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595A -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치료제 - Google Patents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595A
KR20050081595A KR1020040009922A KR20040009922A KR20050081595A KR 20050081595 A KR20050081595 A KR 20050081595A KR 1020040009922 A KR1020040009922 A KR 1020040009922A KR 20040009922 A KR20040009922 A KR 20040009922A KR 20050081595 A KR20050081595 A KR 20050081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rogen
osteoporosis
camphorol
effect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혁
오승민
김연판
Original Assignee
한국 메디텍 제약 주식회사
정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메디텍 제약 주식회사, 정규혁 filed Critical 한국 메디텍 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1595A/ko
Priority to PCT/KR2005/000396 priority patent/WO2005077358A1/en
Publication of KR2005008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5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의 한 종류인 캄페롤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캄페롤은 골다공증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치료제 {Drug for osteoporosis comprising kampferol as the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식물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인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골세포(osteoblast)의 세포증식 촉진효과가 우수한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골(骨)은 신체의 물리적 지지체로서 필요한 골량과 구조를 보존하는 역할을 하며, 칼슘(Ca2+)등의 보관고로서 칼슘 등의 혈중 농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골은 항상 분해 작용과 재구축(remodeling)작용을 조정한다. 따라서 정상인 골은 골 흡수와 골 형성의 양자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대사적인 면에서 극에 다다르는 동적인 상태를 이룬다.
그러나, 골다공증(osteoporosis)은 위와 같은 정상 골 조직에서 칼슘이 감소되어 골의 치밀질이 엷어지고 그로 인해 골수강(骨髓腔)이 넓어지는 상태를 말하며, 이러한 증세가 진전될수록 골이 약해져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골절되기 쉽다. 유전적 요인, 영양섭취, 호르몬의 변화, 운동 및 생활 습관의 차이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골량에 영향을 미치며, 노령, 운동 부족, 저체중, 흡연, 저칼슘 식이, 폐경, 난소 절제술등이 골다공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개인차는 있으나 골량은백인보다 흑인이 골 재흡수 수준(bone resorption level)이 낮아 더 높고, 대개 14-18세에 가장 높으며 노후에는 1년에 약 1%씩 감소한다고 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골 감소는 30세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진행되다가 폐경기에 이르면 호르몬 변화에 의해 급격히 진행된다. 즉, 폐경기에 이르면 에스트로겐 농도가 급속히 감소하여 B-임파구(B-lymphocyte)가 다량 생성되므로, 골수(bone marrow)에 B 세포 전구체(pre-B cell)가 축적이 된다. 이로 인해 IL-6의 양이 증가하여 파골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서 결국 골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골다공증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노년층,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는 피할 수 없는 증상이며, 선진국에서는 인구가 노령화됨에 따라 골다공증 및 그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세계적으로는 골질환 치료와 관련하여서 약 1300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세계적인 각 연구 기관과 제약회사는 골질환 치료제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현재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하는 물질로는 에스트로겐(estrogen), 앤드로제닉 아나볼릭 스테로이드(androgenic anabolic steroid), 칼슘 제제, 인산염, 불소 제제, 이프리플라본(Ipriflavone), 비타민 D3 등이 있다. 또한 1995년 미국 머크사에서는 아미노비스포스포네이트(aminobisphosphonate)를, 1997년 미국 릴리사에서는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기(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로서의 역할을 하는 랄록시펜(raloxifen)을 골다공증에 대한 신약으로 개발하였다.
한편 종래 골다공증 치료제는 대부분 에스트로겐 계통의 물질로 장기 투여시 암, 담석, 혈전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골다공증은 약물의 단기 투여만으로는 치료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 투여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개발자들은 약물을 장기 투여할 때에도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고, 에스트로겐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우수한 약효를 갖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에스트로겐 대체 물질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식물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다.
식물 에스트로겐은 1946년 베네트 등에 의해 최초로 보고 되었다. 이들은 '클로바 병(clover disease)[붉은 클로바종(red clover, Trifoloum subterraneum var. Dwalganup)에 속하는 식물을 먹은 양은 불임률이 30% 이상 증가되어, '클로바 병'이라 명명됨]'의 원인이 이 식물에 함유된 성분 중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임을 밝혀 식물에서 얻어낸 이러한 화합물을 식물 에스트로겐이라 명명하였다.
식물 에스트로겐으로 알려진 물질로는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등의 이소플라본(isoflanone)류 화합물, 쿠메스트롤(coumestrol)등의 쿠메스탄(coumestan)류 화합물, 엔테롤락톤(enteroactone)등의 리그난(ligan)계 화합물 및 엔테로디올(enterodiol)등의 페놀(phenol)계 화합물이 있다.
식물 에스트로겐은 일반적으로 동물의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며, 폐경기 이후 나타나는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및 기타 증상의 치료에 에스트로겐을 대체하여 사용한다.
여성들은 폐경후 에스트로겐 결핍 상태가 지속되면 심혈관 질환과 골다공증이 증가한다. 폐경후의 여성인구가 증가하면서 폐경후 골다공증은 의학 및 사회경제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폐경후 여성의 심혈관 질환과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호르몬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을 시행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호르몬대체요법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위험보다 매우 많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많은 여성들이 호르몬대체요법시 발생할 수 있는 월경의 재개와 장기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유방암의 위험도가 증가할 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 호르몬대체요법의 시작을 주저하거나, 조기에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골격과 심혈관에는 에스트로겐의 효과를 유지하고 자궁과 유방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이상적인 에스트로겐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이상적인 에스트로겐의 가능성은 유방암의 치료에 사용되었던 항에스트로겐(anti-estrogen)으로부터 얻을 수 있었다. 항에스트로겐(Anti-estrogen)들은 조직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내는데 유방암에서는 에스트로겐의 작용을 억제하나 다른 조직에서는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에스트로겐 촉진제(agonist)의 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에스트로겐 촉진제와 길항제(antagonist)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을 하여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을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기(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라고 한다.
이러한 SERM은 유전자 또는 세포에 따라 다른 작용을 하는 조직특이성(tissue specificity)을 보인다. SERM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단순히 에스트로겐과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에스트로겐 작용을 억제하기 보다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한 후 전사과정에 영향을 주는 능동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SERM의 다양한 작용은 여러 가지 종류의 SERM, 에스트로겐 수용체(ERα, ERβ), 호르몬과 반응하는 유전자 조절부위(ERE), 각종 전사인자와 조절단백질 등에 의해 결정된다.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ER)는 리간드(ligand)에 의해 활성화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로 작용을 한다.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SERM이 결합하여 수용체의 형태적 변화가 일어나고 활성화되면 에스트로겐 수용체-SERM 결합물이 유전자에 결합하여 전사를 시작한다. 이때 전사되는 양상은 세포와 유전자 조절부위(gene promoter)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경후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이 결핍되면 골교체율이 증가되고 골흡수가 골형성보다 많게되어 골량이 감소한다. SERM을 폐경후 여성에게 투여하면 척추의 골밀도가 1년후까지 증가하고 이후는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며 고관절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관찰된다. 폐경후 여성과는 대조적으로 SERM을 폐경전 여성에게 사용하면 요골, 척추, 고관절 골밀도가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된다. 따라서 골격에 대해서 SERM은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가 낮을 때에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나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가 높을 때에는 길항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에스트로겐과 SERM의 일종인 타목시펜(tamoxifen), 랄로시펜(raloxifene) 모두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폐경후 여성에게 랄로시펜을 투여하면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감소하나 H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타목시펜을 장기적으로 투여 받는 유방암 환자에서 심혈관 질환이 약 50% 감소하는 현상도 관찰된다.
타목시펜과 랄로시펜은 유방암의 치료를 위한 항 에스트로겐(anti-estrogen)으로 개발이 되었다. 또, 자궁에서 타목시펜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부분적 촉진제로 작용하나 랄로시펜은 길항제로 작용을 한다.
그리고, 최근의 연구보고로는 제니스테인과 같은 식물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 에스트로겐 수용체(ERα, ERβ)의 발현 증가에 의한 골형성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등도 발표되었다.(Heim M. et al ,2003, Bonnrlye, et al, 2003 )
본 발명은 식물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의 한 종류인 캄페롤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조골세포(osteoblast)의 세포증식 촉진효과가 우수한 일반식(I)로 표시되는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물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의 한 종류인 캄페롤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캄페롤은 골다공증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I)의 캄페롤은 하나이상의 하이드록실 그룹(-OH)을 포함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벤젠 구조을 가진 폴리페놀(polyphenol)이며, 그중에서도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열에 속한다. 플라보노이드의 구조적 특징은 2개의 벤젠 링(benzene ring)이 헤테로(hetero)환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인 플라보노이드핵이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플라보노이드계인 캄페롤은 C15H10O6 분자식과 286.2의 분자량을 가지며 구조적 특성상 식물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의 범주에 속하며 갱년기 증상에 대하여 여성호르몬 대체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항암작용이 알려져 있어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심혈관질환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되고 있다. 또한 항산화 작용을 일으켜 동맥경화를 낮추거나 심장질환 예방 등의 항산화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캄페롤은 아래의 식과 같이 자연계에서 생합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캄페롤은 Sigma-Aldrich, U.S.A Biochemicals and Reagents(2003)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얻을수 있다.
실험예 1) 캄페롤의 에스트로겐 작용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효과
본 발명에 의한 캄페롤이 에스트로겐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어 골다공증 치료제로서 작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MDG5031의 에스트로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CF-7세포(Human breast cancer cell)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암 연구소의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 받아서 사용하였으며 에스트로겐 작용에 의한 골다공증 효과는 E-SCREEN assay에 의한 세포증식효과실험과 에스트로겐성 유전자 발현(pS2) 측정 실험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1-1) E-SCREEN assay에 의한 에스트로겐 작용(골다공증 치료효과)실험
E-SCREEN assay는 시험물질의 에스트로겐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으로 MCF-7세포에 투여한 물질에 의해 세포증식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관찰하여 에스트로겐 효과를 평가한다. 이 MCF-7 세포에 캄페롤을 처치하고 6일 후에 나타나는 각 세포의 세포증식 정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캄페롤 투여에 의한 용량-반응적인 세포증식을 보였으며, 특히 10-5mg/ml 농도에서 세포증식 효과를 비교하는 RPE(Relative proliferative effect)값이 최고치를 나타냈다. 본 시험계에서 RPE값이 8이상으로 나타나면 부분 효능제(partial agonist)로서의 에스트로겐작용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캄페롤은 그 이상의 값을 나타내므로 에스트로겐성 물질로서 체내에서 작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미 골다공증에 유효하다고 알려진 쿠에르세틴과 비교한 결과 캄페롤이 더욱 높은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어 작용이 더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캄페롤은 체내에서 에스트로겐성 물질로 작용하여 에스트로겐을 공급 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골다공증을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RPE = [(S-1)/(E-1)] ×1 로써 S는 샘플의 증식량이고 E는 양성대조군(E2)의 증식률로서 E2의 10-10mg/ml의 증식률을 100으로 한 상대값이다.
E-Screen assay에 의한 MCF-7세포의 증식 결과
MCF-7의 증식률 (%)
농도(몰농도:M) 캄페롤 쿠에르세틴
10-7M 5.8 ±2.5 0.9 ±1.2
10-6M 14.5 ±2.4 4.1 ±2.3
10-5M 74.4 ±1.3 8.5 ±9.7
1-2) 에스트로겐성 유전자발현(pS2)측정에 의한 에스트로겐 작용(골다공증 치료효과) 실험
캄페롤의 에스트로겐 효과를 유전자 발현 수준에서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에스트로겐성 물질이 결합하면 발현되는 유전자인 pS2를 측정하는 시험법(pS2 gene expression assay)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유전자들의 활성은 외부에서 에스트로겐이 세포내로 유입되어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하면 유도되는 유전자발현 변화로서 처리한 약물이 에스트로겐으로서 작용하는지를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pS2 gene expression assay는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법에 의해 수행하였으며, MCF7-BUS 세포에 캄페롤 및 양성 대조군 E2(17β-estradiol)와 쿠에르세틴을 10-5M씩 단독으로 투여하였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캄페롤에 의한 pS2 mRNA의 발현(밀도)이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쿠에르세틴 보다도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2에 가까운 밀도를 보여주고 있어 에스트로겐 수용체와의 결합에 의한 에스트로겐 효과가 강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캄페롤이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에스트로겐성 물질이 결합하면 발현되는 유전자인 pS2의 mRNA의 발현에 영향을 주어서 나타나는 것이므로 캄페롤이 E2(17β-estradiol)과 동일하게 에스트로겐 조절기전(estrogen-regulated pathway)에 의해 에스트로겐으로서 작용함으로써 체내에서 에스트로겐 효과를 나타내어 골다공증 치료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기(SERMs)작용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 효과
우리 체내의 조직에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와 ERβ가 체내 장기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분포되어 있는데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기(SERM)는 각각의 에스트로겐 수용체(ERα와 ERβ)와 결합함으로써 체내 장기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이러한 약물류는 체내 에스트로겐 농도에 따라 에스트로겐 촉진제 또는 길항제(antagonist)로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을 하여 작용하기도 한다.
폐경후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이 결핍되면 골교체율이 증가되고 골흡수가 골형성 보다 많게 되어 골량이 감소하여 골다공증이 유발되게 되는데, 현재 개발된 랄록시펜과 같은 SERM을 폐경후 여성에게 투여하면 척추의 골밀도 증가와 고관절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관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캄페롤이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기로서 골다공증 치료제로 작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2-1)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결합성 측정 실험 : Competitive binding assay
캄페롤이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ER) 조절기로서 작용하는 지를 보기 위해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와 β에 대한 친화력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MCF-7 세포를 이용하여 먼저 각 세포에 2,4,6,7-[3H]E2와 캄페롤을 투여한 후 3시간 배양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물을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비(%)를 관찰한 결과 캄페롤의 ER에 대한 결합력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골다공증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쿠에르세틴에 비해 약 2-50배 이상 더 강한 결합력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캄페롤은 ERα와 β모두에 대해 결합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기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캄페롤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은 ERα보다 ERβ에 대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캄페롤은 이미 개발된 랄록시펜과 동일한 작용기전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기로서의 기전에 의해 골다공증 치료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ompetitive Binding Assay에 의한 MCF-7의 ER의 결합력 결과
MCF-7세포의 [3H]E2 에 대한 특이 결합력(대조군의 상대비 (%))
캄 페 롤 쿠에르세틴
농도(몰농도:M) ERα ERβ ERα ERβ
10-6M 105.6 51.7 111.3 92.0
5*10-6M 97.9 31.7 106.0 83.6
10-5M 94.2 15.6 101.8 73.1
5*10-5M 53 2.1 85.7 53.1
10-4M 31.9 1.9 65.6 51.1
실험예 3) 조골세포(Osteoblast)의 세포증식 및 분화작용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효과
본 발명에 의한 캄페롤이 조골세포의 세포증식효과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람의 유사조골세포주(human osteoblast-like cell line)인 Saos-2 세포주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암 연구소의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 받아서 사용하였다. 식물 에스트로겐의 일종으로서 골다공증 치료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제니스테인(genistein)을 비교 물질로 하여 조골세포의 증식효과를 관찰하였다. 조골세포 증식의 측정은 세포증식과 관련된 대사계로서 mitochondria의 active "succinate-tetrazolium reductase" system의 효소활성화에 의해 기질인 tetrazolium salt가 분해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WST-1 assay와 세포분화과정에서 증가되는 Alkaline phosphatase(ALP)활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실험하였다. 식물 에스트로겐의 일종으로서 골다공증 치료제로 많이 연구되어지는 제니스테인(genistein)과 쿠에르세틴을 비교물질로 하여 효과를 관찰하였다.
3-1) 약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증식실험 : WST-1 Assay
조골세포와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는 Saos-2 세포주를 사용하여 대사작용이 왕성한 세포의 mitochondria의 active "succinate-tetrazolium reductase" system에 의한 tetrazolium salt의 분해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세포증식률을 비교하였다. 약물에 의해 나타나는 세포증식률은 약물을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서 계산하였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캄페롤의 조골세포 세포증식 효과는 10-9M 투여농도에서 최고 101.1%의 세포증식을 나타내어 조골세포 증식에 의해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쿠에르세틴 보다는 약간 높고 제니스테인 보다는 약간 낮게 나타났다.
WST-1 assay를 이용한 카페롤의 Saos-2세포증식효과
Saos-2 세포증식률(%)
농도(몰농도:M) 캄페롤 쿠에르세틴 제니스테인
10-9M 101.1 ±10.3 98.1 ±0.1 105.0 ±11.7
10-8M 99.6 ±10.9 93.9 ±0.8 106.2 ±12.2
10-7M 97.6 ±10.0 98.6 ±1.0 104.4 ±13.7
3-2)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검색 실험
조골세포는 세포분화시 특이적으로 Alkaline phosphatase(ALP)활성을 나타낸다. ALP가 p-nitrophenylphosphate를 p-nitrophenol과 phosphate로 분해시키는 것을 이용하여 405nm에서의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각각의 물질의 흡광도의 비로 계산하여 ALP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조골세포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캄페롤의 투여에 의해 Saos-2세포의 ALP 활성이 10-8M 투여농도에서 최고 151.1 %가 증가되었으며 쿠에르세틴이나 제니스테인에 비해 ALP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캄페롤이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나타나는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쿠에르세틴이나 제니스테인보다 그 효과가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LP 활성검색을 이용한 캄페롤의 Saos-2 세포분화효과
Saos-2 세포분화율(%)
농도(몰농도M) 캄페롤 쿠에르세틴 제니스테인
10-9M 138.2 ±10.5 98.1 ±3.4 117.7 ±6.8
10-8M 151.1 ±10.0 104.4 ±3.9 123.6 ±8.1
10-7M 142.0 ±19.9 101.2 ±3.1 122.5 ±7.4
10-6M 127.4 ±9.3 127.2 ±3.5 121.9 ±7.1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본 발명의 캄페롤이 쿠에르세틴 보다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발명의 캄페롤은 약제학적으로 적당한 담체와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 캅셀제등 경구제제로 제제화 할 수 있으며, 골다공증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캄페롤로서 1일 40mg~200mg을 2회-3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식물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의 한 종류인 캄페롤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캄페롤은 골다공증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에스트로겐성 물질이 결합하면 발현되는 유전자인 pS2를 측정하는 시험법(pS2 gene expression assay)의 결과로, 캄페롤에 의한 pS2 mRNA의 발현(밀도)이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쿠에르세틴 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2(17β-estradiol)에 가까운 밀도를 보여주고 있어 에스트로겐 수용체와의 결합에 의해 강한 에스트로겐으로서 작용함으로써 체내에서 골다공증 치료에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Claims (2)

  1. 캄페롤(Kaempfer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치료제.
  2. 제 1항에 있어서, 캄페롤을 경구제제로서 1일 80mg ~ 600mg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치료제.
KR1020040009922A 2004-02-16 2004-02-16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치료제 KR20050081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922A KR20050081595A (ko) 2004-02-16 2004-02-16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치료제
PCT/KR2005/000396 WO2005077358A1 (en) 2004-02-16 2005-02-14 Drug for osteoporosis comprising kampferol as the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922A KR20050081595A (ko) 2004-02-16 2004-02-16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595A true KR20050081595A (ko) 2005-08-19

Family

ID=3485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922A KR20050081595A (ko) 2004-02-16 2004-02-16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치료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81595A (ko)
WO (1) WO20050773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76B1 (ko) * 2006-04-27 2008-03-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케나프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캠프페롤 화합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1008764A2 (pt) * 2009-02-27 2018-07-24 Council Scient Ind Res microcápsula para liberação controlada para ação osteogênic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8579A (en) * 1991-02-06 1995-12-26 Biodyn Medical Research, Inc. Method for treatment of osteoporosis
EP1286667B1 (en) * 2000-06-02 2006-06-14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and/or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and/or inflammatory joint disea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76B1 (ko) * 2006-04-27 2008-03-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케나프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캠프페롤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0835710B1 (ko) * 2006-04-27 2008-06-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케나프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캠프페롤 화합물 및이의 식품으로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77358A1 (en)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Epimedium‐derived phytoestrogen flavonoids exert beneficial effect on preventing bone loss in late postmenopausal women: a 24‐month randomized, double‐blind and placebo‐controlled trial
US5599844A (e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athologies associated with abnormally proliferative smooth muscle cells
KR101141763B1 (ko) 체중 증가의 치료 및/또는 억제에 사용하는 약학 조성물
Hertrampf et al. The bone-protective effect of the phytoestrogen genistein is mediated via ERα-dependent mechanisms and strongly enhanced by physical activity
Lee et al. Ugonin K promotes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by activation of p38 MAPK-and ERK-mediated expression of Runx2 and osterix
US20130245110A1 (en) Use for cannabinoids
CN101443017B (zh) 抗乳癌和相关疾病的药物
US2004025331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 for alleviating side-effects of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Somjen et al. Estrogenic activity of glabridin and glabrene from licorice roots on human osteoblasts and prepubertal rat skeletal tissues
Liu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Liuwei Dihuang pill against KDM7A and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in diabetic nephropathy-related osteoporosis
Qiu et al. Puerarin specifically disrupts osteoclast activation via blocking integrin-β3 Pyk2/Src/Cbl signaling pathway
Hertrampf et al. Comparison of the bone protective effects of an isoflavone-rich diet with dietary and subcutaneous administrations of genistein in ovariectomized rats
EA008708B1 (ru) Применение фитоэстрогенсодержащих экстрактов, селективно модулирующих бета-рецептор эстрогена
Kang et al. Osteoprotective effects of estrogen membrane receptor GPR30 in ovariectomized rats
Wang et al. Tectoridin inhibits osteoclastogenesis and bone loss in a murine model of ovariectomy-induced osteoporosis
Guo et al. Effects of rhizoma drynariae cataplasm on fracture healing in a rat model of osteoporosis
Tanaka et al. (S)-Equol Is More Effective than (R)-Equol in Inhibiting Osteoclast Formation and Enhancing Osteoclast Apoptosis, and Reduces Estrogen Deficiency–Induced Bone Loss in Mice
CN109381515A (zh) 一种干扰或阻断ER-α36/EGFR信号环的物质在制备用于治疗疾病的药物中的应用
KR20050081595A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치료제
JP2006515276A (ja) 骨粗鬆症の予防及び治療効果を有するフラン誘導体並びにこれを含む薬学的組成物
Freddie et al. The effect of the new SERM arzoxifene on growth and gene expression in MCF-7 breast cancer cells
KR20050081597A (ko) 은행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암억제효과를갖는 골다공증 치료제
US20110091552A1 (en) Use of Bcl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Scarring Caused By Cutaneous Wounds, Burns and Abrasions
Ingle et al. Octreotide as first-line treatment for women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Pienta et al. Inhibition of prostate cancer growth by vinblastine and tamoxif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