체적 수행 업무 및 보유 인적자원의 구체적 사항 및 평가 사항 조회를 위한 임시 비밀번호를 요청하여 관리자로부터 보안 등급에 맞는 비밀번호를 부여받는 단계이다. 606단계는 2차 선발을 위하여는 관리자로부터 부여 받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야하며 1차 선발 조직 리스트에서 조직 코드를 선택하면 조직에 대한 상세 정보(상세 업무 수행 사항, 보유 인적자원 및 평가 사항 등)를 조회 할 수 있다. 선발을 원하는 조직의 코드 옆에 있는 선택란을 체크하여 2차 조직을 선발한다. 607단계는 2차 선발 조직중에서 업무를 수행할 최종 조직을 선발하는 것으로 실제적인 면답을 통하여 최종 수행 조직을 선발하여 업무에 투입할 조직을 최종 확정한다. 선발된 조직의 담당자는 해당 업무에 투입할 인적자원 선발을 위하여 도 2의 절차에 의하여 다시 신규 업무로 등록하여야하며 시스템 관리자는 상위 업무가 있는 업무로 상위업무를 포함한 코드를 부여하여 연관이 있는 업무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7은 인적자원별 단위 업무 등록 및 업무 처리 사항 등록 흐름도이다.
701단계는 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단계로 login 절차가 필요하며 ID와 Password를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자인지를 확인한다. 702단계에서는 개인 업무시스템 선택 여부를 구별하는 단계이다. 703단계는 입력된 ID에 따라 해당 인적자원의 업무 내용을 표출하는 단계로 수행할 업무, 수행 중인 업무 및 완료한 업무의 세가지 리스트가 표출된다. 704단계는 수행 할 업무를 다시 세분화한 단위 업무로 등록하며 단위 업무의 내용(단위 업무명, 내용, 기간, 기타사항등)과 함께 업무 의뢰자, 업무책임자, 함께 수행하는 인적자원을 입력하여 단위 업무 완료시 관련자에 의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한다. 705단계는 업무 진행 사항을 입력할 해당 업무를 선택한 후 진행 사항을 입력한다. 수행 중인 업무를 일정 주기(예를 들면 매일, 1주일등)로 입력하는 것으로 수행 업무의 진행을 체크할 수 있다. 706단계는 단위 업무 완료시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단위 업무에 등록된 의뢰자, 업무 책임자 및 함께 수행하는 인적자원에게 평가를 의뢰하고 평가자들의 평가가 끝나면 단위 업무는 종료된다.
도8은 평가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801단계는 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단계로 login 절차가 필요하며 ID와 Password를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자인지를 확인한다. 802단계에서는 평가시스템 선택 여부를 구별하는 단계이다. 803단계는 login한 ID에 의하여 평가할 업무의 리스트 및 업무 평가 대상자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선정하여 표출한다. 804단계는 평가자는 평가 대상자에 대해 서술적 방법의 평가를 실시한다. 기술된 내용은 자연어처리 시스템을 거쳐 자연어 검색 가능토록한다. 805단계는 평가 대상자에 대하여 정하여진 항목에 따라 선택하는 형식의 정량적인 형식으로 미리 정해진 평가항목과 점수에 근거하여 평가한다. 806단계는 모든 평가가 완료된 경우 정량적인 평가에 대한 사후 처리로 평가대상자 별로 정량적 평가에 대한 자료를 취합하고 다양한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업무 수행자의 경우 업무책임자의 객관적 평가 내용의 통계화, 업무 수행 동료의 객관적 평가 내용의 통계화, 해당 고객의 객관적 평가 내용의 통계화 및 각 인적자원의 평가 통계 자료는 인적자원이 속한 조직에 대한 평가 자료로 취합 처리 된다. 807단계는 모든 평가가 최종 완료되면 업무 담당자 및 업무 책임자는 담당 업무에 대하여 업무의 종료를 등록하며 업무 수행을 종료한다. 해당 업무는 수행중인 업무에서 수행 완료 업무로 업무 상태가 갱신되며 투입된 인적자원은 투입 불가능 인적자원에서 투입 가능 인적자원으로 갱신등록된다.
도9는 조직 등록 흐름도이다.
업무시스템에 업무를 등록하고 업무에 인적 자원을 지원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수행하여야 하는 부분으로 조직 시스템에 등록된 조직만이 업무 시스템에 업무를 등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업무를 등록하기 위하여는 필수적으로 조직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직을 등록하여 조직 코드를 부여 받아야 한다. 901단계는 조직관리 시스템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 902단계는 조직코드를 입력 받아 조직코드의 유무를 판단한다. 조직코드가 있는 경우는 조회 및 수정 단계인 906단계로 이동하고 조직코드가 없는 경우는 신규 등록을 위한 903단계로 이동한다. 903단계는 조직명, 조직 대표자, 조직 담당자, 연락처, 업종, 전문분야등의 조직에 관한 다양한 내용을 입력한다. 904단계는 입력이 완료 되면 시스템 관리자가 입력된 내용을 검토한후 조직 코드를 부여한다. 905단계는 부여한 조직코드를 업무담당자에게 이메일, 전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부여된 조직 코드를 알려줌으로 등록 절차를 완료한다. 906단계는 수정 선택시는 수정 단계인 907단계로, 아닌 경우는 조회 단계인 910단계로 이동한다. 907단계는 수정을 위한 조직의 내용을 표출한다. 908단계는 보안 등급에 따른 비밀번호 유무를 체크한다. 909단계는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 내용을 수정한다. 910단계는 조회 단계로 조직의 기본 내용을 표출한다. 911단계는 보안 등급에 따른 비밀번호 유무를 체크한다. 912단계는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 조직의 상세 내용을 표출한다. 조직의 수행한 업무에 대한 평가 및 업무를 의뢰한 경우의 평가도를 조회 할 수 있다.
도10은 인적자원 등록 흐름도이다.
인적자원을 등록하기 위하여는 인적자원이 속한 조직이 먼저 조직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어야만 가능하다.즉 인적자원을 등록하기 위하여는 필수적으로 조직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직을 등록하여 조직 코드를 부여 받아야 한다.1001단계는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 1002단계는 조직코드를 입력 받아 조직코드의 유무를 판단한다. 1003단계는 인적자원코드를 입력받아 인적자원코드의 유무를 판단한다. 있는 경우는 조회 및 수정 단계인 1007단계로 이동하고 인적자원코드가 없는 경우는 신규 등록을 위한 1004단계로 이동한다. 1004단계는 항목에 따라 내용을 입력한다. 인적자원에 대한 사항은 개인사항 및 경력사항과 본인 평가사항을 입력한다. 개인사항은 이름, 성별, 나이, 주소, 연락처, 가족사항이고, 경력사항은 연도별 업무내용을 기술하여야 하는데 표준화된 이력서 방식이 요구되고, 또한 업무에 투입되어 진행된 일에 대한 내용을 서술식으로 기재하여야 된다. 또한 업무 투입 가능 여부,시기 및 수행중인 업무코드등을 입력하며 다음 네가지로 구분하여 처리한다.
1. 업무에 투입이 가능한 인적자원
2. 업무 진행 중으로 투입이 불가능한 인적자원
3. 업무 진행 중이나 1∼2개월이내는 투입이 가능한 인적자원
4. 업무 진행 중이나 동시에 다른 업무를 수행 할수 있는 인적자원
등록 후에는 업무시스템이 업무에 투입된 인적자원의 업무 예정 마감일과 현재 날짜를 계산하여 위의 네가지 분류로 자동으로 인적자원의 투입여부 및 시기를 수정하며 또한 인적자원이 투입 여부 및 시기를 직접 수정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인평가사항은 자기소개 및 자신의 장단점등을 서술하며 이렇게 입력된 사항은 인적자원 시스템에 등록됨과 동시에 자연어 처리 시스템의 자연어처리를 거쳐 자연어 처리 시스템에 등록된다. 처음 등록시에는 평가 내용이 없으나 업무를 수행 후에는 평가 내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인적자원에 대한 서술적, 정량적 평가를 조회 할 수 있다. 1005단계는 입력이 완료 되면 조직의 담당자가 입력된 내용을 검토한 후 인적자원코드를 부여한다. 1006단계는 부여한 인적자원코드를 등록한 인적자원에게 이메일, 전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부여된 인적자원 코드를 알려줌으로 등록 절차를 완료한다. 1007단계는 수정 선택시는 수정 단계인 1008단계로, 아닌 경우는 조회 단계인 1011단계로 이동한다. 1008단계는 수정을 위한 인적자원의 내용을 표출한다. 1009단계는 보안 등급에 따른 비밀번호 유무를 체크한다. 1010단계는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 인적자원의 내용을 수정한다. 1011단계는 조회 화면으로 인적자원의 기본 내용을 화면으로 표출한다. 1012단계는 보안 등급에 따른 비밀번호 유무를 체크한다. 1013단계는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 인적자원의 상세 내용을 표출한다. 업무에 투입되었던 인적자원의 경우는 업무 평가 내용을 조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직의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고 인적자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또한 조직 및 인적자원의 객관적이고 투명한 평가에 의한 신뢰도 구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을 위한 망 접속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관리 시스템에 업무를 등록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 등록 업무에 수행 가능 인적자원 지원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 등록 업무에 수행 가능 조직 지원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 업무에 지원한 인적자원 중 업무에 투입할 인적자원 선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 업무에 지원한 조직 중 업무에 투입할 조직 선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적 자원별 단위 업무 등록 및 업무 처리사항 등록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시스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등록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등록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12: 업무관리 시스템
13: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14: 조직관리 시스템
15: 평가관리 시스템 16: 자연어처리 시스템
17: 기타 부속 시스템 20: 관리자 PC
21: CSU 22: 시스템 관리부
30: 라우터 31: 전송로
40: 통신망
50: 조직내 PC 60: 타 조직내 PC

Claims (6)

  1. 통신망을 지원하는 단말기와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간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져 있고, 상기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에는 업무 및 인적자원 데이터와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각종 메뉴 데이터를 등록 관리하는 다수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업무를 등록,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한 업무 중 업무 수행을 원하는 인적자원 및 조직이 해당 업무에 지원하는 과정과, 업무에 지원한 조직 및 인적자원을 선발하는 과정과, 상기 업무를 수행 중인 인적자원이 해당 업무의 처리 사항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업무에 관련된 인적자원 및 조직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 및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등록 과정은,
    상기 관리 시스템 접속 후,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업무의 기본사항(업무명, 담당자, 의뢰 조직명, 연락처, 수행기간, 업종 및 분야, 총 인적자원수, 예산, 기타)및 상세사항(구분, 업종, 분야, 경력년수, 인원, 기간, 기타등)을 입력하는 과정과 상세사항의 구분란을 통하여 업무를 수행할 조직을 선발하는 것인지 인적자원을 선발하는 것인지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한 업무 중 업무 수행을 원하는 인적자원 및 조직이 해당 업무에 지원하는 과정은,
    상기 관리 시스템 접속 후,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업무의 상세사항의 구분 사항에 따라 인적자원이 지원 가능한 업무와 조직이 가능한 업무로 구분되며, 인적자원 지원의 경우 수행 가능 인적자원이 직접 지원하는 과정과 수행 가능 인적 자원을 보유한 조직 담당자가 지원하는 과정과 업무 등록자가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을 조회하여 직접 등록하는 과정과, 조직 지원의 경우 조직 담당자가 직접 지원하는 과정과 업무 등록자가 조직관리 시스템을 조회하여 직접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업무를 수행할 인적자원 선발 과정은,
    상기 관리 시스템 접속 후,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지원한 인적자원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선발한 인적자원 중에서 일반 사항 (이력사항, 간단한 경력 사항등)으로 1차 선발하는 과정과, 관리자로부터 비밀번호를 부여 받아 상세 수행 업무 사항 및 평가 사항을 조회하여 선발하는 2차 선발 과정과 면답을 통하여 최종 선발을 확정하는 과정과
    제1항에 있어서, 업무를 수행할 조직 선발 과정은,
    상기 관리 시스템을 선택한 후,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지원한 조직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선발한 조직 중에서 일반 사항으로 1차 선발하는 과정과, 관리자로부터 비밀번호를 부여 받아 상세 수행 업무 사항, 보유인적자원 및 평가 사항을 조회하여 선발하는 2차 선발 과정과 면답 및 실사를 통하여 최종 확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를 수행 중인 인적자원이 해당 업무의 처리 사항을 등록하는 과정은
    상기 관리 시스템 접속 후,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업무 수행자가 업무를 다시 세분화한 단위 업무로 등록하는 과정과 수행 중인 업무의 진행 사항을 일정 주기로 등록하는 과정과 단위 업무 완료시 평가자에게 평가를 의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조직 및 인적자원에 대한 평가 과정과 통계처리 과정은,
    상기 관리 시스템 접속 후, 평가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인적자원 코드를 입력하여 평가 업무 및 평가 대상자를 자동으로 표출하는 과정과, 평가 대상자를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과정과, 평가 완료 후 인적자원의 평가 및 인적자원이 속한 조직에 대한 평가를 통계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및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KR1020040014132A 2004-03-02 2004-03-02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KR20050088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132A KR20050088714A (ko) 2004-03-02 2004-03-02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132A KR20050088714A (ko) 2004-03-02 2004-03-02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714A true KR20050088714A (ko) 2005-09-07

Family

ID=3727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132A KR20050088714A (ko) 2004-03-02 2004-03-02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871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88B1 (ko) * 2006-01-06 2007-12-04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사전보 시스템 및 방법
WO2013048075A1 (ko) * 2011-09-29 2013-04-04 Kim Tae Wook 온라인 헤드헌팅 마켓시스템 및 온라인 헤드헌팅 마켓시스템에서 구인방법
KR20190019380A (ko) 2017-08-17 2019-02-27 경기도 고양시 보직관리 및 인력배치를 위한 인적자원 관리시스템
CN109726996A (zh) * 2019-01-03 2019-05-07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人力投入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245030B1 (ko) * 2020-11-27 2021-04-27 (주)마린소프트 선원관리 리스크 밸런싱 플랫폼 시스템
KR102390090B1 (ko) 2021-09-01 2022-04-25 주식회사 비욘드더드림 기업 인재상 모델 및 임직원 아바타 모델을 생성하고 역량 개발을 관리하는 장치
DE202022103612U1 (de) 2022-06-29 2022-07-20 Shalini Gill System zur Verwaltung der Personalressourcen und zur Bewertung der Arbeitnehmerproduktivität in einem multinationalen Unternehm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88B1 (ko) * 2006-01-06 2007-12-04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사전보 시스템 및 방법
WO2013048075A1 (ko) * 2011-09-29 2013-04-04 Kim Tae Wook 온라인 헤드헌팅 마켓시스템 및 온라인 헤드헌팅 마켓시스템에서 구인방법
KR20190019380A (ko) 2017-08-17 2019-02-27 경기도 고양시 보직관리 및 인력배치를 위한 인적자원 관리시스템
CN109726996A (zh) * 2019-01-03 2019-05-07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人力投入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245030B1 (ko) * 2020-11-27 2021-04-27 (주)마린소프트 선원관리 리스크 밸런싱 플랫폼 시스템
KR102390090B1 (ko) 2021-09-01 2022-04-25 주식회사 비욘드더드림 기업 인재상 모델 및 임직원 아바타 모델을 생성하고 역량 개발을 관리하는 장치
KR102419277B1 (ko) 2021-09-01 2022-07-11 주식회사 비욘드더드림 비정형 및 정형 혼합 데이터에 기반한 기업 임직원 역량 개발을 위한 초개인화 커리큘럼 생성 시스템 장치
DE202022103612U1 (de) 2022-06-29 2022-07-20 Shalini Gill System zur Verwaltung der Personalressourcen und zur Bewertung der Arbeitnehmerproduktivität in einem multinationalen Unternehm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nczel The information audit as a first step towards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an opportunity for the special librarian
Zheng et al. SmartHS: An AI platform for improving government service provision
Loh et al. Critical elements for a successful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implementation in small-and medium-sized enterprises
US20020099586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Robinson Work sampling: Methodological advances and new applications
US6857877B1 (en) Recorded medium on which program for displaying skill, achievement level,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WO2002069089A2 (en) Human capital management inventory and position matching system and methods
US20150161555A1 (en) Scheduling tasks to operators
Rocha et al. Planning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in a local public administration organization
WO2007055810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llabor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Henczel The information audit as a first step towards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Etokudoh et al. Third party logistics outsourcing: An exploratory study of the oil and gas industry in Nigeria
Lim Social networks and collaborative filtering for large-scale requirements elicitation
Ponsignon et al. Four archetypes of process improvement: a Q-methodological study
Heusse et al. ORCID growth and field‐wise dynamics of adoption: A case study of the Toulouse scientific area
KR101944062B1 (ko) Ipo 팀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플랫폼 및 그 운영방법
Wijnhoven et al. Reducing waste in administrative services with lean principles
Jansen-Vullers et al. Quantifying the performance of workflows
KR20050088714A (ko)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KR100571718B1 (ko) 온라인상의 채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8504412B1 (en) Audit automation with survey and test plan
KR101251600B1 (ko) 기술 사업화 지원 방법 및 시스템
Reineke et al. MODYS—a modular control and documentation system for epidemiological studies
Goh et al. The indicators of human capital for hospital‐based nursing workforce in Taiwan
JPWO2002063520A1 (ja) 採用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