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304A -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304A
KR20050083304A KR1020040011785A KR20040011785A KR20050083304A KR 20050083304 A KR20050083304 A KR 20050083304A KR 1020040011785 A KR1020040011785 A KR 1020040011785A KR 20040011785 A KR20040011785 A KR 20040011785A KR 20050083304 A KR20050083304 A KR 20050083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foot
central axis
channel
wiring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조
Original Assignee
김봉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조 filed Critical 김봉조
Priority to KR102004001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3304A/ko
Publication of KR2005008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3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관로에 삽입되어 그 내부를 하나 이상의 채널로 구분하기 위한 채널 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선용 관로의 중심축과 동축(coaxially) 연장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배선용 관로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형 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배선용 관로 내부에 하나 이상의 분기 채널을 형성하여, 배선 관로 내부에 케이블을 매설 또는 추가 교체하는 경우 케이블 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APPARATUS FOR FORMING CHANNELS IN PIPE FOR DISTRIBUTING WIRES}
본 발명은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관로를 여러 개의 채널로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각종 전기 장비를 상호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 각종 통신선로에 구비되는 통신 케이블 등을 벽면, 천정 또는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여러 개의 케이블을 하나의 배선용 관로에 삽입하여 케이블의 피복을 보호함과 동시에 정돈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선용 관로는 강관 또는 플라스틱 관으로 형성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의 내부 또는 지하에 매설되어 사용되는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배선용 관로 또는 통신용 관로는 그 작업이 완료된 후에도 관로에 매설된 케이블 중 일부가 결선되는 결함이 발생한 경우, 지속적인 유지 보수가 요구되며, 따라서 관로 내부의 결선 케이블을 새로운 케이블로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선 공사가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수행되는 경우, 예컨대 전기 공사와 통신 공사가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수행되는 경우, 관로 내부에 기 삽입된 케이블 사이로 다른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삽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의 교체 또는 케이블의 추가 작업 과정에서, 배선용 관로의 내부에 기 설치된 케이블 사이로 케이블을 추가 삽입하면, 케이블 간의 간섭에 의해 피복이 벗겨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안전사고 및 통신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케이블이 추가되는 경우 배선용 선로를 추가적으로 매설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공사의 공기를 지연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나아가,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에 배선용 관로가 매설된 경우에는 배선용 관로를 추가하거나 교체할 때마다 콘크리트를 파괴한 후 추가 배선용 관로를 매립하고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는 등 과도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선용 관로 내부에 하나 이상의 분기 채널을 형성하여, 배선 관로 내부에 케이블을 추가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케이블 간 간섭을 방지하고,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 피복이 벗겨지는 경우 케이블 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안전 사고 및 통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상호 격리시킬 수 있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선용 관로에 삽입되어 그 내부를 하나 이상의 채널로 구분하기 위한 채널 분기 장치로서, 상기 배선용 관로의 중심축과 동축(coaxially) 연장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배선용 관로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형 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방사형 분기의 종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선용 관로의 내주면과 접하여 소정의 마찰력을 생성하는 다릿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을 둘러싸는 상기 방사형 분기 및 상기 본체부에는 "△"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릿발은 "凸", "∇", "∨" 의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거나, 그 단면의 종단이 상기 분기의 연장선에 대해 설정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는, 상기 다릿발은 "∨"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릿발 사이에 "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릿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는 그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채널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방사형 분기는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등각도(等角度)의 간격으로 방사되며, 예컨대, 상기 설정된 등각도는 180°, 120°, 90°,60°, 45°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다릿발은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배선용 관로의 내주면에 고정 지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제1 실시예
도 1(a)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가 배선용 관로에 삽입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b)에는 도 1(a)의 A-A'에서 바라본 채널 분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기 장치(120)는 원형의 배선용 관로(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그 내부 공간을 세 개의 채널(130)로 구분되며, 각가의 채널(130)을 통해 전기, 통신, 제어 케이블(미도시) 등이 개별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배선용 관로의 내부에 기 삽입된 케이블 사이로 채널 분기 장치를 삽입하여 케이블을 각각의 채널에 격리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분기 장치(120)를 상세히 살펴보면, 채널 분기 장치(120)는 크게 본체부(121), 분기(122a,122b), 및 다릿발(123)로 구분된다.
채널 분기 장치(120)의 본체부(121)는 채널 분기 장치(120)가 배선용 관로(110)로 삽입될 때, 배선용 관로(110)의 중심축을 따라 동축(coaxially)으로 연장된다.
한편, 분기(122a,122b)는 상기 본체부(121)로부터 등각도(等角度)인 90°의 간격으로 방사되어, 배선용 관로(11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배선용 관로(110)의 내부 공간이 4개의 공간으로 나뉘어져 구분된 채널(130)을 형성한다.
배선용 관로(110)의 내부 공간이 채널(130)로 구분되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케이블이 상호 간섭 없이 배선용 관로(110)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용 관로(110)에 케이블을 추가 삽입하거나, 기존의 케이블을 제거한 후 새로운 케이블로 교체하는 경우 케이블의 손상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체부(121)로부터 방사되는 분기(122a,122b) 중 하나 이상의 분기(122a)의 종단에는 다릿발(123)이 형성된다. 다릿발(123)은 채널 분기 장치(120)를 배선용 관로(110)의 내주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다릿발(123)은 채널 분기 장치(120)를 배선용 관로(110)에지지 고정할 수 있는 최소의 개수로 형성되며, 제1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분기(122a,122b) 중 두 개의 분기(122a)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다릿발(123)은 그 단면이 "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121) 중심축으로부터 다릿발(123)의 외측 종단까지 거리가 본체부(121) 중심축으로부터 배선용 관로(110)의 내주면까지 거리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릿발(123)은 설정된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채널 분기 장치(120)가 배선용 관로(110)로 삽입될 때 다릿발(123)의 종단의 형상이 변화하여 배선용 관로(110)의 내주면에 소정의 마찰력을 갖고 고정 지지된다.
나머지 두 개의 분기(122b)는 종단이 원형의 단면을 갖되, 그 길이를 중심축으로부터 배선용 관로(110)의 내주면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하여 배선용 관로(110)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매설된 배선용 관로(11)의 경로가 심한 굴곡을 가진 경우에는 채널 분기 장치(120)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본체부(121) 중심축으로부터 다릿발(123)의 외측 종단까지 거리가 본체부(121) 중심축으로부터 배선용 관로(110)의 내주면까지 거리와 같거나 약간 작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배선용 관로(110)의 굴곡을 따라 채널 분기 장치(120)가 휘어져 다릿발(123)이 배선용 관로(110)의 내주면에 탄성 지지된다.
한편, 각각의 채널(130)을 둘러싸고 있는 본체부(121)와 분기(122a,122b) 상에는 "△" 형상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24)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채널(130)로 삽입되는 케이블(미도시)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본체부(121) 및 분기(122a,122b)와 면 접촉을 형성하지 않고, 돌기부(124)의 첨단(尖端)과 선접촉을 형성한다.
본체부(121) 및 분기(122a,122b)에 형성된 돌기부(123)와 케이블 사이의 선 접촉은 케이블 삽입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케이블을 추가 삽입하거나, 케이블이 기 삽입된 배선용 관로에 분기 채널을 삽입하는 경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체부(121)의 중앙에는 중심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채널(125)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 채널(125)의 형성 여부는 그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본체부(121), 분기(122a,122b), 다릿발(123) 및 돌기(124)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체부(121), 분기(122a,122b) 및 돌기(124)를 형성한 후,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다릿발(123)을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부(121), 분기(122a,122b) 및 돌기(124)과 다릿발(123)을 별개로 형성하는 경우, 2-성분 인젝션 몰딩(2-component injection molding)의 방법을 통하여 채널 분기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2. 제 2 실시예
도 2(a)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가 배선용 관로에 삽입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도 2(a)의 B-B'에서 바라본 채널 분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그 분기(222)의 개수가 4개 증가된 8개로 형성되어 본체부(221)로부터 방사된다.
따라서, 분기(222)는 상기 본체부(221)로부터 등각도(等角度)인 45°의 간격으로 방사되어, 배선용 관로(11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배선용 관로(210)의 내부 공간이 8개의 공간으로 나뉘어져 구분된 채널을 형성한다.
3. 제 3 실시예
도 3(a)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가 배선용 관로에 삽입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도 3(a)의 C-C'에서 바라본 채널 분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그 분기(322)의 개수가 1개 감소된 3개로 형성되어, 본체부(321)로부터 방사된다.
따라서, 분기(322)는 상기 본체부(321)로부터 등각도(等角度)인 120°의 간격으로 방사되며, 배선용 관로(31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배선용 관로(310)의 내부 공간이 2개의 공간으로 나뉘어져 구분된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분기 사이의 각도는 케이블의 직경을 고려한 채널의 요구 크기 및 필요한 채널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더 이상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 다릿발의 형상
도 4 내지 도 7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도시된 채널 분기 장치의 다릿발에 대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다릿발(423)은 그 종단의 형상이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선용 관로(410)의 내주면과 면 접촉을 통한 강한 마찰력을 유발하여 채널 분기 장치(420)가 배선용 관로(410)의 내주면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형상의 다릿발(423)은 배선용 관로(420)의 길이가 짧아 채널 분기 장치(4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반면, 배선용 관로(420)의 내주면에 확실히 고정될 필요가 있는 부분에 채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다릿발(523)은 그 종단이 분기(522)로부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채널 분기 장치(520)가 삽입되면, 다릿발(523)의 각도가 변화하고 이러한 다릿발(523)의 각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배선용 관로(510)의 내주면에 채널 분기 장치(520)가 선 접촉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다릿발(623)은 그 종단이 "∨"의 형상으로 재 분기되어 형성되며, 본체부(621) 중심축으로부터 다릿발(623)의 외측 종단까지 거리가 본체부(621) 중심축으로부터 배선용 관로(610)의 내주면까지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채널 분기 장치(620)가 배선용 관로(610)에 삽입되는 경우, 다릿발(623)은 그 사이각이 벌어지면서 배선용 관로(610)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 형상을 가진 다릿발(623)의 사이각이 좁혀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채널 분기 장치(620)는 배선용 관로(610)의 내주면에 효과적으로 고정된다.
나아가, 다릿발(623)의 종단이 배선용 관로(610)의 내주면을 따라 구부러짐에 따라 각각의 채널(630) 형상이 원형에 근접하도록 변형되며, 각각의 채널을 통해 삽입되는 원형 케이블이 배선용 관로(610)의 내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다릿발(723)은 "∨" 형상의 다릿발(723a) 사이에 추가적으로 "凸" 형상의 다릿발(723b)이 추가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채널 분기 장치(720)가 배선용 관로(710)에 삽입되는 경우, 다릿발(723) 중 "∨" 형상의 다릿발(723a)은 그 사이각이 벌어지면서 배선용 관로(710)의 내주면에 지지되고, "凸" 형상의 다릿발(723b)은 배선용 관로(710)의 내주면에 소정의 마찰력을 갖고 고정 지지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배선용 관로 내부에 하나 이상의 분기 채널을 형성하여, 배선 관로 내부에 케이블을 추가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케이블 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배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배선용 관로에 함께 삽입된 케이블의 접촉을 방지하여, 케이블의 피복이 탈락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에 의하면, 케이블과 채널 분기 장치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배선용 관로에 설치된 채널 분기 장치 사이로 케이블을 삽입하거나, 배선용 관로의 기삽입된 케이블 사이로 채널 분기 장치를 삽입하는 경우 그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에 의하면, 분기부의 종단에 여러 가지 형상의 다릿발을 더 포함하여 배선용 관로의 내부에 채널 분기 장치를 요구되는 적절한 마찰력을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기 장치가 배선용 관로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기 장치가 배선용 관로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기 장치가 배선용 관로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기 장치의 다릿발의 형상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기 장치의 다릿발의 형상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기 장치의 다릿발의 형상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기 장치의 다릿발의 형상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Claims (14)

  1. 배선용 관로에 삽입되어 그 내부를 하나 이상의 채널로 구분하기 위한 채널 분기 장치로서,
    상기 배선용 관로의 중심축과 동축(coaxially) 연장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배선용 관로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형 분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사형 분기의 종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선용 관로의 내주면과 접하여 소정의 마찰력을 생성하는 다릿발을 더 포함하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둘러싸는 상기 방사형 분기 및 상기 본체부에는 "△"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지지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분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릿발은 "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분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릿발은 "▽"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분기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릿발은 그 종단이 상기 분기에 대해 설정된 경사각을 갖도록 연장되며,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분기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릿발은 "∨"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릿발은 "∨" 형상의 단면의 다릿발 사이에 "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는 그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채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는 그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채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사형 분기는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등각도(等角度)의 간격으로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등각도는 180°, 120°, 90°,60°, 45°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13.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기 분기, 및 상기 다릿발은 설정된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릿발은 설정된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KR1020040011785A 2004-02-23 2004-02-23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KR20050083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785A KR20050083304A (ko) 2004-02-23 2004-02-23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785A KR20050083304A (ko) 2004-02-23 2004-02-23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659U Division KR200349674Y1 (ko) 2004-02-23 2004-02-23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304A true KR20050083304A (ko) 2005-08-26

Family

ID=3726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785A KR20050083304A (ko) 2004-02-23 2004-02-23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33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865B1 (ko) * 2007-04-02 2007-07-20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지중매설용 전선관
KR102000605B1 (ko) * 2019-01-25 2019-07-16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배관 배선 장치
CN116505455A (zh) * 2023-06-26 2023-07-28 杭州旦电科技有限公司 一种线缆管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865B1 (ko) * 2007-04-02 2007-07-20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지중매설용 전선관
KR102000605B1 (ko) * 2019-01-25 2019-07-16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배관 배선 장치
CN116505455A (zh) * 2023-06-26 2023-07-28 杭州旦电科技有限公司 一种线缆管道
CN116505455B (zh) * 2023-06-26 2023-10-13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岱山县供电公司 一种线缆管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9739B2 (en) Elbow connection for multiple-wire electric cable
WO2001095004A3 (en) Hybrid data communications cable
US6259843B1 (en) Optical cable, a method of laying an optical cable, and a data transfer system using the optical cable
BG106245A (en) Multiple channel duct assembly for cables
ES2178402T3 (es) Cable de energia y control flexible para ambientes con un nivel sonoroelevado.
WO1993014547A1 (en) Splice case
KR20050083304A (ko)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AU2008267738A1 (en) Cable duct and branch
KR200349674Y1 (ko)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CN101681699A (zh) 带有用于光缆的管的电缆
DE50114304D1 (de) Flexible elektrische Leitung
KR100449407B1 (ko) 핸드홀또는맨홀및그접속관체와블록체
KR200357504Y1 (ko) 배선용 관로의 채널 분기 장치
JPH0618089B2 (ja) ケ−ブル線路
KR101937815B1 (ko) 지중케이블 수납관로 연결구조체
KR200177777Y1 (ko) 케이블용 관 장치
KR200300733Y1 (ko) 케이블 보호관
JP2007110793A (ja) 分岐継手
KR102053210B1 (ko) 다중 케이블 연결 클램프
CN101142726B (zh) 导管
KR20020006394A (ko) 전선, 통신선용 케이블 덕트관
KR100987930B1 (ko) 통신선 보호구가 마련된 지중매설용 하수관
RU2208855C2 (ru) Опорный штыревой изолятор
JP2004362888A (ja) 配線ケーブル
JP4234571B2 (ja) 管路分割具及び管路分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