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394A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394A
KR20050082394A KR1020040010841A KR20040010841A KR20050082394A KR 20050082394 A KR20050082394 A KR 20050082394A KR 1020040010841 A KR1020040010841 A KR 1020040010841A KR 20040010841 A KR20040010841 A KR 20040010841A KR 20050082394 A KR20050082394 A KR 2005008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ighting device
air purification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관
Original Assignee
송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관 filed Critical 송영관
Priority to KR102004001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2394A/ko
Publication of KR2005008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3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2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광을 발하는 전극구조체를 구비하는 튜브체; 상기 튜브체의 양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한곳에서는 음이온이 발생되는 제1 및 제2 베이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광발산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음이온을 방출시키므로 발광과 동시에 실내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 하나에 광발산 기능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동시에 구비토록 하므로써, 별도의 공기청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설치공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방전극을 은이온이 방출되도록 은소재로 구성하므로써, 방출된 은이온의 살균, 전자파 차단, 항균 기능을 함께 활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Air purifying lamp apparatus}
본 발명은 형광 램프 타잎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이온을 발생시키므로써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 램프는 스타터, 안정기와 같은 구성을 같는 조명기구에 연결하여 실내를 조명하는데 사용된다.
형광 램프는, 저압의 수은 증기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을 유리관의 내벽에 도포된 각종 형광체에 조사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광원이며, 상기 형광체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의 색상을 나타낸다.
형광 램프의 유리관 내에는 대체로 필라멘트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에 의해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하는 소량의 수은 및 아르곤이 봉입된다.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는 일반적으로 2중 또는 3중 코일 필라멘트이며, 필라멘트에는 고온에서 전자를 방출하도록 금속 산화물이 도포된다.
전술한 형광 램프에 있어서, 필라멘트에 전류가 흐르면 소정의 시간이 흐른후 필라멘트가 가열되고 금속 산화물로부터 열 전자들이 방출된다.
이 경우, 열 전자들을 방출하기 위해서는 필라멘트를 약 2,000℃ 가까운 고온으로 가열해야 한다.
이러한 열 전자들은 형광 램프내의 전계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유리관 내의 수은이나 아르곤의 기체 원자에 충돌하여 이들 원자를 여기시켜서 발광을 하거나, 전리시키면서 방전을 지속한다.
저압 수은 증기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은 유리관 내벽에 코팅된 형광체를 자극하여 파장이 긴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가시 광선을 방출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형광 램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형광 램프는 Feng Ji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6,400,097호등 다수의 문헌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형광 램프는, 투광성 유리관(4), 상기 투광성 유리관(4)의 양측 내부에 설치된 제1, 제2 전극 구조체(2, 8), 상기 투광성 유리관(4)내에 봉입되는 수은(Hg), 아르곤(Ar) 및 크립톤(Kr)을 포함하는 방전 가스(7), 상기 투광성 유리관(4)의 양측 단부에 장착된 제1, 제2 베이스(1, 9), 상기 투광성 유리관(4)의 내벽에 도포된 자외선 반사층(5), 그리고 상기 자외선 반사층(5)상에 형성된 형광체(6)를 구비한다.
상기 형광 램프는, 투광성 유리관(4)내에 봉입되는 수은(Hg), 아르곤(Ar) 및 크립톤(Kr)을 포함하는 방전 가스(7)가 낮은 전압에서 구동하면서도 비교적 높은 방전 효율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의 형광 램프는, 스타터와 안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기구에 연결되어 실내를 조명하는데 사용될 뿐, 실내조명 기능이외의 별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는 없다.
따라서, 주변의 공기가 공해등의 요인에 의하여 오염되어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환경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은 오염된 공기를 들이마시므로써 호흡기 질환등에 고통을 당할수 밖에 없다.
그러므르,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기정화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서는 추가적인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될뿐 만 아니라, 공기정화장치를 위한 추가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광발산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음이온을 방출시키므로 발광과 동시에 실내공기가 정화되도록 작동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조명장치 하나에 광발산 기능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동시에 구비토록 하므로써, 별도의 공기청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설치공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광을 발하는 전극구조체를 구비하는 튜브체; 상기 튜브체의 양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한 곳에서는 음이온이 발생되는 제1 및 제2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광발산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음이온을 방출시키므로, 발광과 동시에 실내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 하나에 광발산 기능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동시에 구비토록 하므로써, 별도의 공기청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방전극을 은이온이 방출되도록 은소재로 구성하므로써, 방출된 은이온의 살균, 전자파 차단, 항균 기능을 함께 활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제1 리드(11); 제1 베이스(12); 튜브체(14); 제2 베이스(15); 제2 리드(16)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제1 베이스(12)에서는 음이온은 방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리드(11, 16)는, 조명기구 본체에 연결되어 본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제1 베이스(12)는, 바깥 둘레에 흡배기홀(13)을 구비하여서, 내부에 구비된 음이온 발생기로부터 생성되는 음이온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체(14)는 양단 내부에 전극구조체를 구비하는데, 이는 내부에 형광체가 도포되고 방전가스로 충전되어서 가시광을 발하는 형광 튜브이거나, 자외선을 발하는 자외선 튜브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15)는, 상기 제2 리드(16)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튜브체(14)의 전극구조체에 전달하는 역활만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베이스(12)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음이온 발생기를 더 구비하여서 음이온 방출량을 증대 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상기 제2 베이스(15)의 바깥 둘레에도 흡배기홀(13)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리드(11); 제1 베이스(23); 튜브체(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 베이스(23)는, 베이스하우징(17); 증폭기(19)와 음이온 발생기(20)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8)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드(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동시에 상기 튜브체(24)의 전극구조체(22)에도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리드(11), 제1 베이스(23)와 튜브체(24)의 전극구조체(2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베이스(23)의 일측단에는 리드(11)가 결합되고 타측단에는 튜브체(24)가 결합되며, 상기 튜브체(24)의 타측단에는 리드(미도시)가 결합된 제2 베이스(미도시)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베이스도, 베이스하우징내부에 음이온발생기(20)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8)을 포함하므로써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제1 베이스(23)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제1 베이스(23)의 외관을 이루는 것은 베이스 하우징(17)이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17)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흡배기홀(13)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기가 들어오기도 하고 내부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되게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8)에는, 상기 리드(11)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고압으로 증폭시키는 증폭기(19)와 상기 증폭기(19)로부터 고압을 공급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증폭기(19)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8)상에 장착되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및 관련 구동부품들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증폭기(19)의 증폭전압은 대략 7000 ∼ 1000V 정도의 직류전압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 제2 베이스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동을 살펴본다.
조명기구 본체에 연결되므로써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리드(11)를 통하여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8)에 전달되게 되고, 비로소 상기 증폭기(19)에 의하여 고압으로 증폭된 후 상기 음이온 발생기(20)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전원은, 상기 튜브체(24)의 전극구조체(22)에도 공급되어서 광(光)을 발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압의 음극 및 양극 전압을 공급받은 음이온 발생기(20)에서는 방출되는 전자에 의한 전리작용으로 음이온이 발생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드(11)를 조명기구의 본체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전원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면, 상기 리드(11)를 통하여 조명장치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리드(11)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증폭기(19)의 작동에 의해 고압의 전압이 음이온발생기(20)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명장치가 일반적인 형광램프인 경우에는 실내조명기능을 갖게 되고, 자외선을 발하는 램프인 경우에는 각종 세균의 살균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폭기(19)로부터 나오는 양극(+) 전압 및 음극(-) 전압은 각각 상기 음이온 발생기(20)의 단자들(미도시)에 인가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기(2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에 의한 전리작용으로 음이온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면, 상기 음이온은 흡배기홀(13)을 통해 방출되며, 이와 같이 방출된 음이온의 작용에 의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는 맑고 깨끗하게 유지된다.
실내 공기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동시 발생되는 열의 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대류된다.
즉, 실내 공기는, 상기 베이스하우징(17)의 외주면에 형성된 흡배기홀(13)들중에서 하측에 형성된 흡배기홀(13)들을 통하여 흡입되고, 상기 음이온이 함유된 후 상승하여서, 상기 베이스하우징(17)의 외주면에 형성된 흡배기홀(13)들중에서 상측에 형성된 흡배기홀(13)들을 통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이온이 함유되어 조명장치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실내에 골고루 분산되어서 퍼지게 된다.
이와같이, 음이온이 다량으로 함유된 실내 공기가 대류작용을 실행하게 됨으로써, 음이온의 작용에 의하여서 실내 공기의 정화 기능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별도의 송풍장치 등이 불필요하여서 제품의 소형화가 용이해 질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단순해져서, 조명장치의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같이 설치면적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음이온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은, 자체적으로 청색의 빛을 띄게 되는데, 이러한 청색의 빛은 상기 흡배기홀(13)을 통해 조명장치 외부로 비치게 된다.
이러므로, 조명장치 사용자는 음이온발생기(30)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발광 기능과 실내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는, 전자총(29); 이온집진패널(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총(29)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는 다수개의 방전극(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온집진패널(26)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홀(2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26)은, 상기 방전극(30)에 대향되게 형성되며, 음이온의 방출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총(29)과 이온집진패널(25)의 일단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단자들(27, 28)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음이온 발생기는, 마찬가지로 전자총(36); 이온집진패널(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36)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일방향으로 다수개의 방전핀(37)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전핀(37)의 단부는 예리하게 형성되어서 방전극(31) 역활을 한다.
또한, 상기 이온집진패널(32)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홀(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33)은, 상기 방전극(31)에 대향되게 형성되며, 음이온의 방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3)을 포함하는 일정범위의 면은, 상기 방전극(31)으로부터의 거리가 균일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벤딩되어서, 음이온의 방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전자총(36)과 이온집진패널(32)의 일단부에는, 인쇄회로기판에 삽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 단자(34, 35)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도, 역시 전자총(42); 이온집진패널(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총(4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는, 다수개의 방전극(43)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온집진패널(44)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홀(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39)은, 상기 방전극(43)에 대향되게 형성되며, 음이온의 방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총(42)과 이온집진패널(44)의 일단부에는, 인쇄회로기판에 삽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 단자(40, 4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증폭기(19)로부터 나오는 음극(-) 전압은, 각각 상기 음이온 발생기(20)의 단자들(27, 34, 40)을 통하여 전자총(29, 36, 42)의 방전극(30, 31, 43)에 인가 된다.
이때, 상기의 방전극(30, 31, 43)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게 된다.
상기 증폭기(19)로부터 나오는 양극(+) 전압은, 각각 상기 음이온 발생기(20)의 단자들(28, 35, 41)을 통하여 이온집진패널(25, 32, 44)에 인가 된다.
그리고, 상기 방전극(30, 31, 43)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상기 이온집진패널(25, 32, 44)을 향하면서 공기와의 충돌을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방출된 음이온의 작용에 의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는 정화된다.
특히, 상기의 방전극(30, 31, 43)는 은소재로 구성하여서, 상기 조명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활성화 작용으로 은이온을 방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방출된 상기 은이온이 갖는 살균, 전자파 차단, 항균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점등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점등회로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7); 상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조명장치(49); 상기 전원공급부(47)와 상기 조명장치(49)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공급부(47)의 상용전원을 순간적으로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조명장치(49)의 전극구조체에 초기점등전원을 공급하는 안정기(45); 상기 안정기(45)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고전압의 공급과 차단을 스위칭하는 점등스위칭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49)의 전극구조체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초기점등전원으로 점등포인터를 설정하는 스타터(48)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점등회로의 점등스위칭부(46)를 작동시켜 상기 조명장치(49)를 작동시키면, 상기 조명장치(49) 내부의 전극구조체중의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음이온 발생기가 작동하여서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조명장치(49)가 설치된 공간내의 공기는 정화되게 된다.
특히, 방전극을 은이온이 방출되도록 은소재로 구성하므로써, 방출된 은이온이 함유된 공기에 의하여 살균, 전자파 차단, 항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광발산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음이온을 방출시키므로, 발광과 동시에 실내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 하나에 광발산 기능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동시에 구비토록 하므로써, 별도의 공기청정기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설치공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방전극을 은이온이 방출되도록 은소재로 구성하므로써, 방출된 은이온의 살균, 전자파 차단, 항균 기능을 함께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형광램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의 주요 구성을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을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을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점등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6 : 리드 12, 23 : 제1 베이스 13 : 흡배기홀
14, 24 : 튜브체 15 : 제2 베이스 17 : 베이스 하우징
18 : 인쇄회로기판 19 : 증폭기 20 : 음이온 발생기
21 : 투광성 유리관 22 : 전극 25,32,44 : 이온집진패널
26,33,39 : 관통홀 27,28,34,35,40,41 : 단자 29,36,42 : 전자총
30,31,43 : 방전극 37 : 방전핀 38 : 오목부
45 : 안정기 46 : 점등스위치 47 : 전원공급부
48 : 스타터 49 : 조명장치

Claims (16)

  1. 광을 발하는 전극구조체를 구비하는 튜브체;
    상기 튜브체의 양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한곳에서는 음이온이 발생되는 제1 및 제2 베이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들중에서 음이온이 발생되는 베이스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음이온 발생기에 고압을 공급하는 증폭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의 바깥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리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튜브체내의 전극구조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6.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1 리드;
    상기 제1 리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 리드;
    양 끝단이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에 결합되고, 이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발하는 전극구조체를 구비하는 튜브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음이온 발생기에 고압을 공급하는 증폭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10. 제 2항, 제 7항 및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며, 상기 증폭기로부터 음극(-) 전압을 공급받는 전자총; 상기 전자총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며, 상기 증폭기로부터 양극(+) 전압을 공급받는 이온집진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일측에는, 방전극이 예리하게 형성되는 방전핀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일측에는, 예리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예리하게 형성되는 방전극이 다수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집진패널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포함하는 일정범위의 면은, 상기 방전극으로부터의 거리가 균일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벤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은, 은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KR1020040010841A 2004-02-18 2004-02-18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KR20050082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841A KR20050082394A (ko) 2004-02-18 2004-02-18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841A KR20050082394A (ko) 2004-02-18 2004-02-18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394A true KR20050082394A (ko) 2005-08-23

Family

ID=3726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841A KR20050082394A (ko) 2004-02-18 2004-02-18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23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4636A1 (en) * 2006-02-16 2007-08-23 Ad Main Korea Inc. Fluorescent lamp with built-in anion generator
KR100798608B1 (ko) * 2006-02-16 2008-01-28 주식회사 아도메인코리아 음이온발생기를 내장한 형광램프
KR100821050B1 (ko) * 2006-09-08 2008-04-08 주식회사 아도메인코리아 음이온발생기를 내장한 형광램프
KR101876395B1 (ko) * 2017-06-19 2018-07-11 주식회사 그룬 전자발생장치를 이용한 의료 기구 소독 및 건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4636A1 (en) * 2006-02-16 2007-08-23 Ad Main Korea Inc. Fluorescent lamp with built-in anion generator
KR100798608B1 (ko) * 2006-02-16 2008-01-28 주식회사 아도메인코리아 음이온발생기를 내장한 형광램프
KR100821050B1 (ko) * 2006-09-08 2008-04-08 주식회사 아도메인코리아 음이온발생기를 내장한 형광램프
KR101876395B1 (ko) * 2017-06-19 2018-07-11 주식회사 그룬 전자발생장치를 이용한 의료 기구 소독 및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8987B2 (ja) 発光ダイオードによって励起される燐光体蛍光アッセンブリ
JPH10208702A (ja) コンパクト蛍光ランプ
EP0083874B1 (en) Beam mode fluorescent lamp
US2622409A (en) Ultraviolet light source and circuit for refrigerator cabinets
JP6571251B2 (ja) 電界放出型照明システムの電力制御
KR20050082394A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JP3400489B2 (ja) 複合放電ランプ
CN210601142U (zh) 一种自镇流一体式高频内耦合护眼灯
JP2008130535A (ja) Led蛍光灯
US11881389B2 (en) Excimer lamp and light irradiation device having the same
KR100330087B1 (ko) 플라즈마 음극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타입의 평판형 램프
CN216243887U (zh) 基于准分子光源的电梯空气净化及照明一体化装置
JPH1064478A (ja) 冷陰極蛍光放電ランプ及び殺菌ユニット
WO2022116366A1 (zh) 准分子灯
JP7177556B2 (ja) 除菌用オゾン発生装置
TWI414208B (zh) Mercury - free fluorescent tubes and their driving methods
EP0577275A1 (en) Fluorescent lamp
TW200618021A (en) Flat-type fluorescent lamp,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0117447Y1 (ko) 전구형 이중관 형광등
KR200409099Y1 (ko) 전계 자외선 방전등
US3179794A (en) Device for simultaneously producing luminous and sterilizing radiations
KR20020078792A (ko) 음이온 조절센서가 부착된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조명장치
KR200303062Y1 (ko) 고광도 고효율 형광 방전등의 방전관
JP2003217506A (ja) 蛍光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H0622918Y2 (ja) 小型蛍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