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720A -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720A
KR20050087720A KR1020040099999A KR20040099999A KR20050087720A KR 20050087720 A KR20050087720 A KR 20050087720A KR 1020040099999 A KR1020040099999 A KR 1020040099999A KR 20040099999 A KR20040099999 A KR 20040099999A KR 20050087720 A KR20050087720 A KR 20050087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anguage learning
presentation
languag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윤
Original Assignee
이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윤 filed Critical 이경윤
Publication of KR20050087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72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어나 한자 등 일정 언어로 이루어진 단어, 숙어 또는 문장으로 구성된 제시문제 및 제시문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복수개의 지문문제로 구성되는 언어학습문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지문문제들 중에서 제시문제와 동일한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제시문제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 출력되는 제시문제를 해당 언어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언어를 학습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일부 배열이 다르거나 철자가 비슷한 여러 개의 보기 중에서 같은 단어를 찾아 내는 학습을 통해 정확하게 단어를 인식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귀로 들리는 타 언어를 한글과 해당 언어로 써보는 과정을 통해 단어의 발음과 의미를 알고 난 후 반복 학습을 하면 단어 구분 능력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Method for language study using computer system and the Internet }
본 발명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어나 한자 등 각종 언어학습의 기초가 되는 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유사한 어러개의 보기 속에서 찾아내는 학습을 통해 집중력을 극대화시키고, 이 학습을 진행한 후 해당 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귀로 들은 후 직접 써보도록 하는 학습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각종 언어의 기초 실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글로벌화 되어 가면서 영어, 일본어, 한자 등 타 언어가 사회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언어교육이 조기에 실시되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언어학습을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영어에 대한 관심이 더욱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부분의 영어학습은 회화에 중점을 두고 있고, 영어회화에 익숙해지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영어문화권에서의 생활과 한국에서의 생활은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어 무조건적인 영어회화에의 노출은 부작용도 가져오고 있다.
예로서, 한글을 제대로 깨우치지 못한 어린 아이를 하루 종일 영어 비디오 속에서 살게 하면 심각한 정서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초등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영어회화를 공부해야 하는 스트레스 속에서 생활에 대한 자신감마저 잃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즉, 미국과 같은 환경을 전혀 제공하지 못하는 한국어 중심의 우리나라에서 처음부터 회화중심의 교육을 시작하는 것은 많은 비용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모래 위에 집을 짓는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건실한 영어학습을 위해서는 영어학습의 기초라 할 수 있는 영어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파악하는 실력을 먼저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영어문화권이 아닌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사전교육이 필요한 바, 그 첫번째가 효율적으로 영어단어나 숙어 또는 문장에 익숙해지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은 영어 이외의 타 언어나 한자를 학습할 때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언어학습의 기초라 할 수 있는 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방법은 웹 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 컴퓨터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언어 학습 서비스를 요청받는 제1단계; 일정 언어로 이루어진 단어, 숙어 또는 문장으로 구성된 제시문제 및 상기 제시문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복수개의 지문문제로 구성되는 언어학습문제를 하나 이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가 지문문제들중에서 해당 제시문제와 동일한 것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상기 추출된 각 언어학습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제3단계; 상기 사용자의 문제풀이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된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한 제시문제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력되는 음성을 통해 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제4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를 통해 수행한 학습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조회해주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언어는 영어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4단계에서는 제시문제에 대한 영어 발음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발음되는 제시문제를 영어로 입력하거나 그 뜻을 한글로 입력하여 문제를 풀어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어는 한자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4단계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해당 제시문제의 훈과 음을 발음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발음되는 제시문제를 한자로 입력하거나 다시 한글로 입력하여 문제를 풀어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음성으로 출력되는 제시문제에 대한 복수개의 지문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해당 제시문제에 대응하는 지문문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는 웹 사이트(30)이며, 웹 사이트(30)는 인터넷망(20)을 통해 각 사용자의 컴퓨터(10)와 접속한다. 인터넷망(20)은 유/무선 인터넷망을 포함하며, 사용자 컴퓨터(10)는 유/무선 인터넷망(20)에 접속할 수 있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휴대단말(PDA),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사이트(30)는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종 데이터베이스(32,34,36), 회원관리수단(31), 문제제출수단(33), 및 학습결과 조회수단(35)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관리수단(31)은 사용자로부터 인적사항 등 회원가입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로그인 정보(예: 아이디,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일반적인 인터넷 사이트에서 이루어지는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각 회원정보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관리된다.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34)는 본 발명에 따라 언어 학습에 사용될 언어학습문제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언어'란 영어, 한자, 일본어 등 사람이 사용하는 각종 언어일 수 있다.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되는 각 언어학습문제는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시문제, 제시문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지문문제, 제시문제를 발음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운드 파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시문제와 지문문제는 각종 언어로 이루어진 단어나 숙어, 또는 문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후에 사용자는 제시문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여러개의 지문문제들 중에서 제시문제와 동일한 것을 찾는 학습을 하게 된다. 영어 학습문제의 예를 들자면, 제시문제가 영어단어 'brother'일 경우 지문문제는 'brosher', 'borther', 'brother', 'drother', 'brother' 등 'brother'와 유사한 철자와 외형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자학습문제의 예를 들자면, 제시문제가 '敎'일 경우 지문문제는 '交', '橋', '郊', '敎' 등 '敎'와 유사한 음 또는 외형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제출수단(33)은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용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전송해주며, 사용자가 학습용 웹페이지를 통해 수행한 학습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별 학습결과 정보로서 학습결과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한다. 문제제출수단(33)이 생성하는 학습용 웹페이지의 예는 찾기연습용 웹페이지와 쓰기연습용 웹페이지이며, 찾기연습용 웹페이지와 쓰기연습용 웹페이지는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학습결과 조회수단(35)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학습결과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된 사용자별 학습결과를 다양한 형태로 조회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문제제출수단(33)이 생성하는 찾기연습용 웹페이지는 현재 사용자가 학습할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응하는 제시문제와 지문문제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지문문제 중에서 제시문제와 동일한 것을 찾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며, 사용자의 선택결과를 웹 사이트(30)로 전송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찾기연습용 웹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는 각 영어 학습문제별로 제시문제(예: brother, museum)와 각 제시문제에 대응하는 지문문제(예: "brosher, borther, brother, drother", "musaum, museum, museun, nuseum")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는 각 한자 학습문제별로 제시문제(예: 敎, 國)와 각 제시문제에 대응하는 지문문제(예: "交, 橋, 僑, 敎", "局, 菊, 鞠, 國")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제시문제와 동일한 것을 지문문제들 중에서 찾아 선택하게 된다. 선택은 키보드를 이용하거나 마우스로 해당 지문문제를 클릭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쓰기연습용 웹페이지는 해당 언어학습문제에 대응하는 사운드 파일을 재생하여 각 제시문제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출력되는 음성을 통해 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해준다.
하나의 예로서, 언어가 영어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현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시문제의 발음을 듣고 그 발음에 해당하는 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한글과 영어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서, 언어가 한자인 경우에는 해당 제시문제의 훈과 음을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고, 출력되는 제시문제를 한자로 입력하거나 다시 한글로 입력하여 문제를 풀어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쓰기연습용 웹페이지는 사용자가 입력한 결과를 웹 사이트(30)로 전송해준다.
도 4는 쓰기연습용 웹페이지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현재 스피커를 통해 발음되는 언어학습문제에 스피커 모양을 표시하여 현재 진행중인 문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4a를 참조하여 언어가 영어인 경우를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키보드를 이용하여 현재 발음되는 영어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한글 및 영어로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여 언어가 한자인 경우의 예를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현재 음성으로 출력되는 훈과 음(예: 나라 국)을 들은 후 그 훈과 음을 한글로 입력하고, 그 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한자를 입력하는 것은 영어와 달라서 사용자가 해당 한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도 5a를 참조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발음된 음을 먼저 한글(예: '국')로 입력하면 별도의 창을 통해 해당 음을 갖는 한자를 복수개 출력하고, 사용자가 출력된 복수개의 한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한자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자면,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51)에 연결되어 있는 일정 전자펜 입력수단(52)을 통해 직접 필기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자펜 입력수단(52)이란 사용자가 전자펜(52-1) 을 이용하여 인식용 패널상에 직접 필기하면 그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51)로 전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러면, 쓰기연습용 웹페이지는 전자펜 입력수단(52)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입력한 한자로서 처리한다.
또한, 쓰기연습용 웹페이지는 사용자가 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도시한 예와 같이 현재 음성으로 출력되는 제시문제와 관련한 정답을 여러개의 지문문제들 중에서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a를 참조하자면, 현재 제시문제로서 'brother'가 발음되면 사용자는 해당 영어단어와 그 뜻을 선택하게 된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자면 현재 제시문제로서 해당 한자의 훈과 음인 '나라 국'이 음성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해당 한자를 선택하게 된다.
도 3, 도 4, 도 6에 도시한 웹페이지의 예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시한 것일 뿐이며, 그 기능과 형태 및 디자인 등은 효과적인 서비스를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웹 사이트는 사용자로부터 인적사항 등 회원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한다(S7-1). 그리고, 정상적인 아이디로 로그인한 사용자에게 언어학습과 관련한 일반 정보의 제공이나 게시판 등 인터넷 사이트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언어 학습 서비스를 요청받는다(S7-2). 사용자가 언어 학습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은 웹 사이트의 홈페이지상에 나타나 있는 학습진행용 아이콘이나 링크를 클릭하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언어학습 요청에 따라 웹 사이트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언어학습문제를 추출하는데, 각 언어학습문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시문제와 복수개의 지문문제를 포함한다(S7-3)
그리고, 웹 사이트는 찾기연습용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해준다(S7-4,S7-5). 찾기연습용 웹페이지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학습할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응하는 제시문제와 지문문제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지문문제들 중에서 제시문제와 동일한 것을 찾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며, 사용자의 선택결과를 웹 사이트로 전송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각 제시문제와 동일하다고 생각되는 지문문제를 클릭하거나, 그 앞에 표시된 체크박스에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각 언어학습문제를 풀게 된다(S7-6). 하나의 찾기연습용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언어학습문제의 수는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찾기연습용 웹페이지는 해당 문제에 관한 정답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문제를 푼 결과와 정답을 웹 사이트에 조회하지 않고도 직접 화면상에 표시해 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문제를 푼 결과는 웹 사이트에 전송되어 관리된다(S7-7).
한편, 웹 사이트는 찾기연습용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하여 찾기 방식으로 학습하도록 한 후, 쓰기연습을 통한 학습을 진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은 특정 결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찾기연습용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된 문제를 맞춘 결과에 관계없이 바로 쓰기 연습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일정 점수 이상 얻었을 때만 쓰기 연습을 진행하거나, 사용자가 맞춘 문제에 관해서만 쓰기 연습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쓰기 연습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웹 사이트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찾기연습용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한 쓰기연습용 웹페이지를 생성한다(S7-8).
생성된 쓰기연습용 웹페이지는 사용자에게 전송되고(S7-9), 사용자는 쓰기연습용 웹페이지에서 순서대로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시문제를 듣고 문제를 푼다(S7-10). 이 때, 단계 S7-1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언어가 영어인 경우의 예를 들자면 음성으로 발음되는 제시문제를 한글과 영어로 텍스트 입력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도 4에 도시한 예의 쓰기연습용 웹페이지에 대해 사용자가 올바르게 문제를 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입력될 것이다.
1. ( 형 ) ( brother )
2. ( 박물관 ) ( museum )
또한, 언어가 한자인 경우의 예를 들자면 음성으로 출력되는 훈과 음에 따라 한글과 한자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도 4에 도시한 예의 쓰기연습용 웹페이지에 대해 사용자가 올바르게 문제를 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입력될 것이다.
1. ( 가르칠 교 ) ( 敎 )
2. ( 나라 국 ) ( 國 )
이 때, 전자펜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필기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필기된 모양이 보일 것이다. 사용자가 직접 필기하여 입력한 한자는 일정 한자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에 대응하는 한자로 인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계 S7-10은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복수개의 지문문제들 중에서 현재 발음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7-10에서 사용자가 쓰기연습용 웹페이지를 통해 수행한 학습결과는 웹 사이트에 전송되어 저장/관리되며(S7-11), 웹 사이트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학습결과를 일정 형식의 웹페이지를 통해 조회해준다(S7-12).
위에서 설명한 각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영어나 한자와 같이 각종 언어로 이루어지는 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일정 시간 내에 찾는 학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익숙해진 후, 익숙해진 단어, 숙어 또는 문장의 발음을 들으면서 해당 언어를 써보는 학습을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한 제시문제에 익숙해졌을 뿐만 아니라 발음과 의미까지 파악하였으므로 다시 한번 같은 제시문제를 찾는 학습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면, 처음보다 시간이 더욱 크게 단축될 수 있다. 이렇게 시간이 단축 된다는 것은 단어 하나 하나를 그림처럼 생생하게 암기할 수 있을 정도로 두뇌의 활동을 최대한 활성화시켜 독해를 위한 기본 능력을 탄탄하게 갖추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를 위하여, 웹 사이트(30)는 쓰기연습용 웹페이지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진 후에는 동일 언어학습문제에 대하여 다시 한번 찾기연습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서, 단계 S7-3에서 언어학습문제를 추출하는 방식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언어학습문제를 추출하는 것은 문제제출수단(33)에 구비되는 추출용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을 통해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추출방식은 웹 사이트(30)에서 스스로 결정하거나,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추출방식을 직접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추출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자면, 학습을 1회 실시할 때마다 언어학습문제의 수를 늘리되, 다음 회의 문제에는 이전 회의 언어학습문제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로서, 처음에는 10개의 단어를 학습하도록 하고, 두번째는 처음 10개의 단어를 포함하여 20개의 단어를 학습도록 하며, 세번째는 먼저 한 20개의 단어를 포함하여 30개의 단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제시문제의 발음을 듣기 전에 이전에 학습한 내용을 먼저 써보도록 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추출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자면, 일정 개수(예: 50개)까지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학습 단어의 수를 늘리고, 그 이후부터는 순서대로 일정 개수(예: 10개)의 문제를 빼고 새로운 문제로 대체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50개의 단어 중 첫 번째 제시하였던 10개의 단어는 빼고 새로운 단어 10개를 추가하여 50개를 학습한다. 그리고, 다음 회에는 그 50개의 단어 중 두번째 제시하였던 10개는 빼고 새로운 단어 10개를 추가하여 다시 50개를 학습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단어들을 5회씩 듣고 쓰게 되면, 3회, 4회, 5회로 반복할수록 사전에 학습한 단어들에 대한 쓰기는 더욱 빨라지며 새로운 단어에 대한 잠재적인 이해 능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는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사용자에게 상기 각 과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언어학습문제가 제공된다면 사용자 컴퓨터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자면, 언어학습문제와 본 발명에 따라 언어학습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망(20)을 통해 웹 사이트(30)에서 다운로드받거나, CD-ROM 등의 디지털 데이터 저장매체(40)에 수록되어 배포될 수 있다. 실행 프로그램이나 언어학습문제는 업데이트되어 반복 배포될 수도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배포되거나 다운로드받은 파일을 사용자 컴퓨터(10)에 설치하게 되며, 설치 후에는 언어학습문제를 저장한 언어학습문제 파일(10-1), 본 발명에 따라 각 언어학습 과정을 실행하는 실행 프로그램(10-2), 및 학습결과를 저장하는 학습결과 저장파일(10-3)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언어학습문제 파일(10-1)은 단어, 숙어 또는 문장으로 구성된 제시문제, 제시문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복수개의 지문문제, 제시문제를 발음하는 사운드 파일, 제시문제에 관한 한글 텍스트, 정답에 관한 필드 등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로 이루어지는 언어학습문제를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는 구성요소이다.
도 9를 참조하여 각 사용자 컴퓨터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배포된 파일을 사용자 컴퓨터(10)에 설치한 후 실행 프로그램(10-2)을 실행시켜 언어학습을 시작한다(S91). 그러면 실행 프로그램(10-2)은 언어학습문제 파일(10-1)로부터 학습을 실행할 하나 이상의 언어학습문제를 추출한다(S92).
그리고, 실행 프로그램(10-2)은 찾기연습을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S93). 찾기연습 과정은 추출된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하여 해당 지문문제들 중에서 해당 제시문제와 동일한 것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각 언어학습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과정이다. 예로서,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화면에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한 제시문제와 지문문제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제시문제와 동일한 것을 지문문제들 중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후에는 즉시 정답 여부를 표시해 줄 수도 있고, 모든 문제를 풀어 본 후에 정답을 표시해 줄 수도 있다.
단계 S93을 통해 모든 언어학습문제에 대해 찾기 연습이 진행된 후, 실행 프로그램(10-2)은 쓰기 연습 과정을 수행한다(S94). 쓰기 연습 과정은 추출된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하여 해당 사운드 파일을 재생하고, 사용자가 재생되는 제시문제를 들은 후 위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제시문제와 관련된 사항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각 언어학습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과정이다.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예와 같이 사용자의 컴퓨터 화면에 각 언어학습문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와 현재 발음되는 것이 어떤 제시문제에 관한 것인지를 스피커 모양 등으로 표시해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한글입력란, 영어입력란, 한자입력란 등에 현재 발음되는 단어, 숙어, 혹은 문장을 직접 문자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후에는 즉시 정답인지 여부를 표시해 줄 수도 있고, 모든 문제를 풀어 본 후에 정답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S94에서의 쓰기 연습은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현재 재생되는 사운드 파일에 관한 해당 언어학습문제의 지문문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중에서 현재 발음과 동일한 것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실행 프로그램(10-2)은 사용자가 각 언어학습문제를 풀어 본 결과를 학습결과 저장파일(10-3)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조회해준다(S95). 사용자가 학습문제를 풀어 본 결과에 관한 정보는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예로서,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한 시간, 총 점수, 맞거나 틀린 문제, 유형별 통계, 취약점 분석 등 효과적인 사후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단계 S94에서 쓰기 연습이 진행된 후에는 단계 S93으로 되돌아가서 동일 언어학습문제에 대한 찾기연습 과정을 다시 한번 진행하도록 하면 사용자는 해당 언어학습문제에 더욱 익숙하게 되어 학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도 그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특히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컴퓨터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는 웹사이트에서 이루어지는 실시예와 그 주체만이 다를 뿐 절차상 매우 유사하다. 그러므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과정은 그 성질에 반하지 않는 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1. 각종 언어로 이루어진 단어, 숙어 또는 문장과 일부분의 배열이 다르거나 철자가 비슷한 여러 개의 보기 중에서 같은 것을 찾아 내는 학습을 통해 정확하게 해당 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인식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귀로 들리는 타 언어를 한글로 쓰고 한글을 타 언어로 쓰는 과정을 통해 그 발음과 의미를 알고 난 후 반복 학습을 하면 단어나 숙어 또는 문장의 구분 능력이 더욱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철자 하나 하나씩 암기할 수 있게 된다.
2. 특히 영어의 경우에는 이렇게 독해를 위한 기본자질이 갖추어진 후 영어동화를 통한 독해(읽기) 교육을 바로 시작하면, 독해 실력이 신속히 향상될 수 있고, 독해에서 자신감을 가진 이후에는 회화(말하기), 듣기, 쓰기 등의 영어학습에서도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므로, 시간이나 공간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영어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어나 한자 등 언어 그 자체를 학습하는 것도 의의가 있지만 해당 언어를 접하면서 독해를 잘하는 방법을 본능적으로 익혀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독해를 잘한다는 것은 언어의 원리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깨닫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의 선행 훈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문장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는 집중력과 본능적인 감각을 익힐 수 있다. 이러한 선행훈련은 일반적으로 독해를 할 때 독해자의 임의대로 단어를 해석하는 경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고, 단어에 대한 정확한 개념 이해와 표준화된 상상력과 창의력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독해에 대한 능력을 배가시켜 주게 된다.
단계별로 보면, 찾기 연습을 통해 동일한 단어를 숨은그림찾기 하듯 하는 훈련은 읽기에 대한 집중력과 정확성을 본능적으로 길러준다. 그러나, 찾기 연습 단계만으로는 발음과 뜻을 모르고 단어로 숨은 그림 찾기 퍼즐을 한다고 밖에 이야기 할 수 없으므로 앞서 언급한 독해에 대한 집중력과 정확성을 본능적으로 길러 주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쓰기 연습이 필요하며, 쓰기 연습을 진행한 후에 다시 한번 찾기 연습을 진행하면 더욱 효과적이 된다. 즉, 예를 드는 단어의 발음과 뜻을 알고 쓰면서 반복학습을 한다면 단어를 사진 찍듯이 저장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찰나적으로 읽기와 뜻의 이해가 동시에 병행하게 된다. 듣는 훈련에서도 같은 방법을 통해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시스템의 개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관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찾기연습용 웹페이지의 개요,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쓰기연습용 웹페이지의 개요,
도 5는 한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쓰기연습용 웹페이지의 또 다른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
도 8은 사용자 컴퓨터에서의 독립적 실시에 관한 개요,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용자 컴퓨터 20: 인터넷망
30: 웹 사이트 31: 회원관리수단
32: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33: 문제제출수단
34: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35: 학습결과 조회수단
36: 학습결과 데이터베이스 10-1: 언어학습문제 파일
10-2: 실행 프로그램 10-3: 학습결과 저장파일

Claims (21)

  1. 인터넷망을 통해 각 사용자 컴퓨터와 연결되는 웹 사이트에서 수행되어 사용자들에게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언어 학습 서비스를 요청받는 제1단계;
    일정 언어로 이루어진 단어, 숙어 또는 문장으로 구성된 제시문제 및 상기 제시문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복수개의 지문문제로 구성되는 언어학습문제를 하나 이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가 지문문제들중에서 해당 제시문제와 동일한 것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상기 추출된 각 언어학습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제3단계;
    상기 사용자의 문제풀이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된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한 제시문제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력되는 음성을 통해 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제4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를 통해 수행한 학습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조회해주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는 영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해당 제시문제를 영어로 발음하는 것이고, 상기 발음되는 제시문제를 영어로 입력하거나 그 뜻을 한글로 입력하여 문제를 풀어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는 한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해당 제시문제의 훈과 음을 발음하는 것이고, 상기 발음되는 제시문제를 한자로 입력하거나 다시 한글로 입력하여 문제를 풀어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한자를 입력할 때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음된 음을 먼저 한글로 입력하면 해당 음을 갖는 한자를 복수개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출력된 복수개의 한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한자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일정 전자펜 입력수단을 통해 직접 필기하여 입력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한자로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음성으로 출력되는 제시문제에 대한 복수개의 지문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해당 제시문제에 대응하는 지문문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가 진행된 후 해당 언어학습문제에 대하여 상기 제3단계를 다시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언어학습문제를 추출하는 추출방식을 복수개 구비하고, 사용자가 추출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11. 사용자 컴퓨터에서 수행되어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언어 학습의 실행을 지시받는 제11-1단계;
    일정 언어로 이루어진 단어, 숙어 또는 문장으로 구성된 제시문제, 및 상기 제시문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복수개의 지문문제를 갖는 복수개의 언어학습문제 중에서 출제용 언어학습문제를 추출하는 제11-2단계;
    상기 사용자가 지문문제들중에서 해당 제시문제와 동일한 것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상기 추출된 각 언어학습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제11-3단계;
    상기 사용자의 문제풀이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된 각 언어학습문제에 대한 제시문제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력되는 음성을 통해 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제11-4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1-3단계와 제11-4단계를 통해 수행한 학습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조회해주는 제11-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는 영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4단계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해당 제시문제를 영어로 발음하는 것이고, 상기 발음되는 제시문제를 영어로 입력하거나 그 뜻을 한글로 입력하여 문제를 풀어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는 한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4단계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해당 제시문제의 훈과 음을 발음하는 것이고, 상기 발음되는 제시문제를 한자로 입력하거나 다시 한글로 입력하여 문제를 풀어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한자를 입력할 때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음된 음을 먼저 한글로 입력하면 해당 음을 갖는 한자를 복수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력된 복수개의 한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한자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4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일정 전자펜 입력수단을 통해 직접 필기하여 입력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한자로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4단계는 상기 음성으로 출력되는 제시문제에 대한 복수개의 지문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해당 제시문제에 대응하는 지문문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19. 제 1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4단계가 진행된 후 해당 언어학습문제에 대하여 상기 제11-3단계를 다시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2단계에서 언어학습문제를 추출하는 추출방식을 복수개 구비하고, 사용자가 추출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21. 상기 제 1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99999A 2004-02-26 2004-12-01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KR200500877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221 2004-02-26
KR20040013221 2004-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720A true KR20050087720A (ko) 2005-08-31

Family

ID=3727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999A KR20050087720A (ko) 2004-02-26 2004-12-01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77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52B1 (ko) * 2006-08-10 2007-12-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어 어휘 학습을 위한 자동 문제 생성 방법
KR101251119B1 (ko) * 2011-06-24 2013-04-09 한국과학기술원 문제의 개념 구조 모델링을 통한 학습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52B1 (ko) * 2006-08-10 2007-12-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어 어휘 학습을 위한 자동 문제 생성 방법
KR101251119B1 (ko) * 2011-06-24 2013-04-09 한국과학기술원 문제의 개념 구조 모델링을 통한 학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reet Literacy in theory and practice
Chien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ree Online Vocabulary Flashcard Websites on L2 Learners' Level of Lexical Knowledge.
Saengpakdeejit Awarenes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mong EFL Students in Khon Kaen University.
Bashori et al. ‘Look, I can speak correctly’: learning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through websites equipped with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US20210005097A1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TWI598855B (zh) 線上教學暨行動學習系統
Nahar et al. “Bangla Braille learning application” in smartphone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Bangladesh
Raja et al.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perceptions of EFL preservice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Indonesia
KR20160008273A (ko)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서버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Alnafjan et al. Designing “Najeeb”: Technology-enhanced learning for children with impaired hearing using Arabic sign-language ArSL Applications
Abd Majid et al. Children and teacher’s interaction for English pre-literacy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Settar Abid A study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vocabulary size of Iraqi EFL learners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Muzdalifah et al. Improving English speaking competence by using Google Translate in campus environment
Hussain An evaluation of ELT situ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Punjab, Pakistan
KR20050087720A (ko)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Moroz App assisted language learning: How students perceive Japanese smartphone apps
KR20180130743A (ko)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Burns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multilingual classrooms
Bao Special Vocabulary Learning Difficulties for EFL Students with Chinese Backgrounds
Artem Using of Mobile Technologies i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TraditionsDevelopment and Search of New Methodical Technologies
Marciano et al. Japanese CALL web tools: identifying and evaluating their multimedia behaviour in android OS
Vy SOME ISSUES OF ENGLISH EDUCATION FOR PUPIL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IDENT HO CHI MINH's VIEW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 FOR THE YOUNG GENERATION
ALHARBI et al. Developing an AI-based spelling system for kids.
Hasnali et al. Investigat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mong Iranian EFL learners of Vali-e-asr university of Rafsanj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