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973A - 회전틀기 의자 - Google Patents

회전틀기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973A
KR20050081973A KR1020040010298A KR20040010298A KR20050081973A KR 20050081973 A KR20050081973 A KR 20050081973A KR 1020040010298 A KR1020040010298 A KR 1020040010298A KR 20040010298 A KR20040010298 A KR 20040010298A KR 20050081973 A KR20050081973 A KR 20050081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respect
rotating
twist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박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우 filed Critical 박재우
Priority to KR102004001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1973A/ko
Publication of KR2005008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9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9Rotation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6Abdomen moving lower limbs with immobilized tors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틀기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이 가능한 받침부재에 대하여 의자가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다양한 보조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의자를 틀어 하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결국 상체를 비틀게 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상체 비틀기에 따른 다양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회전틀기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회전틀기 의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다리(14)가 형성되고, 이 다리(14)의 단부에 대하여 구동바퀴(16)가 설치되며, 상기 다리(14)의 중앙에 회전축(18)이 설치되고, 상기 다리(14)의 일측으로 지지대(20)에 의하여 지지봉(22)이 설치된 받침부재(12)와; 상기 받침부재(12)의 회전축(18)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의자(30)와; 상기 받침부재(12)의 지지봉(22)에 대하여 양 축(44)이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 축(44)의 상측 단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파지봉(42)이 설치되고, 상기 양 축(44)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단봉(46)이 설치된 사다리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틀기 의자{ROTATION CHAIR FOR TWIST MOVEMENT}
본 발명은 회전틀기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한 받침부재에 대하여 의자가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다양한 보조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의자를 틀어 하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결국 상체를 비틀게 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상체 비틀기에 따른 다양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회전틀기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를 비틀어 허리 및 복부운동을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몸체와, 이 몸체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은, 몸체와 몸체상에서 지지부재가 상기 몸체와 축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는 축심부재가 상기 회전판과 축정렬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축심부재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회전수단의 일환으로 상기 회전판이 몸체에 대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벽면과 근접되거나 또는 별도로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도구와 근접되는 바닥면에 몸체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판의 상부에 올라 선 상태에서 하체를 좌/우로 틀어 복부와 허리가 비틀림으로써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회전판은 통상적으로 설치위치가 지면과 근접됨으로, 흙 또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원반 구조체내로 침투하기가 용이하여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회전율이 저하되는 요인이 됨에 따라 항상 실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좌우로 심히 요동치게 됨으로써 이에 따라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심부에 가해지는 반복되는 편하중으로 인해 상기 원반의 회전지지를 위한 베어링 등이 편마모 되어 회전수단의 지지요소인 축심부재와 지지부재간에 이간현상이 발생하여 트위스트 운동기구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거나, 작동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올라 선 상태에서 몸을 좌우로 틀기 위해서는, 필히 벽면이나 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물품이 항상 위치되어 있어야 함에 따라 사용장소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실용신안등록 제298614호인 트위스트 운동기구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공고된 등록공보에 게재된 바와 같이, 기부와 이 기부상에서 상기 기부에 대하여 제1베어링을 매개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회전판으로 구성된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기부사이에는 회전시의 축정렬을 증대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 설치되고, 이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판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중심부가 돌출 연장된 축부를 가지는 축심부재와, 상기 축심부재의 축부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지지구를 가지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축심부재와의 접촉부 대향단에 오목형성된 수용구에서는, 상기 축심부재를 지지부재측으로 항시 탄력적으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용 탄성부재가 상기 축하중이 걸리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인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구 단부면 사이에는 제2베어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기대가 다리에 의해 지면과 이격되어 지지되고, 상기 기대에는 회전기부로서 작용하는 크로스부재가 횡설되어 원반을 지지하며, 상기 기대의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키에 적절한 높이에 손잡이가 부착된 지지봉이 양측으로 기립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상기 제1베어링 및 제2베어링 그리고, 축심부재의 축부와 지지부재의 지지구 사이의 마모량에 대응한 각 구성요소간의 이간 현상을 방지하도록 탄력적으로 각 구성요소를 견인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장기간의 사용에 기인하여 축정렬이 이탈되면서 회전력이 저지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원판에 올라 선 상태에서 파지하여 신체를 지탱할 수 있는 지지봉이 구비되어 있어 트위스트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단순히 회전판에 의해 신체가 비틀어지도록 하여 운동 효과를 얻고자 함으로써, 신체의 일부 즉, 복부나 허리 이외에는 다른 부위의 신체운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항상 사용자가 일어서서 회전원판에 양발을 올려 놓아야만 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컨대 다리가 불편한 사람이거나 노인들은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효과를 얻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운동효과가 회전되는 회전원판에 의해서만 가능함에 따라 운동하는 방법이 극히 제한되어 있어 사용자가 운동하는 것에 대해 식상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이 가능한 받침부재에 대하여 의자가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다양한 보조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의자를 틀어 하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결국 상체를 비틀게 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상체 비틀기에 따른 다양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회전틀기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회전틀기 의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다리가 형성되고, 이 다리의 단부에 대하여 구동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다리의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다리의 일측으로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봉이 설치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의자와; 상기 받침부재의 지지봉에 대하여 양 축이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 축의 상측 단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파지봉이 설치되고, 상기 양 축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단봉이 설치된 사다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지지봉에 대하여 착탈되는 것으로서, 수직상태를 이루다 일정부위에서 절곡되는 절곡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자의 시트 저면부에 양측으로 나란하게 가이드레일이 고정설치되고, 이 가이드레일에 대하여 사다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의자의 양측과 후방의 둘레에 대하여 보호 프레임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보호 프레임은 상기 의자의 양측과 후방을 둘러싸는 메인 프레임이 상기 의자의 시트 측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복수의 봉이 일정간격으로 수직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의자의 시트 전방측 하부에 대하여 그네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의자의 시트 전방 양측에 브라켓이 고정설치되고, 이 브라켓에 대하여 수직봉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사다리부재의 파지봉과 상기 수직봉의 중간에는 완충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의 회전축을 감싸는 고정브라켓이 원통형의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회전축을 감싸는 고정브라켓이 다리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틀기 의자(10)의 분리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복수의 다리(14)가 형성되고, 이 다리(14)의 단부에는 구동바퀴(16)가 설치되며, 상기 다리(14)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축(18)이 돌설된 받침부재(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리(14)의 일측으로는 대략 'ㄷ'형상의 지지대(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지지대(20)의 상측으로는 양측으로 지지봉(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8)의 둘레에는 고정브라켓(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브라켓(24)과 상기 지지봉(22) 사이에는 지지프레임(26)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받침부재(12)의 회전축(18)에 대하여 의자(30)를 설치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30)는 회전축(18)에 의하여 회동가능한 구조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재(12)의 다리(14) 단부에 설치된 구동바퀴(16)에 의하여 자유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2)의 회전축(18) 둘레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4')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봉(22) 및 지지프레임(26)의 손상시 그 교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30)의 양측과 후측을 둘러싸서 이 의자(30)에 앉은 사람이 의자 밖으로 신체의 일부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보호 프레임(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호 프레임(34)은 의자(30)의 양측과 후측을 둘러싸는 메인 프레임(36)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봉(38)을 고정설치한 후, 상기 메인 프레임(36)을 의자(30)의 시트(32) 측부에 대하여 고정설치함으로써 그 설치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2)의 후측에 대하여 지지대(20)로부터 고정설치되는 지지봉(22)에는 그 상측양단에 전방으로 돌출된 파지봉(42)이 설치되고 양 축(44)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단봉(46)이 형성된 사다리부재(40)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부재(40)는 양 축(44)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단봉(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축(44)의 상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파지봉(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 축(44)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봉(22)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사다리부재(40)의 양 축(44)의 지름은 상기 지지봉(22)의 내주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서, 상기 양 축(44)의 단부가 상기 지지봉(22)의 내주에 대하여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봉(22)의 단부 일측에는 조임나사(28)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조임나사(28)의 체결에 의하여 사다리부재(40)의 양 축(44)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30)에 앉은 상태에서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사다리부재(40)의 파지봉(42)을 양손으로 잡고 의자(30)를 틀게 되면 사용자의 상체가 비틀림되게 된다.
즉, 상기 의자(30)는 받침부재(12)의 회전축(18)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바, 그 회전이 용이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다리부재(40)의 양 파지봉(42)을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의자(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체가 비틀리게 되어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사다리부재(40)의 단봉(46)들 중 한손으로는 높은 위치에 있는 단봉을, 다른 한손으로는 다소 낮은 위치에 있는 단봉을 잡고 상기와 같이 의자를 틀게 되면, 몸(특히 상체)가 도 5b에서보다 더욱 비틀리게 됨으로써, 더욱 탁월한 상체의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의자(30)의 시트(32) 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사다리(52)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30)의 시트(32) 저면에 가이드레일(50)을 고정시키고, 이 가이드레일(50)에 대하여 사다리(52)의 양 축 단부를 삽설시킴으로써 상기 의자(30)에 대하여 사다리(52)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의자(30)의 시트(32)에 대하여 전방으로 사다리(52)를 설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의자(30)의 시트(32)에 앉은 상태에서 양 다리를 곧게 뻗은 상태로 상체를 비틀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5b 내지 도 5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30)에 앉은 상태에서 양 다리를 지면에 닿게 하고, 사다리부재(40)의 파지봉(42)이나 단봉(46)을 잡고 상체를 비틀게 되면 자신도 모르게 양 다리가 상체를 따라가 비틀리는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양 다리를 사다리(52)에 뻗은 상태로 상기와 같은 상체 비틀기를 시도하게 되면 허리를 기준으로 상체가 보다 확실하게 비틀리게 되는 바, 더욱 탁월한 운동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2)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봉(22)에 대하여 착탈되는 사다리부재(40)를 대신하여 절곡봉(4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부재(40)를 대신하여 일정길이만큼 수직형성되다가 일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봉(4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사다리부재(40)의 양 축(44) 단부가 상기 지지봉(22)의 내주보다 그 지름이 작아 삽입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였는 바, 상기 절곡봉(40') 또한 그 단부의 외주가 상기 지지봉(22)의 내주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삽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22)의 내주에 대하여 상기 절곡봉(40')의 일측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조임나사(28)를 조여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절곡봉(40') 또한 착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봉(22)에 대하여 절곡봉(40')이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도 7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절곡봉(40')을 양 팔로 잡고 의자(30)를 틀어 비틀기를 시도하면 앞선 실시에서와 같이 상체의 비틀림에 따른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다리를 사다리(52)에 뻗고 의자(30)를 비틀게 되면 허리를 기준으로 더욱 상체의 비틀기 강도가 강해져 보다 나은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의자(30)의 시트(32) 전방측 양 옆에 수직봉(56)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30)의 시트(32) 전방측 저부에 대하여 브라켓(54)을 고정설치하고, 이 브라켓(54)에 대하여 수직봉(56)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3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수직봉(56)을 양손으로 잡고 의자(30)를 틀게 되면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체가 틀어지게 되는 바, 결국 상체를 비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의자(30)의 시트(32) 저면 전방 하부에 대하여 그네(62)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2)의 저부에 걸고리(60)를 설치하고, 이 걸고리(60)에 대하여 받침대(64)의 양측에 걸쇠(66)가 구비된 그네(62)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그네(62)의 받침대(64)에 양 발을 올려놓고 의자(30)를 비틀게 되면 다리가 의자(30)의 틀기에 따라 동시에 연동되어 상체 비틀기의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이 모두 조합된 회전틀기 의자(10)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사다리부재(40)의 파지봉(42)과, 수직봉(56)의 중간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완충스프링(48,58)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파지봉(42)과 수직봉(56)을 잡고 의자(30)를 틀었을 때, 다소의 완충력을 제공하여 급격한 비틀림에 따른 상체의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틀기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자의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여러 가지 보조수단을 이용하여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로 의자를 틀어 하체만을 회전시킴으로써, 결국 상체부위가 비틀리게 되어 다양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즉, 상체를 비틈에 따라 신체의 복부비만 등과 같은 성인병이나 또는 허리의 군살제거 및 허리근육강화는 물론, 경추 및 척추 등과 같은 상체의 뼈를 튼튼하게 함으로써 신진대사의 원활한 흐름과 아울러 특히 업무 특성상 책상에 장시간 동안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는 직장인들이 틀어진 경추와 척추 및 요추가 바르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틀기 의자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틀기 의자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보호둘레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 4에서 다층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c는 도 5a의 다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틀기 의자의 전방측에 사다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틀기 의자의 후방측에 다층프레임을 대신하여 절곡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틀기 의자의 전방측에 수직봉이 설치된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틀기 의자의 전방측에 그네가 설치된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도 9의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틀기 의자의 전방측에 다른 실시상태의 수직봉이 설치된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틀기 의자 12 : 받침부재
14 : 다리 18 : 회전축
20 : 지지대 22 : 지지봉
30 : 의자 34 : 보호 프레임
40 : 사다리부재 40' : 절곡봉
42 : 파지봉 46 : 단봉
50 : 가이드레일 52 : 사다리
54 : 브라켓 56 : 수직봉
62 : 그네 64 : 받침대

Claims (10)

  1. 방사상으로 복수의 다리(14)가 형성되고, 이 다리(14)의 단부에 대하여 구동바퀴(16)가 설치되며, 상기 다리(14)의 중앙에 회전축(18)이 설치되고, 상기 다리(14)의 일측으로 지지대(20)에 의하여 지지봉(22)이 설치된 받침부재(12)와;
    상기 받침부재(12)의 회전축(18)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의자(30)와;
    상기 받침부재(12)의 지지봉(22)에 대하여 양 축(44)이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 축(44)의 상측 단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파지봉(42)이 설치되고, 상기 양 축(44)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단봉(46)이 설치된 사다리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틀기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2)의 지지봉(22)에 대하여 착탈되는 것으로서, 수직상태를 이루다 일정부위에서 절곡되는 절곡봉(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틀기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30)의 시트(32) 저면부에 양측으로 나란하게 가이드레일(50)이 고정설치되고, 이 가이드레일(50)에 대하여 사다리(52)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틀기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30)의 양측과 후방의 둘레에 대하여 보호 프레임(34)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틀기 의자.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프레임(34)은 상기 의자(30)의 양측과 후방을 둘러싸는 메인 프레임(36)이 상기 의자(30)의 시트(32) 측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메인 프레임(36)에 대하여 복수의 봉(38)이 일정간격으로 수직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틀기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30)의 시트(32) 전방측 하부에 대하여 그네(62)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틀기 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30)의 시트(32) 전방 양측에 브라켓(54)이 고정설치되고, 이 브라켓(54)에 대하여 수직봉(56)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틀기 의자.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재(40)의 파지봉(42)과 상기 수직봉(56)의 중간에는 완충스프링(48,5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틀기 의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2)의 회전축(18)을 감싸는 고정브라켓(24)이 원통형의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틀기 의자.
  10. 상기 받침부재(12)의 회전축(18)을 감싸는 고정브라켓(24)이 다리(14)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틀기 의자.
KR1020040010298A 2004-02-17 2004-02-17 회전틀기 의자 KR20050081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298A KR20050081973A (ko) 2004-02-17 2004-02-17 회전틀기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298A KR20050081973A (ko) 2004-02-17 2004-02-17 회전틀기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973A true KR20050081973A (ko) 2005-08-22

Family

ID=3726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298A KR20050081973A (ko) 2004-02-17 2004-02-17 회전틀기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19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335A (zh) * 2019-08-05 2019-10-11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瑜伽式脊椎延伸、扭转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335A (zh) * 2019-08-05 2019-10-11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瑜伽式脊椎延伸、扭转装置
CN110314335B (zh) * 2019-08-05 2024-04-19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瑜伽式脊椎延伸、扭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303A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JP5610496B2 (ja) 回転するシートおよびタンデムに配置されたプーリー機構を有する改良された腹部運動装置
US20100016135A1 (en) Exercise device for abdominal and other core muscles
US20050079964A1 (en) Spherical back exerciser apparatus
KR101174569B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CA2676859A1 (en)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KR101194993B1 (ko) 트위스트운동 및 다리운동 겸용 복부운동기구
CN102961853B (zh) 一种腹肌锻炼器
KR100718349B1 (ko) 근육이완 및 관절유연성 운동기구
KR20050081973A (ko) 회전틀기 의자
JP3106688U (ja) 捩じり運動健康器具
KR102366584B1 (ko) 복합운동기구
US3510128A (en) Chair supported exercising device with overhead bar and leg exercising means
US20080070754A1 (en) Portable exercise device
KR101538235B1 (ko) 실외용 멀티 운동기구
CN214971547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KR100407093B1 (ko) 다목적 운동 기구
CN207980271U (zh) 一种伸腿屈臂一体机
CN214286491U (zh) 一种用于健美操训练的体型拉伸装置
KR20050001564A (ko) 트위스트 운동용 회전의자
KR200434032Y1 (ko) 전신 운동 기구
KR200463896Y1 (ko) 체중을 이용한 플라이운동기구
KR200348213Y1 (ko) 견비통운동기구
AU2013100004A4 (en) An exerciser
JPH02338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