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172A - 생체 인증 시 음성인식 활용 방안 - Google Patents

생체 인증 시 음성인식 활용 방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172A
KR20050080172A KR1020050066104A KR20050066104A KR20050080172A KR 20050080172 A KR20050080172 A KR 20050080172A KR 1020050066104 A KR1020050066104 A KR 1020050066104A KR 20050066104 A KR20050066104 A KR 20050066104A KR 20050080172 A KR20050080172 A KR 20050080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voice recognition
biometric authentication
speech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익현
Original Assignee
(주)예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예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5006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172A/ko
Publication of KR2005008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17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70Multimodal biometrics, e.g. combin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biometric mod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인증 시 음성인식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것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등에서 인증의 비교 대상이 되는 사용자 범위를 좁힘으로써 인증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하고 동시에 인증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 요청자는 먼저 마이크를 통해 식별/그룹 정보를 발성하게 되고 이후에 생체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식별/그룹 정보는 이름, 주민번호, 사번과 같이 개인 식별을 위한 정보일 수도 있고 개인이 속한 부서명칭, 아파트호수, 아파트층수와 같이 소속된 그룹의 정보일 수도 있다.

Description

생체 인증 시 음성인식 활용 방안 { a methodology about using speech recognition in bio-metric verification process }
본 발명은 생체인증 시 음성인식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것으로 생체인증의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생체 인증 기술에는 인증의 수단에 따라 몇 가지가 존재하며 인증 수단에는 지문, 홍채, 얼굴, 손, 음성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근본적으로 인증 과정은 1:1 비교과정이다. 인증 요청자가 입력한 생체적 특징이 미리 등록되어 저장되어 있는 특징과 일치한다고 할 만큼 유사한지를 비교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회사나 아파트 입구의 출입 관리 제어에서처럼 인증 요청자가 출입 혹은 접근이 허가된 여러 사람들 중 한명인 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1:1 비교과정을 최대 사람 수만큼 반복해야한다. 이 경우 사람 수가 많아지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인증 요청자가 실제로 허가된 사람들 중 한명이 아닐 경우에도 통과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비슷한 특징을 가진 사람이 미리 등록되어 있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생체인증 기술에서는 우선 사원번호 혹은 주민번호 등 개인 식별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입력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사람의 저장된 특징하고만 비교하여 결정하게 된다. 즉, 식별정보 입력 과정을 앞에 둠으로써 인증속도와 인증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방식에서 식별 정보 입력은 대부분 버튼에 의해 이루어졌다. 입력의 내용이 주로 주민번호, 사원번호, 전화번호, 아파트호수 등 숫자열이므로 잊어버릴 수도 있고 손을 뻗어 입력해야 하므로 번거로울뿐더러 짐을 들고 있을 경우나 장애인 혹은 어린아이의 경우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식별 정도에 대한 망각의 위험과 입력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마그네틱이나 RF방식의 출입카드가 이용될 수 있으나 발급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고 분실의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생체 인증 시 인증시간과 정확도 향상을 위해 본격적인 인증단계 이전에 식별 정보 입력을 수행하면서도 망각의 위험, 입력의 번거로움, 분실의 위험, 추가 비용 발생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시 음성인식 활용의 절차적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차가 구동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를 감지(S100)하여야 한다. 이는 생체인증 절차를 구동하기 위함인 동시에 음성인식을 구동하기 위한 동기가 된다. 사용자 감지를 위한 방법은 사용되는 생체 인증 방식에 따른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거나 적외선을 이용한 비접촉식 감지 센서를 이용한다.
사용자가 감지되면(S100)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를 이용해 식별정보를 요청하게 된다(S11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절한 식별정보를 나타낸 도표이다. 개인의 고유한 정보를 나타내는 개인 식별정보와 개인이 속한 그룹의 정보를 나타내는 그룹 식별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그룹 식별정보는 개인 식별정보 이용시보다 대상을 많이 포함하므로 생체 인증범위를 좁히는 측면에서는 덜 효과적이라 여길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식별정보 발성에 따른 노출을 꺼려할 경우 적절하다. 또한 식별 정보 한가지만 요청하고 발성할 수도 있는 반면 2가지 이상의 식별 정보 조합을 수용할 경우 발성간의 변별력이 증가되므로 음성인식과정에서의 발생 가능한 오류가 감소되고 동시에 동명이인 처리를 별도의 질의 과정 없이 처리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 음성인식 결과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식별정보 요청(S110)에 따라 사용자가 발성을 하게 되면 음성인식 과정을 거치게 된다(S120). 음성인식 결과는 최고의 점수를 갖는 한 개의 값만 나타낼 수도 있고(one-best 방식) 점수에 따른 내림차순으로 여러 개의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N-best 방식). 몇 개까지의 값을 나타낼 지는 설정하기에 따라 다르며 대부분의 음성인식 업체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기능이다. 여러 개의 값을 나타낼 경우 정답이 포함될 가능성이 커지므로 음성인식 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오류에 의해 사용자가 재시도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개인 식별정보에 대한 인식결과 뿐만 아니라 그룹 식별정보에 대한 인식 결과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대상 리스트 결정단계로서 음성인식 결과에 따른 인증대상 리스트를 예시한 도표이다. 음성인식 결과가 나오면 이를 기반으로 생체 인증 대상을 결정하게 된다(S130). 생체 인증은 개인에 대한 인증절차이므로 음성인식의 결과가 개인 식별정보일 경우 이는 인증대상 리스트와 일치하게 되며 반면 그룹 식별정보일 경우 해당 그룹에 포함된 구성원들의 합이 인증의 대상이 된다.
인증 대상의 리스트가 결정이 되면 해당되는 생체 인증의 방법에 따라 리스트 구성원 수만큼 1:1 인증을 실시하게 된다(S140). 리스트 구성원 중에서 인증에 통과되는 경우가 존재하면 인증에 성공하는 것이고 한명도 통과되지 않을 경우 인증에 실패하는 것이다. 성공할 경우 접근 혹은 출입을 허용(S150)하며 실패할 식별정보요청(S100)부터 재시도 하되 특정 횟수 이상 실패 시는 담당자에게 연결도록 하여 처리한다(S150-1).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해, 생체 인증 시 인증의 범위를 인증의 범위를 줄임으로써 인증시간과 정확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비슷한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기술 중 사원번호나 주민번호 등 숫자로 구성된 개인 번호의 버튼 입력 방식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은 근거리에서의 발성을 통해 비접촉 방식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다양하고 외우기 쉽기 때문에 잊어버릴 위험이 감소된다. 또한 비슷한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기술 중 RF 방식의 출입카드는 편리하고 빠른 반면 비용이 발생하고 분실의 위험과 불편함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 이용이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시 음성인식 활용의 절차적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절한 식별정보를 나타낸 도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 음성인식 결과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대상 리스트 결정단계로서 음성인식 결과에 따른 인증대상 리스트를 예시한 도표.

Claims (5)

  1. 생체 인증 기술을 이용한 개인 인증 방법에 있어서, 인증 단계 이전에 음성인식을 활용함으로써 인증의 속도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 음성인식 활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생체인증 장치 혹은 적외선 센서에 의한 사용자 감지 단계(S100),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10), 식별정보를 음성인식 하는 단계(S120), 음성인식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체인증 대상 리스트를 결정 하는 단계(S130), 결정되 대상들에 대한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 음성인식 활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개인식별정보 발성에 따른 정보노출 꺼림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 식별정보 뿐 아니라 그룹 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정보 요청 단계(S110).
  4. 제3항에 있어서,
    도 2의 도표에 명시된 구체적 식별정보들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정보 요청 단계(S110).
  5. 제2항에 있어서,
    음성인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하기 위해 여러 개의 인식결과(N-best)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정보 음성인식 단계(S120).
KR1020050066104A 2005-07-21 2005-07-21 생체 인증 시 음성인식 활용 방안 KR20050080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104A KR20050080172A (ko) 2005-07-21 2005-07-21 생체 인증 시 음성인식 활용 방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104A KR20050080172A (ko) 2005-07-21 2005-07-21 생체 인증 시 음성인식 활용 방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72A true KR20050080172A (ko) 2005-08-11

Family

ID=3726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104A KR20050080172A (ko) 2005-07-21 2005-07-21 생체 인증 시 음성인식 활용 방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1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7249B2 (en) 2016-10-03 2022-12-13 Google Llc Multi-user personalization at a voice interfac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7249B2 (en) 2016-10-03 2022-12-13 Google Llc Multi-user personalization at a voice interfac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030B2 (en) Conditional and situational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enrollment
US6160903A (en) Method of providing secure user access
EP27847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ng personalized account identifiers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self-learning algorithms
US20020152078A1 (en) Voiceprint identification system
WO2014186255A1 (en) Systems,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authenticating users using voice streams
US200702197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knowledge questions
JPH0354600A (ja) 不明人物の同一性検証方法
JP2006285205A (ja) 対象者の登録受け入れ可否を判定する音声バイオメトリックス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064652B2 (en) Multimodal concierge for secure and convenient access to a home or building
JP2002236665A (ja) 個人認証装置
US20240086513A1 (en) Adjusting biometric detection thresholds based on recorded behavior
WO2005069221A1 (ja) パターン識別システム、パターン識別方法、及びパターン識別プログラム
JP2002230553A (ja) 個人認証装置
US20070233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e categorization
JP3590285B2 (ja) 生体情報認識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882281B1 (ko) 생체인식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00701583B1 (ko) 타인수락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생체정보 인증방법
KR20050080172A (ko) 생체 인증 시 음성인식 활용 방안
KR101926709B1 (ko) 생체 인증 및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3044858A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方法
KR102251737B1 (ko) 지문 인증방법
JP2011076289A (ja) 生体認証装置
JP2023011291A (ja) 生体認証システム、入退管理システム、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生体認証方法
JPH10261083A (ja) 個人同定装置及び個人同定方法
JP2002014695A (ja) 対話型本人認証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