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716A - 가동식 삽입체를 갖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 Google Patents

가동식 삽입체를 갖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716A
KR20050079716A KR1020040007812A KR20040007812A KR20050079716A KR 20050079716 A KR20050079716 A KR 20050079716A KR 1020040007812 A KR1020040007812 A KR 1020040007812A KR 20040007812 A KR20040007812 A KR 20040007812A KR 20050079716 A KR20050079716 A KR 20050079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stopper
guide tube
coupled
foreig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명하
Original Assignee
홍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명하 filed Critical 홍명하
Priority to KR102004000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9716A/ko
Publication of KR2005007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7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25D1/12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having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수관의 관내에 끼어 관 막힘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가동식 삽입체를 구비한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는 하수관 내로 삽입되는 가요성 있는 중공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홈이 나사꼴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각형의 걸림구멍이 형성된 삽입체마개와, 상기 삽입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복수의 절개선이 원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반경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수거날개와, 중공원통 형상이며 상기 삽입체가 삽입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삽입체마개가 있는 측에서 상기 가이드관의 일단에 결합되며 관통구멍이 형성된 가이드관마개와,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체의 홈을 안내하는 안내블럭과, 상기 삽입체마개의 걸림구멍의 형상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각형 기둥형상이고 상기 걸림구멍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삽입체마개와 함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관통구멍에 대해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동식 삽입체를 갖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APPARATUS FOR REMOVING CLOGGING MATERIAL FROM PIPE HAVING MOVABLE INSERT}
본 발명은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수관의 관내에 끼어 관 막힘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가동식 삽입체를 구비한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에 관한 것이다.
주방, 욕실, 화장실 등 건물 내에 설치된 하수관에는 트랩이나 밸브작동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관 사이에 연결부,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기도 하다. 음식찌꺼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들이 이러한 트랩이나 밸브작동기구 또는 연결부, 굴곡부에 걸리면 관 전체가 막힐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런 이물질이 하수관에 진입하기 전에 걸러내기 위해 하수관의 유입구에는 철망 등으로 된 거름망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세면대나 욕조에는 거름망이 없는 경우가 많고, 특히 양변기용 배수관에는 거름망을 설치할 수가 없는 바, 고형체인 이물질이 배수관을 막고 있을 경우 이를 제거해야할 필요가 있다.
하수관, 특히 양변기용 배수관의 막힘을 해소하기 위한 방식에는 크게 세가지가 있다. 첫째는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배수관을 막고 있던 이물질을 밀어내는 방식이며, 둘째는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용해시키는 방식이고, 셋째는 갈고리 등을 관내로 삽입하여 이물질을 직접 꺼내거나 밀어내는 방식이다.
특히 세번째의 방식과 관련하여, 고안의 명칭이 '배수관 이물질 수거기구'이고 2002년 5월 7일자로 출원되어 2002년 7월 30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5246에는 손잡이의 중공에 삽입된 와이어와, 와이어의 일단과 손잡이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손잡이의 일측으로부터 차례로 연결된 복수의 이격구와, 이격구 사이에 개재된 수거구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지지하여 수거구의 이탈을 막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고안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관내로 이격구 및 수거구 부분을 진입시키거나 퇴거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수거기구 전체를 밀거나 당겨야 하므로 조작이 불편하며, 수작업에 의하므로 관내 굴곡부나 관이음턱 등에 끝단이 부딪히면서 관에 손상을 줄 위험성이 상존한다. 또한, 관내로 삽입되었을 때 관내의 하수나 오물에 노출되었던 부분이 관외로 꺼내어진 뒤에도 그대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있으므로 작업간, 또는 이동중 오물이 건물내의 바닥에 떨어질 수 있어 매우 비위생적이다.
본 발명은 관내로 삽입될 부분을 가동식으로 하여 조작을 편리하게 하고, 관내로 삽입되었던 부분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킨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는 하수관 내로 삽입되는 가요성 있는 중공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홈이 나사꼴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각형의 걸림구멍이 형성된 삽입체마개와, 상기 삽입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복수의 절개선이 원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반경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수거날개와, 중공원통 형상이며 상기 삽입체가 삽입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삽입체마개가 있는 측에서 상기 가이드관의 일단에 결합되며 관통구멍이 형성된 가이드관마개와,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체의 홈을 안내하는 안내블럭과, 상기 삽입체마개의 걸림구멍의 형상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각형 기둥형상이고 상기 걸림구멍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체마개와 함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상기 관통구멍에 대해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직경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날개는 상기 소직경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수거날개의 가동 범위를 넓힐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거날개는 복수의 절개선으로 구획된 각 날개편이 상기 삽입체마개 측으로 절곡되어 밑면이 개방된 원뿔대 형상을 이루는 것이 이물질 제거에 더욱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는 사용상 편의를 위해 상기 가이드관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막대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막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삽입체마개가 상기 회전막대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막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체마개의 걸림구멍보다 크고 상기 삽입체의 내경보다는 작은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막대가 상기 가이드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관마개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회전막대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관마개의 관통구멍보다 큰 직경의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의 홈은 상기 삽입체의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투각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형상인 코일스프링을 삽입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블럭은 핀 형상이거나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나사산 형상을 이룰 수 있는데 이 형상은 역시 코일스프링과 유사하므로 상기 안내블럭은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에 장착된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수거날개 및 소직경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의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수거날개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회전막대, 가이드관마개 및 삽입체마개의 분해사시도이다.
삽입체(100)는 외주면에 나사꼴로 홈이 형성된 중공원통 형상이며, 그 일단에 삽입체마개(110)가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 수거날개(200)가 결합되어 있다. 삽입체(1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곡진 하수관의 내부로 삽입되어야 하므로 가요성이 있어야 한다. 삽입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은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투각되어 있을 수도 있다.
삽입체마개(110)에는 각형의 걸림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구멍(111)은 후술할 회전막대(50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는데, 회전막대가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때 삽입체마개(1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구멍(111)은 회전막대(500)의 횡단면의 모양에 형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날개(200)는 원판 형상의 탄력 있는 금속 박판으로서, 원주로부터 중심을 향해 복수의 절개선이 반경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절개선은 수거날개(200)를 복수의 날개편(201)으로 구획한다.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거날개(200)가 관내 이물질(50)에 접근하여 접촉할 경우 이물질과 접촉한 날개편(201)이 쉽게 구부러지면서 이물질(50)이 최대한 밀려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삽입체(100)를 하수관(10) 내로 진입시킬 때에는 수거날개(200)의 각 날개편(201)이 더욱 쉽게 구부러지고 이물질(50)을 통과한 후 하수관(10) 밖으로 퇴거시에는 이물질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거날개(200)의 각 날개편(201)을 상기 삽입체마개 측으로 절곡시켜 수거날개(200)가 전체적으로 밑면이 없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거날개(200)가 결합되는 삽입체(100)의 단부에 직경이 삽입체보다 작은 소직경부재(120)를 결합하고, 수거날개(200)는 상기 소직경부재(12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직경부재(120)가 구비되어 있으면 수거날개(200)의 날개편(201)의 가동범위가 넓어지므로 이물질을 밀어내지 않고 끌어내는 데에 더욱 적합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물질(50)을 보다 확실히 끌어내기 위해 수거날개(200)를 복수 개 설치할 수도 있다. 수거날개(200)를 소직경부재(12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거날개(200)에 구멍을 형성하여 소직경부재를 관통시키고 소직경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고정볼트(210)를 나사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체(100)는 가이드관(300)의 중공에 삽입된다. 가이드관(300)은 중공원통 형상으로서, 사기 삽입체 마개가 있는 측의 일단에 가이드관마개(310)가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관마개(310)에는 관통구멍(311)이 형성되어 있는데, 관통구멍(311)은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막대(500)가 단순히 관통하는 구멍으로, 회전막대(500)가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여도 가이드관마개(310)는 회전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가이드관(300)의 내주면에는 삽입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블럭(400)이 결합되어 있다. 안내블럭(400)은 핀 형상이어도 되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관(3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안내블럭(400)은 가이드관(300)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별도 제작후 끼워맞춤 혹은 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도 있다. 안내블럭(400)과 삽입체(100)의 나사꼴 홈은 너트 및 볼트의 관계와 같이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조이므로, 삽입체(100)를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삽입체(100)가 가이드관(300)의 단부로부터 밀려나오거나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관(300)의 타단, 즉 가이드관마개(310)가 결합된 단부의 반대편 단부는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양변기(20)와 같이 관의 유입구부터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삽입체(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막대(50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막대(500)는 사각기둥 형상이지만 삼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나아가 복합 단면 기둥이라도 회전시 원주방향으로 걸림단을 형성할 수 있는 기둥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회전막대(500)의 일단에는 회전막대를 원활히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51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손잡이(510)는 회전막대의 일단에 결합된 바퀴 형태이지만, 회전막대의 일단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막대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회전막대(500)를 앞서 설명한 바 있는 가이드관마개(310)의 관통구멍(311)을 관통하여 삽입체마개(110)의 걸림구멍(111)에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510)를 이용해 회전막대(500)를 회전시키면 삽입체마개(110)가 결합된 삽입체(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삽입체(100)는 회전하면서 가이드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운동을 하더라도 회전막대(500)는 제자리에서 길이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운동만 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전막대(500)의 외주면에 두 개의 슬리브(530)를 결합하되, 하나의 슬리브는 가이드관(300)의 외측에 위치하여 회전막대(500)가 가이드관(300) 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막고, 다른 하나의 슬리브는 가이드관(300)의 내측에 위치하여 회전막대(500)가 가이드관(3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체(100)가 점차로 이동하여 삽입체마개(110)가 회전막대(5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막대(500)의 타단, 즉 상기 손잡이(510)가 결합된 단부의 반대편의 단부에는 스토퍼(520)를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 때, 스토퍼(520)가 삽입체마개(110)의 걸림구멍(111)을 통과할 수 없는 정도의 크기를 가져야 하면서도 삽입체(100)의 내주면과 구조적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야 함은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코일스프링(100')이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삽입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가이드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된 제2 코일스프링(400')은 제1 실시예의 안내블럭의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업용 부품인 코일스프링을 통해 삽입체 및 안내블럭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제조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블럭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코일스프링(400')이 가이드관(300) 내에서 슬라이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코일스프링(400')을 가이드관의 내주면에 용접하거나, 가이드관의 중공에 끼워맞춤하거나, 제2 코일스프링(400')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가이드관(300)의 내주면에 고정부재(32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고정부재(320)는 가이드관(30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코일스프링(100')의 외경은 적어도 가이드관(300)의 내경보다는 작아야 하겠지만, 바람직하게는 제2 코일스프링(400')의 내경보다는 크고 외경보다는 작은 것이 좋다. 본 제2 실시예는 제1 코일스프링(100'), 제2 코일스프링(400') 및 고정부재(320)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코일스프링(100')이 자체적으로 가요성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가요성 있는 중공원통 형상 부품을 제조할 필요가 없으며, 제2 코일스프링(400')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이드관(300)의 내주면에 별도로 제작된 안내블럭을 결합하거나 내주면과 일체로 안내블럭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시킨다. 또한 기존의 산업용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교환이 용이하여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는 나사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삽입체를 관내로 진입시키거나 퇴거시킬 수 있으며, 관내로 삽입된 삽입체의 길이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중 하수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내의 하수 및 오물에 노출되었던 삽입체를 가이드관내로 수용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다. 그리고, 수거날개가 관내로 진입할 때는 이물질을 밀어내지 않고 관외로 퇴거될 때는 이물질을 끌어낼 수 있으므로 이물질 제거에 보다 효과적이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업용 부품인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를 제조하는 경우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됨은 물론 생산성이 향상되고 유지관리 또한 간편하다. 그리고, 코일스프링의 탄력적인 변형에 의해 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배가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2a는 도 1의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수거날개 및 소직경부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도 1의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수거날개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회전막대, 가이드관마개 및 삽입체 마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삽입체 110 삽입체마개
200 수거날개 300 가이드관
310 가이드관마개 400 안내블럭
100' 제1 코일스프링 400' 제2 코일스프링
500 회전막대 510 손잡이
520 스토퍼

Claims (10)

  1. 하수관 내로 삽입되는 가요성 있는 중공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홈이 나사꼴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각형의 걸림구멍이 형성된 삽입체마개와,
    상기 삽입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복수의 절개선이 원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반경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수거날개와,
    중공원통 형상이며 상기 삽입체가 삽입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삽입체마개가 있는 측에서 상기 가이드관의 일단에 결합되며, 관통구멍이 형성된 가이드관마개와,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체의 홈을 안내하는 안내블럭과,
    상기 삽입체마개의 걸림구멍의 형상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각형 기둥형상이고, 상기 걸림구멍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체마개와 함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상기 관통구멍에 대해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직경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날개는 상기 소직경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날개는 복수의 절개선으로 구획된 각 날개편이 상기 삽입체마개 측으로 절곡되어 밑면이 개방된 원뿔대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막대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막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삽입체마개가 상기 회전막대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막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체마개의 걸림구멍보다 크고 상기 삽입체의 내경보다는 작은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막대가 상기 가이드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관마개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회전막대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관마개의 관통구멍보다 큰 직경의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의 홈은 상기 삽입체의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투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블럭은 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블럭은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나사산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블럭은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에 장착된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KR1020040007812A 2004-02-06 2004-02-06 가동식 삽입체를 갖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KR20050079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812A KR20050079716A (ko) 2004-02-06 2004-02-06 가동식 삽입체를 갖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812A KR20050079716A (ko) 2004-02-06 2004-02-06 가동식 삽입체를 갖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716A true KR20050079716A (ko) 2005-08-11

Family

ID=3726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812A KR20050079716A (ko) 2004-02-06 2004-02-06 가동식 삽입체를 갖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971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54Y1 (ko) * 2009-01-09 2011-03-09 한아툴스 (주) 배수관 청소도구
KR101504870B1 (ko) * 2014-05-13 2015-03-20 김승일 변기 또는 배수관의 막힘을 뚫는 기구
KR200482429Y1 (ko) * 2016-02-16 2017-01-23 이순호 막힘 해소장치를 갖는 양변기
CN109083242A (zh) * 2018-08-23 2018-12-25 肖四杨 一种用于马桶顽固堵塞物的管道疏通装置
KR102074207B1 (ko) * 2018-12-21 2020-02-06 추선민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장치
WO2020138524A1 (ko) * 2018-12-26 2020-07-02 추선민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1468A (ja) * 1975-01-14 1976-07-16 Ohashi Kazuo Gomijokyosagyokanyohetsudobuzai
JPS5243367U (ko) * 1975-09-22 1977-03-28
JPS5718074U (ko) * 1980-06-30 1982-01-29
KR930000885U (ko) * 1991-06-05 1993-01-20 오원방 실내 하수관용 이물질 제거구
JPH05329453A (ja) * 1992-05-28 1993-12-14 Isao Shirayanagi 曲管の内面掃除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1468A (ja) * 1975-01-14 1976-07-16 Ohashi Kazuo Gomijokyosagyokanyohetsudobuzai
JPS5243367U (ko) * 1975-09-22 1977-03-28
JPS5718074U (ko) * 1980-06-30 1982-01-29
KR930000885U (ko) * 1991-06-05 1993-01-20 오원방 실내 하수관용 이물질 제거구
JPH05329453A (ja) * 1992-05-28 1993-12-14 Isao Shirayanagi 曲管の内面掃除具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54Y1 (ko) * 2009-01-09 2011-03-09 한아툴스 (주) 배수관 청소도구
KR101504870B1 (ko) * 2014-05-13 2015-03-20 김승일 변기 또는 배수관의 막힘을 뚫는 기구
KR200482429Y1 (ko) * 2016-02-16 2017-01-23 이순호 막힘 해소장치를 갖는 양변기
CN109083242A (zh) * 2018-08-23 2018-12-25 肖四杨 一种用于马桶顽固堵塞物的管道疏通装置
CN109083242B (zh) * 2018-08-23 2020-07-10 嘉兴市建美轻体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马桶顽固堵塞物的管道疏通装置
KR102074207B1 (ko) * 2018-12-21 2020-02-06 추선민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장치
WO2020138524A1 (ko) * 2018-12-26 2020-07-02 추선민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51060A1 (en) Debris entrapment apparatus
DE60207260T2 (de) Befestigungsanordnung für sanitärreglerarmatur
US9670656B2 (en) Quick release mechanisms for plumbing tools
US9194114B2 (en) Drain pipe cleaning device and method
WO2011160000A2 (en) Drain stopper assembly
US5546614A (en) Refuse collector drainpipe insert
AU200632320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conduit
US10443225B2 (en) Telescoping drum auger extension tool
US20110056007A1 (en) Toilet and Urinal Drain Unclogging Device and Method
KR20050079716A (ko) 가동식 삽입체를 갖는 관내 이물질 제거용구
US5765251A (en) Self adjusting device for removal of obstructions from drain pipes
DE102007025290B4 (de) Sanitäre Auslaufarmatur
KR102417313B1 (ko) 배관청소장치
US5862534A (en) Toilet drain cleaning tool
EP3064663B1 (de) Sanitäreinrichtung
EP2700760B1 (de) Dusch-WC mit ausbaubarem Duscharm
KR200426500Y1 (ko)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JP6528061B2 (ja) 磁石を用いた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US20060219297A1 (en) Drainage-aid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EP2561151B1 (de) Ablauf mit integrierter pumpe, die einen hydraulisch antrieb aufweist
KR20190002662U (ko) 관로 막힘 해소장치
US2637058A (en) Sewer cleanout implement
EP3835499B1 (de) Ablaufarmatur, insbesondere für eine duschwanne oder in form eines bodenablaufs
US20180328012A1 (en) Drain Trap with Integrated Cleanout Fittings
KR100873854B1 (ko) 배수용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