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025A - 블록 및 그를 가지는 벽체 - Google Patents
블록 및 그를 가지는 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88025A KR20050088025A KR1020040013831A KR20040013831A KR20050088025A KR 20050088025 A KR20050088025 A KR 20050088025A KR 1020040013831 A KR1020040013831 A KR 1020040013831A KR 20040013831 A KR20040013831 A KR 20040013831A KR 20050088025 A KR20050088025 A KR 200500880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block
- coupling
- coupling member
- ho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06C15/06—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between rollers and co-operating moving surfaces formed of flexible material, e.g. band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26—Glossing of fabrics or yarns, e.g. silk-fin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되어 벽체 또는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 및 그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리부들과, 상기 고리부들에 끼워며 상기 고리부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결합부재과, 일단이 지지구조물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되어 벽체 또는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 및 그 벽체에 관한 것이다.
벽체란 건물의 벽이 되는,측면이 넓고 두께가 얇은 부분을 말하는데, 그 종류는 건물 등의 벽 뿐만아니라 옹벽 등이 있다.
옹벽이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말하며,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옹벽은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① 블록 쌓기: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것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블록이 많이 사용된다.
②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 되었는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된다.
③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되며, 역T형식 ·부벽식(扶壁式:L자형) 등 여러 형식이 있다. 이 밖에 강판이나 목책(木柵)을 이용한 간단한 것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옹벽을 적층하기 위한 블록의 일종으로 판넬식 블록이 있는데, 판넬식 블록은 옹벽을 적층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보강토 옹벽 등과 경우에는, 옹벽의 내측에 적층된 보강토의 토압이 옹벽의 전면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를 구조적으로 보완하기 위하여, 보강토 내에 지지부재를 매설하고 앵커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과 지지부재를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판넬식 옹벽의 경우 그 면적은 넓은 반면 두께가 얇게 구성되게 되는데, 일반적인 판넬식 블록은 보강토의 토압이 판넬식 블록 중 앵커부재가 연결된 부분에 집중됨으로써 판넬식 블록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옹벽을 형성하는 판넬의 경우에 판넬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핀을 사용하여 PET 또는 보강재 등과 결합하여 판넬을 지지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는 판넬을 적절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보강재를 신장성이 큰 PET 재질의 보강재를 사용할 경우에 시공 완료 후 크립(creep)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철근과 같은 강보강재의 경우에도 발생되는 변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벽체를 이루는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변위를 확보할 수 있는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옹벽 등과 같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변위를 확보할 수 있는 지지구조 및 그를 가지는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를 이루는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변위를 확보할 수 있는 블록이 적층된 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리부들과, 상기 고리부들에 끼워며 상기 고리부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결합부재과, 일단이 지지구조물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타단의 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타단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결합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반대쪽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제 2 결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타측면에는 이웃하는 블록본체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지지부재가 거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의 내부에는 그 구조보강을 위하여 구조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리부들은 각각 상기 구조보강재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조보강재는 매쉬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결합부재는 상기 고리부들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는 판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재질은 강재, 특히 철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근은 아연용융 도금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 일부를 사이에 두고 물어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결합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반대쪽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물어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들은 상기 철근에 형성된 마디 또는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의 폭은 상기 본체결합부재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의 양단에 돌출형성된 돌출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지지고리부들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고리부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이 적층된 벽체를 제공한다.
상기 벽체는 옹벽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그 후면에 보강토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리부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결합부재와, 일단이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고리부들; 상기 지지고리부들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고리부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결합부재; 및 일단이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본체; 일단이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블록본체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블록본체에 결합시키는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철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제 2 결합부재가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제 2 결합부재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는 각각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 일부를 사이에 두고 물어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들은 상기 철근에 형성된 마디 또는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그를 가지는 벽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지지구조를 가지는 건물벽체 또는 옹벽 등과 같은 벽체에 사용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어 벽체를 구성하거나, 벽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옹벽은 그 후변에 보강토 등이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0); 및 상기 블록본체(100)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리부(210)들과, 상기 고리부(210)들에 끼워지며 상기 고리부(210)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223)이 형성된 본체결합부재(220)와, 일단이 지지구조물(3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결합부재(220)의 관통공(223)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결합부재(220)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310)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블록은 적층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블록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블록본체(100)는 적층되는 벽체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블록본체(100)는 벽체가 아닌 다른 구조물의 지지를 위한 블록 또는 지지구조물로서 사용될 때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블록본체(100)는 블록이 적층되어 벽체를 이룰 때, 블록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면서, 벽체의 전면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을 견딜 수 있도록 전단방지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블록본체(100)가 전단방지부가 형성되면 벽체가 후면에 보강토가 적층된 옹벽의 경우 보강토의 토압 등으로 인하여 작용하는 전단력에 의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블록이 벽체의 전면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00)의 일측면에는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본체(100)의 타측면에는 이웃하는 블록본체(100)의 돌출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단방지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핀(미도시)과 상기 핀이 삽입되도록 블록본체(100)에 형성된 삽입홀(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00)는 그 내부에는 그 구조보강을 위하여 구조보강재(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보강재(130)는 철근 등과 같은 강재 등에 의하여 구성되며, 매쉬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00)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리부(210)들과, 상기 고리부(210)들에 끼워지며 상기 고리부(210)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223)이 형성된 본체결합부재(220)와, 일단이 지지구조물(3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결합부재(220)의 관통공(223)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결합부재(220)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21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0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고리부(210)들은 상기 블록이 벽체를 이루는 경우 벽체의 후면을 이루는 부분인 블록본체(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210)들은 그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게 되며, 블록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부재가 사용되며 철근과 같은 강재가 사용된다.
즉, 상기 고리부(210)들은 블록본체(100)의 일측면에 일부가 결합된 상태로 블록본체(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고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210)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0)의 일측면과 평행한 평행부분(211)을 가진다.
또한 상기 고리부(210)들은 상기 구조보강재(130)와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강재와 같은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리부(210)들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두 개 이상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210)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 경우에는 후술할 본체결합부재에 형성된 관통공(215)과 대응되는 관통공(215)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210)에도 추가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본체결합부재(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210)들이 형성하는 고리부분에 끼워지는데, 후술할 지지부재(310)가 삽입되는 관통공(223)이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210)들간의 거리보다 같거나 긴 길이를 가지는 평면부(222)와, 상기 평면부(22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평면부(222)가 고리부(210)들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평면부(222)가 고리부(210)들로부터 이탈을 방지하지 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222)로부터 연장형성된 걸림턱(2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재질은 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재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222)에 형성된 관통공(22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10)가 거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3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통공(223)은 블록이 적층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재(3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310)가 상하로 거동이 가능하도록 블록본체(100)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슬롯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결합부재(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210)들에 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결합부재(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거동이 자유롭도록 상기 고리부(210)의 폭(D)보다 그 폭(d)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리부(210)들의 평행부분(211)의 폭(D)이 상기 본체결합부재(220)의 폭(d)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10)는 블록본체(100)와 지지구조물(300)을 연결하여 블록본체(100)를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310)의 일단은 지지구조물(300)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결합부재(200)에 후술할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블록본체(10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10)의 재질은 강재, 특히 철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철근은 아연용융 도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지지부재(310)가 본체결합부재(200)에 고정시키도록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결합부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10)의 타단의 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11); 및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기 타단이 상기 관통공(2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나사부(311)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결합부재(220)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반대쪽에는 지지부재(310)가 본체결합부재(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추가로 제 2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결합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0)의 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12); 및 수나사부(311)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10)의 끝단 일부를 사이에 두고 물어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31a)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231); 및 상기 지지편(231)의 수나사부(231a)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 또한, 상기 본체결합부재(220)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반대쪽에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물어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33a)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233); 및 상기 지지편(233)의 수나사부(233a)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231)들은 상기 철근에 형성된 마디 또는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부(231b)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0)에 하나로 설치되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0)의 상하 또는 좌우, 상하 및 좌우 등 복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구조물(300)은 상기 블록에 형성된 지지구조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지지고리부들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고리부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구조물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고리부들; 상기 지지고리부들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고리부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결합부재; 및 일단이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40)이 형성된 블록본체(100); 및 일단이 구조물(미도시)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블록본체(100)의 관통공(140)에 끼워지는 지지부재(310); 및 상기 관통공(1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재(310)를 상기 블록본체(100)에 결합시키는 제 1 및 제 2 결합부재(331, 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철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재(331) 및 제 2 결합부재(332)가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재(331) 및 제 2 결합부재(332)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나사부(311a, 311b)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상기 관통공(140)에 대응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수나사부(311a, 311b)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331, 332)는 각각 상기 수나사부(311a, 311b)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331, 332)는 도 6에 도시된 결합부의 구성과 유사하게, 각각 지지부재(310)의 끝단 일부를 사이에 두고 물어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수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미도시); 및 상기 지지편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들은 상기 철근에 형성된 마디 또는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블록본체(100)의 단면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40)이 형성된 부분을 중심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목부(160)를 복개하기 위한 복개부(150)가 상기 오목부(16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구성 중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어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블록본체(10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게 되며, 상기 블록본체(100)의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구조물과 연결됨으로써 지지되어 설치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지지구조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지지구조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간단한 체결구조를 가짐으로써 옹벽 등과 같은 벽체의 시공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상하 거동 또는 회전 거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강토 옹벽 등과 같은 경우 상하 변위에 적합하여 보다 안정적인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구조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시공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록의 III-III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블록의 결합부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블록의 결합부 및 지지부재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하나의 결합부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복수개의 결합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적층된 옹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블록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블록본체 110 : 돌출부
120 : 요홈부 130 : 구조보강재
140 : 관통공 210 : 고리부
215 : 관통공 220 : 본체결합부재
221 : 걸림턱 223 : 관통공
230 : 암나사부 240 : 암나사부
300 : 지지구조물 310 : 지지부재
311 : 수나사부 312 : 수나사부
331 : 제 1 및 제 2 결합부재
Claims (30)
- 블록본체(100); 및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리부들과, 상기 고리부들에 끼워지며 상기 고리부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결합부재과, 일단이 지지구조물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타단의 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 및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타단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본체결합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반대쪽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제 2 결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상기 블록본체의 타측면에는 이웃하는 블록본체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관통공은 상기 지지부재가 거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블록본체의 내부에는 그 구조보강을 위하여 구조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리부들은 각각 상기 구조보강재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구조보강재는 매쉬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블록본체는 판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의 재질은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의 재질은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철근은 아연용융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결합부재는 상기 고리부들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결합부는상기 지지부재의 끝단 일부를 사이에 두고 물어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상기 지지편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결합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의 반대쪽에는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물어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상기 지지편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편들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마디 또는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리부의 폭은 상기 본체결합부재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이탈방지부는상기 지지부결합부재의 양단에 돌출형성된 돌출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구조물은상기 지지고리부들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고리부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결합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블록이 적층된 벽체.
-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벽체는 옹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벽체는 그 후면에 보강토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 블록본체; 및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리부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결합부재와, 일단이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지지구조물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고리부들;상기 지지고리부들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고리부들에 걸리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결합부재; 및일단이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결합부재에 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
-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본체;일단이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블록본체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지지부재; 및상기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블록본체에 결합시키는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25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25항 또는 26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는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제 2 결합부재가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제 2 결합부재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27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는 각각상기 지지부재의 끝단 일부를 사이에 두고 물어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 및상기 지지편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28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편들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마디 또는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 제 25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수나사부가 형성되며,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3831A KR20050088025A (ko) | 2004-02-28 | 2004-02-28 | 블록 및 그를 가지는 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3831A KR20050088025A (ko) | 2004-02-28 | 2004-02-28 | 블록 및 그를 가지는 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8025A true KR20050088025A (ko) | 2005-09-01 |
Family
ID=3727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3831A KR20050088025A (ko) | 2004-02-28 | 2004-02-28 | 블록 및 그를 가지는 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88025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829B1 (ko) * | 2009-05-12 | 2010-01-26 | 유황섭 | 옹벽 조립체 |
KR101031583B1 (ko) * | 2009-01-16 | 2011-04-27 | (주)기성지앤비 | 발파대석과 콘크리트 저항블록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및 이의 시공방법 |
KR102006305B1 (ko) * | 2018-12-24 | 2019-08-01 | (주)지성이씨에스 | 절토사면 및 성토지 옹벽용 블럭 구조물 |
-
2004
- 2004-02-28 KR KR1020040013831A patent/KR200500880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583B1 (ko) * | 2009-01-16 | 2011-04-27 | (주)기성지앤비 | 발파대석과 콘크리트 저항블록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및 이의 시공방법 |
KR100938829B1 (ko) * | 2009-05-12 | 2010-01-26 | 유황섭 | 옹벽 조립체 |
KR102006305B1 (ko) * | 2018-12-24 | 2019-08-01 | (주)지성이씨에스 | 절토사면 및 성토지 옹벽용 블럭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27752B2 (en) | Insulating concrete form having locking mechanism engaging tie with anchor | |
US7775746B2 (en) | PHC pile used in perman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PHC pile | |
KR101691690B1 (ko) | 벽돌 조적용 연결구 | |
WO1996035845A1 (en) | Interconnectable formwork elements | |
US20130008125A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 |
US10563402B1 (en) | Method of connecting a circular concrete-filled steel tubular column to a reinforced concrete footing | |
KR20050088025A (ko) | 블록 및 그를 가지는 벽체 | |
US4080765A (en) | Building structure made of preformed reinforced elements | |
CN115233833B (zh) | 一种装配式剪力墙免套筒连接结构 | |
KR102054990B1 (ko) | 커플링근과 t형 보강 부재를 이용한 단부보강 빔 및 이를 이용한 기둥과의 연결구조 | |
KR20170034280A (ko) |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 |
US7055286B2 (en) | Modular post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CN215483738U (zh) | 一种耗能屈曲约束支撑构件 | |
KR100679736B1 (ko) |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 |
CN208168047U (zh) | 一种钢管高强混凝土剪力墙连梁纵筋锚固装置 | |
KR102035495B1 (ko) |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 |
KR101371089B1 (ko) | 절토부 보강토 옹벽 연결바의 길이조절용 커플러 | |
CN216130096U (zh) | 一种自锁式整体土工格室 | |
JP3111331B2 (ja) |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の構築構造 | |
KR102282115B1 (ko) | Natm공법에서 1조의 추가 전단보강부에 의해 강지보재 조인트부의 전단면적 부족분에 대한 전단보강구조 | |
KR200273547Y1 (ko) | 보강토옹벽 축조구조 | |
KR20050082127A (ko) | 블록, 그를 가지는 옹벽 및 그 지지방법 | |
KR102351788B1 (ko) | 간편 지보재 연결장치 | |
KR200331015Y1 (ko) |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 |
JP3840263B2 (ja) | 補強土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