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915A - 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915A
KR20050078915A KR1020040007001A KR20040007001A KR20050078915A KR 20050078915 A KR20050078915 A KR 20050078915A KR 1020040007001 A KR1020040007001 A KR 1020040007001A KR 20040007001 A KR20040007001 A KR 20040007001A KR 20050078915 A KR20050078915 A KR 20050078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patitis
extract
virus
composi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수
김영호
이진호
안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원
이기수
김영호
이진호
안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원, 이기수, 김영호, 이진호, 안치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원
Priority to KR102004000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8915A/ko
Publication of KR2005007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9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과(Cucumis melon Linn. var. ma-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과 추출물은 C형 간염바이러스(HCV) 증식을 억제시킴으로써 항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내므로, 바이러스성 간염 및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ucumis melon Linn. var. ma-gu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viral hepatitis disease}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과 추출물의 C형 간염 바이러스 복제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이용한, 간염 및 간경화 등의 바이러스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약 3억 명 이상이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만성적인 보균자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C형 간염바이러스 보균자도 1억 명 정도로 추산되며, 그들의 숫자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중 매년 약 200만 명 이상이 만성적인 바이러스 감염으로 간염증세를 보이다가 간경화 및 간암으로 발전하여 사망하고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 유발 바이러스 종류로는 A형, B형, C형, 델타형, GBV 등이 알려져 있으나, B형과 C형이 가장 위험성이 많은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이들의 병리기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의 주원인인 A형 및 B형 간염 바이러스는 1970년대에 분리 및 동정되었고, 1989년에는 이에 대한 진단 시약과 백신의 개발이 이어져 바이러스성 간염의 진단과 예방에 큰 진전을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진단 시약과 백신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수혈 후 바이러스성 간염환자가 여전히 발생하였는데, 이들은 기존의 간염 바이러스와는 다른 비-A형 및 비-B형 간염(NANBH) 바이러스로 분류되었으며(Alter. H. J. et al., Science, 2, p838, 1975), 상기 NANBH 바이러스는 발견된 지 10년이 지난 후에 미국의 카이론사에 의해 침팬지의 혈청으로부터 최초로 분리되었고, 그 후로 C형 간염 바이러스로 동정되었다(Choo. Q. L. et al., Science, 244, pp359-362, 1989).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이하 'HCV'라 약칭함)는 비-A형 또는 비-B형 간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간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로서, 사람에 침입하여 급성 또는 만성 간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간경화 또는 간암으로의 이행에도 관여하며(Alter. H. J. et al., New Eng. J. Med., 327, pp1899-1905, 1992), 간경화증 및 간암 등과 관련된 바이러스성 간염의 주된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이고, 수혈 후 발병하는 간염의 70 내지 80% 정도가 HCV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HCV 바이러스는 비-A형 또는 비-B형 간염 환자의 혈장을 침팬지에 접종시켜 분리함으로써 회수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HCV는 하나의 양성가닥으로 된 단일의 선형 RNA(single linear RNA)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RNA는 9400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양성가닥 리보핵산 형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고, 몇 개의 구조 및 비구조 단백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를 암호화하고 있다(Okamoto H. et al., J. Gen. Virol., 60, p1679, 1990). 상기와 같은 유전자 구조를 고려할 때, HCV는 플래비바이러스(flaviviruses) 또는 페스티바이러스(pestiviruses)와 상당한 유사성을 나타내며, 플래비비리대(Flaviviridae)에 속하는 새로운 속(genus)으로 분류되었다. 상기 유전자로부터 암호화되는 HVC 유래 폴리펩타이드는 아미노 말단부터 핵-외피(E1)-외피/비구조1(E2/NS1)-비구조3(NS3)-비구조4(NS4)-비구조5 (NS5) 단백질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져 있다(Choo,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7, pp2451-2455, 1991; Simonetti, et al., An. Int. Med., 116 , pp97-102, 1992).
현재 HCV의 만성적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치료방법은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고, 거의 인터페론-α를 HCV의 치료제로 투여하는 것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 치료법은 최근 들어 인터페론-내성 서열(Interferon resistance sequence)을 갖는 HCV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만성간염바이러스는 궁극적으로 간염에서 간경변으로 진행되는 원인바이러스이며, 이로 인해 간기능 저하 또는 간암발생이 빈번하다. 혈청학적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감염자의 10-15%가 B형과 C형 간염바이러스에 동시에 감염되었음을 보인다. 이러한 이중감염자들은 훨씬 심각한 간질환을 일으킨다. 미국에서만 보더라도 바이러스성 만성 간질환으로 매년 1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으며, 그 감염자 숫자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현재 바이러스성 간염 및 간경화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은 면역활성제 및 항-바이러스제로 알려져 있는 인터페론-α, 라미부딘 등으로, 이들은 임상적 처방을 받는 항바이러스 치료제로서 상용화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단점이 많다. 유기합성된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인 라미부딘은 장기복용시 약제 내성 바이러스가 출현하는 현상이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HBV 복제효소 단백질의 역전사활성을 가진 부위의 YMDD 모티브(motif)에 변이가 생겨도 복제효소의 활성에 억제력을 보이는 또 다른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인 아데포비르는 장기복용하면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 및 신장부전을 가져오며, 만성 C형 감염자에게는 유전자 재조합 방법으로 발현시킨 단백질인 인터페론-α 등이 많이 쓰이지만 환자 30% 정도만 유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다른 부작용도 나타난다. 더욱이, 인터페론-α의 장기투여로 이 약제에 대한 내성 C형 바이러스 출현이 빈번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복합처방이 약제 내성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을 억제하는데 최선이 되고 있어서 리바비린과 인터페론-α의 복합투여가 일반화되고 있다. 그런데도 새로운 형식의 보다 완벽한 치료제가 출시되어야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치료제는 식물 유래 천연물에서 찾아지는 것이 유기합성 항바이러스 제제보다 나을 수 있다. 그러나, 간염바이러스의 만성적 감염에 의한 간질환 치료제로서 기존 항바이러스 제제를 대체할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지만, 이들 식물성 천연물로부터의 신약개발이 임상적용하기까지 너무 시간적 간극이 크다고 본다.
따라서, 간염의 예방이나 치료 목표는 백신처방 등으로 바이러스 증식을 사전 예방하거나,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시키는 약제를 사용하여 간염의 진행을 중단시키고 간경변과 간부전 등의 이행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간암과 전염성을 막고자 하는데 있다. 따라서, 재조합 백신의 개발과 합성신약인 라미부딘, 아시클로비어 등의 새로운 항-바이러스 제제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간염에 대한 완전 치료제로서는 아직 의문시되고 있으며, 그 부작용과 고비용 등으로 사용이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독성 및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치료제를 민간요법 혹은 예부터 적용되어 온 천연물, 특히 생약으로부터 창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예로 조릿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C형 간염 및 간경화 치료제로 시도되고 있으며(한국특허출원 제2002-30092호), 백화사설초, 강황, 호장근 및 산두근의 추출물로 구성된 조성물이 간질환 치료에 효과적임이 제시되었다(한국특허출원 제1997-58132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과(Cucumis melon Linn. var. ma-gua)는 중국 흑룡강 지역에 많이 분포하는 식물로, 멜론의 잡종이다. 우리나라의 참외도 멜론의 변종으로 종자가 내려왔고, 이 마과도 잡종으로 중국 북쪽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맛은 단맛이 나고 약간 무른 감촉을 가지며, 성숙된 과일은 표면이 푸른색을 띄고, 짙은 청색의 무늬가 있으며 대개 무게는 1kg 내외이며, 크기는 30-40cm 정도로 우리나라의 노각과 비슷한 크기와 감촉을 보인다. 대개 8-9월경에 중간정도 숙성되었을 때 수확하며 씨를 받아 다음해에 심으면 잘 자라지 않는 특징이 있어, 제 1세대 잡종의 씨를 받아 매번 종자로 써야 한다. 마과의 효능을 보면 간기능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래 전부터 중국동북부지방에서 과일로서 식용되어 왔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pp147-148, 1998).
그러나 실제로 상기한 문헌들 및 연구보고들에서 마과의 추출물을 이용한 생약의 바이러스성 간질환에 대한 생리활성에 관하여는 교시나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마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한 복합생약의 바이러스성 간염, 간경화에 대한 치료효과를 약리학적으로 관찰하여, 전통적으로 많은 임상자료가 축적되어 있는 생약에 대하여 간염,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에 가능성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연구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마과 추출물이 C형 간염바이러스 복제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여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C형 간염바이러스 복제효소의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C형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에 효과적인 마과(Cucumis melon Linn. var. ma-gua)의 조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과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이들의 혼합용매 및 완충액에 가용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C형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에 효과적인 마과의 조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생약 조추출물은, 마과를 세척 또는 거피한 후 세절하여,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온도에서 약 1일 내지 50일, 바람직하게는 약 15일 내지 25일 동안 자연 건조하여 분말화한 다음, 물, 저급알코올, 완충액 등의 추출용매에 1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농도로 용해시켜,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에서 약 1시간 내지 1일, 바람직하게는 약 1시간 내지 5시간 중탕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인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인산염 완충액을 사용하여 마과 분말을 중탕하여 조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추출공정에서 얻어지는 마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5 ~ 50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마과 추출물의 C형 간염바이러스(HCV) 증식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관내 BVDV 법을 수행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리바비린 및 인터페론-α에 비하여 현격한 HCV 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약학적 제제는 경구, 비경구(경피, 피내, 근육내 및 정맥내 포함), 직장 및 흡입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0.1 내지 1000mg/㎏의 양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mg/㎏의 용량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과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마과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마과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의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3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를 기준으로 0.02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생약 분말의 제조
마과의 종자(경량 양종개발 유한공사, 중국, 도 1 참조)를 수입하여 본 수원대 연구실에서 재배하였다. 마과 열매를 세척하여 꼭지부분에서 2.5㎝와 껍질을 제거하고 세절한 다음, 25℃의 온도에서 약 20일간 자연건조하여 믹서기로 분말화하였다.
실시예 2. 마과 조추출물 제조 1
상기 실시예 1의 마과 분말 45g(약 53.6%)을 함유한 복합생약 분말 84g을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에 10%의 농도로 제조한 다음, 80℃ 에서 2시간 중탕한 후, 10,000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세포실험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마과 조추출물 제조 2
상기 실시예 1의 마과 분말 53.6g 을 함유한 복합생약 분말 100g 을 80% 에탄올 수용액 1ℓ를 넣고 50 ℃에서 1시간 동안 4회 환류 추출한 후에 이를 모두 합하여 여과지(와트만사, 미국)로 여과한 다음에 이를 감압농축기(Eyela사, N-1000, 일본)로 감압농축하여 25g 추출물을 얻고 이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C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마과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측정.
본 발명의 마과 추출물의 C형 간염바이러스(HCV) 증식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관내 BVDV 법을 이용하였다(Zitzman et al, PNAS USA, 96(21), pp11878-11882, 1999). 이 방법을 이용하여 BVD 유도 세포에 대한 마과 추출물의 효율적인 억제 농도(EC50), EC90 및 CC50을 결정하였으며, FDA의 승인을 받은 리바비린 및 인터페론-α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2의 건조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3의 건조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2의 건조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3의 건조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2의 건조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3의 건조분말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건조분말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과 추출물은 우수한 C형 간염바이러스의 증식 저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간염 및 간경화 등의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마과(Cucumis melon Linn. var. ma-gua)의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조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이들의 혼합용매 및 완충액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극성용매로 추출된 약학조성물.
  3.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에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제 1항의 마과의 조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4. 제 3항에 있어서, 음료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40007001A 2004-02-03 2004-02-03 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050078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001A KR20050078915A (ko) 2004-02-03 2004-02-03 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001A KR20050078915A (ko) 2004-02-03 2004-02-03 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915A true KR20050078915A (ko) 2005-08-08

Family

ID=3726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001A KR20050078915A (ko) 2004-02-03 2004-02-03 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89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4208C2 (ru) Применение экстракта обработанного женьшеня и выделенных из него сапонинов
TWI787950B (zh) 用於預防、緩解或治療冠狀病毒感染的包括杜英萃取物作為活性成分之藥物組成物以及食品組成物
KR20080057368A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5275251B2 (ja) 肝臓疾患を予防及び処置するための組合せ薬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0527602B1 (ko) 마과, 씀바귀 및 고들빼기의 추출물을 함유한 복합생약바이러스성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JPWO2006137122A1 (ja) 抗エイズ剤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090040810A (ko) 펙토리나린 또는 펙토리나리게닌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조성물
CN112274547A (zh) 一种含有水飞蓟提取物和1,6二磷酸果糖的组合物及其在护肝、醒酒、抗疲劳中的应用
KR100900343B1 (ko)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독활 추출물을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050078917A (ko) 마과, 씀바귀 및 고들빼기의 추출물을 함유한 복합생약을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78915A (ko) 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691032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20040018733A (ko) 고들빼기 추출물을 함유한 바이러스성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0553982B1 (ko) 마과, 씀바귀 및 고들빼기의 추출물을 함유한 복합생약바이러스성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CN106072636A (zh) 以金花茶为原料的解酒含片及其生产方法
CA2604064C (en) Novel method for preparing processed ginseng to obtain increased amount of ginsenoside rg5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200076185A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US10258662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patitis C including vitidis vinferae radix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20030092446A (ko) 씨형 간염 활성 억제를 갖는 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