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920A - 조각 맞추기 퍼즐 - Google Patents

조각 맞추기 퍼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920A
KR20050080920A KR1020040009095A KR20040009095A KR20050080920A KR 20050080920 A KR20050080920 A KR 20050080920A KR 1020040009095 A KR1020040009095 A KR 1020040009095A KR 20040009095 A KR20040009095 A KR 20040009095A KR 20050080920 A KR20050080920 A KR 20050080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piece
jigsaw
piece puzzle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화
Original Assignee
박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화 filed Critical 박경화
Priority to KR102004000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920A/ko
Publication of KR2005008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92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8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out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각 퍼즐 수용공간이 복수 개 형성된 퍼즐 케이스와, 다면체로 형성되어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문자 혹은 그림이 도시되며, 조각 퍼즐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을 포함한다. 그리고, 조각 퍼즐 수용공간은 조각 퍼즐이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맞추기 퍼즐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개개의 조각 퍼즐의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퍼즐의 위치의 우연성으로 인해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조각 맞추기 퍼즐 {PUZZLE FOR ASSEMBLING PIECES}
본 발명은 조각 맞추기 퍼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맞추기 퍼즐을 구현할 수 있는 조각 맞추기 퍼즐에 관한 것이다.
조각 맞추기 퍼즐이란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된 조각 퍼즐을 맞추어 하나의 일체된 그림이나, 의미 있는 문자나 단어를 형성하는 놀이 기구이다. 종래의 조각 맞추기 퍼즐은 골판지 등을 이용하여 표면에 그림 등을 인쇄한 다음 무수한 조각으로 분할하여 제공되며, 사용자는 분할된 조각을 제자리에 맞추어가며 그림을 완성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각 맞추기 퍼즐은 동일한 그림을 반복하여 맞추므로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며, 다양한 그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조각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68354호에 기재된 고안 (이하, '공지 고안'이라 부른다)은 각면에 서로 다른 문자나 그림의 일부가 도시된 육면체 형상의 조각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퍼즐 세트로 최대 6개의 퍼즐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지 고안은 각각의 퍼즐이 분리되어 있어, 분실의 우려가 크고, 각각의 퍼즐의 모양이 우연성이 없고 사용자가 직접 위치시켜야 하므로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맞추기 퍼즐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개개의 조각 퍼즐의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퍼즐의 위치의 우연성으로 인해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조각 맞추기 퍼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각 퍼즐 수용공간이 복수 개 형성된 퍼즐 케이스와, 다면체로 형성되어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문자 혹은 그림이 도시되며, 조각 퍼즐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을 포함하고, 조각 퍼즐 수용공간은 조각 퍼즐이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조각 맞추기 퍼즐을 제공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맞추기 퍼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조각 퍼즐이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퍼즐의 위치의 우연성으로 인해 다양한 놀이를 줄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퍼즐 수용부가 상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퍼즐 케이스와, 퍼즐 수용부 내에 상호 위치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조각 퍼즐 수용공간이 형성된 조각 퍼즐 수용체와, 다면체로 형성되어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문자 혹은 그림이 도시되며, 조각 퍼즐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을 포함하고, 조각 퍼즐 수용공간은 상기 조각 퍼즐이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조각 맞추기 퍼즐을 제시한다.
여기서, 조각 퍼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를 더 포함한다. 그러므로, 조각 퍼즐이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조각 퍼즐이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임시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퍼즐을 회전시켜 선택한 후 다른 퍼즐을 회전시키는 동안 외부의 충격에 의해 처음 퍼즐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조각 퍼즐 수용공간이 복수가 관통되어 형성된 퍼즐 케이스와, 다면체로 형성되어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문자 혹은 그림이 도시되며, 조각 퍼즐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과, 상기 조각 퍼즐이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퍼즐 케이스에 형성된 퍼즐 걸림턱을 포함하고, 조각 퍼즐 수용공간은 조각 퍼즐이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조각 맞추기 퍼즐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조각 맞추기 퍼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각 맞추기 퍼즐은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이 복수가 형성된 퍼즐 케이스(110)와,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120)과, 조각 퍼즐(120)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130)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조각 퍼즐(120)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 내부에서 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임시 고정 장치로 구성된다.
퍼즐 케이스(110)는 4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이 행렬로 복수개 형성된다.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은 조각 퍼즐(12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의 하부에는 임시 고정 장치 수용홈(112)이 아래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의 상부 개구에는 스톱퍼(1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스톱퍼 안착부(119)가 퍼즐 케이스(110)의 상면에서 요입되어 형성된다. 임시 고정 장치 수용홈(112)의 하면에는 스프링 이탈 방지 돌기(113)가 상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조각 퍼즐(120)은 6면(121)으로 구성된 실질적으로 6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모서리(122)가 면취된다. 그러나, 반드시 6면체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서리(122)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각 면(121)에는 문자나 그림이 도시된다. 바람직하게는 6개의 면 중 1면은 아무 것도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문자 맞추기 게임을 할 때 아무런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1열은 한자의 부수가 도시되며, 나머지 열은 1열의 부수와 결합하여 한자를 완성할 수 있는 문자가 도시된다.
스톱퍼(130)는 중앙에 퍼즐 노출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퍼즐수용공간(111)을 향하는 면이 조각 퍼즐(120)의 모서리부(12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흔들림 방지턱(13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톱퍼(130)가 퍼즐 케이스(110)에 착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부의 조각 퍼즐(120)을 교환할 수도 있다.
임시 고정 장치는 전술한 흔들림 방지턱(131)과, 조각 퍼즐(1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접압 부재(142)와, 접압 부재(142)에 접압력을 가하여 조각 퍼즐(120)을 흔들림 방지턱(131)을 향하여 접압시키는 접압 스프링(141)으로 구성된다. 접압 부재(142)는 조각 퍼즐(120)이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곡면(142)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스프링 이탈 방지 돌기(143)가 하향 돌출된다. 접압 스프링(141)의 일단은 퍼즐 케이스(110)의 스프링 이탈 방지 돌기(113)에 끼워지고, 타단은 스톱퍼(142)의 스프링 이탈 방지 돌기(143)에 끼워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본다.
먼저, 조각 퍼즐(120)의 회전 운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손으로 조각 퍼즐(120)의 상단을 밀게 되면, 조각 퍼즐(120)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가 조각 퍼즐(120)에서 손을 떼게되면, 접압 스프링(141)이 접압 부재(142)를 상방으로 밀게 되고, 접압 부재(142)는 조각 퍼즐(120)을 스톱퍼(130)의 흔들림 방지턱(131)을 향하여 밀게된다. 따라서, 퍼즐 케이스(110)에 외부에서 약한 충격이 가해져도, 조각 퍼즐이 쉽게 회전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모든 조각 퍼즐(120)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도 1과 같이, 1열에 한자의 부수가 도시되고, 나머지 열에 부수와 결합될 수 있는 문자가 도시됨으로서, 1인이 1열을 회전시켜 부수를 선택하고, 나머지 사람이 2 내지 4열을 회전 시켜 부수에 결합되는 문자를 선택하여 한자 맞추기 게임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한자가 조각 퍼즐(120)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영어, 한글 등을 도시하여 빙고 놀이 등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각 맞추기 퍼즐은 다면체로 형성된 조각 퍼즐이 퍼즐 케이스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됨으로써, 조각 퍼즐의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다양한 퍼즐 놀이를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조각 맞추기 퍼즐은 도 2의 조각 맞추기 퍼즐과 임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도 3에서는 접압 스프링(141)이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조각 퍼즐(120)의 면(121)을 지지하도록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에 설치된다. 따라서, 임시 고정 장치 수용홈(112)과, 접압 부재(142)와, 스프링 이탈 방지 돌기(113)는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각 퍼즐(120)이 정지된 상태에서 접압 스프링(141)이 조각 퍼즐(120)의 면(121)을 지지함으로써, 조각 퍼즐(12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4는 도 3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접압 스프링(141)이 조각 퍼즐(120)의 모서리(122)에 접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접압 스프링(141)이 조각 퍼즐(120)의 모서리(122)를 지지하여, 조각 퍼즐(120)을 흔들림 방지턱을 향하여 밀게된다. 그러므로,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도 조각 퍼즐(120)이 쉽게 회전하지 않는다. 그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도 3과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단면도에서는 임시 고정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으며, 조각 퍼즐 수용공간의 하부(114, 115)가 조각 퍼즐(120)의 일단에 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의 하면(114)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조각 퍼즐(120)의 일면에 접하며, 하면(114)에서 연장되는 하단 측부(115)는 조각 퍼즐(120)의 모서리(122)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서는 접압 스프링(141)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각 퍼즐(120)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111)의 하면(114)에 안착됨으로서, 조각 퍼즐(120)이 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7은 도 2의 임시 고정 장치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조각 퍼즐(12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임시 고정 장치는 퍼즐 수용공간(111)의 하면에 설치된 수용공간 자석(116)과, 수용공간 자석(116)과 반대되는 극성으로 조각 퍼즐(120)의 각 면(121)에 구비되는 퍼즐 자석(123)으로 구성된다. 즉, 수용공간(111)의 하면에 도 2와 같은 임시 고정 장치 수용홈(111)이 형성되지 않으며, 수용공간(111)의 하면이 편편하게 형성된다. 퍼즐 자석(123)은 조각 퍼즐(120)의 각 면(121)의 모서리 측에 구비되고, 수용공간 자석(116)은 조각 퍼즐(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조각 퍼즐(120)이 수용 공간(111)의 내부에 안착이 되면 퍼즐 자석(123)과 수용공간 자석(116)의 인력으로 인해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회전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조각 퍼즐이 결합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조각 퍼즐 수용공간(211)이 복수 관통되어 형성된 퍼즐 케이스(210a, 210b)와, 조각 퍼즐 수용공간(211)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120)로 구성된다.
퍼즐 케이스(210a, 210b)는 상 케이스(210a) 및 하 케이스(210b)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 케이스(210a) 및 하 케이스(210b)에는 조각 퍼즐(120)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2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퍼즐 걸림턱(22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조각 퍼즐(12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하 케이스(210b)의 조각 퍼즐 수용공간(211)에 조각 퍼즐(120)을 위치시킨 후 상 케이스(210a)를 결합하여 조립한다.
제 2 실시예의 동작은 사용자가 조각 퍼즐(120)을 회전시킨 후, 퍼즐 케이스를 바닥이나 편편한 곳에 놓게 되면, 바닥면이 조각 퍼즐(120)의 일면을 지지하게 되고, 조각 퍼즐 상면 모서리는 걸림턱(222)에 걸리게 되어, 조각 퍼즐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퍼즐 케이스(210)를 흔들게 되면, 조각 퍼즐(120)이 자유롭게 회전을 하게 되고, 퍼즐 케이스(210)를 바닥에 놓게 되면, 임의적으로 선택된 조각 퍼즐(120)을 보고 놀이를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9는 퍼즐판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조각 퍼즐의 사시도이다.
제 3 실시예의 조각 맞추기 퍼즐은 조각 퍼즐 수용공간(311)이 복수 형성된 퍼즐 케이스(310)와, 조각 퍼즐 수용공간(311)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120)과, 조각 퍼즐(120)이 일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퍼즐 수용 공간(311)에 설치된 회전축(321)과, 조각 퍼즐(120)의 일면(121)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311)의 개구에 드러나는 위치에 멈추도록 하는 스톱퍼(322, 323)고 구성된다.
퍼즐 케이스(310)는 4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조각 퍼즐 수용공간(311)이 행렬로 복수가 형성된다. 조각 퍼즐 수용공간(311)은 조각 퍼즐(12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조각 맞추기 퍼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퍼즐 케이스(310)의 일면에 형성된 끈 결합부(313)와, 끈 결합부(313)에 결합되는 끈을 구비한다.
조각 퍼즐(120)은 6 면체로 형성되며, 마주보는 2개의 면이 회전축(321)과 결합되며, 나머지 4개의 면 중 3개의 면에 문자나 그림이 도시되며, 1면은 아무런 문자가 도시되지 않는다.
스톱퍼(322, 323)는 회전축(321)의 일부가 각이져 형성된 각부(322)와, 상기 각부(322)에 접하도록 설치된 판 스프링(32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각 퍼즐(120)의 상면을 밀어서 회전시키면, 조각 퍼즐(120)이 회전을 하게 되고, 각부(322)와 판 스프링(323)의 작용으로 인해 조각 퍼즐(121)의 면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311)의 개구에 드러났을 때 멈출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은 조각 맞추기 퍼즐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조각 퍼즐 수용체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절단선 ⅩⅢ-ⅩⅢ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조각 맞추기 퍼즐은 퍼즐 수용부(401)가 상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퍼즐 케이스(400)와, 퍼즐 수용부(401) 내에 상호 위치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조각 퍼즐 수용공간(411)이 형성된 조각 퍼즐 수용체(410)와, 조각 퍼즐 수용공간(411)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420)과, 조각 퍼즐(420)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4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130)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조각 퍼즐(420)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411) 내부에서 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임시 고정 장치로 구성된다.
퍼즐 케이스(400)는 퍼즐 수용부(401)를 감싸도록 4개의 측벽(402-405)을 구비한다. 제 1 측벽(402)과 제 3 측벽(404)의 퍼즐 수용부(401) 측에는 케이스 슬라이딩 홈(미도시)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요입되어 형성되며, 제 2 측벽(403)과 제 4 측벽(405)의 퍼즐 수용부(401) 측에는 케이스 슬라이딩 리브(미도시)가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퍼즐 수용체(410)는 4 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 4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조각 퍼즐 수용공간(411)의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퍼즐 수용체(410)의 하단의 제 1 측벽(402)과 제 3 측벽(404)을 바라보는 면에는 수용체 슬라이딩 리브(417)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 2 측벽(403)과 제 4 측벽(405)을 바라보는 면에는 수용체 슬라이딩 홈(419)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체 슬라이딩 리브(417)는 수용체 슬라이딩 홈(419) 및 케이스 슬라이딩 홈에 끼워져 슬라이딩 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수용체 슬라이딩 홈(419)은 수용체 슬라이딩 리브(417) 및 케이스 슬라이딩 리브(미도시)가 끼워져 슬라이딩 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퍼즐 수용체(410)를 서로 위치를 교환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그 이외의 조각 퍼즐(120)과, 스톱퍼(130)와 임시 고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제 1 실시예 및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조각 퍼즐, 스톱퍼 및 임시 고정 장치에 대한 미설명 구조는 도 1 실시예 및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변형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조각 퍼즐이 다면체로 형성되어 각 면마다 다양한 종류의 글과 그림을 도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맞추기 퍼즐을 구현하여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다.
또한, 스톱퍼를 구비하여 조각 퍼즐이 조각 퍼즐 수용공간 내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개개의 조각 퍼즐의 분실의 우려가 없다.
그리고, 퍼즐이 자유롭게 회전을 할 수 있으므로, 퍼즐의 위치의 우연성으로 인해 더욱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임시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조각 퍼즐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조각 맞추기 퍼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조각 퍼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조각 퍼즐이 결합된 부분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9는 퍼즐판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조각 퍼즐의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은 조각 맞추기 퍼즐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조각 퍼즐 수용체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절단선 ⅩⅢ-ⅩⅢ의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3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310, 400: 퍼즐 케이스
111, 211, 311, 411: 조각 퍼즐 수용공간
116, 416: 수용공간 자석 120: 조각 퍼즐
123: 조각 퍼즐 자석 130: 스톱퍼
131: 흔들림 방지턱 141: 접압 스프링
142: 접압 부재 222: 걸림턱
321: 회전축 401: 퍼즐 수용부
410: 조각 퍼즐 수용체
417, 418: 수용체 슬라이딩 리브 419: 수용체 슬라이딩 홈

Claims (23)

  1. 조각 퍼즐 수용공간이 복수 개 형성된 퍼즐 케이스; 및
    다면체로 형성되어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문자 혹은 그림이 도시되며,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을 포함하고,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은 상기 조각 퍼즐이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은 상기 퍼즐 케이스에 행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3. 퍼즐 수용부가 상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퍼즐 케이스;
    상기 퍼즐 수용부 내에 상호 위치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조각 퍼즐 수용공간이 형성된 조각 퍼즐 수용체; 및
    다면체로 형성되어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문자 혹은 그림이 도시되며,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을 포함하고,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은 상기 조각 퍼즐이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퍼즐 수용체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 중 인접하는 2 개의 측면에는 수용체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체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측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대응되는 수용체 슬라이딩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퍼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
    를 더 포함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중앙에 퍼즐 노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의 개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조각 퍼즐이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임시 고정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장치는,
    상기 조각 퍼즐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흔들림 방지턱; 및
    상기 조각 퍼즐을 지지하여, 상기 조각 퍼즐을 상기 흔들림 방지턱을 향하여 접압시키는 접압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장치는,
    상기 접압 스프링의 상기 조각 퍼즐측 일단에 설치된 접압 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압 부재는 상기 조각 퍼즐과 접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퍼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의 개구에 결합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조각 퍼즐의 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퍼즐 노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흔들림 방지턱은 상기 스톱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압 스프링은
    상기 조각 퍼즐을 접압하도록 설치된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장치는,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의 일면에 설치된 수용공간 자석; 및
    상기 수용공간 자석에 반대되는 극성으로 상기 조각 퍼즐의 각면에 배치된 조각 퍼즐 자석;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퍼즐 자석은 상기 조각 퍼즐의 각면의 모서리 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퍼즐이 일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퍼즐 수용공에 설치된 회전축;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조각 퍼즐이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임시 고정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장치는 상기 조각 퍼즐의 일면에 접압력을 가하는 접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18. 조각 퍼즐 수용공간이 복수가 관통되어 형성된 퍼즐 케이스;
    다면체로 형성되어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문자 혹은 그림이 도시되며,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조각 퍼즐; 및
    상기 조각 퍼즐이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퍼즐 케이스에 형성된 퍼즐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조각 퍼즐 수용공간은 상기 조각 퍼즐이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 케이스는 상기 조각 퍼즐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2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18 항 및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퍼즐은 모든 면에 문자 혹은 그림이 도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2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18 항 및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퍼즐의 한 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문자 혹은 그림이 도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2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18 항 및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퍼즐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며, 코너부가 절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2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18 항 및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퍼즐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며, 코너부가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 맞추기 퍼즐.
KR1020040009095A 2004-02-11 2004-02-11 조각 맞추기 퍼즐 KR20050080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95A KR20050080920A (ko) 2004-02-11 2004-02-11 조각 맞추기 퍼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95A KR20050080920A (ko) 2004-02-11 2004-02-11 조각 맞추기 퍼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920A true KR20050080920A (ko) 2005-08-18

Family

ID=3726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095A KR20050080920A (ko) 2004-02-11 2004-02-11 조각 맞추기 퍼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9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7851A1 (en) * 2006-07-08 2008-01-17 Hyun-Jeen Kim Polyhedral playing card set
WO2017099324A1 (ko) * 2015-12-10 2017-06-15 염상익 모바일 직소 퍼즐 구조체
KR102120972B1 (ko) * 2019-02-01 2020-06-17 한세준 게임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게임 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7851A1 (en) * 2006-07-08 2008-01-17 Hyun-Jeen Kim Polyhedral playing card set
WO2017099324A1 (ko) * 2015-12-10 2017-06-15 염상익 모바일 직소 퍼즐 구조체
KR102120972B1 (ko) * 2019-02-01 2020-06-17 한세준 게임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게임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4932B2 (en) Shuffler device for game pieces
KR930010039B1 (ko) 회전 게임 장치
US3888443A (en) Support stand for puzzle blocks or other items
US10004978B2 (en)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moving members
US5261666A (en) Game device
US20020109298A1 (en) Collectible dice
AU8739698A (en) Game apparatus
US4136883A (en) Game board apparatus
US20080064461A1 (en)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KR20050080920A (ko) 조각 맞추기 퍼즐
US6354841B1 (en) Educational toy clock
KR200414047Y1 (ko) 스도쿠 퍼즐 게임구
EP1825892A1 (en) Three dimensional jigsaw puzzle
WO2009019674A2 (en) Self contained board games
US20080001357A1 (en) Game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Word Game With Hand-Held Scrambling Device
KR20110001879U (ko) 내부 하우징을 구비한 큐브
US5769423A (en) Board game and method
US5443263A (en) Spacial component configuration system
GB2290406A (en) Cube and tray game set
KR20160021369A (ko) 비고정 결합수단을 갖는 학습 완구
US4593910A (en) Board game
US7125255B2 (en) Puzzle
KR100513101B1 (ko) 볼 인출용 유희구
WO2004039465A1 (en) Three-dimensional puzzle device
KR200318344Y1 (ko) 번호추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